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보고식 간이인지기능척도 개발

        정숙회(Jeong, Sook-Hwae)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기보고식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고 정상노인군과 치매노인군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55세 이상 11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하였고 정상 노인군(38명), 치매노인군(36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 요인분석 결과, 인지적 판단력(COG), 정서통제력(EMO), 기억력(MEM)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척도의 Cronbach's-⍺ .92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3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RMSEA .074, TLI .803, CFI .818등으로 나타나 요인구조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인의 주관적 기억저하 호소에서 정상 노인군과 치매노인군 간의 자기보고식 간이 인지기능 척도의 하위 요인별 상관을 살펴보면, ‘인지적 판단력과 정서통제력‘ .407, ’인지적 판단력과 기억력‘ .653, ’정서통제력과 기억력‘이 .456으로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관련성의 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임상 장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가 이미 활용되고 있으나 의사소통이 적절치 않은 편마비 환자에게 검사실시가 가능한 간이 인지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compare the scale of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for normal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atient. Method is, First, the Self-report Cognitive Function scale was developed. Then, we analyzed the validity and factors in a group of 38 normal elderly people and a group of 36 with dementia patient.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factors-Cognitive Jugement(COG), Emotional Control(EMO), Memory(MEM)-and suggested high validity(Crombahc's-⍺= .922). The goodness of fit index in three-factor model was appear that RMSEA .074, .TLI .803, CFI .818, and the data is suitable for factor structure. Although tests are already being utilized in the clinical scene, there is a need for hemiplegia patients. So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development of Self-report brief Cognitive Function scale.

      • KCI등재

        대학 핵심역량 진단에서 자기보고식 응답에 대한 공통상황문항을 이용한 척도조정 방법

        민경석(Kyung-Seok 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3

        자기보고식 문항에서 응답경향성과 집단간 비교가능성의 문제는(평균과 상관계수의 왜곡) 문항편파성(item bias), 차별적 기능문항(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등의 주제로 교육/심리 측정이론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보고식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에서 응답양식을 통제하기 위한 공통상황문항 척도조정의 타당성과 통계적 가정을 검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 A대학 핵심역량 진단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집단별(성별) 응답양식과 공통상황문항의 동등성을 검증하고, 척도조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정척도의 측정 양호도와 변별도를 비교하며, 두 가지 공통상황문항군에 의한 조정척도의 비교를 통하여 응답양식의 영향력과 조정척도의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A대학 핵심역량의 응답반응에서 공통상황문항에 대한 위계성이 유지되어 동등성 가정이 만족되었으며, 조정척도의 신뢰도(내적일관성지수)와 변산성이 원척도 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원척도와 비교하여 응답양식을 통제한 조정척도에서 집단평균의 순위, 통계적 유의성이 바뀌는 결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어느 공통상황문항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다소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자기보고식 조사에 대한 공통상황문항의 활용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Psychometric theory has been dealing with comparability issues on self-reported scores in terms of item bias 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tatistical assumptions and properties of scale adjustment with anchoring vignette items in the self-reported college core-competency assessment. For these goals, I illustrate vignette equivalence and response styles across gender groups, eval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discrimination of new adjusted scales, and scrutinize response consistency with two sets of vignette items, which were imbedded in the core competency assessment of the A university. As research results, the non-parametric method with anchoring vignettes, adopted in self-reported A university core competency assessment, satisfies two statistical assumptions of vignette equivalence and response consistency. Also the adjusted scale shows higher reliability and variation as previous research has confirmed. These promising features of scale adjustment, however, somewhat differ as which set of anchoring vignettes is adopted to build new scales. So cautions and research issues on anchoring vignettes are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자기보고식 사이코패시성격 종합평가 도구(CAPP-SR) 타당화 연구: 평정척도모형을 중심으로

        이유경(Lee, You Kyeong),서종한(Sea, Jong Ha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1 경찰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Messick의 관점에서 CAPP 모델 기반의 자기보고식 사이코패시성격종합평가(CAPP-SR)의 타당도를 파악하고, 단축판 CAPP-SR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CAPP-SR은 CAPP 모델에 기반을 두어 33개 증상,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평가 도구(99문항)이다. 이를 위해 전국 11개 교도소에 수용중인 311명의 재소자를 중심으로 모집이 이루어졌다. CAPP-SR의 구조 측면에서의 타당도, 실제 측면에서의 타당도, 내용 측면에서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CAPP-SR의 6개 하위요인 모두 일차원성을 띄고 있어 평정척도모형을 활용한 분석에 적합한 자료임이 나타났고, 기존 4점 척도보다는 단계조정값의 차이가 적었던 3점과 4점을 병합한 3점 척도가 더 적합함이 나타났다. 문항 적합도 지수를 보아 적절하다고 판단된 문항은 애착 영역 5문항, 행동 영역 6문항, 인지 영역 3문항, 지배성 영역 5문항, 정서 영역에서 7문항, 자기 영역에서 14개로 총 40개였다. 본 연구는 CAPP-SR의 99개 문항 중 한국 재소자에게 적합한 문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고, 추후 CAPP-SR의 단축판을 구성할 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itable items for Korean inmates i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Psychopathic Personality-Self-Report(CAPP-SR) using the rating scale model(RSM), and provide information for a short version of CAPP-SR. CAPP-SR is a self-reporting assessment composed of 99 itemss with 33 symptoms and six factors based on the CAPP model.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 311 inmates were recruited at 11 prisons nationwide. Analysis of CAPP-SR using the RSM showed that a three-point scale was more suitable than a original four-point scale. After the analysis, 5 items for attachment domain, 6 items for behavior, 3 items for dominance, 7 items for emotion, and 14 items for self domain were selected for a short version of CAPP-SR. This study identified which of the 99 items were suitable for Korean inmates,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ed useful information when constructing a short version of CAPP-SR in the future.

      • KCI등재

        심박변이도를 이용한 우울증 환자의 정서개선에 미치는 원예치료 효과 분석

        송미진(Mi Jin Song),김미영(Mi Young Kim),심이성(Iee Sung Sim),김완순(Wan Soon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6

        자기보고식 설문평가와 컴퓨터 기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분석평가를 통해 원예치료가 우울증 환자의 정서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기보고식 설문평가는 정신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 4가지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HRV 분석평가는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SDNN), square root of mean squared difference of successive N-N intervals(RMSSD), total power(TP), low-frequency/high-frequency ratio(LF/HF ratio)의 4개 분석지표를 이용하였다. 동일한 병원 소속 우울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가운데 실험군 15명을 대상으로 주 1회씩 12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는 실시하지 않았다. 그 결과, 원예치료를 실시 한 실험군의 경우 자기보고식 설문평가는 물론 HRV 분석평가에서도 원예치료 후 우울 정서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자기보고식 평가에서는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우울 척도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0.001), HRV 분석평가의 경우 TP 지표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0.05). SDNN, RMSSD, LF/HF ratio 지표 역시 눈에 띄게 호전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비록 HRV의 모든 분석지표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HRV 측정으로 원예치료 효과를 객관화된 수치로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를 도입한 본 실험 결과 원예치료가 우울증 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재활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HT) on the emotional improvement of depressed patients, computer-based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compared with self-report scale (SRS) known as existing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SRS included four test areas: mental stress scale (MSS), physical stress scale (PSS),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HRV was itemized into four parameters: standard deviation of the N-N intervals (SDNN), square root of mean squared difference of successive N-N intervals (RMSSD), total power (TP), and low-frequency/high-frequency ratio (LF/HF ratio). Thirty patients with depression at the same mental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15 patients of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HT once a week for three month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during the same period. As a result, the emotional improvement in treatment group was clearly identified through HRV as well as SRS.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t three test areas (MSS, BAI, and BDI, p < 0.001) in SRS and at one parameter (total power, p < 0.05) in HRV. There was noticeable increase in SDNN, RMSSD, and LF/HF ratio in treatment group after HT activit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all parameters of HRV did not show significance, the possibility of HRV as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to HT was recogniz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also implied that HT was efficient in the mental and physical regeneration of the depressed patients i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methods.

      • KCI등재

        문항반응나무(IRTree) 모형: 자기보고식 서열척도 자료 분석의 대안적 방법

        장윤선,김미림,이주연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2

        이 연구는 심리적 구인 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리커트 척도 문항을 통해 수집된 서열척도 자료 분석을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 문항반응나무(item response tree: IRTree) 모형을 소개하고, 실제 서열척도 자료 분석을 통해 이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년도(2012년 조사) 자료 가운데, 다양한 상관 수준을 보이는 6가지 심리적 구인(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우울, 신체증상, 휴대전화 의존도, 다문화 수용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서열척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합도 측면에서는 모든 구인에 있어 IRTree 모형이 기존에 일반적으로 자기보고식 서열척도 자료 분석에 사용되던 GRM보다 더 적합하며, 능력모수 측면에서는 IRTree 모형을 통해 추정된 각 구인에 대한 개인의 특성 정도가 GRM의 추정치와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임으로써 IRTree 모형의 능력모수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IRTree 모형을 통해 추정된 극단반응양식은 심리적 구인에 상관없이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임으로써, 반응양식은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구인과 무관한 개인의 일관된 특성임이 확인되었다. In the present research, the item response tree model (IRTree model) was introduced and illustrat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ordinal data from Likert-type scales. This study used the ordinal data sets measuring six psychological constructs (i.e., self-esteem, self-identity, depression, physical symptom, mobile dependenc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rom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cohort in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For six psychological constructs, the IRTree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graded response model (GRM), which is one of the standard IRT models. Additionally, the individuals’ latent traits for each construct estimated by the IRTree model were almost identical to those by GRM. These results verified that the IRTree model is useful and reliabl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ordinal data.

      • KCI등재

        초등 영재아동을 위한 자기보고식 ‘지혜’ 척도 개발

        전병옥,한기순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영재아동을 위한 자기보고식 지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혜와 관련된 문헌고찰과 지혜 특질에 대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상황판단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및 기술, 정서적 안정감, 통찰과 적응 등의 4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총 42문항의 초등학생용 지혜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지역공동영재학급 소속 초등영재아동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본 검사는 2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측정모형 적합도는 χ 2=1596.46 (df=813, p=.00), TLI .90, CFI .91, RMSEA .046으로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으며, 각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 역시 상황판단 및 문제 해결력 .86, 의사소통능력 및 기술 .87, 정서적 안정감 .89, 통찰과 적응 .87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지혜와 관련 있다고 여겨지는 심리적 특성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영재아동을 위한 지혜 척도는 비교적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에 대해 본 연구의 의의와 실용적 함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self-report wisdom scale for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For this, related literature was reviewed in depth and open ended questionnaire about the wisdom qualities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a self-report wisdom scale, which was comprised of 42 items in 4 factors such as the situation judgment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skills, the emotional stability, the insight and adaptation, was developed. For this preliminary scale, 215 elementary gifted students were surveyed. And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56 elementary gifted students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t of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χ 2=1596.46 (df=813, p=.00), TLI .90, CFI .91, RMSEA .046, indicating most of fit indexes were acceptable. The reliability for each of 42-item by the sub-factors also appeared to be good, showing that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by the configuration factors was 0.86, .87, .89, .87 each relatively. In addi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wisdom scal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te validities were obtain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wisdom. Finally,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영아기 부모양육역량 자기보고식 척도 개발 예비연구

        김경은,한유진 육아정책연구소 2018 육아정책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ing competence evaluation scale for counseling for parents of infants. It examines the factors of parenting competence for counseling for parents with infants to devise a set of scale question items, which provides basic data to test its validity. Based on precedent studies and the survey of experts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parent counseling, parent competence factors were determined. Afterwards, 111 question items were devised. Based on 69 items after the content validity testing and the primary preliminary study, the secondary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with 371 parents of infants. The collected data was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The findings led to four sub-factors including “interactive parenting competency,” “cognitive competency,”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competency” as well as 32 question items. The findings will serve as basic data to validate a parenting competence scale for counseling for parents of infants and are expected to examine and promote the parenting competence.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상담에서 부모양육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개발하는 목적으로 영아기 부모상담을 위한 부모양육역량의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척도문항을 구성하여 타당화 검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및 부모상담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111문항을 구성하였고, 내용타당도 검증 및 1차 예비조사를 통해 구성된 69문항을 영아기 부모 371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계수를 구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양육역량’, ‘인지적 역량’, ‘양육효능감’, ‘정서적 역량’의 4개의 하위 구성 요인, 32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상담을 위한 부모양육역량 척도 타당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며 부모상담에서 영아기 부모들의 양육역량을 점검하여 상담의 효과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환자중심의 여가활동이 알코올의존 환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정지윤,박소연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4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환자중심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입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로 알코올 의존 진단을 받은 61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4주간 주 2∼3회, 총 10회기 각 60분간 환자중심 여가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중재 효과 측정도구로는 Beck 우울증 척도(BDI), 자기보고식 알콜리즘 선별검사(SAAST)을 사용하였다. 결과 : Beck 우울증 척도에서는 중재 전 14점에서 중재 후 4점인 우울하지 않은 상태로 우울감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알콜리즘 선별검사에서는 중재 전 17점에서 중재 후 12점으로 음주 문제 성향이 감소되었다. 결론 : 알코올 의존 환자의 치료를 위한 환자중심의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작업수행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기호와 흥미에 기초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lient-centered leisure activity program that affects depression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Methods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participant of a 61-year-old man diagnosed with alcohol dependence.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 total of 10 sessions. For intervention effect measurement tool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elf-administered Alcoholism Screening Test(SAAST) were used. Result :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before the interventions, participant’s result was 14 points which stands for mild depressive state. After the interventions, the result showed 4 points which signifies state of not depressed. In Self-administered Alcoholism Screening Test, participant’s propensity to drinking problem was reduced from 17 points to 12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s. Conclusion : Applying a variety of Client-centered activity programs to the treatment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showed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nt’s depression. Activity programs based on the interests and tastes of alcohol-dependent are expected to be applied by sustainable researches in various ways forward.

      • KCI등재

        불안과 우울은 다른가? : Zung 자기보고식 불안 및 우울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정정엽,김대호,Chung, Chung Yeub,Kim, Daeh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3 생물정신의학 Vol.20 No.1

        Objectives There is a controversy regard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Some believe that these two symptoms are basically the same construct, that is, both measure what is called 'general distress' or two phenomena are distinct experiences which often coexist. To further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e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a combined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 Data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were gathered from 401 newly visiting psychiatric outpati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We performed a component analysis on the 40 items from two scales.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seven factor structure explaining 56% of total variance. Overall finding indicat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consisted of four symptom domains : mainly depressive symptoms, mainly anxiety symptoms, common somatic symptoms, and other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 of self-reported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are more complex than previously thought, i.e., either one or two factor theories. These findings also support that anxiety and depression can be better modeled by dimensional approach. Clinicians may be alert for the fact that both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measure distinct and also common aspects. Further researches on other scales especially, interview based instruments are needed.

      • KCI등재

        한국판 베일런트 방어기제 평정 척도의 타당화

        김경희,고영건 한국임상심리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Vaillant Defense Mechanism Rating Scale (K-VDMRS). For this purpose, 90 college students (39 men and 51 women) were interviewed for the K-VDMRS. In order to determine criterion-related validity, we administered seven self-report measures: the Korea-Defense Style Questionnaire, the Ewha Defense Mechanisms Test, the Ways of Coping Questionnaire, the Positive Mental Health Scale,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TMAS), and physical health questionnaires. In addition to these self-report measures, close acquaintances recommended by the participants rated the subjects’ psychological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divided the positive mental health types into flourishing, languishing, struggling, and maladaptation groups,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only at the level of immature defenses. The languishing group used more immature defenses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those with high level of depression used more immature defenses than those with low level of depression. Thir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of K-VDMRS and acquaintance rating, the more mature the defenses used by the participants, the more mature they were rated in the acquaintance evaluation. Finally, the defense maturity rated by the K-VDMRS showed higher criterion-related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for mental health variables, physical health, and acquaintance evaluation than the self-report measures of defense mechanisms and coping styl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