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이은희,유현정,이준영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9 No.2

        한국소비자업무협회는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제도의 신설을 제안한 뒤, 2012년 3월, 전격적으로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을 실시하였다. 전국의 소비자학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 신청을 받아 자격증 발급업무를 시작한 이래 2013년 5월 현재, 총 95명의 소비트렌드전문가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관심 및 소비자학 전공자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현 행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는 몇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제시하지 않을 수 없다. 첫째,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이수교과목들이 충분히 개설되기 어렵다. 둘째, 표준화된 교과내용 구성이 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셋째,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증에 대한 사회적 수요 및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실제 기업의 관점이 배제되 었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소비트렌드전문가 자격인증제도의 현황을 분석 하고, 소비자학 분야는 물론 기업측의 소비트렌드 관련 부서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비트 렌드전문가 자격제도의 양적, 질적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가장 필수적인 교과목인 <소비트렌드분석> 교과 에 대한 표준 교육내용(안)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중심경영(CCM) 전문가 자격제도 개발 방안 연구

        이은희,유현정,이영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0 No.2

        소비자중심경영(Consumer Centered Management, 이하 CCM) 제도는 소비자의 시각에서 소비자 를 중심으로 기업의 모든 활동을 구성하고 수행하며, 이를 지속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소 비자권리 증진 및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증제도이다. 즉 CCM은 소비자 관련 기업의 시스템 구축 및 정비를 통해 사업자의 소비자 지향적인 경영문화 확산과 소비자 주권 향상 에 기여할 수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본 연구는 CCM제도가 기업내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자격제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CM 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전문인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자격취득 요건, 요구역량 및 수행직무 등을 규정하고 획득기준을 마련한 후 기업 현장의 CCM 담당자들을 대상으 로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실효성 및 자격제도의 활성화 방안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CM 전문가 정의에 있어 기업의 소비자정책 수립, 진단, 개선 또는 CCM 인증 업무 수행 등 보다 구체적인 업무영역을 포괄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소비자중심경영이 전사적으로 전파되기 위한 임원진의 주도적 역량이 필요하다는 방향이 제시되었다. 수행직무에 있어 기획, 조사분석, 소비자 정보제공, 불만관리 및 평가 등의 직무가 추가되어야 하며, 자격 취득 요건에서 선택과목으로 기업 의 경영 전반이나 고객만족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방향이 제안되었다. 또한 현장실습의 경우, CCM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기 위해 CCM 인증을 받은 기업이나 CCM 인증 주관부서로 실 습장소를 국한시켜야 한다는 내용을 제시되었다. CCM 전문가에 대한 현장의 수요는 단기적인 측 면에서 수요를 창출하기 어려움이 있으나,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CCM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인력이 부족하고, 향후 고객만족이나 소비자보호 이슈가 중요한 의제로 등장할 수 있기 때문에 해 당 역량을 갖춘 인재의 보강이 필요하다고 전망되었다. CCM 전문가 자격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 는 CCM 인증평가시 해당 자격증 보유여부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안이나 국가자격증으로 해 당 자격요건을 승격하는 방안이 제기되었으며, 현재 국가자격증 제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해서 발전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영국의 민간경비 의무적 자격증 및 인증계약자 제도에 관한 연구

        이성기,김학경 한국경호경비학회 2012 시큐리티연구 Vol.- No.30

        세계적으로 민간경비산업은 경제발전과 비례하여 성장해 왔다. 기존의 국가기관에 의한 치안서비스로는 다양한 경제주체와 국민들의 보다 질 좋은 경비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충족해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의 민간경비업체에 의한 치안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시장의 원리에 의한 자율경쟁 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 가격, 그리고 고객의 수요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경비서비스의 공공재적 성격상 국가가 해당 경비업체의 자격과 서비스 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세련된 관리시스템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민간경비산업의 비약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비서비스의 질을 담보할 수 있는 경비원 자격, 훈련 및 경비업체에 대한 국가적 관리시스템은 뒤떨어져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민간경비산업에 대한 국가적 규제정책이 체계화되어 있으면서도 경비업체의 자율성을 중시, 경비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민․관의 협력적 체제가 잘 구축된 영국의 경비원 의무적 자격증제도 및 인증계약자 제도를 자세히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경비산업 규제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본다. 영국의 민간산업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독립된 민간경비산업위원회를 두어, 민간경비 규제업무의 전문화와 품질향상 효과를 높임으로써 민간경비산업의 자율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매우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규정과 기준을 마련하면서도 자발적인 인증계약 제도를 도입하여, 경비업체의 재무구조의 투명성, 양질의 경비원 충원 등을 통해 경비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민간경비산업위원회에서 다양한 설문과 여론조사를 통해 민간경비서비스 제공자와 고객의 인식과 수요를 판단, 민간경비산업 정책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경찰청 위주의 비전문적 민간경비관리시스템에서 벗어나 영국과 같은 전문적인 국가기관의 민간경비관리기관을 설치하고, 경비원 의무적 자격증제, 인증계약자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expanded in proportion to economic developments throughout the world, largely because the existing security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do not satisfy demands of various economic entities and people in the society for better security service. Therefore, it would not be unfair to say that security services by private sectors are decided by its quality, price, and customers' needs. A refined management system, however, is essential to assess qualification of security companies and their service quality, given the nature of public goods of security service. Despite the steady growth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in Korea, however, it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that its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better qualification of security guards, training, and private security companies have not been fully updated enough to guarantee good quality. This paper aims to gain insights to effective policy formation in the Korean private security industry, through reviewing the licensing system of private security guards and the Approved Contractor Scheme (hereinafter the ACS) in the UK- that has on one hand systematically regulated private security industry, but on other hand has enforced public-private cooperation by laying significant stress on autonomy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 UK policy for the private security is that the Security Industry Authority (hereinafter the SIA), an independent authority, is leading development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of the UK through specialized private security regulation and enhanced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e UK is developing quality of security service with transparent financial management and recruitment of good quality security guards by adopting not only substantially specified regulations and standards, but the voluntary ACS system. Moreover, the SIA analyzes customers' demands for security service specializing the policy for private security through conducting a variety of surveys. With the analysis of the UK private security system,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change from a non-specialized private security regulation system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an independently specialized private security authority like the SIA and adopt the compulsory licensing and the ACS system of the UK.

      • KCI등재

        대학 영어졸업인증제 요건과 방식의 표준화 방안

        남지영(Nam, Ji Young) 표준인증안전학회 2021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1 No.4

        본 논문은 각 대학이 재학생들의 영어실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영어졸업인증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인증제를 시행하는 요건, 방식과 표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부터 영어졸업인증제를 실시해온 대학을 중심으로 1) 인증제의 시행방식, 2) 인증제의 표준화된 기준 및 요건, 3) 인증제의 표준화를 위한 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조사한 대학들에게서 보이는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공인영어시험을 인증의 기본 수단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대학 자체의 강좌를 단계적으로 이수하는 인증제도를 시행하는 대학도 일부 있다. 두 번째 특징으로 다양한 어학관련 공인시험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영어를 중심으로 하는 표준화 시험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고, 읽기 중심의 시험이 더 많다. 하지만, 최근에 말하기 중심의 시험이 추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 번째 특징으로 대학 자체에서 개발한 평가를 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공인시험을 대체하는 특별시험도 거의 운영하지 않아서, 대내외에 표준화된 기준을 제공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실제로 하나의 표준화된 시험을 사용하기보다는 대학이나 학생들이 원하는 영어기능을 채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준화된 시험과 대학별 혹은 학과별로 다른 기준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영어졸업인증제를 하나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통합하는것은 효율적이지 않지만, 공인시험과 같은 표준화된 기준들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각 대학은 학생들의 영어실력을 강화하기 위해 영어인증 설정단계에 따라서 그 대학에 적합한 인증제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atus of English proficiency requirements for graduation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certification standardization. At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English certification systems for graduation since the 2000s, 1) the methods of implementing the certification, 2) the requirements and standards of the certification, and 3) possible ways to standardize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examined. Above all, the TOEFL and TOEIC English proficiency tests are the most common means of measuring English proficiency, and a few universities have implemented a certification system where students complete the university s own courses in stages. The second feature is that various language-related accredited tests are allowed. They include mostly standardized tests centered on American English and mostly reading-oriented tests. However, it appears that speaking-oriented tests have been added recently. The third feature is that universities rarely conduct assessments that they have developed themselves, and university-created special tests that replace accredited tests are rarely used, so most universities provide standardized results from generally accepted accredited tests for their English certification requirement. In fact, rather than using one standardized test and proficiency level, various standardized tests, even different foreign language tests, and proficiency levels are allowed for different colleges and departments so that universities or students can adopt the desired English function and proficiency level. Instead of a single standardized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systematize the optimal certification system using standardized tests by the proper steps to strengthen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 KCI등재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현황 및 개선 방안

        김범수,허준수,이기영,최명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6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 No.2

        본 연구는 현행사회복지사 자격제도가 오용 및 남용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자격증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그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그동안 사회복지사 자격제도가 발전되어 온 과정을 정리하고, 자격제도의 현황을 사회복지사 자격, 자격취득 교육과정 및 자격관리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 주제와 관한 사회복지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 전수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6,405명의 사회복지사들이 참여한 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엄격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복지사 양성교육의 폐지, 둘째, 자격 급수별 표준 직무규정안 마련, 셋째, 사회복지사 유사명칭 사용금지,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인증제도 도입, 다섯째, 사회복지학 교과목 내용과 최소학점 규정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안은 사회복지계의 전문성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휴먼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상담자격의 현황과 발전방안

        김인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국내 상담관련 교육과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담자의 질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자격제도가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되는 상담분야 국가자격과 민간자격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상담분야 국가자격 중 청소년상담사 자격과 전문상담교사 자격에 대해 살펴보았고, 상담분야의 다양한 민간자격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가자격의 문제점으로는 독점적 자격의 부재, 실무능력 훈련과 검정의 부족, 체계적 관리체제 부족이 제기되었고, 민간자격의 문제점으로 상담서비스의 일정한 질을 담보하는 자격의 기준 부재, 자격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자격관리체제 부재, 다양한 자격으로 인한 상담수련의 혼란과 비용 부담 등이 제기되었다. 상담자격의 발전방안으로 상담자격운영체계 구축을 위한 상담법 제정, 상담자격의 체계적 질 관리를 위한 NCS 기반 상담자격제도 시행, 대학(원) 교육과정과 상담자격을 연계하는 상담교육인증제도 시행, 상담서비스의 행정적 관리를 위한 행정규정 시행, 국가적 상담관리를 위한 상담활동 관리감독 기구 설치 운영 등의 방안을 살펴보았고, 상담자격 발전을 위한 과제로 상담분야 단일 기구 설립, 상담정책 교육 및 상담정책 전문가 양성, 공적 영역으로서의 상담에 대한 담론 형성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oth national and private counseling certificates in Korea and searched for a potential development plan. The problems of national certificates include lack of monopolistic licensure, lack of practical skills training and verification,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Issues with private certificates include absence of the standard of certificate, lack of certificate management system, and confusion of training. Enacting a counseling law, NCS-based counseling certificate system, counseling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dministrative regulations for management of counseling servi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organization for counseling services management and supervision are suggested components for a development plan. As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certificates, establishing a single organization for the field of counseling, training of counseling policy education and counseling policy experts, and the formation of discourse about counseling as a public domain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건설사업관리자(CMr) 자격인증의 현황 및 개선방안

        김창교(Kim Chang-Gyo),전재열(Chun Jae-Youl) 대한건축학회 200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4 No.10

        The certification system of our 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i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Labor subjectiv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aw, as the architect, the professional engineer. The construction management(CM) which is introduced on middle 1990 activates a building industry the condition of the essential indispensability for is becoming, is not officially recognized with national qualification to be, that as pending issue it is most urgent, the specialty manpower positivity which is judged as the nostril people for qualification of the civil CM educational institutions has the certification which is a each educational program and a separate way and it is the actual condition which is become accomplished. The problem when as international certification the CMAA and PMI which is only it secures a reliability certification which is a CCM and PMP compares in the foreign nation and the CM certification is excessive, it does not secure a reliability and an efficient characteristic to give a confusion to the capital increase lattices which in a condition are, it is mass produced it is a point. It saw from, it observes the capital increase reserve problem point which is a domestic CM and the certification integration which is a report and system anger it leads and with national certified qualification it develops to present the improvement program for, it does to sleep.

      • KCI등재

        홍콩의 고등교육 평가인증제도의 운영 실태분석과 시사점 : The Analysis of Operation of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Hong Kong and Implications

        권동택(Kwon, Dong-Taek),김정희(Kim, Jung-Hee),주동범(Ju, Dong-Beom) 韓國比較敎育學會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홍콩의 고등교육 평가인증제도의 기본 현황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콩의 고등교육 질 보장 기구로서 1990년에 The Hong Kong Council for Academic Accreditation (HKCAA)를 발족한 이후 이 기구는 조례 제1150으로 2007년 10월 1일에 발효되어 새로운 The Hong Kong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s(HKCAAVQ, 香港學術及職業資歷評審局)로 개편되었다. 홍콩은 고등교육을 포함한 교육 일반에 관한 정책을 포괄하는 거버넌스의 정점에는 교육부(Education Bureau, 敎育局)가 위치하고 있지만, 고등교육 기관의 운영은 자율성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대학에 대한 재정적 지원 이외의 영향은 그리 크지 않으며, 재정지원도 대학재정위원회(UGC: University Grants Committee)가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홍콩의 고등교육기관 입장에서 보면 UGC가 더 실질적인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홍콩정부가 대학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지만, 홍콩의 평가인증제도는 우선 각 평가대상기관의 자율성을 최대한 고려하면서도 평가 인증 절차와 기준을 국제적 수준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다. 둘째, 평가인증 절차와 기준을 국제적 수준으로 맞추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고등교육 질 보장 체제를 국제적 질 보장 체제와 긴밀하게 연계하고 국제적인 자격인증 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인적 및 물적 자원을 교류하는 국제적인 활동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홍콩 내의 모든 교육프로그램뿐 아니라 홍콩 내 외국 계열의 교육프로그램 역시 평가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다. 넷째, 평가인증제를 주도하고 있는 HKCAAVQ의 운영을 독립조직으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력이 있다는 점이다. 끝으로, 홍콩의 고등교육, 특히 대학교육을 지배하는 거버넌스 구조는 비교적 적은 수의 대학에도 불구하고 홍콩 고등교육을 총괄하는 거버넌스 구조에는 다양한 기관과 위원회가 참여하고 있으며, 각 기관의 역할과 기능이 전문화 · 분권화되어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basic current situation and operation of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in Hong Kong and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 Since the Hong Kong Council for Academic Accreditation(HKCAA) which is a council of higher education quality guarantee has been inaugurated in 1990, it has been revised to new Hong Kong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 (HKACAAVQ) that went into effect in October 1, 2007 as act 1150. Even though there is Education Bureau in apex of governance that comprehends the policy about general things on education including higher education in Hong Kong, the operat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e does not have great influence except for financial support on university in the dimension of respect of autonomy. Because University Grants Committee(UGC) takes in charge of the financial support, the University Grants Committee performs more significant and important rol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 in Hong Kong. Based on these aspects, the implications for Korea are as the followings. First, although Hong Kong government has very great weight in university finance, the accreditation system in Hong Kong considers the autonomy of each institute that gets an evaluation maximally. But the accreditation procedure and standard have a goal for international level. Second, because the accreditation procedure and standard focuses on international level, the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guarantee is connected with the framework for international quality guarantee closely. And international activity exchanging with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is reinforced through agreement with international qualifications accreditation institute. Third, foreign-affiliate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all educational programs in Hong Kong are also the target of evaluation. Fourth, Hong Kong government provides Hong Kong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 which takes the lead accreditation system with many supports and cooperates. Finally, governance structure managing Hong Kong’s higher education, especially university education has a little number of university. In spite of it, various institutes and committees participate in governance structure recapitulating Hong Kong’s higher education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institute are professionalized and decentralized.

      • KCI등재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성 평가 :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주재현(朱宰賢),기정훈(奇正勳),임형백(林馨佰) 한국정책과학학회 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3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공학교육인증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공학교육인증이 실제 어떤 효과를 내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는 아직 적절하게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를 평가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인증된 공학교육 프로그램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 분석에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공학교육인증과정을 도입한 학과(프로그램)들은 대체로 과정 운영의 충실성을 높이고, 그 결과 졸업생들의 직업능력을 일정 부분 향상시켰으며, 졸업생들의 자신감을 높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취업이나 자격취득 등과 관련해서는 그 효과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인 효과 및 과정 운영의 충실성 등에 있어, 대학 · 학과의 지원이 높은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 간에 상당한 편차가 일관성 있게 발견되고 있다. 또한 일부 효과 관련 사항들은 대학의 수준이나 학생개인의 수준(졸업학점, 토익성적 등)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공학교육인증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 학과의 수준이나 노력에 따라, 그리고 인증과정에 참여하는 학생 개인의 역량에 따라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운영과 효과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기준 운영실태 분석 및 연계방안 연구

        김진실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일-교육훈련-자격을 연계하기 위해 도입된 NCS의 활용기준 운영실태와 연계성을 분석하고, 연계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NCS 활용기준이란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2015 개정교육과정 전문교과Ⅱ군 실무교과를 의미한다. 세부 연구목표는 첫째, NCS 활용기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둘째, NCS 활용기준의 운영실태 및 연계성을 분석하며, 셋째, NCS 활용기준 간 연계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내용분석, 개발연구 및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NCS 활용기준 실태를 분석한 결과,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NCS 기반 훈련기준 및 고교 실무교과에서 NCS 능력단위 등을 활용하여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정형 자격과 과정평가형 자격의 연계를 위해 검정형 자격 출제기준 개발 및 개정, 과정평가형 자격 편성기준 개발 및 개정, 출제기준과 편성기준 심사, 관련 서식 및 법령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과정평가형 자격과 일학습병행제의 연계를 위해 과정평가형 자격 연계 일학습병행제 과정을 도입하여 과정평가형과 1:1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를 우선 전환하고, 과정평가형과 1:多,로 매칭되는 일학습병행제에 대해서는 전환할 대상을 선별하는 기준을 수립하는 한편, 일학습병행제 인증기준 서식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분야 및 종목별로 각 활용기준 등의 연계성 분석 연구를 추진하여 향후 각 활용기준의 개정 과정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활용기준의 적용 종료기간 도래 또는 매년 공고 시 개정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일학습병행제와 과정평가형의 경우, 종목 분류체계, 내․외부평가, OJT 시간 인정 등에 대한 조정 방안 역시 고도화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at is used in qualifica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and to draw out the connecting strategy.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refer to the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s. The detailed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standard, Second, the operational status and connectivity of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Third, connecting strategy between the NCS application criteria i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terature study,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study and feasibility study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NCS application criteria,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using NCS competency unit in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the standard for course based qualification,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NCS-based training standard, and the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special course Ⅱ practice subject. Second, in order to connect the diverse NCS application criteria, it was possible to draw up an improvement plan for examination, related forms and laws. Third, it was possible to introduce work-learning system that is based course based qualification and change the type of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drawn from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nnecting analysis study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by job field and item and utilize it in the revision process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mendment at the time of application termination of each application standard or announcement every year. Third, in the case of the work-learning certification standard and course based qualification, the study of the adjustment system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item, the internal evaluation and the external evalu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OJT time is also required to be adv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