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

        손은경(Eun-Kyoung Son),김동례(Dong-R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본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한 유아 인성교육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거주하며, 공 ·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학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님들의 유아인성교육의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가장 높게 인식했으며 관심도 또한 가장 높았다. 전인교육과 유아인성교육의 개념을 같은 맥락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의 이해는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의 유아 인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가정에서도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유아 인성교육의 집중 및 활동분야는 기본생활 습관과 일상생활지도 였으며 이러한 활동은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에서 유아 인성교육의 활동은 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활동정도는 낮은 편이었고 이러한 원인중 하나는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인성교육의 방법과 정보의 부족이었다. 셋째, 유아 인성교육의 부모참여에 대한 필요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부모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교육의 프로그램으로 생활지도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children learn character education situation and the desire of parents to recognize there is a purpose. In D city, the data collected was intended for 170 parents percentage of the frequency analysis SPSS program was performed multiple responses cross-validation analysis, and difference. As a result, first, it has the highest awareness of the need for Children Personality care and education of parents interest also highest. It was the concept of holistic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hildren can see that the same 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hildren education and Personality contents were understood as a whole. Second, these activities were Children Personality to training status could see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are being made in this result assumed concentration of Children humanity education conducted in the home and work areas of daily life guidance and basic lifestyle at home talking It was made through the division. Children correct behavioral models for character education has given the values of the parent as the parent greates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ersonality of children. Third, Children need for parent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made a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in what is the result of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out and it was found that it should be carried out life guidanc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예비사회복지사를 위한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주정 한국코칭학회 2017 코칭연구 Vol.10 No.1

        최근 아동학대 등 인성 부재로 인한 사회문제가 대두되면서 인성교육이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그 문제의 해법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연구적인 차원에서 찾고자 노력 하고 있다. 연구적인 차원에서는 주로 인성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반면, 코칭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인성교육의 실천을 돕기 위해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학습에 적용해 봄으로써 인성을 함양하여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인성교육의 분석과 인성코칭의 이해, 그리고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와 사회복지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 한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인성코칭 학습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이 모형은 범주, 영역, 구성요인, 하위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범주는 크게 ‘개인적 인성코칭-관계적 인성코 칭-공동체적 인성코칭’ 세 가지 핵심코칭으로, 영역은 ‘나-너-우리-세계’로 구성되었다. 이 네 가지 영역은 14개의 구성요인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세분화하여 하위내용으로 정리하 였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humanity education because child abuse has become a major social issue.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is issue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building human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paper suggests supporting a humanity coaching program that focuses on humanistic education for social workers. To apply this humanity program, all students can adjust to the school well, which can lead to improve social welfare-related skills. The humanity coaching program is developed by an analysis of humanity education, an understanding of humanity coaching,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given to the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o the students of social work at various universities. The study shows that this model is structured on a data table that contains category, domain, component, and subdivided content. The content is categorized as personal, relational, and communal humanity coaching, which is based on four domains: first person, second person, third person, and the entire global population. The four domains have fourteen different components with subdivided contents.

      • KCI등재

        육군 훈련부사관의 인성교육 수행과정에 관한 연구

        최석환(Choi Seok-hwan) 국방정신전력원 2018 정신전력연구 Vol.0 No.52

        오늘날 군내 집단 따돌림, 폭행, 총기강력사고, 자살 등의 병영갈등의 문제는 군의 비전투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장차 우리 사회를 책임져 나아가야 할 청년들의 사고방식이나 문화를 퇴행시키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병영갈등 문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지속적 ·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뉴스의 일면에 등장해 화제가 되곤 한다. 군 인성교육제도는 군에서 일어나고 있는 각종 병영갈등의 문제해결에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육군 훈련부사관의 인성교육 수행과정에 관한 이론적 · 실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우선 기존 문헌분석을 통해 인성교육의 개념, 내용, 효과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를 기초로 일반 인성교육과 구분되는 군인성교육의 개념과 특수성을 기술하였다. 또 인성교육에 대한 교육 제도론적 접근의 일환으로 독일, 이스라엘, 미국 등 해외 군 인성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군 인성교육 방법 및 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이론적 · 학문적 분석에 그치지 아니하고 군 인성교육에 참여한 육군 훈련부사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몇 가지 생생한 인성교육 수행 과정 간 문제점을 발견해 볼 수 있었다. 이론적 · 실증적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 군 인성교육은 과거의 그것과는 달리 개인의 정서적 · 신체적 ·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층적 변용 내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인성의 변용 · 치료 등 전문화된 인성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육군 훈련부사관들의 인성교육 수행과정에 관한 역량 강화를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육군 훈련부사관들의 인성교육 수행과정에 관한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 개선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군 인성교육의 개념, 목표 등 군 인성교육의 가치를 명확히 확립하여 체계적인 교육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육군 훈련부사관에 의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종국적으로는 군 인성교육 교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군 교육기관 간 협력 및 민간 전문 교육기관과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Today, conflicts in the Army such as group bullying, assault, firearm accident, suicide, and etc. not only bring about non-combat loss but also marks one area of serious social problem regressing the mentality or culture of young people who have the responsibility to lead our future society. Despite its seriousness, conflict issues have not been dealt or responded appropriately, occurring continuously on a regular basis, being introduced as a topic on a newspaper from time.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system can be the most effective alternative in resolving conflicts of all sorts occurring in the Army. Hence, an attempt was made to conduct a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y on the process of character education of the Army drill sergeant. First, the notion, contents, effect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was made by analyzing the existing literatures. With these as the foundation, the notion of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and its distinctiveness, which is classified differently from general character education, was written. Also, as a part of the education systematic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an analysis of the examples of overseas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such as Germany, Israel, US, and etc. was made to present suggestions for military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nd systemic improvement. Furthermore, in this study, not only were the theoretical and academic analysis made but also in-depth interviews with the drill sergeants who participated in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and through the results a number of problems were found during the process of the lively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putting togeth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need inclusion of content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in-depth transformation or therapy to cover emotional, physical, social issues of individuals. Also, it was found that an enhanced character education process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drill sergeants, thus the need for the specialized character education to incorporate personality transformation, therapy, and etc. As a conclusion, the following improvement directions are suggested for strengthening the character education process of the drill sergeants. First, a clear establishment of military character education value such as its notion, concept, objective, and etc. needs to be established for a structured education system. Secon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led by certain drill sergeants for specialty improvement. Third, in the end, a cooperation among military education institutes and coordination with civilian specialized education institutes are to be actively utilized.

      • KCI등재후보

        인문학을 활용한 대학의 인성교육과정 분석과 개선방향

        이하준,이찬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gram and Curriculum for humanistic education of most Korean universities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improvement. Korean Universities operating humanistic education curriculum generally focus on classics education or human education. In the case of classics education, It is also divided into the classification centered on Western classics, Oriental classics, model from original texts, and interpretation learning model of original texts. Each University aims to humanistic cultivation. but each shows its difference in operating body, curriculum contents and goal of edu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official and unofficial curriculum, respectively. To get outcomes of humanistic education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requested: humanistic classes need to be established independently. It has to be consolidated for connectivity with an existing Curriculum of humanistic education, cooperation of a curriculum expert and humanistic education specialist, desig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by humanistic education expert. Then, evaluation method and special methodology for character education, diversification and dimensionality of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course material according to key-words, combination of curriculum for humanistic education and another course of humanities, redesign related with theory and practice well, and finally procurement of professor resources and support plan need to be improved. 이 논문의 목적은 인문학을 활용한 대표적인 대학들의 인성교육과정의 운영실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인문학에 기초해 인성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대학은 고전교육 중심, 인간학 중심의 인성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전교육의 경우는 다시 서양고전 중심과 동양고전 중심, 원전 텍스트 발췌중심과 재해석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대학들은 각각 인성함양이라는 교육목표를 구현하려고 하지만, 운영주체, 교육과정 편성의 목적설정과 운영 및 내용, 비교과 인성교육의 연계 등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인문학을 활용한 인성 교육과정이 더 나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독립된 인성교과목의 신설과 기존의 인문학을 활용한 인성교육과정과의 연계성 강화, 인성교육전문과 교육과정전문가 그리고 인문학 전문가에 의한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인문학 활용의 인성교육을 위한 특화된 교수-학습방법론과 교육효과 측정도구의 계발, 인성교육과정의 다변화와 입체화, 인성 키워드를 활용한 교재계발, 일반 인성교육과정과 인문학을 활용한 인성교육과의 유기적 결합, 이론중심과 실천지향적 인성 교육과정과의 관계 재설계, 마지막으로 전문교수요원들의 확보가 요구된다.

      • KCI등재

        사회과 인성교육 개념 및 요소에 대한 탐색

        은지용 ( Ji Yong 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교과의 본질적인 성격과 목표에 부합하면서도 국가·사회적 과제로 부각된 학교 인성교육 강화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데 있다. 즉, 본 연구는 사회과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사회과 인성교육의 본질적 의미,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인성 관련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추출·선정하고, 인성교육 핵심요소들이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 과정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교육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논리적 틀을 제공하며, 나아가 사회과 인성 교수·학습의 기초적인 원리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삼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인성교육은 사회적 맥락과 실천을 강조하는 사회 교과의 성격을 고려하여 공동체 생활의 유지 및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시민적 ‘가치·덕목’을 기반으로 하되, 공동체 생활에서 발생하는 인성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행동 실천을 강조하는 ‘인지·행동적 인성요소’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인성 교육 관련 국내외 학자 및 단체가 제시한 인성요소,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인 교육과정 총론과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반으로 인성교육 요소들을 추출한 후, 교과 본질 준거와 사회적 요구 준거를 기반으로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선정하였다. 즉, 교과 본질 준거와 사회적 요구 준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의’, ‘인권’, ‘공감’, ‘관용’, ‘참여’, ‘갈등해결력’, ‘문제해결력’ 등 7가지를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로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로 추출·선정된 ‘인권’, ‘정의’, ‘관용’, ‘공감’, ‘참여’, ‘갈등해결력’, ‘문제해결력’ 등의 개념 및 의의를 고찰한 후, 사회과 인성교육의 주요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인성교육 핵심요소를 연계시켜 고찰하였다. 특히 사회과 인성교육 핵심요소는 상호 배타적으로 각 핵심요소와 관련된 학습요소에 단선적으로 연계되기보다는 일련의 사회과 수업 과정 속에서 밀접히 상호 연계될 수 있으며, 연계되었을 때 보다 의미 있는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theoretical basis for providing a measure that is consistent 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social studies, and with which we can respond flexibly to the requirement for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 which has got prominent as a social task. That is to say, for the sake of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takes it as its significance to extract and select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ts relation with curricula,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related to personality etc. entirely,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logical framework for how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are systematically incorporated into the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o exert educational effects, and furthermore to offer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personality in social studies. The contents of the work carried out to attain such goa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s defined as a concept that is based on social and civic ``values and virtues``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but also subsumes ``cognitive and behavioral personality elements`` that emphasize active engagement and practice for the sake of solving personality related problems occurring in community life. Second, after extracting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elements present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organizations,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 curricular document in the national level, an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is paper selects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s of the subject`s nature and social requirement. That is to say, considering the references of the subject`s nature and social requirement entirely, this paper finally selects ``justice,`` ``human rights,`` ``sympathy,`` ``tolerance,`` ``participation,``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as 7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uman rights,`` ``justice,`` ``tolerance,`` ``sympathy,`` ``participation,``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this study discusses main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connection with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focusing on curricular contents. In particular, rather than being linearly connected with learning elements related exclusively to each other, the core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an b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course of social studies classes.

      • 우리 고전속의 인성교육 고찰

        조진연 ( Jin Yean Cho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5 사회복지경영연구 Vol.2 No.1

        그동안 우리나라의 학교교육이 입시위주의 교육과정 운영과 경쟁위주의 선발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인성교육이 등한시되어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비롯하여 교사의 권위가 추락하는 등 여러 사회적 병폐가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4년 12월 29일 ‘인성교육진흥법’이 법률(제13004호)로 제정되어 공포되 기에 이르렀으며, 2015년 7월 21일부터는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률에서 인성교육의 목표가 되는 것으로는 ‘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등의 덕목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성교육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자소학』과 율곡의 인성교육론 및 다산의 인성교육론을 고찰해보고, 우리의 고전 속에서 인성교육의 실천적 지침을 찾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우리 고전의 인성 교육론을 살펴보고 현대적인 의미의 인성교육에 접목하고자 하였지만, 본 연구는 연구자의 주관적인 입장이 포함되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보편적으로 보기에는 미흡한 점과 제약이 있음을 밝혀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고전 속에는 취학 전의 어린 시기에 인성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상기시켜주고 있으며, 효도와 가정교육이 인성교육의 기본임을 일깨워주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수신(修身)에 대한 교육, 즉 꿈과 독서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음을 고찰한 것도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Meanwhile, our country is on the schooling education center consists of a selection-oriented and competition-oriented curriculum can not be denied entrance. This is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neglected, including school teachers of youth violence in various social ills such authority that falls is emerging as a problem. December 29, 2014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Law" enacted into law (Article No. 13004) had come to be fear, July 21, 2015 Beginning with the nationa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middle, and able to carry out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s It was. This is to be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virtues of such a law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effectiveness, honesty, responsibility, respect, car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o try the "Lion elementary" and character of the fertility of the Yulgok Education Education and toughness can be called a classic character education in our country, it was to find a practical guideline want from our classics of character education in our research through Although the classic look of toughness Education to incorporate character education in the modern sense, this study has included a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reveals that there are insufficient points and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limitations universally.

      • 쉐마교육 관점에서 본 한국 인성교육의 딜레마와 과제

        김지자 ( Chi Ja Kim ) 쉐마교육학회 2010 인성과 쉐마 Vol.1 No.1

        오늘날 우리사회의 구석구석에는 공의와 도덕이 점차 사라지고 비리와 부정부패 그리고 반인륜적인 형태가 만연하고 있어 우리의 인성교육에 대단한 반성이 촉구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수직문화적인 인성교육의 전통적인 뿌리가 약해지면서 수평문화의 꽃만을 무성하게 피우고 있는 현실로서, 교육이 국력의 신장과 더불어 국격을 아울러 키워갈 수 있도록 균형 잡힌 인성교육을 제대로 실시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빚어지고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 한국의 인성교육이 당면한 문제를 인성교육의 딜레마란 관점에서 밝혀보고, 새로운 인성교육의 방향 정립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대인의 자녀교육과 한국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보고서와 서적들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의 주요 덕목이라 할 수 있는 이상적인 인성의 요소들을 우리의 전통교육과 성경적인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우리의 인성교육의 바람직한 목표와 방법을 인성교육의 표본이라 할 수 있는 유대인들의 쉐마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oday the Korean society is in critical situations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Injustice, corruption and inhumane phenomenons are prevailing every coner of the society while the righteous and moral conducts are disappearing rapidly. We could infer these social phenomena as the result of the weakening of traditional root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vertical culture while the blooming of the peripheral, instant, horizontal cultures affect the mode of life to more immoral and undesirable directions. This study was made as an attempt to find some clues for the Korean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Shema Education by analysing various facets of Character education problems, and dilemmas that the Korean society possesses. The study was basically done by literature review and some personal observations were added.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 및 인성발달 수준과 요구도 분석

        성명희 ( Myung Hee Seong ),김은주 ( Eunjoo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성별, 연령, 학년, 전공별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인성발달 수준을 조사하고 인성교육의 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E대학교 교양교과목 ‘인성세미나’ 수강학생들 16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과 인성발달 수준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들의 인성교육의 중요성 인식은 존중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 연령, 학년에 따른 인성교육의 중요도 점수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년을 제외하고 전공에 따라서 집단 간 인성교육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례지도학과와 유아교육학과가 다른 학과에 비해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은 존중 덕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성별, 연령, 전공, 학년별 인성발달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인성발달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25세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년의 경우,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의 경우, 중독재활복지학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식품산업외식학과의 인성발달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의 인성교육의 요구도 및 요구 순위를 분석한 결과 성실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고 예절이 가장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This study explores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and analyzes their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eir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8 students in the general elective course named ``Personality Seminar`` in E University. PASW Statistics 18.0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 analysis of collected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respect among the items of virtue was shown the highest in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Second,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turned out that major is the only factor that showed group differences.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was shown higher in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Mortuary Science and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ared with other majors. Third, among the items of virtue, respect was ranked the highest in the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Four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development based on gender, age, school year and major of college students turned out that male students gained higher marks than female students in personality development. As for age, the group of students aged above 25 gained the highest marks, and as for school year, the fourth year students gained the highest marks. As for major,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ddiction Rehabilitation and Social Welfare gained the highest marks, and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and Services gained the lowest marks in personality development level. Fifth, the results of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demand for personality education and its priority showed that sincerity was ranked first and manners were ranked last.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직업인성역량에 관한 연구

        김정민 ( Kim Jung-min ),홍아정 ( Hong Ah-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예비 직업인인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보편적 인성과 함께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직업인성역량의 정의와 역량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 분석 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직업인성역량의 정의 및 하위역량 초안을 작성하였다. 도출된 직업인성 정의와 직업인성역량의 타당도는 기업 인사담당자 12명, 대학 취업담당자 10명을 델파이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2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된 직업인성의 정의 및 하위역량은 수렴도, 합의도, 내용타당도, 긍정률 등을 통해 검증한 후 검토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및 보완을 거쳐 최종 확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인성역량은 직업인으로서 건강한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을 위해 필요한 인성역량으로 개인, 관계, 민주시민사회 영역을 통해 나타나는 가치와 태도로 정의되었다. 둘째, 직업인성역량은 최종적으로 3개의 대영역(개인영역, 관계 영역, 민주시민사회 영역)과 1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예비 직업인의 직업인성역량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직업인성역량의 정의와 하위역량을 도출한 것은 직업인성에 대한 합의점을 갖고 이를 갖춘 인재를 양성·채용 하는데 있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nd to clarify the work personality competency and the universal character, which college students, who are pre-workers, are required to possess in order to perform their jobs in the future. To conduct the research, the draft of the definition and sub-areas of the work personality competency was developed through the expert consultation after the literature analysis. The validity and the definition of work personality were tested with two Delphi surveys, with selected 22 experts. Among those experts, 12 panels are currently in charge of corporate HR and ten panels are from in college employment support system. The definition and the competencies of the composed work personality were verified through convergence, consensus, CVR, positive rate and affirmative rate,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rk personality competency is classified as the value and the attitude through personal, relational, and democratic civil society areas and as a human personality necessary for a healthy personal and social life as a worker. Second, work personality competency is composed of three major areas(i.e. personal, relational, and democratic civil society areas) and 19 sub-areas. Since there has been only little research conducted on work personality competency of pre-workers, this study is highly significan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cultivating and employing talented people with agreed work personalty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work personality competency and its sub-areas.

      • KCI등재

        논문(論文) : 인성교육진흥법의 내용과 쟁점 논의

        박혜경 ( Hye Kyung Park ) 대한교육법학회 2015 敎育 法學 硏究 Vol.27 No.3

        많은 기대와 논란 속에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성 역량을 키운다는 취지로 시행된 인성교육진흥법이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성교육진흥법』의 쟁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쟁점은 인성교육의 핵심가치, 인성교육의 기준과 방법, 예산편성, 인성교육진흥위원회 설치, 평가 등이다. 그 결과 첫째,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인성교육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인성교육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의 기회 균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 및 지자체는 농어촌 및 도서벽지 지역에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교육권의 실현을 위해 교육주체들의 다양한 참여와 소통창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as implemented in the much anticipated and controversial. But the future society needs to raise the capacity toughness Education Promotion is conducted in the spirit but need a discussion on some of the issues in order to achieve tha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ning legal issues to enhance the toughness capability. The issues are the core values of character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tandards and methods, budgeting,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committee, evaluation, etc. The result first, to ensure the right to education of students toughness training shall be conducted for all students. Second,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shall be operated as part of the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 learning environment for character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islands wallpaper. Fourth, it should provide a variety of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unter subject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