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독자 고려 양상 분석 - 사회인지주의 관점에서 독자 인식과 제목을 중심으로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사회인지주의 관점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이 고려하는 독자가 무엇인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인식으로서의 독자’와 ‘기능으로서의 독자’를 ‘텍스트 수준별’로 나눠 살펴보았다. 상위 필자는 보고서를 ‘학술적 글쓰기’로 인식하고,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을 예상독자로 인식했다. 반면에 중위와 하위 필자는 보고서를 ‘학문 목적 글쓰기’로 인식하고, 담화공동체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독자들을 고려했다. 하위 필자의 경우 예상독자로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상위 필자의 제목은 학술적 텍스트에 적합한 선언형 제목이 나타났고, 하위 필자의 제목은 학술적 텍스트에 적절하지 않은 질문형 제목이 나타났다. 또한 상위 필자와 하위 필자 모두 중립형 제목이 있었지만, 제목이 갖고 있는 정보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상위 필자에게는 콜론을 사용한 제목 쓰기 연습이 요구되고, 하위 필자에게는 담화공동체 중심의 독자 인식과 충분한 정보량을 가진 제목 쓰기 연습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대학원 유학생은 담화공동체의 장르성에 친숙해지고 전문 저자성을 확보해야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who the audience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target in academic writing i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For this, ‘audience as recognition’ and ‘audience as functio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xt. High-level authors recognized reports as ‘academic writing’ and the members of a discourse community as the prospective audience. On the other hand, mid-level and low-level authors recognized reports as ‘writing to learn’ and considered audience less related to the discourse community. Some low-level authors recognized the prospective audience as ‘themselves.’ As for titles, high-level authors chose declarative titles that were proper for academic text, while some low-level authors used question titles not suitable for academic text. Although both high-level and low-level authors showed neutral titl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itles. High-level authors are required to practice giving titles using a colon(:), while low-level authors need to practice it by recognizing audience centering on the discourse community and using sufficient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y ultimately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genre of the discourse community and acquire professional authority.

      • KCI등재

        박사 과정에서 WAW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탐색 -박사 유학생의 ‘학술 논문’ 완성을 위한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민정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In this study, the WAW approach is considered to have educational appropriateness in the light of situations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in the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Especially, giving consideration to when foreign doctoral students should write ‘Academic Paper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Academic Papers instruction, which is helpful to this situation and apply WAW to this instruction. The early part of the instruction is to read papers of domestic researchers regarding writing and conduct reflective tasks and heuristics. The later part of the instruction is to write Academic Papers, which mirror ‘collaborative writing’. For this instruction, reflective assignments and assay design reports are midterm tasks, and final tasks are to submit Academic Papers revision plans. This instruction has significance by providing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WAW applicability to the doctoral training course and the actual instructional design mode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ails to propose the exquisiteness of the paper list and context-intens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in detail. Nevertheless, it is anticipated that relevant further studies will help a learning transfer from foreign doctoral students’ writing knowledge and writing experiences of foreign doctoral students to practical writing. 본 연구는 WAW 접근법이 학술 담화공동체에서 박사 유학생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교육적 적합성을 갖는다고 판단했다. ‘학술 논문’을 써야만 하는 박사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을 고려해서, 이때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술 논문 수업을 WAW 접근법으로 설계했다. 강의 초반부에는 글쓰기와 쓰기 교육 분야의 논문을 읽고, 반성적 과제와 발견학습을 진행한다. 강의 후반부에는 협력적 글쓰기를 통해서 학위논문의 주제로 학술 논문 쓰기를 한다. 중간과제는 반성적 과제를 정리한 성찰 노트와 학술 논문 설계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이고, 기말과제는 학술 논문 계획서를 제출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박사 교육과정에 WAW 적용 가능성과 실제 수업 설계 모형을 자세하게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렇지만 논문 목록의 정교함, 맥락 집약적인 교수⋅학습 전략 등을 자세하게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서 박사 유학생이 학술적 리터러시를 확보하고 학술 논문을 완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수요목 설계 - 학술적 리터러시에서의 저자성 강화를 중심으로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3

        The writing subjects studied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only focuses on ‘theses’ writing; however, there are no subjects that provide information o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teach discourse conventions. Based on this challenge, this study tried to design syllabus for academic writing subjects to enhance academic literac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principles of prerequisite subject formation and theoretic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uthority in relation to academic literacy. First, it designed academic writing subjects as prerequisite ones and then, it constructed the contents of the syllabus around the ‘authority’. In addition, it designed the ‘knowledge-skill-attitude’-centered syllabus by some states of authority: Discovery/Diagnosis, Representation, Strategy, Embodiment. This syllabus is expected to enhance the academic literacy of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above all, will help foreign graduate school students adapt better to the academics.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글쓰기 강의가 ‘학위논문’에 맞춰져 있는 것을 비판하고, 대학원에 입학한 신입 유학생을 대상으로 ‘학술적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위한 학술적 글쓰기 강의를 설계했다. 이 강의를 설계하기 위해서 학술적 글쓰기에서‘저자성’의 특징을 학술적 리터러시와 연결해서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대학원 유학생의 저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수강의’로 설계했다. 그리고 학술적 글쓰기 강의를‘저자성’의 ‘발견-표상-전략-구현’의 국면별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구성했는데, 이때대학원 유학생의 ‘지식’, ‘기능’, ‘태도’가 종합적으로 향상되도록 고려했다. 이 강의가 대학원 유학생이 많이 있는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서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고,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에도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박사 유학생의 필자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제언 -학술적 글쓰기에서 담론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민정호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3

        Focusing on foreign doctoral students,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k how to strengthen writer identity from a discoursive perspective, not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of literacy practices. For achieving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defines intertextuality, interdiscoursivity and answerability and suggests ways of strengthening writer identity. On the premise that a writing instruction in the doctoral course is required to complete academic research papers, this study puts emphasis on making a discourse repertory through intertextual connection of discourses that crash into, writing in view of interdiscursiv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writing and lastly, reading and writing a text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academia and audience’s expectations. In so doing, foreign doctoral students will be able to find their own voices, complete academic texts with their own voices and writer identity will be formed and reinforced.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s of identity and writer identity and pedagogies for strengthening writer identity, based on contents from a variety of studies, such as psychoanalysis, discourse linguistics, rhetoric and genre-based approach. Although this is a trial stud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foreign doctoral students proceed with academic writing with identity as members of academia and with their own voices. 본 연구는 박사 유학생에 집중해서 리터러시 관행이라는 기능적 관점에서 벗어나 담론적 관점에서 필자 정체성 강화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상호텍스트성, 상호담화성, 응답성 등을 정리하고, 필자 정체성 강화 방안을 제안했다. 소논문 완성을 위한 박사 과정의 글쓰기 강의가 필요하다는 전제로, 충돌하는 담화들을 읽고 이를 상호텍스트적으로 연결해서 담화적 레퍼토리를 만들 것, 학술적 글쓰기의 상호담화적 특징을 고려해서 글쓰기를 할 것, 마지막으로 학계의 요구와 독자의 기대에 응답하여 텍스트를 읽고 쓸 것 등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서 박사 유학생이 자신만의 목소리를 발견하고 이를 중심으로 학술적 텍스트를 완성하며, 이 과정을 통해서 필자 정체성이 형성·강화될 것이다. 본 연구는 정신 분석학, 담화 언어학, 수사학, 장르 중심 접근법 등 다양한 학문들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체성과 필자 정체성의 개념, 그리고 필자 정체성을 강화하는 교육법 등을 논의했다. 시론적 성격이라는 한계를 고려하더라도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박사 과정의 유학생들이 학계의 구성원이라는 정체성을 갖고, 자신만의 목소리로 학술적 글쓰기를 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의 필자 정체성 강화를 위한 제언

        민정호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This study elucidated that writer identity is necessary for academic writing,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academic writing and writing to learn. It specified the concepts of writer identity. In the process of such specification, ‘language’, ‘the other’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r the reinforcement of identity. This study provided participation in symposiums, feedbacks from Korean mentors, explicit teaching of academic writing, usage of background knowledge constituted from home cultures and education for writing strategies such as demonstrative structures as methods to reinforce the writer identity, in the light of the ecology of literacy. If such educational treatments as the state of literacy are provided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it may be possible to reinforce not only academic literacy, but also the writer identity. 본 연구는 학술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인 대학원 유학생에게 필자 정체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전제로 필자 정체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언어’와 ‘타자’가 필자 정체성의 형성·강화에 중요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리터러시 생태학의 입장에서 ‘언어’와 ‘타자’와의 접촉이 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학술대회의 참석, 한국인 멘토의 피드백,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명시적 교육, 고향 문화에서 구성된 배경지식의 활용, 논증 구조와 같은 글쓰기 전략에 대한 교육 등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교육적 방법들이 대학원 유학생에게 리터러시 생태로 제공된다면, 학술 담화공동체에서의 필자 정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원 유학생의 대학원에서의 학업 적응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제안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읽기와 쓰기가 결합된 ‘융합적 과제(Hybrid task)’의 성격을 갖지만 읽기를 고려한 연구가 부족함을 전제로 ‘읽기’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그래서 학술적 글쓰기 ‘저자성’에서 ‘발견(Discovery)’ 국면을 ‘쓰기를 위한 읽기’로 정리하고, 이 국면에서 ‘이해(comprehension)’를 ‘상황 모형(situation model)’과 ‘텍스트기저(textbase)’로 나누고 ‘발견 능력’을 구체화했다. 우선 ‘텍스트기저’ 차원에서의 교육 내용은 ‘발견 능력’ 향상을 위해서 텍스트의 수사적 구조에 대한 지식, 그리고 동일 화제를 다른 수사적 구조로 구성한 텍스트를 읽고 쓰는 것 등을 제안했다. 또한 ‘상황 모형’ 차원에서는 ‘응집성(coherence)’이 결핍된 텍스트를 통해서 추론 능력을 향상하도록 하고, 이때 떠오른 배경지식 등을 ‘자유글쓰기(free writing)’를 통해 표현하도록 제안했다. 또한 이와 같은 ‘발견’한 내용들은 ‘개요 쓰기’로 종합할 것을 제안했다. This study developed a discussion around 'reading'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on it, though the academic writing is characterized by a ‘hybrid task’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It, therefore, arranged the aspect of ‘discovery’ as ‘reading for writing‘ in academic writing ‘authority’, dividing comprehension into situation model and textbase and specifying 'discovery ability' at the aspect. At first, it suggested knowledge for the rhetorical structures of texts and both reading and writing of texts in which the same issues are constructed with different rhetorical structure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enhancing 'discovery ability' at the level of ‘textbase’. In addition, it encouraged foreign graduate students to enhance their inferential ability by using texts without coherence and express the emerging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free writing, at the level of ‘situation model’. Moreover, it recommended to synthesize such ‘discovered’ contents to ‘outline writing’.

      • KCI등재

        한국어 교육 전공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듣기⋅쓰기 중심의 수업 모형 연구 -학업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딕토콤프를 중심으로-

        민정호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3

        This study considers the reason for academic maladjustmen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as a lack of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required in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Defining this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for improving this literacy. When identifying the state of literacy to listen and write among foreign graduate students,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writing in Korean and failed to listen instructors’ discourses abundantly and write during lectures. Also, foreign graduate students thought themselves that listening and writing was important for academic adjustment, but they were not good at listening and writing. In order to improve this issue, this study suggests Dicto-Comp along with an instruction model. The stages of Dicto-Comp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specificit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Originally, Dicto-Comp was a method of teaching that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but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contents based on listening and writing. This study then explains how to apply this model to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presents a applicable instruction exampl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in authorship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entrance into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n collaboration with diverse studies and instruction models for helping academic adjustment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부적응 원인을 학술 담화공동체에서 요구하는듣고 쓰는 리터러시의 부족으로 정리했다. 이 듣고 쓰는 리터러시를 학업 리터러시로 정의하고 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모형을 만들었다. 또한 실제 대학원 유학생의 듣고 쓰는 리터러시 상태를 확인했는데, 대부분 한국어 필기 경험이없었고, 강의 중 교수자의 담화를 풍부하게 듣고 필기하지 못했다. 또한 대학원 유학생은 듣고 쓰는 것이 학업 적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스스로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 모형을 만들면서 딕토콤프를제안했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에 맞춰서 딕토콤프의 단계를조절하고 새로운 단계를 추가해서 듣기⋅쓰기 수업 모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실제대학원 교육과정에서 이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밝히고, 실제 수업 예시까지 제시했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에 듣고 쓰는 리터러시가중요함을 밝히고, 이를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대학원 유학생의 학업 적응을 돕는 다양한 연구들과 수업모형이 개발되어서 대학원유학생의 저자성 향상과 학술 담화공동체 편입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메타장르를 활용한 바꿔쓰기 수업 설계

        민정호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89 No.-

        본 연구는 요약, 인용과 같은 형식에만 주목한 유학생 표절 관련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바꿔쓰기에 주목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특히 학위논문에서 ‘요약하기’를 주요 수사적 맥락으로 전제하고, 요약을 할 때 주요하게 고려되는 ‘바꿔쓰기’와 학술적 글쓰기에서 지침이 되는 ‘메타장르’를 고려해서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또한 학위논문의 수사적 맥락에 따라 선택된 자료 텍스트, 학위논문 서론의 수사적 맥락에 따라 설계된 요약하기 과제, 그리고 실제 반드시 다뤄야 할 토의 내용 등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학생이 학위논문과 같은 학술적 글쓰기에서 양산하는 ‘표절’을 ‘과도기적 작문 현상’으로 전제하고, 바꿔쓰기 중심의 ‘글쓰기 수업’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위논문의 수사적 맥락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필자 정체성 분석 - 서론에서 입장과 목소리를 중심으로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강한 저자성이 요구되는 학위논문에 주목해서 대학원 유학생이 어떻게자신의 입장과 목소리를 텍스트에 구현하는지를 분석했다.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필자정체성의 개념과 수사적 맥락의 범위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특정 수사적 맥락에서 드러나는 담화의 종류와 그 담화의 수사적 전개에 주목해서 대학원 유학생의 필자정체성 양상을 분석했다.연구 결과 ‘현황 분석’,‘문제 제기’,‘연구의 필요성 도출’과같은 특정 수사적 맥락에서 뚜렷하게 구별되는 대학원 유학생만의 지배적인 양상이드러났다.본 연구는 실제 대학원 유학생이 완성한 학위논문에서 필자의 입장과 목소리 양상을 분석하고 학위논문 지도에서 요구되는 교육적 함의점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르 인식 향상을 위한 텍스트 유형과 장르 인식 활동 방안 연구

        민정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북미 신수사학파의 장르 이론 중에서 ‘장르 인식’을 중심으로 텍스트 유형과 활동 내용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 신수사학파의 장르 인식의 개념을 살펴보고, 텍스트 유형과 장르 인식 활동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한국어 글쓰기 상황을 반복적으로 마주하는 대학원 유학생을 고려해서 세부적인 텍스트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텍스트 유형을 통해 진행되는 과제 스퀀스를 대학원 유학생의 수사적상황을 고려해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장르 인식수업에서 진행될 수 있는 텍스트 유형과 장르 인식 활동을 구성·설계했다는 점에서의미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