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벤트성 파빌리온에 나타나는 비일상적 공간 특성 연구-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과 MoMA PS1 YAP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최수민 ( Su Mi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일상은 현대인들의 삶에 중요한 요소이다. 일상이 중요해진 만큼 일상에 반하는 비일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극히 건조한 일상을 변화시킬 비일상은 새로움에서 찾을 수 있다. 모든 일상은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우리는 단조로운 일상을 벗어나기 위해 새로움을 느낄 수 있는 비일상적 공간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벤트성 파빌리온’ 이라는 사례를 통해 비일상적 공간표현 특성들을 밝히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파빌리온의 개념과 이벤트성 파빌리온의 선정사례인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과 ‘MoMA PS1 YAP 파빌리온’의 개요를 간단히 정리했다. 그 뒤 H. Lefebvre의 견해를 통해 일상과 비일상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 개념을 바탕으로 파빌리온에 나타나는 비일상적 특성을 도출했다. 도출된 특성을 통해 이벤트성 파빌리온에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조형성으로 내·외부의 관계성, 공간구성 요소의 다양화, 자연과 사람을 연결시키는 특성을 확인하였고, 심리성으로 색다른 공간 구성, 조형적 요소에서 느낄 수 있는 신선함, 소품의 매개화의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앞서 도출된 특성들을 적절히 가미하여 디자인한 공간이야 말로 이시대가 지향하는 공간이라고 보고, 향후 디자인의 접근방법으로 비일상적 특성들이 세밀하게 발전되어 비일상과 공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Daily lif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life of modern people. As daily life becomes important, interests in non-daily life contrary to daily life are increased. Non-daily life which will change severely dry daily life can be found in newness. All of daily lives are lived in space. Therefore, we should study on non-daily space we can feel newness so as to get out of the simple daily life. This research investigates characteristics of non-daily spatial space through the case of ``event pavilion``. To achieve it, concept of pavilion and outline of event pavilion``s selection cases,‘ serpentine gallery pavilion’ and ‘MoMA PS1 YAP pavilion’, simply. And then, this researcher understands concepts daily life and non-daily life through the opinion of H. Lefebvre and based on the concepts, draws non-daily characteristics of pavilion. Through the drawn characteristics, it applied them to event pavilion and conducted case study. As a result, there were formatively relations between inside and outside, diversity of spatial elem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people. There were psychologically unique spatial organization, freshness felt by formativ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props`` meditation. This research considers that the space designed by adding previously drawn characteristics properly is aimed by this period and develops non-daily characteristics in detailed as the following approach of design. So, in-depth studies on non-daily life and space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 KCI등재

        일상의 탈중심적 시공간 구조에 대하여

        신지은(Shin Ji-Eun)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2

        일상은 주로 부정적인 것으로 이해되어 학문의 대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리고 일상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주로 초기에는 일상이 표피적이고 진부하다는 점, 자본주의의 억압과 착취가 자행되는 장이라는 점,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소외되었다는 점에 초점이 맞춰졌다. 하지만 마페졸리의 논의 속에서 일상에 대한 긍정적 논의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이 가지는 탈중심성, 구심력이 작동하는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일상의 구조를 미로 시간과 프랙탈 공간으로 묘사해보고, 그러한 탈중심성에서 비롯되는 창조적 역능을 발견해 보고자 한다. 일상에서 흘러가는 시간은 이전의 진보적 역사관이나 선적 역사관과 달리 끊임없이 반복되고 변주된다. 보르헤스의 특유의 시간관을 인용하여 동질적이고 선형적이고 인과적인 시간이 아니라 다양한 계열이 잠재적으로 공존하고 있는 일상의 시간구조를 생각해 본다. 이는 등질화되고 양화된 근대의 시간관, 달력과 시계로 대변되는 근대성에 대한 일종의 비판이기도 하다. 그리고 일상의 공간 역시 계획과 감시의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기능적인 자본주의와 제국의 공간이 아니라 ‘관계를 만드는 장소’, 뿌리를 깊이 내린 장소감의 대상으로서의 공간이다. 즉 사회성, 공동체성의 기본 조건으로서의 공간이다. 그리고 일상의 공간은 유클리드 공간처럼 추상적이고 일률적인 텅 빈 공간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변주하면서 스스로 생성되는 프랙탈 공간으로, 주름접기와 펴기를 반복하면서 자기 복제를 수행하고 연속된 변주를 통한 비정형적 자기 조직화의 과정 속에 있다. The everyday life often considered as negative in the academic perspectives has been treated not an object of the research. In many cases in which the everyday life is treated, its interests concerned is oriented to the critic of everyday life. Even Henri Lefebvre, one of famous researchers on the everyday life thinks that the every day life is isolated, misery. This paper aims at finding a creative power in the decentrality of the structure of everyday life. We are trying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in the everyday life moved away from centre with the labyrinth image time and the fractal image space. By comparison with the time of the linear progress of history, the time of the everyday life has been repeated and making differences ceaselessly. Referring the specific consciousness of the time in Borges, we think about the structure of the daily time which forks. It shows u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modern time and space which appear under the image of the calendar and the clock. At the same time the space of the everyday life does not work in the functional and panoptical system of power. The space of everyday life with fractal structure is making a condition of the feeling of membership. It is far thus from the space described by Euclidean geometry.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ADL and IADL of residential home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박찬의,장정훈,이재형,Park, Chan-Eui,Chang, Chung-Hoon,Lee, Jae-Hyoung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8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정 거주노인과 시설 거주 노인의 일상생활동작(ADL)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IADL)을 비교 분석하여 노인 돌봄에 관여하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의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일상생활동작 및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검진은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를 사용하여 거주 형태가 다른 두 노인 집단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들의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수행 능력은 부부 동거, 자녀 수, 수입,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및 나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생활동작 중에는 한 가지 동작이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은 한 가지 동작을 제외한 모든 동작에서 수행 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부가 함께 동거하는 노인이 홀로 사는 노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일상생활 활동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형 일상생활동작 평가서와 도구적 일상생활동작 평가서가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평가하는데 보다 사용하기 좋았다. 노인을 돌보는 의료 종사자 특히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는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훈련을 시행한다면 일상생활동작 훈련에서는 목욕하기에 중점을 두고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의 훈련에서는 거의 모든 동작을 훈련 시켜야 할 것을 조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of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In attempt to address medical professional caring the elderly, this comparative study examine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pendence in the ADL and IADL in two samples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wo different environments. Methods: The instrument of ADL and IADL widely used Katz ADL and IADL. Katz ADL and IADL was not a perfect fit for Korean. In concern with cultural factors Won developed K(Korean)-ADL and K-IADL scale reflecting Korean's own language expression and cultural factors in year of 2002. The assessment tool of this study was K-ADL and K-IADL. Differences of ADL and IADL were test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group t-test and x2 test for comparisons betwee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and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Results: Comparison of assessment for K-ADL and K-IADL in two different dwelling types was significant. Performance of ADL and IADL depend upon their living environment such as social status, number of children, income, present illness as well as age group. This stud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formance in some activities of ADL and IADL between the elderly who live in their own home and live in home for the aged. Comparison of performance of ADL and IADL in different dwelling types revealed that only one item of ADL was significant but only one item of IADL was not significant. It means that IADL is more difficult activities in the home for the aged dwelling elderly than the residential home dwelling elderly. The coupled elderly has more independent in some ADL and IADL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single elderly. Conclusion: Using K-ADL and K-IADL is more convenient for Korean elderly. Medical professional consider some factors like dwelling style, social status, exist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in order to care the elderly and train him/he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well a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dical professional, especiall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 emphasize the training items which are bathing of ADL and grooming, housework, preparing meals, laundry, traveling, public transportation, shopping, using telephone and taking medicine of IADL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일상의 긍정을 위한 신학적 윤리적 기반 모색 : 루터와 테일러를 중심으로

        이창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0 No.-

        테일러(Charles Taylor)는 루터와 칼뱅으로 대표되는 종교개혁 전통이 ‘일상’ 에 대한 신학적 긍정에 의미 있는 기여를 했다고 평가한다. 특수한 계시나 신비 로운 임재 등의 신적 자기 계시의 방식, 신적 자기 계시와 그에 대한 수용이 이루 어지는 시공간으로서의 신앙 공동체 등의 관점에서의 종교적 구별됨이나 배타성 을 극복하고 평범한 삶의 시간과 역 안에서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확장하는 데 건설적 역할을 했다는 평가인 것이다. 다시 말해, 테일러는 일상의 삶과 그 삶의 터전에서 이루어지는 노동의 가치를 신학적으로 확정함으로 써, 인간의 역사적 삶의 의미를 세속의 시공간으로 확장하여 거룩한 삶의 일상적 기반을 성과 속을 포괄하여 다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테일러의 주장에 기본적으 로 동의하면서,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일상의 긍정’을 위한 신학적 윤리적 토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루터와 테일러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살피면서 그 신학적 철학적 윤리적 논거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테일러의 ‘일상의 긍정’에 대한 기본 이해 고찰로 시작하여, 일상의 주체로서의 개인을 초점으로 하는 신앙론, 일상에 대한 창조론적 이성중심적 긍정, 일상의 긍정의 핵심적 역 으로서 가정과 노동, 세속 역에 대한 신학적 긍정 등의 논점을 주로 다룰 것이 다. 또한 신학적 윤리적 제안을 할 것인데, 이 제안을 통해 한국 기독교회의 신자 들의 신앙과 실천이 성과 속을 포괄적으로 존중하며 ‘일상의 역’(혹은 세속 역)에서도 책임적인 삶을 살아가는 방향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 다. Charles Taylor maintains that the Reformers such as Luther and Calvin contributed to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everyday life’ in theological terms. In discussing divine self-disclosure and faith communities where divine self-revelation and acceptance of the revelation take place, the Reformers’ teachings have been conducive to overcoming religious exclusiveness and reinforcing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God’s revelation and presence in the spheres of ordinary life. Taylor insists that Luther and Calvin offered a theological foundation where believers can regard their historical existence in the secular as the everyday basis of holiness. Endorsing Taylor’s thesis basically, I aim to explore theological and ethical foundations for affirming the value of ‘everyday life.’ My inquires in this paper are two-fold. First, I attempt to offer a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ological, philosophical and ethical foundations for such affirmation that are traced in the thoughts of Luther and Taylor. Major themes I will discuss include Taylor’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affirmation of everyday life, a form of belief stressing individual persons as the subjects of everyday life,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in terms of the doctrine of creation and reason-centeredness, family and labor as key spheres for the affirmation of everyday life, and theological justification of the secular realm. Second, I will make some theological and ethical suggestions, hoping that they contribute to honoring the sacred and the secular comprehensively and strengthening Korean churches’ and their members’ responsible practice and engagement in the sphere of everyday life.

      • KCI등재

        일상과 영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본 영성지도

        김경은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4

        현대사회의 특징의 하나는 일상성이다. 일상이란 용어가 ‘매일의 삶에서 반복되는 것’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사소하고 무의미하다는 뜻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오늘날 사회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는 일상에 대한 관심이 주요한 학문적 주제로 논의되고 있다. 일상을 보는 시각은 두 가지다. 먼저 일상은 사회구조의 생산과 재생산, 개인의 생산과 재생산이 만나는 자리이기에 우리의 관심이 현재의 일상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현재에서 의미를 찾고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일상을 소외의 관점에서 보는 것으로서 전인적 완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상 속의 한 개인이 느끼는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해, 삶의 토대가 되는 어떤 ‘양식(style)’, ‘생활방식(a way of life)’의 형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리스도인들이 일상의 삶을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의 시간, 충만한 생명력을 느끼는 공간으로 경험하기 위해 신자들의 삶에 필요한 것은 매일의 삶에서의 영성형성이라고 제안하면서, 이를 돕기 위한 사역의 하나로서 영성지도를 제안했다. 일상의 삶과 영성지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연구 사례(case)로서 스코틀랜드 장로교인들의 영성지도를 선택하여 피지도자들의 영성지도 경험을 살펴보았다. 스코틀랜드 장로교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영성지도는 이냐시오 방식의 영성지도였다. 이냐시오식 영성지도를 통해, 피지도자들은 ‘상상력을 이용하여 말씀으로 기도하기’와 ‘분별’을 자신들의 일상의 삶에서 실천하면서 일상의 삶을 새롭게 살게 되었다고 했다. 즉, 영성지도를 통해 자신들의 삶의 역사에서 하나님이 일하셨음을 보게 되었고, 오늘의 일상적 삶도 하나님과 함께 걷는 삶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변화를 얻게 되었다고 했다. 따라서 21세기 한국교회의 목회현장에서 이냐시오식 방법을 포함하여 영성지도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Everyday life’ is a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and dailiness can be defined as ‘rhythm as rules and repetition of everyday life.’ Everyday life means repetition, so it might be considered trivial and meaningless. Nevertheless, in today’s world, everyday life is discussed as a significant academic topic in a variety of academic fields including sociology. There are two different viewpoints in understanding everyday life. First, since everyday life is a place which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each person and social structure occur, our concerns have to be focused in the present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we should focus on the present and find the meaning in it. Second, people feel alienation and powerlessness in the present, so they need a ‘style, a formation of ‘a way of living’ which can be a foundation for their lives.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space that Christians can feel a full communion with God and abundant vital force. Spiritual direction can be a ministry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experiences of spiritual directees in Scotl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everyday life and spiritual formation. The Scottish directees took part in Ignatian spiritual direction, and as a result came to see their life experiences and everyday life in a new perspective. They gained a new perspective of how God had been working in their life history and how their everyday life is a path working with God. For these reasons, this paper proposes that spiritual direction needs to be more active in order to revitalize Christians in the 21 century ministry.

      • KCI등재후보

        현대조각과 일상성 -시원으로서의 일상성에 대한 전망-

        김경민 ( Kyung Min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본 논문은 현대조각에서 일상성에 대한 탐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분석하는 한편, 시원으로서의 일상성이 갖는 의미를 이론적 차원에서 전망하고, 이를 조각적 실천에서 전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술적 실천에서 일상성의 문제는 소위 포스트모더니즘의 발흥과 함께 본격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거대담론이 종식을 고하면서 이 문화적 패러다임은 키치적인것, 일상적인 것, 사적인 것, 지극히 대중적이고 평범한 것들을 다원성의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요청한다. 조각에서 일상성의 요소들은 뒤샹과 다다가 레디메이드를 도입하면서 조각 영역에 들어 올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일상성이 본격적으로 문제시된 것은 팝아트 이후의 일이며,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조류 속에서 삶과 예술이 다시 조우하고, 내러티브와 구상조각이 복귀하면서 중요한 예술적 주제로 부상하였다. 특히 후기 자본주의의 소비사회의 풍경에서 일상적 삶이 그런 사회 역샂ㄱ 조건 속에 어떻게 종속되어 있는지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많았다. 그러나 연구자가 보기에, 일상이 사회적 구조와 문화적 틀속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고 해도, 일상 자체에는 우리의 가장 시원적인 기본적인 삶의 토대가 되어주는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 일상이 갖는 이 시원성에 대한 탐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제기되지 않았다. 여전히 예술은 보다 일상 너머에 우리의 인식이 미치지 못하는 세계를 보여줘야 한다는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세계 또한 우리의 일상성 속에 있다고 본다. 여기서 나는 조각적 실천에서 일상성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산견해보고, 나아가 이론적 차원에서 일상성에 새로운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할 생각이다. 이를 통해 예술적 실천이 일상성의 문제를 어떠한 방향에서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제언적 시사를 할 것이다. 특히 일상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시켰던 르페브르와 최근에 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고 있는 마페졸리의 시각을 빌어 일상성을 보다 시원적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시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s of everydayness in modem and contemporary sculptures from the theoretical view point of the origin of the everydayness, suggest-ing its possibility for art practices, particularly sculptures. With the post-modernistic paradigm, the so called meta-discourses came to an end, now it began to celebrate the subjects such as the kitsch, every­day life, the private, and the mere trifle. The elements of the every­dayness in sculptures was introduced by the Dada movement and Duchamp that appropriated the "readymade" for their own artistic strategy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Since then, Pop-Art staged the everydayness in earnest and in postmodernism, in which art and every day life encounters again, and narratives and figurative sculptures returned, the issues of everydayness became important in contemporary art practices. For examples, Jeff Koons has revealed through the readymade works how the today``s everyday lifes and peo­ple``s desire for the commodities in the post-industrial consumer soci­ety were subordinated to the structure in question. However, I believe that there are more original and primitive elements of the everyday­ness which are not tinged with that structure. In this article, I wanted to suggest a theoretical possibility of some original factors of the ev­erydayness in the perspective of Michel Maffesoli and Henri Lefebvre for art practices.

      • KCI등재

        조선시대의 日象文 연구

        김주미 조선시대사학회 2009 朝鮮時代史學報 Vol.51 No.-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전개된 日象文을 대상으로 하여 日象文의 形式 분류, 시기별 樣式 특징, 天下觀의 推移 등을 고찰했다. 먼저 日象文의 形式은 우리나라에 日象文이 처음 선보인 고구려 고분 벽화의 日象文을 근간으로 하여 ⅰ)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 ⅱ)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 ⅲ)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 ⅳ)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로 분류했다. 한편 정치․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보이는 兩亂(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日象文의 시기별 양식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선 전기에는 형식 Ⅰ․형식 Ⅱ가 왕실 발원 佛畵 몇 점에 보이고, 형식 Ⅲ은 中宗 反正 이후에 나타나며, 형식 Ⅳ는 士大夫 墓碑에 다수 표현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作例에 상관없이 형식 Ⅳ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형식 Ⅱ는 보이지 않고 형식 Ⅰ은 대둔사 佛畵 몇 점과 日月圖刺繡 袈裟에서, 형식 Ⅲ은 直指寺 藥師如來圖와 日旗에서 살필 수 있었다. 그러나 日象文에 그려진 瑞鳥의 경우, 前代〔고구려, 고려〕와 같은 시기별 특징〔맹금류, 닭, 물새〕은 나타나지 않았다. 治天下와 왕권의 상징물로 사용된 日象文의 시기별 특징을 시대상과 이에 따른 天下觀의 推移라는 측면에서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조선 전후기 모두 형식 Ⅳ〔원으로 구성된 日象文〕가 다수를 차지한다. 형식 Ⅳ는 원 안의 瑞鳥 표현을 태양의 흑점을 나타낸 것으로 인식했고, 태양의 흑점 역시 태양을 가리는 것으로 여겨 瑞鳥 없이 원으로만 日象〔태양〕을 표현한 中原 유교 문화권의 日象文 전통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형식 Ⅳ가 조선시대 日象文의 다수를 점하고 있는 것은, 유교를 國敎로 삼았고 明과 事大 관계를 맺으며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 하에 있었던 조선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둘째, 형식 Ⅲ〔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瑞鳥〕은 조선 전기에는 中宗 反正 이후에 제작된 왕실 발원 佛畵 및 反正과 관계된 사대부 墓碑에 나타나고, 조선 후기에는 直指寺 藥師如來圖(1744년)와 大韓帝國 시기의 日旗에서 볼 수 있다. 日象 안의 瑞鳥를 天命의 전달자로 볼 때, 날아가는 瑞鳥는 天命이 다른 곳으로 옮겨감을 의미한다. 이를 말해주듯, 형식 Ⅲ은 反正의 당위성과 통치자의 합법성이 중요시 되었던 中宗 反正 이후, 明이 몰락한 후 조선이 中華 문화를 계승할만한 유일한 문화국가임을 표방한 朝鮮中華 사상이 팽배했던 英祖代, 조선 王國의 종언을 고하며 帝國을 등장시켰던 大韓帝國 시기에 나타난다. 셋째, 형식 Ⅰ〔원 안에 날개를 접은 채 서 있는 瑞鳥〕은 조선 전후기의 佛畵 몇점과 조선 후기의 日月圖刺繡 袈裟를 제외하고는 볼 수 없고, 형식 Ⅱ〔원 안에 날개를 반원형으로 펼친 채 서 있는 瑞鳥〕는 成宗 때 제작된 藥師三尊十二神將圖에만 표현되었다. 형식 Ⅰ과 형식 Ⅱ는 그 수는 많지 않지만, 조선 초기의 경우 명목상으로는 明을 섬기면서도 왕권 확립과 함께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며 조선 중심의 국제 질서를 구상하고자 했던 15세기 왕실 발원 佛畵에서 살필 수 있어 주목된다.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日象文이 시대상을 반영하며 또한 자국 중심의 세상 인식인 天下觀을 보여주는 매체로서 기능해...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the solar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is study used the solar patterns of the mural paintings in Goguryeo tumuli, the first solar patterns in Korea, to classify the types of solar patterns into i) type 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folded〕, ii) type II〔auspicious birds standing in a circle with wings spread in a semi-circle〕, iii) type III〔auspicious birds about to fly off from a circle〕, iv) type IV〔solar patterns made up of circles〕. Meanwhile, the author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by period and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before and after the two wars.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Ⅳ appeared on a number of tombstones of Sadaebu (men of noble birth), and type Ⅲ was intensively foun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enthronement of King Jungjong subsequent to the dethronement of Yeonsangun), whereas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ype IV was the dominant type. If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patterns symbolic of ruling the nation and royal authority are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ransitions in world 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rived. First, type IV was most prevalent both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is is indicative of the small China ideology imitating the Chinese order. In the Chinese Confucian cultural area the auspicious birds in the circle were perceived as sunspots, and the sunspots were thought to block the sun. Accordingly, only circles were used to represent solar patterns. Second, type III solar patterns were concentrated in years after Jungjong Banjeong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while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y could be found in Yaksayeoraedo (painting of Bhaisajyaguru) of Jikjisa Temple, and the Japanese flag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auspicious birds in the solar pattern is viewed as the messenger of Providence, flying auspicious birds mean that the providence moves to another place, that is, the king or dynasty will be replaced. As if to prove it, type III appeared after Jungjong Banjeong emphasizing the legitimacy of it,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hen the Joseon China ideology was prevalent arguing that Joseon is the only civilized nation to succeed to the Chinese culture after the collapse of the Ming Dynasty, and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when the end of the Joseon Kingdom was announced and an empire made its appearance. Third, type I can hardly be seen except a few Buddhist paintings in the first and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in the Ilwoldojasu Gasa (monk's robe embroidered with the painting of the sun and the moon), and type II was only expressed in the Yaksasamjon Sipyisinjangdo pai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ypes I and II are not numerous, but it is noteworthy that Buddhist painting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are found in the 15th century when Joseon served Ming externally, but conceived of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order with Joseon at the center while expanding its influence on neighboring countries as well as its royal authority. This study revealed that solar patterns served as a medium of reflecting the times and the world view placing Joseon at the center of the world.

      • KCI등재

        ‘일상’으로 귀환하는 텍스트

        고근영(Ko, Keun-Young)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29 No.-

        일상극이라는 라벨을 달고 등장하는 최근의 연극들이 많은 비평적 도전, 혹은 비난에 직면하는 이유는 철학적 주제로서의 일상성에 대한 고찰이 결여된 채, 일상의 지리한 반복성만을 표피적으로 재현하는데 급급해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무대에서 재현될 가치가 있는, 즉 철학적 각성의 계기를 마련하는 연극적 주제로서의 ‘일상’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찍이 일상을 철학적 대상으로 선포한 바 있는 앙리 르페브르 Henri Lefebvre의 일상론과, 서로간의 긴밀한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내고 있는 스촌디 Peter Szondi와 루카치 Georg Lukács의 현대 연극론 등이 인용될 예정이다. 일상성이라는 소재의 담론적 위상을 고찰한 뒤에는, 실제 이러한 일상성에 관한 소재를 활용해 현대인의 존재 조건을 가장 면밀하고도 적확하게 재현해내는데 성공한 일상극의 전범들―『우리 읍내 Our Town(1938)』, 『외계인들 The Aliens』(2010)―의 면면을 살펴보면서, ‘일상성’이 ‘연극성’과 만나서 이루어내는 흥미로운 효과들, 즉 왜 일상 ‘소설’이나 일상 ‘시’가 아닌 일상 ‘연극’이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포스트드라마 이후, 즉 ‘포스트-포스트드라마’가 담아내야할 가장 이상적인 이야기와 문제의식의 한 경로를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궁극적 목적이다. Dramas labeled as ‘the Theatre of Everyday life’ are facing severe critical challenges as they only focus on representing repetitive daily events in life at the superficial level without serious philosophical consideration to the meaning of ‘everyday life’. Based on a critical awareness of this issue, this paper will examine what ‘daily life’ as a theatrical theme that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moment of philosophical awakening as well as what the mimesis of reality means exactly. To end this, Henri Lefebvre"s analysis of everyday life, which had proclaimed everyday life as a discursive object, and that of Peter Szondi and György Lukács on modern drama, both of which share intimate intertextuality, will be quoted. After examining the discursive status of ‘everydayness’, this paper will also analyze Our Town and The Aliens a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Theatre of Everyday Life’ which succeeded in representing the present condition of modern people most precisely by utilizing the material of everyday life.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e synergy effect generated when ‘everydayness’ meets a form of drama which is bigger than the one generated when it meets any other literary genres.

      • KCI등재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자발화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은정 ( Eun Jung Seo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그 결과를 반영하여 자연발생적인 상황에서 발달지체유아에게 전반적인 교육활동에 필요한 총체적인 개별화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매뉴얼을 제공하여 손 씻기, 소변누기와 식사하기 등의 독립적인 일상활동기술과 그 일상활동기술 수행시 필요한 신체개념과 일상활동 어휘의 자발화를 향상시켜 학교와 지역사회로의 성공적인 완전통합의 가능성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통합환경에서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신체개념과 일상용어와 관련된 어휘의 자발화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재도구는 크게 사정, 교수와 평가의 3단계로 구분되며, 사정양식과 교수계획 등이 포함된 사정과 교수자료의 완벽한 풀 패키지 매뉴얼로 구성된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일상활동행동과 언어행동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를 사용한 결과, 일상활동기술 교수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의 일상활동기술과 목표 일상활동기술 수행시 필요한 신체개념과 일상활동관련 어휘의 자발화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used in the study has been developed to maximize the accessibility to regular education setting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help them identify contextually appropriate verbal behaviors and daily living skills in an inclusive setting.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the study suggested three purposes. First, it was to see if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could improve their independent performances of daily activity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it was to see if the program could help increase the spontaneous verbalization of target words related to their body concepts and daily activity words while they were performing the daily activity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Third, it was to see if their increased independent performance levels of daily activity skills by the program could maintain in the inclusive setting. Two parts of the individualized daily activity skill program, such as the language training and the daily living skill training,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simultaneously trained to verbalize the target words that were used in the instruction of the daily living skills. Then, they were instructed to perform each step of daily living skills in the inclusive setting. In the other word,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verbalize "hand", "elbow", "soap", and "towel" while training washing hands, verbalize "right hand", "mouth" "spoon", and "fork" while training having a meal, and verbalize "finger", "thigh" "pants", and "panty" while training urinating. For example, the students simultaneously verbalized the words "right hand", "mouth" "spoon", and "fork" as performing the steps of having a lunch in a school cafe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improved the independent performances of daily living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setting. Second, the individualized daily living skill program increased their spontaneous verbalization of target words related to their body concepts and daily living words. Their increased independent performance levels of daily activity skills by the program maintained in the inclusive setting.

      • KCI등재

        일상의 문화적 기억과 헤테로토피아 공간의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원더풀 라이프>를 중심으로

        강승묵(Kang, Seung-Moo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1 씨네포럼 Vol.- No.40

        2년 여 넘게 계속되고 있는 미증유의 범유행전염병 사태는 지극히 당연하게 여겨지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낯익음, 익숙함, 진부함 등의 일상성들이 낯섦, 어색함, 생경함 등의 탈일상성으로 전환되면서 삶과 죽음, 현실과 비현실 등의 이항대립이 더욱 극단적으로 대치되었다. 기억의 사회문화적인 (재)구성의 방식도 달라지고 헤테로토피아 같은 새로운 (시)공간의 영역이 창출되기도 한다. 이에 본고는 일상 자체와 일상에 대한 기억하기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주목하면서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원더풀 라이프>의 문화적 기억과 헤테로토피아 공간의 구성방식과 그 함의를 탐구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타이틀과 엔딩 크레디트를 포함한 전체 상영시간 115분 38초 동안에 총 73개의 신으로 구성된 <원더풀 라이프>는 삶과 죽음이 맞닿아 있는 ‘곳’에 모인 22명의 망자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소중했던 추억(기억) 한 가지를 선택’하라는 영화적 전제를 부여하면서 시작된다. 죽음 이후에도 반복되는 ‘또 다른’ 삶의 일상 속에서 망자들은 이승과 저승의 경계인 ‘문’ 안팎의 현실을 환치하고, 삶과 죽음을 가로지르는 일상성을 성찰한다. 그 결과, 그들의 문화적 기억은 죽음 이후에도 반복되는 일상이 야기하는 ‘불안한 요동’에 의해 분절된다. 또한 뉴스나 다큐멘터리의 인터뷰 장면처럼 재현된 문화적 기억 재구성 방식은 삶과 죽음이 상보적임을 은유한다. 삶과 죽음, 이승과 저승, 일상과 비일상,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는 경계의 역할을 하는 건물의 입구(현관, 문)는 <원더풀 라이프>의 대표적인 헤테로토피아 공간이다. 이곳에 들어선 망자들은 면접실, 복도(천창), 마당, 정원, 벤치, 스튜디오 등의 헤테로토피아 공간들에서 자신의 문화적 기억을 재구성한다. 이 공간들은 탈현실적인 죽음의 일상을 반복적으로 재구성해 망자들로 하여금 과거의 삶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특히 욕실(욕조)과 이승의 거리는 삶과 죽음, 일상과 비일상, 현실과 비현실의 관계를 역전시켜 죽음이 영원한 종언이 아니라는 문화적 반기억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대안적인 헤테로토피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원더풀 라이프>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해 일상과 기억, 문화적 기억과 헤테로토피아 공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일상(비일상이기도 한)의 소중함과 기억(망각일 수도 있는)의 중요성을 성찰했다는 점에 연구의의를 두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편의 영화만을 분석대상으로 텍스트분석을 수행한 질적 연구의 한계 또한 명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분석대상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연구방법론을 더욱 정치하게 설계해서 후속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unprecedented COVID-19 pandemic epidemic that occurred more than two years ago has made everyday life, which was taken for granted, not for granted. As dailiness such as familiarity, wontedness, and banality are transformed into unfamiliarity, awkwardness, and unfamiliarity and the binary-oppositions between life and death, reality and unreality are even more extreme. The socio-cultural (re)construction way of memory is changed, and a new domain of (time) space such as heterotopia is created. In this regard, this paper explores the construction way of cultural memory and heterotopia space of <After Life> (Hirokazu Koreeda, 1998).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fter Life> begins by giving the cinematic premise of ‘Choose one of the most precious memory in life’ to 22 dead people gathered in a ‘place’ where life and death meet. In the daily routine of ‘another’ life that is repeated even after death, the dead displace the reality inside and outside the ‘gate’, the boundary between this life and afterlife, and reflect on the daily life that crosses life and death. As a result, their cultural memories are fragmented due to the ‘uneasy disquiet’ caused by daily routines that are repeated even after death. In addition,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memory reproduced like an interview scene metaphorizes that life and death are complementary. The entrance (front door), which serves as a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this life and afterlife, everyday and non-routine, and reality and unreality, is a representative heterotopia space. The deceased reconstruct their cultural memory in the interview room, hallway (skylight), yard, garden, bench, and studio. These heterotopia spaces repeatedly reconstruct the unrealistic daily life of death, allowing the dead to escape from their past lives. In particular, the bathroom (bathtub) and the street of this life can be said to be an alternative heterotopia space that enables the reconstruction of cultural counter-memory that death is not the eternal end by rever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and death, everyday and non-routine, and reality and unreality. This paper selects <After Life> as an research object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life and memory, cultural memory and heterotopia space. I would like to pla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on the fact that it reflected on the importance of daily life and memory.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the limita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performed text analysis with only one film are also clear.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by examining the esearch object in various ways and designing the research methodology more elabor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