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엇이 소비를 후회스럽게 하는가? : 자기조절능력과 비이성적 소비행동을 중심으로

        유현정,김수진,김영림,안보름,전현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풍요로움은 필수재 구매 중심의 소비에서 보다 다양한 욕구충족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 의 구매로 소비의 영역을 확대시켰고 아울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데 기여했다. 그러나 고도 산업사회를 지 나 정보사회로 진입하면서 소비자들은 넘쳐나는 재화와 정보 중 무엇이 소비자에게 진정으로 필요하고 유익한 것 인지를 평가하고 선택하는 데 점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소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은 약화되고 순간적인 소 비충동이나 과시적 욕구, 무분별한 타인의 모방 등과 같은 비이성적인 소비행동은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 후 후회를 야기시키는 요인으로 자기조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주목하였다. 자기조 절능력 및 비이성적 소비행동이 후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주시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과시소비성향이 구매 후 후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즉, 과시소비를 많이 하는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 변인이 구매 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저학력 소비자일수록 구매 후 후회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크고, 학생이 다른 직업인에 비해 자기조절능력 수준이 낮았으며,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특성에 따른 비이성적 구매행동 분석에서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비교적 충동소비를 많 이 하고,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충동소비,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조절은 비이성적 소비행동 중 보상소비에만 영향을 미치고, 구매후 후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 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非조절은 충동소비와 모방소비, 과시소비, 보상소비의 모든 비이성적 소비행동에 영 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비이성적 소비행동에서는 과시소비가 구매후 후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 연구

        허정경 ( Jung Kyoung Huh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7 아동복지연구 Vol.5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였고,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있어서 특히, 부모의 통제가 아동의 억제와 충동 통제를 발달시킨다는 관점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아동의 기질과 관련지어 기질의 어떤 특성이 자기조절능력의 행동을 예측해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현재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은 중간이상의 점수를 보여주며, 각 하위요인 중 동기적 요인에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이 행동적 요인, 인지적 요인 순으로,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능력은 동기적 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나,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아동의 기질과 부모양육태도에 대한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들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있었으며, 아동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자기조절능력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자기조절능력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아동의 기질의 하위요인인 지속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양육태도인 애정태도, 기질의 하위요인인 접근-철회, 활동수준, 부모의 양육태도인 감독정도, 기질의 주의집중과 융통-경직성 순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즉,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보다는 애정적인 태도를 중시하고, 아동의 기질 중 한 가지 활동을 꾸준하게 오랜 기간 수행하는 정도인 ‘지속성’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긍정적인 자기조절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에 앞서 아동의 기질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에 먼저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self-regulation of the children in the school age was 3.30 and was excellent in the influence on the motivational factor. Also the third grade student had higher self-regulation than the fifth grade on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according to the sex.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by the children`s temperament and the parents` parenting, the factor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self-regulation was persistence, a sub-factor of the temperament of the children. It had an effect on the affectionate attitudes as a parents` parenting, the approach-withdrawal and, as a activity level general of temperament, the degree of ‘supervision as a parents’ parenting, and distractability and flexibility-rigidity as a temperament in order. It presented that the negative mood, sub-factors of temperament of the children,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Ultimately, for developing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it can improve the positive self-regulation by making much of affectionate attitudes then the supervision among the parents` parenting, and by enhancing the persistence, a scale of executing an activity among the children`s temperament continuity for a long time.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박미정(Park, Mi Jung),엄정애(Ohm, Jung A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3, 4, 5세 9학급 유아 12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유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하위요인 중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친사회적 조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경우, 만 3세 유아들보다 만 5세 유아들의 친사회적 조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을수록 비놀이 행동보다 놀이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행동 유형 중 기능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규칙 있는 게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행동 유형에서는 병행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으며, 집단놀이를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비놀이 행동 중 쳐다보기와 돌아다님 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이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과 연관이 있는 놀이의 중요성을 재인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by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 children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lay behavior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26 children aged 3, 4 and 5 in 9 classes at 3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or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gnitive regulation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otivational, prosocial regulations in order.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cording to age and sex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gulation. Secondly, children did more play behaviors than non-play behaviors as they ha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nd more non-play behaviors than play behaviors as they ha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cognitive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showed more functiona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rule games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For social play types, children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s they did more parallel play and as they played more group play they showed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children did more watching behavior of non-play type as they showed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른 실제적 과학탐구의 진화적 요소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이준복,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4

        This study examined what, how, and why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y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selected 50 6th grade students of Seoul G elementary school are tested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fter being taught about structured and opened processes of scientific inquiry, the students's responses were analyzed what and why they prefer the elements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pplying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of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and evaluat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elaboration, check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diversifying, evaluating, and furthering elements. The students with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were affected by goal-orientation, self-efficacy, fulfill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elaboration variabl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students who have hig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an those who have low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all of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에 따라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선정된 서울시 G 초등학교 6학년 50명을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검사하였다. 학생들은 구조화된과학 탐구와 개방된 실제적 과학 탐구 과정에 대해 배우고 난 후, 학생들은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활용한 실제적 과학 탐구의 진화적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실제적 과학 탐구의 다양화와 평가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행동조절의 정교화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목표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정교화, 점검 변인들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실제적 과학적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았다.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의 목표 달성지향성, 자기효능감, 성취가치, 행동통제, 행동통제, 정교화 변인들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은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모두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낮은 학생보다 실제적 과학 탐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친애욕구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중재효과

        임애라,박기환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가톨릭신학대학) 2010 학생생활상담 Vol.28 No.-

        이 연구는 청소년의 친애욕구가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조절능력의 중 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친애욕구 검사와 자기조절 능력 검사, 휴대폰 중독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친애욕구인 친애경향성과 거부민감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애욕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조절 능력과 휴대폰 중독 위험성의 경우에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애욕구,자기조절능력, 휴대폰중독위험성을 상관 분석한 결과 친애욕구와 휴대폰 중독 위험성 사이에 정적상관이 있었는데, 특히 친애 욕구 중 거부 민감성이 강할수록 휴대폰 중독이 우려되며, 자기조절능력이 강할수록 휴대폰 중독의 위험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능력 중 인지적 자기조절능력을 제외하고, 동기적 자기조절능력과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이 각각 휴대폰 중독 위험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친애욕구가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의 중재효과는 친애욕구 중 친애경향성의 경우인 지적 자기조절능력, 동기적 자기조절능력, 행동적 자기조절능력 모두에서 중재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친애욕구의 다른 하위변인인 거부민 감성의 경우 통기적 자기조절능력,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이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휴대폰 중독 위험성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행동적 자기 조절능력이었고 동기적 자기조절능력도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 KCI등재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부모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오숙영(Oh, Sook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SES, 사교육,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상호 관계를 선형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개념화하고,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변량회귀분석을 통하여, 모든 잠재변인의 하위요인들 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PL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검정하는 것이다. 셋째,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적 모형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단순무선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오차 허용범위 5%, 신뢰수준 95%를 기준으로하여, 일반계 5개 고등학교 386명을 추출했다. 통계방법은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이 사용되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Smart PLS Version 2.0이 사용되었다. 우선,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도구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수렴 타당도와 집중타당도를 검정했다. 다음으로, 전체 잠재변인들 타당도는 PLS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형(수렴타당도, 집중타당도)과 구조모형으로 검정했다. 연구결과, 하위요인 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 교육수준은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총수입도 사교육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교육기간은 인지, 동기, 행동의 자기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 교육수준은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기간은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부교육은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조방정식 경로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 SES는 사교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사교육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부모 SES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사교육은 부모 SES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사교육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었다. 이때,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교육과 학업성취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부모 SES는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부모 SES와 학업성취 사이에는 사교육의 매개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SES는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사교육을 경유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혹은 사교육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경유하여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parents’ SES, extracurricular learning,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as 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 and Goodness of Fit Index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first step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of latent factors by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testify Goodness of Fit Index and Path Coefficient of Structural Model by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used are 386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academic high school according to 5% permitted range and 95% confidence range. The statistics methods used in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d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useful for formative indicators. The statistics programs used are SPSS version 20.0, AMOS version 20.0, and SmartPLS version 2.0.M3.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include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presented for validity of self 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includ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Structural Model of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presented for the validity of total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ignificance of path coefficients are as followed. 1)Parents’ SES has an effect on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2)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3)Parenrs’ SES has an effect on 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and self-regulatory. 4)The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5)The extracurricular learning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6)Parents’ SES has no effect on achievemen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self-regulatory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achievement. As a results, although parents’ SES has no direct effect of achievement, it can has an effect on achievement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through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the extracurricular learning and self-regulatory learning ability.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비교

        박혜영(Hye-Young, Park),이신동(Shin-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자기조절학습능력 구인과과 영재성구인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 구인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및 심리학 분야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www.riss.kr)를 통하여 2003년부터 2014년 9월까지 발표된 자기조절학습 연구과 영재성 연구 중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성 구인 연구들을 추출하여 국내 25편, 국외 8편 총 33편을 분석하였다. 33편의 논문 분석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대표적인 영재성 이론에서 다루지 못한 영재성 구인들을 다루고 있어 영재성을 좀 더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영재성을 영재의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정서적 특성으로 보는 관점에서의 영재성의 구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보는 관점에서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구인들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마지막으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일반학생과 비교하여 거의 모든 하위 구인들에서 높게 나타남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영재성의 구인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wheth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search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in terms of the constru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constructs of giftedness. 25 domestic papers and 8 international paper published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14 were screened by key wor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giftednes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does cover not only the components of giftedness, but also other components of giftedness, which menas it explains giftedness more comprehensively. Second, in the two points of view that giftedness is defined as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hat the gifted ha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s composed of 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there are many common features between components of giftedness and ones of self-regulated learning. Finally, comparing gifted students with normal students, it is analyzed that the gifted hav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almost all of the components, so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can be seen as a construct of giftedness.

      • 자기조절학습과 의사소통능력 함양의 필요성 :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미라(Mira, Ju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의사소통역량 함양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사태라는 특수한 상황과 이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학습이 불가결한 상황이 되었다. 이에 스스로 학습할 수 있어야 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철저한 자기 규제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이에 학습자가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스스로를 해결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이 매우 중요하다(허정경, 2003).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는 학습자 일수록 기능적인 면에서 자기조절 능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척도가 된다(양옥승, 1993). 또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사소통 능력 또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발달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의사소통역량의 하위요소를 살펴보면 각각의 하위요소가 의미하는 바는 다르나 방향성은 같다고 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에서의 인지는 계획, 점검, 자기 판단에 따른 작업 분석 등의 내용이 학자마다 다르게 세분화된 것을 제시한바와 같이 의사소통역량에서의 분석과 평가가 의미하는 내용이 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우리 사회기 지식인, 교양인, 지성인, 지도자를 양성하는 대학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함양할 수 있는 교육방법 및 교육설계를 통해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self-regulated learning.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need to foster communication capabilities with the department. Currently,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coronavirus worldwide caused online learning requir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emergence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at they should be able to require strict self-regulation of students. Given thi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learners should have. Therefo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learners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long-term goals(Heo, 2003). Recently, many area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particularly effective communication. The more adversarial learners, the more self-regulatory they are(Yang, 1993). These findings also show that communication skills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drivin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There are sub-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They are different but the direction is the same. The recogni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ies implies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suggested by scholars that the contents of planning, inspection, and work analysis based on self-judgment are different. Therefore, universities that train intellectuals, cultured people, intellectuals, and leaders in our society should foster talent through educational methods and design that can recognize and foster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교사의 성취압력, 중학생의 시험스트레스, 자기조절학습능력 간관계에 관한 종단분석

        정주영 ( Joo Young Jung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성취압력, 시험스트레스, 자기조절학습능력(인지조절, 행동조절)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사의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을 줄어들고, 시험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조절과 행동조절로 살펴본 자기조절학습능력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떨어지다고 느끼고 있었다. 둘째, 초기 교사의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시험스트레스가 증가하지만, 반대로 자기조절학습능력(인지조절, 행동조절)은 하락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인식하는 시험스트레스는 1차년도 시기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인지조절, 행동조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성취압력 변화율과 시험스트레스 변화율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인지조절, 행동조절)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느끼기에 교사의 성취압력과 시험스트레스가 해마다 증가할수록 자신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향상된다고 인식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uses KELS data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teachers`` academic pr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test stress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toward the higher grade our middle school students are reduced awareness of the teacher achievement pressure, increased test stres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ognitive control, behavioral control) was also felt that getting dropped. Secondly, the higher teachers`` initial academic pressure, students of the test stresses are increased. Conversely,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cognitive control, behavioral control) was recognized that the fall. Thirdly. test stress of the first-year middle school times are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cognitive control, behavioral control) of the 1st year period. Fourth, the rate of change on teachers`` academic pressure and test stress had a significant (+) impact to the rate of change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cognitive control, behavioral control).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고등학생의 교수실재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동기의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강선주,임선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3

        연구는 고등학생이 온라인 수업에서 느끼는 교수실재감이 자기결정성동기의 기본심리욕구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변인 간 관계에서 남녀 학생 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에 위치한 3개 고등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383명의 학생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상황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은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의 기본심리욕구 세 가지 하위요인 중 유능성만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실재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변인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기본심리욕구,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남녀 학생 간 성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가 온라인 수업 중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교수실재감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그 과정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기본심리욕구 중, 교수실재감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매개하고 있는 유능감 뿐 아니라, 매개하지 못한 자율성과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verified how high school students sense teaching presence on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mediated by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in online class and whether there are any gender differences in any relatedness among these variables.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the province J, and the data of 383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shows the sense of teaching presence has an effe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elf-determinist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only competence-among the thre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found to be madiating teaching pres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variables in online classes. Thir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a necessity for teachers to increase teaching presence during online class in order to improves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not only competence madiating teaching pres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ut also autonomy and relatednes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not mediat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