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자-내담자 대상관계와 작업동맹과의 관계

        심혜숙(Hae Sook Sim),임현지(Hyun Ji Lim) 한국상담학회 2001 상담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상관계에 따라 지각하는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부넉하여 상담자-내담자의 대상관계와 작업동맹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 지역에 소재한 대학 학생생활연구소와 청소년 상담실 및 일반상담실에서 상담을 하고 있는 상담자(33명)와 3회 이상 상담이 진행되고 있는 내담자(55명)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대상관계 평가지와 작업동맹 질문지를 각각 실시하였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의 수준에 따라 상하집단으로 나눈 뒤 각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상담자-내담자 대상관계의 하위요인의 척도에 따라 작업동맹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 자기 중심성 척도에 따라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특히 목표합의와 과제동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상담자가 지각한 유대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에서는 사회적 무능력의 척도에 따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중 유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상담자-내담자의 대상관계 하위척도 중 자기 중심성 척도에서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목표와 과제, 작업동맹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무능력 척도에서는 내담자가 지각한 유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중심성이 높은 상담자는 자기 중심성이 낮은 상담자에 비해 상담에 있어서의 목표에 대한 합의와 과제에 대한 동의가 내담자와 더 잘 이루어진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정상범위에 속하면서 높은 자기중심성을 가진 상담자는 관계에 있어서 자기의 목표를 위한 좀 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담자들은 관계에서뿐만 아니라 상담과정 중의 내담자와의 목표합의와 과제동의에 적극적이며 스스로 작업동맹이 잘 형성된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무능력 척도가 높은 내담자가 낮은 내담자에 비해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유대를 더 잘 맺고 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 무능력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자신을 사회적으로 무능하다고 인식하고 관계를 하는데 있어서 불안해하고 반응이 없고 정서적으로 둔하며 자신의 감정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가지나 잘 훈련된 상담자가 있는 상담 장면에서는 자신의 어려움을 잘 이해해주고 받아주는 것에 대해 편안해하고 안심해함으로 인해 상담자와 쉽게 정서적 유대를 맺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와 내담자 모두 높은 집단은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가 낮고 내담자가 높은 집단에 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목표합의가 잘 이루어진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고, 자기 중심성이 상담자가 높고 내담자가 낮은 집단이 상담자가 낮고 내담자가 높은 집단에 비해 상담자는 내담자와 목표합의와 과제동의가 잘 이루어진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 자기 중심성의 평균이 상담자는 정상범위에 속하며 내담자는 임상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자기 중심성 척도가 높은 상담자는 상담관계에 있어서도 적극적이며 능동적이고 상담목표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제시하여 스스로도 작업동맹이 잘 형성되었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있으나 자기 중심성이 높은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 있어서 비협조적이며 요구적이며 자기 중심적이여서 이러한 내담자를 만나는 상담자는 동맹형성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후 충분한 사례수와 표준화된 대상관계 측정도구를 이용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쓰기에 나타나는 자기중심성에 대한 교육적 이해

        양경희 ( Kyoung Hee Yang ),이삼형 ( Sam Hyung Lee ) 한국작문학회 2011 작문연구 Vol.0 No.13

        이 연구는 자기중심성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한 후 쓰기에 있어서 자기중심성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밝히고 그것이 쓰기에 작용하는 양상을 살펴 소통적 쓰기를 위한 연구의 단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기중심성은 모든 연령층에 나타나는 인간 본연의 속성으로 교육의 관점에서는 인지적인 측면에서 비중을 두어 살펴볼 수 있으며, 배제의 대상이라기보다는 조정의 대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쓰기와 관련해서 자기중심성은 필자 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내용을 생성하고 선정하여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소통을 방해하는 인지적 한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중심성은 기본적으로 쓰기 기초 기능과 쓰기 지식을 알고 쓴 글, 즉 읽을 수 있는 글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확인가능하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자기중심성이 쓰기 과제를 인식하는 시점에서 글을 쓰는 과정, 글의 내용을 생성하고 선정하여 표현하는 데에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논의는 필자가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소통적 글쓰기를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추적하여 이에 대한 교육적 논의의 필요성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독자를 고려한 글쓰기 연구에도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gocentrism, interpret it in terms of education, define the meaning of egocentrism, and determine its working aspect. Egocentrism is in the nature of humans. In in terms of education, it is determined by cognitive aspects and understood by target of adjustment, rather than target of exclusion. Egocentrism in writing is an author-centred approach and cognitive limitations to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in generating, selecting and expressing contents. It is analyzed and understood through text, affirming it is working in cognition of writing tasks and the writing process, generating contents and expressing contents.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 refers to the need for educational discussion about egocentrism by tracing the root cause to prevent communicative writing and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of study for audience consideration.

      • KCI등재

        대학(원)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유경(Youkyung Lee),박기환(Kee-Hwa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re belief disrup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pathway through which event centrality affects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ethods To investigate the model of this study, self-report survey data from 372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Trauma Events Checklist, Centrality of Event Scale-Korean(CES-K), Korean Version of Core Belief Inventory(K-CBI),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Korean version of Self-Comapssion Sclae(K-SC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moderating effect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and PROCESS macro. Results Core belief challenge indirec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centrality of event o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directly on posttraumatic grow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test, the effect of core belief chal-lenge on posttraumatic grow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compassion. Also, core belief challen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event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compassion moderated i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can work as a facilitator in the path of centrality of event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core belief challenge.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후 성장을 유발하는 경로에서 핵심신념붕괴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개정판(IES-R-K), 외상후 성장 척도(PTGI), 사건중심성 척도 한국판(CES-K), 한국판 핵심신념붕괴 척도(K-CBI),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를 포함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21.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 통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 조절효과 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핵심신념붕괴는 사건중심성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사건중심성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자비는 핵심신념붕괴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핵심신념붕괴와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건중심성이 외상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된 핵심신념붕괴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사건중심성과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핵심신념붕괴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사건중심성이 핵심신념붕괴를 거쳐 외상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촉진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후 성장의 공통된 경로와 더불어 구별되는 지점을 탐색해보았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Piaget의 자기중심성은 전조작기적 특성인가? : 세 산 모형 실험에서 심리화까지

        윤황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0

        Thi s researcher considered tha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Piaget's concept of egocentrism in the field of study pursuing empirical science was reduced or distort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anding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Piaget's egocentrism through academic re-examination and deeper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Fi rs t of all,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uniqueness of Piaget's theory as a meta-theory, this study attempted to un derstand the concept of egocentrism in the theoretical context of genetic epistemology. This study then pointed out some misconceptions about egocentrism commonly kn own in psychology, and explained the transition process of egocentrism at each stage of cognitive development.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egocentrism has a continuous connection with various concepts of modern psychology and suggested the creative and extended use of concepts related to Piaget's egocentrism. 본 연구는 경험과학을 추구하는 학문분야에서 Piaget의 자기중심성 개념이 갖는 이론적 의미가 크게 축 소되어 있거나 왜곡되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재조명과 심화된 이해를 통해 자기중심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적 용을 확대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메타이론으로서 Piaget 이론이 갖고 있는 이론 적 독특성을 검토함으로써 발생적 인식론이라는 이론적 맥락에서 자기중심성 개념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심리학에서 흔히 알려져 있는 자기중심성 개념에 대한 몇 가지 오해들을 지적하는 한편, 각각 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자기중심성의 발현과 변이과정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자기중심성이 현대 심리학의 여러 개 념들과 지속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 이와 관련한 창의적이고 확장된 개념적 활용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글쓰기에서의 오류 개선 연구 -대학생 글쓰기에서의 자기중심성을 중심으로-

        정은아 ( Eun Ah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중심성적 글쓰기 오류를 개선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의 글쓰기 오류 분석 연구는 그 개선을 위해 대체로 문법교육 강화를 주장하여왔다. 그러나 대학생의 경우 다른 저학년 군에 비하여 문법 지식에 숙달된 그룹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 글쓰기에서의 문법적 오류 원인이 표면적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상당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모든 문법적 오류가 전적으로 문법적 지식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한다. 어떤 경우는 필자의 자기중심성이 문법적 오류를 포함한 다양한 글쓰기 오류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본 연구가 사례로 분석하고 있는 대학생 뿐 아니라 그 이후 연령대인 성인에게서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자기중심성적 미숙함을 글쓰기 오류 원인으로 살피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자기중심성은 글쓰기에서의 상위인지를 방해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독자와 필자로서 상호적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토론 및 피드백을 통해 어떤 과정에서 글쓰기 오류에 빠졌는지를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며 그러한 과정 후에도 지속적인 개인적 수련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본고는 대학생 글쓰기 개선에 있어서 동료와의 토론이나 강사의 피드백을 통해서 필자의 자기중심성을 인식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자기중심성에 대해 필자가 인지하고 주의하여 다시 고쳐 쓰기를 할수 있다면 문법적 지식 등의 새로운 교육 없이도 글쓰기 오류를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것을 통해 본고의 논의(설사 문법적 오류에 해당하는 것일지라도 그 원인이 ‘문법적 지식의 부재’가 아닌 ‘자기중심성적 미숙함’에 있을 수 있다는 점)가 입증된 것이라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at improvement of writing error through the revise to overcome egocentrism. Generally, a study on students´ writing error suggests grammar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writing. But, university students are familiar with grammar. They are different with elementary students in beginning instruction. Error of grammar in writing may be an ostensible reason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all ‘grammar error in writing`` dose not come from ‘absence of knowledge of grammar’. Some causes of grammar error in writing is given by egocentrism of writer. Egocentrism hinder the meta-cognition about writing. The Writter occasionally cannot consider readers´background knowledge(or reader’s understanding). Therefore the revise method through feedback with readers and writers will have good effect on student``s writing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자기중심성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조절효과

        박성주(Sung-Joo Park),이보선(Bo-Sun Lee)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우리는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을 더 인식할 필요성이 있으며, 현대사회에 심각한 사회문제로 데이트폭력이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그에 관한 적절한 해결책과 예방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달리 자기중심성과 정서조절능력으로 접근을 하여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있다. 연구대상은 총 251명 중 성별은 남성 53.4% 여성46.6%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빈도분석 결과 남성은 21세, 22세 그리고 24세 순으로 많았고,여성은 23세, 22세 그리고 21세 순으로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대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주로 20대 초반의 빈도가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중심성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자기중심성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자기중심성과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조절능력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을 때, 정서조절능력이데이트폭력가해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자기중심성과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정서조절능력 효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need to be more aware of the severity of dating violence, and as dating violence is anissue in modern society due to serious social problems, we need to prepare for appropriatesolutions and precautions. Contrary to existing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can be found in that it demonstrated the effect on the dating violence harassment behavior byapproaching it with egocentrism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For research object, thisstudy was to compose of 53.4% for male and 46.6% for female out of total 251 participant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frequency analysis in this study, male showed high frequency such as 21 years old, 22 yearsold, and 24 years old in order, and female such as 23 years old, 22 years old, and 21 yearsold in order. The frequency of the early 20s took most mainly for college students. Second,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gocentrism had effect on the harassment behavior of datingviolence. Third, taking a look at the effect of egocentrism on the emotion regulation, thisstudy has found out that it had effect on the egocentrism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harassment behavior ofdating violenc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had effect on the harassment behavior ofdating violence. Fifth,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egocentrism and harassment behavior of dating violence.

      • KCI등재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장문영(Moonyoung Chang),조효진(Hyojin Cho),문화정(Hwajung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기존의 SNS중독에 관한 연구들이 청소년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25세에서 59세의 기혼여성으로 그 대상을 확장하여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를 사용하는 기혼여성 300명에 대하여 불안정성인애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자기중심성 및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여 각 변인의 관련성 및 매개효과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 FOMO, 자기중심성, SNS중독경향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에 이르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SNS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egocentrism and the fear of missing out (FOMO)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ve tendencies in married women. While previous researches on SNS addiction have primarily focused 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work expands the study group to married women of ages between 25 and 59 and considers various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ir tendencies to develop SNS addiction. Analyses on adult attachment, egocentrism, FOMO, and SNS additive tendencies have been performed against a group of 300 women with continued SNS use, and the inter-dependencies of each variable, as well as the mediated effect model, have been validated. Results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FOMO, egocentrism and SNS additive tendencies for married women. Validation through the mediated effect model further show that the link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ve tendencies is completely mediated by egocentrism and FOMO. Such findings suggest that an 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s understanding one’s and FOMO may be critical for preventing and recovering from SNS addiction for married women.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중심성 및 인정욕구와 스마트미디어 중독 간의 관계: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소희,서경현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egocentrism and need for approval to smart media addiction of adolesc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alienation. The participants were 402 (229 males and 173 females)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egocentrism and need for approv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 media addi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ile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ienation. And, alienation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smart media addiction. It was found that alienation was partially mediating on need for approval and smart media addiction as well as egocentrism and smart media addiction.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led that social helplessness accounted the most variance of smart media addiction, it accounted 21.6% of smart media addiction.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relationship between egocentrism and need for approval and smart media addiction in adolescence, and suggests the role of alienation in the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자기중심성 및 인정욕구와 청소년의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402명(남: 229, 여: 173)이었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의 자기중심성 및 인정욕구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은 물론 소외감과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소외감도 고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소외감은 자기중심성과 스마트미디어 중독 간의 관계 뿐 아니라 인정욕구와 스마트미디어 중독간의 관계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사회적 무력감이 고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의 변량을 21.6%를 설명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발달할 수 있는 자기중심성이나 인정욕구와 스마트미디어 중독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 관계에서 소외감의 역할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인지적 참여, 연결정도 중심성과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김희준 ( Hee Joon Kim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인지적 참여(심층적 전략 활용, 표면적 전략활용), 연결정도 중심성(외향중심성, 내향중심성)과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성공적인 온라인 토론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69명의 학부생을 7개의 팀으로 무선 할당하여 3주간 온라인 토론학습을 진행하였고, 자기보고식 설문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후 다중회귀분석, 매개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연결정도 중심성의 내향중심성은 다른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이후 모든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다중회귀분석과 매개분석 결과, 표면적 전략 활용은 외향중심성을 부적으로, 심층적전략 활용과 외향중심성은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외향중심성은 심층적 전략 활용과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표면적 전략 활용과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심층적 전략을 활용하고 표면적 전략 활용을 지양하도록 독려해야하며 학습자 특성을 연구함에 있어 속성 변인과 관계성 변인들 간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rners’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gnitive engagement(deep strategy use and surface strategy use), degree centrality(out-degree centrality and in-degree centrality),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in online discussion. Sixty-nin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seven teams and they participated in a three week online discuss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gnitive engagement,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nd degree centrality was calculated through NetMiner 4.0. After data collection,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Howev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in-degree centrality were exclud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s analysis, and bootstrapping because they hav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surface strategy use negatively predicted out-degree centrality and deep strategy use and out-degree centrality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Out-degree centra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strategy use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strategy use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herefore, in online discussion, learners should make good use of deep strategy but also should be encouraged to avoid surface strategy use. Also, it implies that there needs to be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etween attribute variables and relational variables when researching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online discussion.

      • KCI등재

        학위논문 장르 교육에서 자기중심성 극복을 위한 위키(wiki) 활동 설계 방안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강한 필자 정체성이 요구되는 학위논문에 주목해서 대학원 유학생의 자기중심성 양상을 확인하고,그 해결책으로wiki활동을 설계하였다.이를 위해 이론적검토를 통해 자기중심성의 강화와 필자 정체성의 약화 간의 논리적 관계를 정리하고wiki활동이 해결책이 되는 이유를 밝혔다.그리고 현재 대학원 유학생의 자기중심성양상을 검토하고wiki활동이 적용된 글쓰기 수업 모형과wiki활동,그리고wiki활동 예시를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글쓰기에서 높은 자기중심성과 낮은 필자 정체성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wiki를 활용한 글쓰기 활동을 설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signed a wiki activit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gocentrism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 focusing on theses as they require a strong writer identity. For this instruction,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ening egocentrism and weakening writer identity, and explains why the wiki activity presents a good solution. International students’egocentrism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and examples of a writing instruction model, wiki activity, and examples that applied the wiki activity,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s design will bolster writing activities, using wiki to focus on both high egocentrism and low writer identity in writing the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