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사료를 이용한 네눈쑥가지나방(Ascotis selenaria)(나비목: 자나방과) 실내 사육법

        최경산,박영미,김동순,Choi, Kyung-San,Park, Young-Mi,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1

        본 연구는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인 네눈쑥가지나방의 실내 사육용 인공사료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인공사료의 주 재료로 옥수수와 메주콩을 조합한 사료에서만 정상적으로 발육하였으며, 옥수수와 메주콩의 전체 함량이 높은 사료에서 유충 생존성이 높았다. 효모와 콜레스테롤을 인공사료에 첨가하였을 때, 유충 발육기간은 짧아지고, 생존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육기간, 누적 생존율, 산란량에 차이는 인공사료와 감귤 잎을 먹은 개체들 간에 없었다. 최종적으로 네눈쑥가지나방 사육에 최적인 인공사료 조성은 물 1 L당 한천 25 g, 옥수수 100 g, 메주콩 100 g, 효모 30 g, 콜레스테롤 0.5 g, 비타민혼합물(Vanderzant vitamin mix.) 2 g, 염혼합물(Wesson's salt mix.) 2 g, 소르브산 2 g, 메틸파라벤(methyl-4-hydroxybenzoate) 2.5 g, 아스코르브산 2 g이었다. 사육법으로 유충은 플라스틱 원형용기(${\varphi}90{\times}40$ mm) 안에서, 갓 부화 유충부터 4령까지는 40마리씩 집단으로, 5령과 6령은 개체별 사육하였다. 성충들에는 10% 설탕물을 먹이로 하여 플라스틱 상자 안($25{\times}25{\times}25$ cm)에서 암컷 3마리와 수컷 5~6마리가 교미하도록 했고, 난괴는 거즈(눈 크기 1 mm)를 붙인 기름종이에 받았다. 기타 인공사료로 사육한 네눈쑥가지나방의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artificial diet for the mugwort looper, Ascotis selenaria (Lepidoptera: Geometridae), which is an insect pest to leaves of citrus (Citrus unshiu). Corn and soybean powder were selected as main nutrient sources for larvae of A. selenaria after several diets consisted of wheat germ, corn, kidney bean and/or soybean were tested for larval development and survival. A higher amount of the main nutrients in the diet increased the larval survivorship. Addition of yeast and cholesterol in diet increased the larval survivorship. Finally the composition of diet was decided as followings; corn 100 g, soybean 100 g agar 25 g, Brewers' yeast 30 g, cholesterol 0.5 g, Vanderzant vitamin mixture 2 g, Wesson's salt mixture 2 g, sorbic acid 2 g, ascorbic acid 2 g, and methyl-4-hydroxybenzoate 2.5 g, and distilled water 1 liter. Development periods of larvae and pupae, survival rate and fecundity of A. selenaria reared on the die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on the host plant, citrus leaves. Larvae of early instars were reared in a group, while larvae of later instars (5-6th) were reared individually. Adult mating was conducted in a plastic cage and an oilpaper covered with a gauze was provided as an oviposition site.

      • KCI등재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L.)] 사육을 위한 경제적 인공사료 개발

        이승욱,이동운,추호렬,Lee, Seung-Wook,Lee, Dong-Woon,Choo, Ho-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본 연구는 꿀벌부채명나방의 경제적 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격이 비싼 벌꿀을 대체하여 물엿과 설탕을 이용한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의 발육과 발육기간 및 산란수, 성충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당 종류별 유충의 두폭과 체장은 비슷하였으나 체중은 1/2벌꿀 + 1/2물엿 처리가 255.5 mg으로 가장 무거웠고, 설탕은 144.3 mg으로 가장 가벼웠다. 꿀벌부채명나방 번데기의 체중도 1/2벌꿀+1/2물엿이 196.7 mg으로 가장 무거웠다. 당 종류별 꿀벌부채명나방의 유충 발육기간은 벌꿀이 포함된 사료가 30.9일로 가장 짧았으며 설탕은 36.5일로 가장 길었다. 꿀벌부채명나방의 용화율과 우화율은 79.3% 이상이었다. 모든 사료에서 꿀벌부채명나방의 교미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6.3{\sim}8.0$일이었고, 수컷은 $7.9{\sim}11.2$일이었다. 사료별 꿀벌부채명나방 암컷 성충의 산란수는 설탕물 첨가 사료에서 1,269개로 가장 많았다. 당 종류별 인공사료 조성에 대한 비용은 밀기울이 쌀겨보다 10배 정도 많았으며, 벌꿀은 물엿과 설탕의 6배와 13배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velop economical artificial diets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L.). Diets were mixed with malt or sugar instead of whole honey for cheaper ones. fecundity, developmental period, pupation rate, emergence rate and adult longevity of G. mellonella depending on diet were examined. The head width and length of larva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s tested. However, the weight of larva was the heaviest, 255.5 mg, at 1/2 honey + 1/2 malt diet and lightest, 144.3 mg, at sugar diet. The weight of pupa was also the heaviest at 1/2 honey + 1/2 malt representing 196.7 mg. Larval period was the shortest at honey diet as 30.9 days but the longest at sugar diet as 36.5 days. Pupation and emergence rates were over 79.3% at all diets. The longevity of mated females was ranged from 6.3 to 8.0 days and those of mated males ranged from 7.9 to 11.2 days. The highest number of eggs, 1269, was obtained at sugar diet. Artificial diets replaced by rice bran, malt, and sucrose reduced costs compared with wheat bran plus honey diet. The cost of rice bran was only 10% of wheat bran. Honey was much more expensive than malt and sugar, that is 6 and 13 times, respectively.

      • KCI등재

        인공사료로 사육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Mythimna loreyi ) (밤나방과)의 발육과 생식 특성

        김은영,김이현,정진교 한국응용곤충학회 202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1 No.3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밤나방과) 유충 사육을 위해 이전에 개발된 두 인공사료(N4와 N6)가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Mythimna loreyi)(밤나방과) 사육에도 적합하였다. 실험실 조건[25°C, 15:9 h (명:암) 광주기]에서 알기간은 4.9–5.2일, 유충기간은 22.3-23.2일로두 사료 집단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 집단 내에서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약 12.6-12.8일, 수컷이 14.1–14.5일이었고, 번데기 무게는 암컷이 약 345 mg, 수컷이 약 380 mg로, 암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충의 용화율과 용의 우화율은 각각 91-94%와 91-95%로 두 사료집단 사에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충 산란전 기간은 3.4일, 산란기간은 약 4.7-4.8일 이었다. 성충 수명은 암컷이 8.2일, 수컷이 10.3-12.4일로 수컷의 수명이 길었다. 암컷당 부화한 총 자손 수는 724-847마리였고, 최대 약 1,400마리였다. 생명표 분석에서 개체군 내적자연증가율(N4 집단 0.1181, N6 집단 0.1253)은 두 사료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 사료집단 내에서 유충 영기가 5령 혹은 6령까지 발육하는 개체변이가 발견되었다. N4 사료집단의 5령 개체 비율(약 22%)은 N6 사료집단의 5령 개체비율(약 7%)보다 높았다. 6령 개체들의 평균 유충기간이 5령 개체들보다 더 길었다. 유충의 영기별 두폭은 1령의 약 308 μm부터 6령의 약 3,065 μm까지, 몸길이는 1령의 약 2.0 mm부터 6령의 약 29.1 mm까지 측정 되었다. 2020년 6-7월 중에 옥수수 포장에서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유충이 동속종인 멸강나방(M. separata) 유충과 함께 발견되었다.

      • KCI등재

        인공사료를 이용한 뒷흰가는줄무늬방나방(Mythimna loreyi) (나비목: 밤나방과)의 효율적인 대량 사육 방법

        백성훈,김은영,정진교,박창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2 No.4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트랩에 지속적으로 상당수 유인되는 있는 비래해충이지만, 국내에서 뒷흰가는줄무늬 밤나방에 대한 정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향후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에 대한 다양한 연구 진행을 위해서는 대량사육에 관한 선행연구가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 대량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2종의 개별 및 조합 공급과, 집단 또는 개체사육이 발육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나방류 사육용 2종의 인공사료에 대한 발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제공시 유충은 높은 생존율과 빠른 발육을 보였으나, 번데기 무게는 감소하였다. 2종 인공사료 간 산란수에는 유의한(P < 0.05) 차이가 없었다. 집단사육은 개체사육에 비해 유충의 빠른 발육과 번데기 무게 및 생존율 감소를 야기하였다. 또한, 먹이와 사육 방법에 따라 암컷과 수컷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다. 뒷흰가는줄무 늬밤나방의 대량 사육을 위해서는 부화 직후 검거세미밤나방 인공사료를 이용해서 집단 사육한 후, 2령 혹은 3령 이후에는 개체사육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A lot of individuals of Mythimna loreyi have been attracted to the sex-pheromone traps of Spodoptera frugiperda during recent few years.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is pest. Thus, an efficient mass-rearing method of M. loreyi is demanded to study this pest.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artificial diets and rearing methods on its larval development and oviposition to suggest an efficient mass-rearing method of M. loreyi. Between S. frugipera and Agrotis ipsilon artificial diets, A. ipsilon diet showed more rapid larval development with higher survivorship, and decreased pupa weights and oviposition numbers compared to S. frugipera diet. Moreover, a grouping rearing caused more rapid larva development, decreased pupa weight and survivorship compared to an individual rearing. Therefore, for mass-rearing of M. loreyi, it is considered efficient to rear the newly emerged larvae in groups using A. ipsilon artificial diet and then rearing them individually after second or third larval stadium.

      •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Orthoptera: Gryllotalpidae)의 생물학적특징과 인공사육에 관한 연구

        김원기,이영보,이진구,이상현,박영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메뚜기목 땅강아지과에 속하는 땅강아지 Gryllotalpa orientalis (Orthoptera: Gryllotalpidae)의 생물학적 특징 구명 및 인공사육을 위해 야외에서 300여 개체를 채집하여 25±2℃, 65±10%RH, 16:8LD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월동을 마친 암 컷의 산란전 포란 기간은 평균 35.5일이 소요되었으며, 월동개체의 수명은 평균 85.0일로 조사되었다. 땅강아지의 산란수는 평균 55.2개, 산실당 평균 35.7개로 조 사되었다. 사망률은 부화 직후 20.3%이며, 2령 10%, 3령 18%, 4령 20%, 5령 12% 로 조사되었다. 산란된 알의 크기는 평균 1.5×1.2mm이었고 부화기간은 평균 18.5 일이 소요되었다. 약충의 평균 발육기간은 1령 12.9±1.3, 2령 9.3±0.6, 3령 8.5±2.9, 4령 15.8±1.9, 5령 19.3±5.7, 6령 16.8±2.2, 7령 21.4±2.7, 8령 23.6±4.8일 이었고, 합계 116.9±11.5일로 조사되었다. 부화 후 100일까지 각각의 온도에서 발 육한 땅강아지의 체장 및 령기(Instar)는 21℃에서 1.7±0.1cm(6령), 25℃에서 1.9±0.1cm(6.7령), 27℃에서 2.4±0.4cm(7.8령)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사료는 밀배 아(66.1%)를 주성분으로 카제인(18.4%), 염류(5.9%), 소르빈산(1.5%), 메틸파라 벤(0.7%), 비타민(7.3%)등을 혼합하여 제작하였다. 인공사료에 파리번데기 체액 을 0~20%로 다르게 첨가하여 사육한 결과 발육기간과 사망률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인공사료의 생존률은 평균 89.2%로 자연사료만 섭식한경우인 36.1%보다 높았다.

      • 수종의 엽채류 및 인공사료에 대한 누에계통의 섭식성 비교

        장창식,설광렬,이호웅,이상몽,박상봉,황재삼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다변량 분석법중 주성분 분석을 이용, 4종의 인공사료 (AD-1 ~AD-4) 및 4종의 엽채류(양배추, 상치, 배추, 쑥갓)에 대한 누에의 섭식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섭식대상물에 대한 누에의 섭식성은 AD-2 인공사료에 대해 가장 높았고 배추 및 쑥갓에 대해서는 가장 낮았다. 대체로 인공사료들에 대한 누에 섭식성의 상호간에 상관관계가 높았고 인공사료와 엽채류에 대한 누에섭식성간에는 낮은 상관을 보였다. 누에섭식성의 주성분 분석결과 제1 및 제2의 2개 주성분에 의해 전정보량의 62%가 해석가능하였고, 제1 주성분은 "광식성 주인자", 제2 주성분은 "광식성 보조인자"로 규정가능하였으며, 이것들은 육종재료의 섭식성 평가에 매우 유익하게 사용되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feeding responses of the silkworm to 4 kinds of artificial diets(AD-1, AD-2, AD-3 and AD-4) and of vegetables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Lactuca sativa, Brassica pekinensis and Chrysanthemum coronarium). The feeding response of silkworm to AD-2 artificial diet was higher than the others, but those to B. pekinensis and C. coronarium were lowest among those of the feeding materials tested. The each feeding response of silkworm to AD-1, AD-2, AD-3 and AD-4 artificial diets showed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m.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the feeding responses to the eight feeding materials could account for about sixty two percent of the original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were characterized as factors related to "polyphagous major feeding habit" and "polyphagous minor feeding habits", respectively. The silkworm breeding materials with a higher Z₁score will be more useful as a basic breeding source for breeding of common polyphagous silkworm F₁hybrid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breeding materials of the silkworm in future.

      • KCI등재

        인공사료를 이용한 칠성풀잠자리붙이의 사육

        최만영,이종진,이건휘 한국응용곤충학회 199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8 No.1

        진딧물류의 천적인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 Ramber)를 계란의 난황, 효모가 수분해물, 맥주효모 또는 Vanderzant의 비타민 혼합물, 설탕과 벌꿀 또는 설탕, 카세인가수분해물, 콜레스테롤로 구성된 인공사료를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인공사료의 조성에 따라 1령유충부터 사육한 결과 20~70%가 정상적인 성충으로 자랐으며, 사육성적이 가장 뛰어났던 인공사료를 성충에 먹였을 때 230개의 수정란을 36일간에 걸쳐 산란하였다. 복숭아진딧물의 비지질성분이 지질성분보다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발육에 영양원면에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n aphid predator, Chrysopa pallens Ramber, was reared on the artificial diets containing chicken egg yolk, yeast hydrolysate, brewer's yeast or Vanderzant's vitamin mixture, sucrose andlor bee honey, casein hydrolysate, and cholesterol. On these diets, 20.0 to 70.0% of the 1st instar larvae developed to apparently normal adults depending on diets used. The adults fed on one of these diets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laid 230 fertile eggs for her 36 days of adult life span. The nonlipid part of the aphid, Myzus persicae Sulzer was thought to be nutritionally more important than the lipid pa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lacewing.

      • SCOPUSKCI등재

        인공사료의 지질 및 탄수화물함량에 따른 칠성풀잠자리붙이 체내 지질합성 활성

        최만영,이건휘,이희권,이종진 한국곤충학회 1998 Entomological Research Vol.28 No.3

        칠성풀잠자리붙이의 인공사료 섭취량 측정과 먹이중 탄수화물 및 지질 함량에 따른 체내 지질합성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방사성동위원소($^{14}$ C-sucrose)를 이용하였으며, 먹이 섭취후의 글리코겐, 지질, 단백질에 표식되는 동위원소의 선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령 탈피 직후의 유충의 경우 먹이공급 후 2시간내에 3${\mu}\ell$을 섭취하였고, 그후 4시간이 더 경과할 때까지 섭취한 먹이의 양은 아주 소량에 불과하였다. 먹이공급 후 6시간 이후의 칠성풀잠자리붙이 충체내 RI(Radioisotope)활성의 80%가 당에서 검출되었고, 단백질과 지질에서 각각 10%정도가 검출된 반면에 글리코겐에서는 6%정도만 검출되었다. 인공사료중 탄수화물의 함량이 맡을수록 그리고 지질함량이 적을수록 체내지질에 표식되는 방사선량은 많았다. Radioisotope ($^{14}$ C-sucrose) was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an ingested artificial diet by a green lacewing, Chrysopa pallens Ramber, and the effect of the dietary contents of carbohydrate and lipid on the synthetic activity of total lipid were measured using $^{l4}$C-sucrose included in diets. The radioisotope incoporated into glycogen, lipid, and protein were measured 6hr after diet ingestion. A newly ecdysed 3rd instar larvae ingested approximately 3${mu}ell$ of the artificial diet within 2hr after food supply, then ingested slight amount for further 4hr. The radioisotope was distributed ca. 6% in glycogen, 80% in carbohydrate, 10% each in protein and lipid fractions 6hr after food ingestion. The $^{14}$ C-labeled lipid content in the green-lacewing body were higher with higher carbohydrate contents and with lower lipid contents in test diet.t.

      • KCI등재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칠성풀잠자리붙이 인공사료 개발

        최만영,이건휘,백채훈,이종진 한국응용곤충학회 200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9 No.2

        소간냉동건조분말, 누에번데기냉동건조분말, 수벌가루를 각각 첨가하여 만든 인공사료들을 이용하여 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 pallens(Rambur))를 사육한 결과 누에냉동건조분말을 1% 수준으로 첨가한 먹이에서만 효율이 증대되었으며, 유충발육기간이 15.6$\pm$0.99일, 고치무게가 $16.4\pm$2.94mg, 성충까지의 생존율이 89.3%로 나타났다. 또한 소간냉동건조분말, 소고기냉동건조분말, 달걀냉동건조분말 그리고 설탕을 각각 4/4/3/4의 비율로 놓고 비타민 C와 Vanderzant의 비타민 B 혼합물을 각각 50mg씩 넣은 먹이로 칠성풀잠자리붙이를 사육한 결과 유충발육기간이 $12.7\pm$1.45일, 고치무게가 $18.1\pm$2.24mg, 성충까지 생존율이 100%fh 나타났으며, 산란 시작후 20일간의 산란수가 $633\pm$70.4개에 달해서, 이 인공사료를 이용한 칠성풀잠자리붙이의 대량사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een lacewing, Chrysopa pallens (Rambur), was reared on artificial diets supplementedwith natural products such as lyophilized beef liver, silk worm pupae powder and drone honey beepowder. The performance of the green lacewing was improved siginificantly on only the diet to whichadded 1 % of silk worm pupae powder (wt/v). Larval developement was completed in 15.6 f 0.99 days,cocoon weight was 16.4f2.94 mg, and suvival to adult was 89.3% at 27$^{\circ}$C. And another diet made bymixing 4 part of lyophilized beef liver powder, 4 part of lyophilized beef powder, 3 part of lyophilizedchicken egg, 4 part of sucrose, and 50 mg each of vitamin C and Vanderzant's vitamin B mixture waspromising. Larval development of the green lacewing on this diet was completed in 12.7 f 1.45 days at27"C, pupal weight was 18.1 f 2.24mg, suvival to adult was loo%, and 633f70.4 eggs were laid in 20days after beginning of oviposition.ginning of oviposition.

      • KCI등재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의 생식행동과 성페로몬샘 구조

        정창훈,부경생 한국응용곤충학회 199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6 No.4

        우리나라 사과나무 잎의 주요해충인 사과굴나방(Phyllonorycter ringoniella)의 발생예찰을 위한 성페로몬조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들의 인공사료 개발가능성, 생식행동, 성페로몬샘의 구조 및 성페로몬성분을 분석하였다. 사과굴나방 유충을 위한 인공사료를 다각도로 검토하였었지만 거의 돌아다닐 수 없는 1령유충에 인공사료를 어떻게 잘 공급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와 미생물의 오염을 극복하는 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사과굴나방 암컷들의 산란에는 사과잎 추출물이 유인효과가 좋았으며, 산란기질로 사용하는 종이의 재질에 따른 차이는 별로 없었다. 성충들의 유인 행동과 교미는 불이 켜진지 30분 이내에 가장 왕성하였으며, 우화 후 3-4일 된 성충들의 교미율이 가장 높았다. 성페로몬샘은 성충 암컷 복부의 8번째와 9번때 마디 사이에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GC-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암컷 복부의 8번째와 9번째 마디 사이에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었으며,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GC-mass spectrometry를 이용해 암컷 복부 추출물을 분석해 본 결과 (E, Z)-4, 10-tetradecadienyl acetate가 성페로몬의 주성분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Z)-10-tetradecenyl acetate로 예상되는 물질이 탐지되었으나, 정확하게 확인할 수 는 없었다. The apple leafminer, Phyllonorycrer ringoniella (Lepidoptera: Gracillariidae), is the most important pest on apple leaves and is not easy to be controlled with insecticides because of leafmining habit of its larva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 artificial diet for mass rearing of the moth, and to look at their reproductive behavior. For developing an artificial diet the problem of diet contamination with microorganisms and how to supply artificial diet to first instar larvae have to be solved first. Artificial oviposition trial was successful with shadowy bottomside of various papers sprayed with apple leaf extracts. The highest activity of both calling and mating was observed within 30 min. after the onset of photophase and 3- to 4-day -old adults showed the highest mating rate. A ring-shaped sex pheromone gland was found at the intersegmental membrane between the 8th and 9th abdominal segments of the female. (E, 2)-4,lOtetradecadienyl acetate was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nent from the femall gland extracts by the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Additionally it was thought that (a-10-tetradecenyl acetate could be the second component of their sex pherom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