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겹목적어 구문에 대한 고찰

        서민정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8 No.-

        This study will reflect the difference in grammar between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spoken language for the multiple objects of the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object.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were held on the premise that the multiple object phrases are generally realized in Korean written language. However, when searching for actual data such as Sejong corpus, the multiple objects phrases can be found in spoken corpus, but they are not found in written corp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Sejong corpus represents the whole Korean language, but the necessity of reviewing whether the multi-object syntax can be said to be a universal grammatical phenomenon in Korean can be clearly confirmed. In this study, we note that Korean multiple objects phrases are identified in the spoken corpus. This is because,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Roh Dae-gyu (1996), Ahn Chan-won (2018), spoken languase and written language are clearly different in grammar. Whe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are reflected in Korean grammar, this study expects that many parts of the Korean grammar currently under discussion, such as the overlap of sentence components, the range of passive,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infl-suffix, can be solved. So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syntax of the multiple object from that point of view. For this discussion,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grammar differences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and examines how the syntax is in the double object. Since previous studies have been discussed on the premise that most of the multi-object syntax is realized in written language, if it is realized in spoken language, discussions on the multi-object phrases need to be reviewed at the beginning. Next,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yntactic functions of 'NP1 1' and 'NP2 2' in the multple iobject phrase. This will include the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and syntactic differences that have been discussed as corresponding to the syntax of the multiple object.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see that the Korean multiple object phrase is a phenomenon that is realized mainly in spoken language. And when the speaker is related to the object that is preceded in the process of adding or embodying the idea in the situation of spoken language, it will be realized as the object in the sentence and realized as a multiple object phrase. 이 연구는 한국어 목적어와 관련한 쟁점들 중에서 겹목적어 구문에 대하여, 입말과 글말의 문법 차이를 반영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앞선 연구에서는 겹목적어 구문이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실현되는 문장이라는 전제 하에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세종말뭉치와 같은 실제 자료를 검색했을 때, 겹목적어 구문은 입말[구어] 말뭉치에서는 확인할 수 있으나, 글말[문어] 말뭉치에서는 검색되지 않는다. 세종말뭉치가 한국어 전체를 대변한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말뭉치 규모가 어느 정도가 된다고 보았을 때, 겹목적어 구문이 한국어에서 보편적인 문법 현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검토에 대한 필요성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겹목적어가 입말 말뭉치에서 확인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것은 노대규(1996), 안찬원(2018) 등의 앞선 연구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입말과 글말이 문법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말과 글말의 차이가 한국어 문법에 반영되었을 때, 문장성분의 겹침, 피동과 사동의 범위, 동사토의 통사적 특성과 같은 현재 논의 중에 있는 한국어 문법의 많은 부분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그런 관점에서 겹목적어 구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입말과 글말의 문법 차이에 대해 간단히 살피고 겹목적어 구문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검토한다. 앞선 연구들은 겹목적어 구문이 대부분 글말에서 실현되는 것임을 전제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만약 입말에서 실현되는 것이라면 겹목적어와 관련한 논의는 그 출발에서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겹목적어 구문에서 ‘NP1를1’, ‘NP2를2’의 통사적 기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겹목적어 구문과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 논의되어 온 문장들의 관계와 통사적 차이에 대한 검토가 포함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한국어 겹목적어 구문이 주로 입말에서 실현되는 현상이며, ‘입말’이라는 상황에서 말할이가 생각이 추가되거나 혹은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선행된 목적어와 관련된 것일 때 문장에서 목적어로 실현되어 이중목적어, 혹은 겹목적어 구문으로 실현됨을 살필 것이다.

      • KCI등재

        구술문화의 전통과 백석 시

        오성호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백석은 자신의 고향 정주 지방 사람들의 생활세계-친족공동체를 중심으로한 촌락공동체의 삶을 즐겨 그렸다. 이 세계는 다양한 공동체적 삶의 미덕, 그리고 평화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봉건적인 윤리와 도덕, 그리고 순치되지 않은 자연의 위력, 비과학적인 무속 앞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노출되어 있다. 백석은 이 모든 것을 ‘근대의 시선’으로 비추어 내고 있다. 하지만 그는 이를 미개와 야만의 흔적으로 타자화시키는 대신 ‘낯선’ 것으로보이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백석 시의 독자들로 하여금 낯익으면서도 어딘지 낯설게 느껴지는 이 세계를, 이런저런 문제점을 안고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나름의 가치와 질서를 지닌 독특한 세계, 혹은 보존되거나 기억될 만한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받아들이도록 만든다. 이 생활세계에 대한 백석의 경험은 그 자신의 성장 과정, 혹은 구체적인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된 것이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것은 공동체가 공유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문화를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중요한 수단이었던 구술문화이다. 실제로 백석의 시에는 이런 구술문화의흔적이 다양하게 남아 있다. 그중 가장 쉽게 포착되는 것은 시의 소재로 활용된 민담이나 전설, 민요 등이다. 이밖에 병의 치료와 관련된 속방(俗方), 재액을 막기 위한 속신(俗信), 그밖에 다양한 삶의 지혜와 지식, 혹은 무속(행사) 과 관련된 내용들 역시 매일매일의 생활에서 접한 구술문화를 통해 습득한것이다. 이 구술문화의 영향은 그의 시 내용만이 아니라 그의 시어 선택, 시 형식, 기법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구술문화는 생활 속에서, 그리고 태어나면서부터 익힌 입말을 통해 전승된다. 이 입말은 화자 자신의 몸과 영혼에 깊이 각인된, 진정한 의미에서의모국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백석의 섬세하고 내밀한 감정은 이 입말을통해서만 온전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자문화의 확산에 따라, 그리고 <조선어 맞춤법 통일안>(이하 <통일안>으로 표기)이 자리잡아 가면서 입말은 점차 소멸되거나 주변으로 밀려날 위기에 직면하고 있었다. 백석은 이처럼 문자문화와 표준어의 압력 속에서 소멸, 또는 주변화되어갈 위기에 처한 입말을 지켜내기 위해 애썼다고 할 수 있다. 이 입말의 흔적은 그가 사용한 다양한 방언 어휘들을 통해서, 그리고 그의 시 구문이나 띄어쓰기나 표기법을 통해서 확인된다. 그는 표준어에서 배제된 평북 방언 어휘들을 시어로 선택함으로써 ‘표준어’의 압력에 저항했다. 그리고 그는 의식적으로 문법 규칙이나 논리에서 벗어난 시 구문을 만들어냈다. 또한 맞춤법의 규정 대신 호흡단위에 따른 띄어쓰기 방식을 고수하고 있을 뿐 아니라 때때로 의도적으로 <통일안>의 규정에서 벗어난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은 입말의 생생함, 말소리에 담긴 삶의 기억과 감정들을 되살려내기 위한 시적 전략의 소산이라고 할수 있다. 구술문화의 전통과 백석 시- 351 - 그런 의미에서 백석은 단순히 자신의 시에서 방언을 사용한 데서 그친 것이 아니라 문자에 의해서 지워져가는 입말의 존재, 말소리의 가치와 의미를환기시키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런 백석의 노력은 흔히균질화된 것으로 상상되는 조선어, 조선문화가 사실은 그 내부에 적지 않은이질성을 지닌 것임을 일깨워준다. 그는 단순히 표준어 ... Baek-suk consistently portrayed the traditional premodern way of mundane life in kinship-based, close-knit communities in his poetry. The world he depicts is exposed to the feudal ideals of morality, untamed natural forces, and irrational shamanistic beliefs. Baek-suk portrays these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ity. However, he does not otherize the traditional ways of living as vestiges of savage and uncivilized. Instead, he makes them look unfamiliar. By doing so, he makes the reader look at the premodern mundane life in a new way. The portrayed premodern world isn’t idealized in its portrayal; there are certainly problems and contradictions in the traditional world. Nevertheless, it is described as a world that has not been fundamentally destroyed and is therefore good enough to live. Or, it is described as a world that deserves to be preserved or remembered. Baek-suk’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ways of life comes from his firsthand experience growing up in that very world, as well as from the accounts he collected from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role and impact of oral tradition are notable here, which allowed the community’s accumulated knowledge, experience, and cul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Baek-suk’s poetry contains countless vestiges of oral tradition. The most vivid examples are the folktales, legends, or folk songs that provide subject matters for his poems. Also, he draws variously from other areas of oral tradition ranging from traditional medicine, folk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shunning misfortune to shamanistic rituals. The oral tradition not only informs the content of his poetry. It also informs his choice of words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is poems. Oral tradition is rooted in the vernacular one starts learning from the moment she is born into the world. The vernacular is deeply ingrained in a speaker’s body and mind and is, therefore, one’s true mother tongue. Baek-suk’s work demonstrate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vernacular and the embodied experience. His deepest feelings could be best expressed through the dialect of the Pyeongbuk region, the vernacular he picked up as his mother tongue. But as is well known, the vernacular was on the verge of being disappearing or marginalized as writing came to replace it increasingly, and through the newly legislated “Standard Korean Grammar.” In such a historical context, Baek-suk’s oeuvre can be understood as his conscious effort to preserve and continue the vernacular as it was increasingly under pressure with the spread of written culture and standardization of language. The vestiges of vernacular are most tangible in his phrases, his grammar, and his choice of dialect as his poetic language. The phrases clearly show the flexibility of oral tradition. Also, instead of following the spacing rules dictated by the newly established grammar, he follows the spoken language’s pace, reflecting the speaker’s breathing. In addition, he intentionally writes against the “Standard Korean Grammar,” which hints at his efforts to record the sounds that are unique to dialects. He also pushed against the pressure of standardization by deliberately choosing vocabularies that are unique to Pyeongbuk regional dialect, and therefore were excluded from the “standard Korean.” All these efforts come from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the liveliness and vitality of the vernacular. Furthermore, Baek-suk’s work makes visible the heterogeneity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t are often imagined as homogeneous entities. Through his writing, he was not merely resisting the standardization. Instead, he aimed to expose the heterogeneity and fissures inheren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against the forces of modernity that tried to standardize and therefore homogenize the differences.

      • KCI등재

        입말의 훈민정음의 제자리원리에서 엿보는 인간의 존재방식

        윤석빈(Yoon, Seok-bin)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0 No.-

        언어는 단순히 의사 전달 수단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함춤하고 있다. 즉 언어는 타자와의 관계 맺음을 위한 도구 내지는 소통수단으로서의 언어, 그리고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매개체로서의 언어, 마지막으로 인간의 존재 방식에 영향을 주는 언어로 규정할 수 있다. 인간이 언어를 창조하여 언어를 통해 세계를 구성하고 존재의 의미를 산출하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 인간은 언어에 의해 자신의 삶의 방식과 세계관, 역사관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언어에 의해 인간의 존재방식이 영향을 받는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에게는 선천적이고 고정적인 불변의 본질이 없거나, 혹은 어떤 불변의 본질이 있더라도 그것은 언어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전제해야 한다. 잠재되어 있는 본질이 있다면 그것은 언어에 의해 일깨워지고 그리고 그 본질은 인간의 되어감에 일조를 한다. 다시 말해 인간의 실종은 언어의 영향을 받는다. 언어를 크게 입말과 글말로 나누어 볼 때 인간의 존재 방식은 그 둘 다에 영향을 받지만, 태어나서 아기일 때는 입말의 영향을 받고 나중에 커서는 글말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서구 사상은 그동안 시각에만 치우쳐서 입말과 소리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 서구세계는 너무 오랜 기간 동안 시각주의의 관점이 지배하는 세계관 속에 있어 왔다. 이런 이유는 그리스 알파벳 특성에 기인하고,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사유에 그 원인이 있다. 그리스 알파벳은 시각화의 특성을 기본으로 삼은 언어다. 시각화의 특징은 인간을 사물화로 만든다. 반면에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는 소리, 음성의 특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소리와 음성을 토대로 한 입말은 인간을 인격화 시킨다. 영기서 서구인의 고립적 인간과 훈민정음의 관계적 인간관을 엿볼 수 있다. 물론 일방적으로 입말과 글말로 인해 인간의 존재방식이 확정된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언어와 인간 존재 방식은 연관이 있다는 것이고, 또한 입말과 글말은 서로 다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 조선어 대화에서의 말차례 이동양상 연구

        김향화(金香花)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0 중국조선어문 Vol.229 No.-

        본고는 순서교대 위치의 전이적정 여부에 따라 말차례 이동을 우선 정상적인 말차례 이동과 비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으로 구분한다. 다음, 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을 다시 말차례 획득의 주동성 여부에 따라 말차례 가져오기와 말차례 넘겨받기로 나누어서 다루고 비정상적인 말차례 이동은 말차례 유지 여부에 따라 다시 말차례 끼여들기와 말차례 뺏기로 나누어서 다룬다. 실지 대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이동양상을 분석하는 만큼 조선어 대화의 실제 모습을 밝혀내여 조선어 대화특징을 밝혀내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조선어(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도 조선어의 대화모델을 제시해주어 조선어 대화분석 리론의 구축 및 조한 언어대비 연구에도 일정한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윤중호 시의 방언과 입말의 미학적 효과

        박종덕 ( Park Jong-de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5

        이 논문은 윤중호의 텍스트를 형성하는 요소 가운데 언어, 특히 방언과 입말의 사용 양태와 시적 효과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윤중호의 시어 가운데 주목할 만한 것은 방언과 입말이다. 표준어의 대척점에 서 있는 방언은 규격화된 사유를 거부한 언어로서 방언 사용자의 자유롭고 비정형적인 사유를 드러내기에 충분히 유용하다. 윤중호의 텍스트에서 방언과 입말 사용의 주체는 대개 고향상실자들이다. 고향상실자는 윤중호의 텍스트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인물이다. 윤중호가 기획된 언어인 표준어를 거부하고 방언을 활용하는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단어 수준의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단어 수준의 방언은 지역방언이자 사회방언으로서 시적 의미를 더욱 풍성하게 직조한다. 이는 명사나 부사, 조사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둘째는 독백의 상황에서 방언이 활용되는 경우이다. 이때의 방언은 지시적 의미를 전달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발화 상황에서 활용되어 텍스트의 정서적 질감을 더욱 조밀하게 드러내는 효과를 지닌다. 셋째는 대화의 상황에서 방언을 활용하는 경우이다. 가장 적극적으로 구현되는 이 방언은 입말로 구현되어 생동감, 현장감, 시․공간의 일체화를 가져와 고향상실자의 삶을 핍진하게 재현한다. 방언은 표준어의 시각에서 매우 생경한 언어로 간주된다. 표준어의 관습에서 벗어나 있는 방언은 역설적으로 ‘낯설게하기’라는 시적 효과를 생성한다. 뿐만 아니라 방언과 입말은 발화자의 의식을 온전히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텍스트에 묘사된 주인공의 삶의 질곡을 절실하게 묘사하고 이를 이질감 없이 드러내어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낸다. 윤중호는 의도적으로 불러낸 방언과 입말로 고향상실자의 삶을 묘사함으로써 동질감을 형성하고, 공감대를 구축하며 그들의 삶을 핍진성 있게 드러내어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age patterns and poetic effects of language, especially dialects and spoken languages, among the elements in Yoon Joong-ho’s text. In Yoon Joong-ho’s poetry, the notable aspects are dialects and spoken languages. Dialects, standing in opposition to standard language, prove highly useful in revealing the free and unstructured discourse of dialect users by resisting the standardization of thought system. The primary users of dialects and spoken languages in Yoon Joong-ho’s texts are usually individuals who have suffered the loss of their hometowns. The most pivotal characters in Yoon Joong-ho’s texts are these displaced people. Yoon Joong-ho employs dialects in three main ways, rejecting the standard language. The first use of dialects at the lexical level. Lexical-level dialects are used to indicate objects, enriching poetic meanings. These dialects can be found in nouns, adverbs, postpositions, and so on. The second is when dialects are used in the context of monologue. These dialects go beyond conveying indicative meanings and are used within specific speech contexts, revealing a more concrete emotional texture in the text. The third involves the use of dialects in conversational situations. This spoken languages, which is used most actively, brings a sense of liveliness, realism, and integration of time-space to reproduce the lives of those who have lost their hometown. Dialect are considered very unfamili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ndard language. Dialects,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s of standard language, paradoxically create a poetic effect of ‘defamiliarization.’ Moreover, dialects and spoken languages, reflecting the speaker’s consciousness entirely, vividly depict the intricacies of the protagonist’s life in the text, eliciting reader empathy seamlessly. Yoon Joong-ho intentionally invokes dialects and spoken languages to depict the displaced people, forming a sense of solidarity, building empathy, and revealing their lives vividly and poignantly.

      • KCI등재

        공동체의 관점에서 본 말과 구비문학

        이정복 한국구비문학회 2004 口碑文學硏究 Vol.0 No.1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relation of language and oral literature from a standpoint of communities. This paper is constructed with four main chapters. In the chapter two, we confirmed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presented its types. We described also the characteristic of internet communities that come recently into being. In the chapter three, we explained that language strengthens intimacy among the members of community and establishes their identity. Language reflects the culture of community and has the function of media to reappear it. We looked into the relation of language and oral literature carefully in the chapter four. Oral literature works like the song of drama by chang reciter, folk song, proverb and masque drama were well revealing distinctiv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in which they were produced. In the chapter five, we clarified the fact the oral literature with much nonstandard communication language are produced actively in internet communities and have been transmitted widely. As the result of discussion, we ascertained the linguistic feature of oral literature is common from Joseon Dynasty period to modern stage. At now the peoples of two classes who use ‘standard language’ and ‘nonstandard language’ are maintain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 as the upper classes and the lower classes had used ‘noble variety’ and ‘vulgar variety’ each other differently at Joseon Dynasty. The oral literature is composed with usual lively language such as ‘vulgar and nonstandard language’ more than ‘noble and standard language’. 공동체의 관점에서 말과 구비문학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 글은 모두 4개의 본론 장으로 구성된다. 2장에서는 공동체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최근 새롭게 생겨난 인터넷 통신 공동체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말이 공동체 구성원들의 유대를 강화하고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말은 공동체의 문화를 반영하며, 그것을 재현하는 기능을 가진다. 4장에서는 공동체의 말과 구비문학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판소리, 민요, 속담, 탈춤 대사 등의 구비문학 작품들은 그것이 산출된 공동체의 특징적인 말의 모습을 잘 드러낸다. 5장에서는 인터넷 통신 공동체에서 비규범적 통신 언어를 많이 쓴 21세기 입말 문학이 활발하게 생산되어 널리 전파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구비문학의 말이 조선 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공통성을 보이는 점을 확인하였다. 조선 시대에 양반과 평민들이 각각 ‘고상한 말’과 ‘비속한 말’을 씀으로써 대립적 관계를 유지한 것처럼 지금도 ‘규범에 맞는 말’과 ‘규범에 맞지 않는 말’을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 심리적 대립이 유지되고 있다. 구비문학은 ‘고상하고 표준적인 말’보다는 일상의 ‘비속하고 비표준적인 말’을 그대로 생생하게 쓰는 대중 문학이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에게 어머니가 해주는 `입말 이야기`의 특성 및 교육적 의의 연구

        김은주 ( Kim Eunju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에게 어머니가 해주는 `입말 이야기`의 특성을 밝히고 그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가 있고 입말 이야기에 관심이 있는 어머니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연령은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까지 다양하였으며, 자녀의 수는 한 명에서 세 명까지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2-5차에 걸쳐 1회에 1-2시간씩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기 자녀에게 어머니가 해주는 입말 이야기의 특성은, 잠자기 전 깜깜할 때나 이동 중에 심심할 때, 심심하고 닫힌 공간에서, 알고 있었던 이야기나 아이 주변의 이야기를, 아이 반응에 따라 반복되고 첨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말 이야기는 엄마와 아이의 관계를 사랑으로 이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어머니 세대와 자녀 세대의 추억을 연결하는 끈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기 교육에서 사라져가는 입말 이야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교육적 의의가 유아언어교육 및 유아문학교육 분야에서 새롭게 조망 받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al story. For this, 10 purposive samples - moms who are interested in oral story - were selected. The age of the targets varied, ranging from late 20s to late 30s. The survey of 10 mothers was implemented by personal interview, talking on phone or e-mailing. The 10 targets participated in 2 to 5 in-depth interviews and each session lasted 1 to 2 hours. Results showed that oral story was good to sleep before and during the move. It may be in a closed space. Mothers said their children the story of a child around and the story she knew. The contents of the story was repeated, added and deleted depending on the child`s reaction. Most mothers got difficulty talking to a lack of oral story contents. However, mothers was satisfied that they got a happy relationship on the oral story time. They admitted that the oral story was educational guidance through metaphor.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ere suggeste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ortance of oral story.

      • KCI등재

        제주(濟州) 지역(地域) 신문(新聞)의 우리말글 검토(檢討) : 틀리거나 어색한 말

        허춘(Chun Heo) 제주학회 2001 濟州島硏究 Vol.20 No.-

        언론 매체의 우리말글은 국민들의 언어 생활을 좌우한다. 따라서 언론 매체에서 바르고 고운 우리말글을 사용해야 사회도 더 맑아진다. 정확한 우리말글 사용은 언론 본래의 사명에 비추어 보면 부차적인 것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글이 의사 소통만을 위한 단순한 도구가 아님은 말할 나위가 없다. 방송에 비해 신뢰성이 많이 낮아지고는 있으나 신문은, 적어도 우리말글에서는, 국민의 교과서라고 할 정도이니 책임이 더 무겁다. 시간을 다투는 보도 경쟁에서 마감 시간에 쫓기는 데다 교열부까지 축소 또는 폐지된 실정임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언론 매체의 우리말글에 대한 무관심과 부주의에 주의를 촉구한다. 언론 매체 종사자는 우리 말글의 길잡이라는 사명감을 지니고 바른 우리 말글을 쓰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필자는 앞서 방송의 발음, 국어 사전의 발음 표기, 표준 발음법 보완에 대해 논술한 바 있는데, 이어 제주 지역의 신문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물론 제주 지역이 특히 오류가 많은 것은 아니고 다른 지역과 같이 전국지의 우리말글을 생각 없이 모방·답습하고 있다. 대비를 위해 전국지나 다른 지역의 신문, 방송 등도 아울러 예시한다. 이 글에서 검토한 내용이 제주 지역의 언론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지역) 언론의 풍조를 생각 없이 따라 하지 말자는 의도에서다. 기자들에게 경각심을 촉구하며, 교열부를 축소 또는 폐지하고 있는 현실을 걱정하는 뜻이 있기도 하다. 이 기회에 문인, 학자, 지식인들의 각성도 촉구하기 위해 이들의 글(말)도 같이 보인다. 독자는 보통 기사 제목을 보고 정독(열독) 여부를 결정하는데 특히 포장이라 할 수 있는 제목을 붙일 때 우리 말 구사가 너무 어색하거나 틀리는 일이 많다. 기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오·탈자를 비롯해, 맞춤법에 맞지 않는 말은 물론이거니와 군더더기 말, 부당하게 생략하는 뒷말, 용어 사용 문제, 조사의 오용, 일어식 어투, 시제의 문제, 활용 오류, 사동·피동형의 오·남용 등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생각 없이 쓰는 일(영)어식 단어와 관용구, 외국(래)어 오·남용, 역어체, 非文·惡文, 문장의 호응, 과도한 문장 부호 생략, 기준 없이 하는 띄어쓰기, 로마자·아라비아 숫자 남용 등에 대해서는 별론한다. 기자만 알고 있는 문장, 장황한 문장, 상투적인 문장 등의 문제도 심각한데, 기사는 독자의 관점에서 써야 한다. 글말은 입말을 거쳐서 뒤에 나온 것이지만 지금은 글말을 바탕으로 입말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다. 우리말에 대한 여러 조항을 보완해야 한다는 필자의 주장과는 별개로 규범적인 표기를 전제로 하고 검토하되, 쟁점이 있으면 개인적인 견해를 피력하였다. 글의 성격상 이론적인 논의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현실어와 신문의 특성을 감안하면서 지적을 위한 지적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올바른 말글 생활은 올바른 삶의 출발점이다. It is no doubt that the main responsibility of journalism is not to use accurate words, but to deliver correct informations to the public, including critics and comments. However, words in journalism are not simply an instrument for communication. Even though it is true that newspapers are in less trust in terms of the accuracy of informations than broadcasting, the former has a stronger influence of Korean words to the public than the latter. One of my previous papers has discussed Korean words in terms of the pronunciation in television and radio, phonetic transcription in Korean dictionary, and the replenishment of standard pronunciation rule. This paper is for a critical review of Korean word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newspapers being published in Jeju. It is, of course, not true that Jeju newspapers make relatively more mistakes in using Korean words than other newspapers. An emphasis of this paper is given to the fact that Jeju newspapers imitate and follow the wrong stream without a careful consideration as other regional newspapers are so. This paper has focused on Korean words being used in Jeju newspaper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wrong and omitted words which decrease the reliability of articles, the words which is not matched with orthography, unnecessary superfluity, improperly abbreviated words, wrong terms, use of inaccurate particles, abuse of newly-made words, Japanese way of expression, wrong tenses, abuse of abbreviation·slang·vulgar word, abuse of th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ithered native Korean words, errors of conjugation, inflection, and declension, etc. Another paper will examine the misuse and abuse of foreign and imported languages, translated-styled sentences, incorrect and wrong sentences, content of articles who wrote out, omitted sentence mark, and spacing between words without rule, etc. What has been found significantly from this paper was that Jeju newspapers are problematic in terms of the misuse and abuse of making- and passively-typed verbs. This results in a undesirable situation which written language is formed from spoken language, even though the truth is that the latter is followed by the former. This situation implies that mass communication workers should make an effort continuously to write accurate Korean words, with a responsibility that they are a guide of Korean words.

      • KCI등재

        한글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입말을 살리는 유아기 문자 교육의 방향

        유주연(Lyu Joo-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요즘 언론의 기사를 읽어보면 우리말 발음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지금 10대 중반에서 20대 후반까지 소위 인터넷 IT세대들은 80년대부터 불붙기 시작한 통문자 교육의 세대이다. 이들의 우리말 발음이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우리말을 정확하게 쓰는 것도 어려워하고, 발음도 정확하지 않아 심지어 방송에서 일하는 앵커나 아나운서들도 발음이 많이 틀리다는 지적이 있다.<BR>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음소인식지도(phonemic awareness)를 제안한다. 음소인식지도라 하여 한 가지 방법만을 이야기 하는 것은 아니다. 음소인식지도와 기존의 통문자 교육을 병행하는 쪽으로 문자교육의 흐름이 바뀌어 가고 있다. 글자를 알기 시작하고 자아인식의 개념이 생기는 6, 7세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음절과 음소의 순서로 진행해야한다.<BR>  어떤 음소를 먼저 시작할지는 훈민정음의 해례본의 구조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홀소리 경우는 ‘ㅡ’와 ‘ㅣ’를 한 후 ‘ㅗ, ㅜ’ (‘ㅡ’에서 한 획씩 추가한 글자) 와 ‘ㅏ, ㅓ’ (‘ㅣ’에서 한 획씩 추가한 글자)를 하고 ‘ㅏ’와 ‘ㅑ, ㅓ’와 ‘ㅕ, ㅗ’와 ‘ㅛ, ㅜ’와 ‘ㅠ’를 하면서 ‘ㅛ, ㅠ, ㅑ, ㅕ’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BR>  닿소리는 영유아가 말을 배우는 순서로 진행하도록 한다. 말을 배우는 순서는 아이들의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쿠잉(cooing)이라는 것을 옹알이로, 옹알이에서 말소리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대체로 순음은 배우기 쉽지만 ‘ㅅ’이나 ‘ㅈ’과 ‘ㄹ’의 첫소리는 가장 늦게 배우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인터넷에서 쓴 마주이야기와 한국마주이야기 교육연구소의 마주이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전체 20명 아이의 마주이야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아직 글자를 이미지로 받아들이는 임상은 빠져 있다. 하지만 한글이라는 소리글자를 소리를 통하여 배우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아이들이 말을 배워가는 순서에 맞게 순음을 먼저 배울 것을 제안한다.<BR>  음운 인식지도는 소리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것이므로 일상생활에서 아이가 가득 들어 있는 마주이야기를 통하여 아이들이 재미있게 생활과 분리 되지 않은 문자 교육을 할 수 있고 입말을 최대한 살려 소리글자의 장점을 살릴 수 있도록 마주이야기를 활용한 문자교육의 예를 들었다.   Nowaday, we can read the article about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in Korea.<BR>  Early 10"s generation and middle of 20"s generation is so-called Internet IT generation. They have been received the education for learning national language by the method Whole Language Approach. But this method is not good guide for learning language, especially pronunciation, structure of a syllables, but also phonemic awareness. To overcome this problem, we suggest phonemic awareness using the story which children pour out at every day in daily life. This is called majuyiyagi. If we using the majuyiyagi, we can keep a colloquial style. Also, we write children"s daily story in a colloquial style.<BR>  Furthermor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ordering phonemic which is easy to pronunciation for the purpose of teaching Korean alphabet. For this research, we cite 20 children"s note in Internet site www.majoo.com and the Aram institution of children education.

      • KCI등재

        [난구 해석] “그 여자애가 있다아이가, 나이 열둘이었어”입말 표지 ἦν γὰρ 연구를 통한 마가복음 5장 42절의 번역과 해석

        강현석(Hyun-Suk K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7

        Western scholars have identified the Koine Greek γάρ with causal conjunctions such as English ‘because’ or ‘for’. But this kind of translation of γάρ leads to a myriad of difficult sentences that are not properly interpreted. I argue in my doctoral dissertation that γάρ was a colloquial marker used primarily in spoken language, such as in people’s conversational situations, rather than a causal conjunction used in written sentences. In Mark, this γάρ is often combined with the εἰμι verb in the form of εἰμι γάρ. And this combination of εἰμι γάρ is a unique word choice and intentional expression of Mark. It is used exclusively in Mark’s Gospel and is not present in other Gospels.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εἰμι γὰρ and interprets Mark 5:42, as an example of a typical difficulty in translating γάρ, and how it has affected its audience. εἰμι γὰρ engages the listener outside the sentence, not within the sentence. And Mark’s εἰμι γὰρ is both Mark’s voice and Mark’s tone of speaking directly to the listener. It is Mark’s personal voice signature. Εἰμι γὰρ is the voice of the here and now to the listeners alerting them to the next story, focusing on the story. It is not the narrative and dry description of a person or event. Mark expresses in his words εἰμι γὰρ the extreme feelings of sadness and joy in the event of a 12-year-old little girl who was supposed to be dead but suddenly stood up. And the use of these colloquial markers create a reaction and effect for the audience, which raises the need for a new hermeneutic methodology for Mark. 서구 학자들은 그동안 코이네 그리스어 γάρ를 영어의 because나 for와 같은 인과 접속사와 동일시 해왔다. 그러나 γάρ의 의미를 이렇게 옮길 때 해석되지 않는 무수한 난구들이 존재하게 된다. 필자는 γάρ가 문어체 문장에서 사용되는 인과 접속사가 아니라 사람들의 대화 상황과 같은 입말체에서 주로 사용되는 입말 표지(Colloquial Markers)라는 것을 박사 논문에서 논증했다. 마가복음에서는 이러한 γάρ가 εἰμί 동사와 결합하여 εἰμι γὰρ의 형태로 자주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εἰμι γὰρ의 결합 형태는 다른 복음서들이 병행 구절에서 그 단어를 삭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마가의 독특한 단어 선택이자 의도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 εἰμι γὰρ의 의미 규명을 통해서 대표적인 γάρ 난구 중의 하나인 마가복음 5장 42절을 해석하고 그것이 청자들에게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 규명한다. 결과적으로 εἰμι γὰρ는 문장 안에서가 아니라 문장 밖에서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기능하며, 마가복음의 εἰμι γὰρ는 모두 마가의 목소리로만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청자들을 향해 직접 말을 건네는 마가의 목소리이자 마가의 말투이다. 또한, εἰμι γὰρ는 개념적이지 않으며, 문장 간의 관계를 통해 유추, 정의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라, 화자의 감정과 뉘앙스, 의도, 대화 상황의 맥락 등을 고려해 파악해야 하는 입말 표지이다. 이러한 입말 표지는 한국 사람들에게 익숙한 ‘말귀’라는 용어로 이해 가능하다. 즉, 대화 상황에서 청자를 향해 직접적으로 말하는 입말표지이며 다음 이어질 이야기를 예비하고 관심을 집중시키는, 화자의 목소리가 바로 εἰμι γὰρ의 의미이자 알아들어야 할 ‘말귀’인 것이다. 마가복음 5장 42절은 오랫동안 학자들에게 난구로 여겨져 왔다. 마가는 이 구절에서 열두 살의 작은 여자 아이가 죽은 줄 알았는데, 다시 살아난 사건에 대한 애틋함과 기쁨을 자신의 말투인 ἦν γὰρ에 실어 청자들에게 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말 표지 ἦν γὰρ의 사용은 청자의 반응과 효과를 즉각적으로 불러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마가복음에 대한 새로운 해석학적 방법론의 필요를 제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