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황정미(Hwang Jung-Mee)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최근 국제결혼이 급증함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정책연구 및 사례연구들 또한 양산되고 있는 반면, 이주의 여성화라는 큰 맥락 안에서 결혼이주 현상을 분석하는 이론적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위해 이 글에서는 이주의 여성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관계 등 개념을 검토하고,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전지구적 맥락과 한국의 가족의 변화를 연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주의 여성화를 전지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개념으로 글로벌 케어 체인(global care chain)과 생존의 여성화(feminization of survival)를 검토해 보면, 지구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제3세계 경제가 취약해지고 생존을 책임지게 된 여성들이 열악한 조건의 이주를 감수하게 된다고 설명하는 후자의 개념이 한국의 결혼이주 급증 현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배경이 된다. 남성의 하향혼, 여성의 상향혼 선택이 교차하는 국제결혼 가정에서는 한편으로 가부장적 억압이 강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반면 남성 가장의 생계부양 기능이 약화될 경우 실제로 가족관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는 양면성이 나타난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많은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직 사적 가족에만 소속되는 이주 경로의 취약성은 그대로 남아있다. 결혼이주와 노동이주를 ‘이주의 여성화’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보고, 여성 시민권의 공식적, 비공식적 차원을 함께 사유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Recently, case studies and policy reports on marriage migration in Korea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In regards of theoretical reflection of marriage migration and cross-border marriage, we need wider perspective which can connect global tendency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Korean experience of migration. In this article, I examine two concepts of ‘global care chain’ (Hochschild)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Sassen) to find out some theoretical points to link global context of women’s migration toward Korean case of rapid increase in marriage migrants. The tendency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s very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sian women who enter into Korea as wives of Korean men in spite of language barrier, cultural difference, and even the possibility of unstable marriage life such as poverty, divorce and domestic violence.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change, increasing cross-border marriage meet current tendencies of diverse families in its form and scale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last decade. Marriage migrant women are often described as the ‘victim’ of oppressive patriarchy, but I think they are located on the ‘contradictory’ position with the possibility of their resistance against family control. The project of patriarchal family which try to reinforce male hierarchy through downward marriage with women from ‘under-developed’ countries can be seriously injured if male-breadwinning fails. I think current state of marriage migration in Korea is an example of very unstable, irregular form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spite of diverse policy measures which provide language program for foreign wives, the mode of belonging for these women in host society before naturalization are still unstable, as only ‘private’ wives of Korean men in private family without any ‘public’ status.

      • KCI등재

        동아시아 맥락에서의 돌봄레짐 변화와 이주의 여성화

        이현옥(Lee, Hyunok)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0

        전통적인 이주의 목적지로 여겨지던 유럽과 북미 등과는 달리, 동아시아 몇몇 국가들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새로운 이주의 목적지로 떠올랐다(Castles & Miller, 2009). 이는 이들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급속한 경제발전의 결과이자, 동시에 아시아 지역 내 불균등한 경제발전(uneven development)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주의 여성화 논의에 등장하는 많은 사례들이 아시아에서 유럽과 북미로의 여성이주노동자들을 다루고 있다. 반면, 아시아 역내에서 동아시아 지역으로의 이주 패턴을 살펴보면, 결혼이주의 경우 뚜렷한 여성화 경향을 보이지만, 이주노동의 경우는 각국의 이주정책에 따라 다양한 경향을 보인다. 이는 아시아 지역 내에서의 ‘이주의 여성화’에 대한 논의가 보다 구체적으로 맥락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 역내 이주의 젠더화된 패턴과 그 구조적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이주의 여성화 논의를 노동이주뿐만 아니라 혼인이주로까지 확장시키고자 한다. 둘째, 한국과 대만 정부가 펼쳐온 노동시장, 복지, 이주 정책, 사회인구학적 변화들을 살펴봄으로써, 두 국가에서 1980년대 노동력 부족에 대한 대응으로 취한 여성노동정책이 이후 이주정책과 젠더화된 이주 패턴과 어떻게 이어지는지 살펴본다. 이론적으로 남반구(Global South) 여성의 북반구(Global North)로의 이주가 북반구 국가들의 복지와 돌봄레짐 변화로 인해 일어났다는 이주노동의 여성화 논의가 동아시아의 복지와 돌봄레짐 변화의 맥락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을지를 중심으로 돌봄레짐과 이주의 관계에 대한 맥락화된 논의를 하는 동시에, 한국과 대만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이 돌봄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를 둘러싼 정책과 사회인구학적 변화에 기인함을 보이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ed patterns of migration and contextualizes this migration pattern in changing care regim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igration policies in East Asia with the case of South Korea and Taiwan. By examining both labor and marriage migration, changing care regime and women’s paid and unpaid reproductive labor, this article expands the discussi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in the context of East Asia. While addressing the common economic and socio-demographic conditions for current migration in these countries, which were shaped under the compressed moderniz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difference in the ways in which the labor of migrant is used and explains that it depends on the policies on migration, women’s labor and care provision.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와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여성의 유럽 내 이주

        김경미 한독사회과학회 2009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9 No.3

        1980년대 이래 세계화의 진행과 함께 여성의 이주가 증가하면서 ‘이주의 여성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주의 여성화 흐름 속에서 1980년대 말에 현실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이들 국가에서 체제전환이 이루어지면서 동유럽 여성들의 세계 각지로의 이주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본 논문은 이주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접근법을 살펴보고, 이주의 여성화에 대한 논의 속에서 동유럽 여성들의 서유럽 이주현황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동유럽 여성들은 체제전환 이후 악화된 경제 상황과 빈곤을 타개하기 위해 이주를 선택하며, 이들 다수가 사회적 및 직업적 위계에서 하층에 속하는 가사 도우미, 공장노동자로 일하거나 성산업에 유입되고 있다.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 ‘불온한 자’의 운명 : 천운영, 공선옥, 허련순의 결혼 이주 여성 소설 연구

        구재진(Koo, Jaeji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이주의 여성화’와 ‘생존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혼 이주 여성은 이러한 현상을 가장 특징적으로 보여주는 존재이다. 본고는 결혼 이주 여성을 재현한 소설 가운데 조선족 여성을 재현하는 소설들을 대상으로 ‘생존의 여성화’와 ‘불온한 자’로서 재현되는 결혼 이주 여성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천운영의 『잘가라 서커스』와 공선옥의 「가리봉연가」, 그리고 허련순의 소설 『중국 색시』이다. 이 작품들을 비교 고찰하여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결혼 이주 여성 재현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세 작품은 결혼 이주 조선족 여성의 삶을 천착하여 한국 사회에서 동일화/타자화라는 이중 기제 속에 놓인 결혼 이주 여성의 ‘불온한 자’로서의 존재론을 탐색하고 있다. 그러나 ‘생존의 여성화’의 문제와 ‘불온한 자’로서의 결혼 이주 여성의 모습, 그리고 연대와 경쟁의 문제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우선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와는 달리 『중국색시』에서는 ‘생존의 여성화’의 결과로서가 아니라 탈주의 욕망으로서의 결혼 이주를 그리고 있다. 그리고 결혼 이주 여성이 자신에게 덧씌워진 타자성과 ‘불온성’을 저항성으로 전유함으로써 가시적인 존재로 주체화하는 모습을 제시한다. 또한 『잘가라 서커스』, 「가리봉연가」가 연대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주 여성들에 대한 이상적인 관점을 나타낸다면 『중국색시』에서는 경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현실적인 관점을 나타낸다. 나아가 『잘가라 서커스』와 「가리봉연가」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은 물론 이주 여성이 결혼한 한국 남성과 그 가족까지 피해자로 나타냄으로써 결혼 이주라는 기제 자체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반면 『중국색시』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이 적극적이고 저항적인 모습으로 주체화되고 중국으로의 귀환, 아이의 출산, 남편과의 해후를 통하여 ‘본래적 의미의 결혼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가족주의의 도식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진정한 가능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한국 작가와 조선족 작가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현실에서 결혼 이주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As the world becomes global, the phenomenon of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feminization of survival” are appearing.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 recreated as “feminization of survival” and “disquietude”, targeting novels representing Korean-Chinese women among novels representing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eon Won-yeong s Goodbye Circus, Gong Seon-ok s Garibong Love, and Heo Ryeon-soon s Chinese Wife.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se works, I tri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artists. All three works explore the ontology of married im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in Korean society under the dual mechanism of identification/otherization by delving into the lives of married immigrant Korean-Chinese women.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ssue of ‘feminization of survival,’ the appearance of a married migrant woman as a ‘disquieting one,’ and issues of solidarity and competition among migrant marriage women. First of all, unlik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Chinese Wife depicts marriage migration as a way of a desire to escape, not as a result of “feminization of survival.” In addition, the immigrant marriage woman in Chinese Wife presents the appearance of transforming into a visible subject by appropriating the otherness and disquietude overlaid on her as resistance. In addition, while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focus on the aspect of solidarity and reveal the ideal point of view, Chinese Wife reveals a realistic view by focusing on competition. Furthermore, in Goodbye Circus and Garibong Love, not only migrant women but also Korean men and their families married by migrant women are represented as victims, revealing the problems of the mechanism of marriage migr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Wife, married immigrant women become subjective in an active and resistive form, and the possibility of reaching a marriage in the original meaning is suggested through return to China, childbirth, and husband-to-b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real possibility in that it repeats the schematic of familism. This difference in the works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Korean-Chinese writers, and also shows the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s of a married migrant woman in reality.

      • KCI등재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Global Gender Injustice

        Hee-Kang Kim(김희강)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인 관점에서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작업을 진행한다. 첫째, 이주의 여성화를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에서 형성된 체계적이고 패턴화된 여성이주로 특징짓는다. 젠더화된 국내외 제도의 복잡한 관계는 여성들의 집단적인 이주를 생성, 유지, 공고화하는 맥락이 된다. 이러한 특징의 이주의 여성화 사례로 필리핀에서 홍콩으로 이주하는 여성노동이주와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이주하는 여성결혼이주를 살펴본다. 둘째, 이주의 여성화를 규범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토머스 포기(Thomas Pogge)의 글로벌 정의 논의에 주목한다. 포기는 전 세계적 빈곤과 경제 불평등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글로벌 제도 질서(global institutional order)’ 개념을 사용한다. ‘글로벌 제도 질서’의 시각에서 본다면, 이주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또한 이주를 받아들이는 국가의 문제도 아닌, 글로벌 질서의 측면에서 국제이주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포기의 논의를 이론 틀로 하여 이주의 여성화를 평가해 본다. 무엇보다도 논문은 이주의 여성화가 생산, 유지, 공고화되는 젠더화된 국내외의 제도적 맥락을 평가함으로써, 어떻게 이러한 제도가 글로벌 젠더 부정의과 이주여성의 취약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지를 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feminization of migration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s to relate feminization of migration to the issue of global gender injustic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characterized as a patterned migratory movement of women constituted in the domestic and global context of gendered institutions and structures.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global levels of gendered institutional structures provides a context for producing and reproducing feminization of migration. This paper does not intend to demonstrate that feminization of migration itself is unjust. Rather, relying on some theoretical insights from Thomas Pogge’s accounts of global justice, it purposes to access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on which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placed. This paper plans to show how the gendered context of domestic and global institutional structures, wherein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located, is closely associated with global gender inequality and the vulnerability of migrant women.

      • KCI등재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이혜경(Lee Hye-Kyung)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1

        본 연구는 국내로의 혼인이주와 그 가정에 대한 연구로 국내로의 혼인이주의 추이와 현황을 살펴 본 후, 혼인이주자의 특성 및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방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우선 통계청과 법무부의 자료와 그간 국내 선행연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본인에 의해 수행된 2004년 7월 국제결혼중매업체에 대한 인터넷조사와 2004년 3월부터 12월 사이에 수집된 서비스부문 이주여성 인터뷰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우리 국민의 혼인이주보다 외국인의 국내로의 혼인이주가 증가하였고, 특히 중국교포를 위시한 외국인 여성의 혼인이주가 증가하였다. 둘째, 외국인 여성의 혼인이주는 90년대 초반에는 농촌 노총각의 배우자로 90년대 중반 이후에는 도시 재혼자의 배우자로 선호되었다. 그리고 지방에서는 통일교를 통한 혼인이주가 많으며, 수도권에서는 국내입국을 위한 위장결혼도 많은 편이다. 셋째,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로는 가정경제의 어려움, 부부관계의 계급화, 그리고 서로 다른 기대차이를 살펴보았다. 넷째, 다른 외국인 주부에 비하여 중국교포 혼인이주 여성들은 국내에서 일자리를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가출이 더 용이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중국교포 여성의 혼인이주는 국가간의 노동이동의 범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With globalization, the number of individuals that are traveling, working or studying abroad is rising globally, and so i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owever, there has been a dramatic rise in the number of 'mail-order brides' through matchmaking since the 1970s in the Western world and since the 1980s in several Asian countries. The so-called 'mail-order bride' phenomenon has become an important route for inter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for gendered migra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latter type of international marriage, or 'marriage migration' to South Korea. Utilizing several government statistics, secondary data of previous studies, and my interviewed data with migrant (mostly Korean-Chinese) women in 2004, the study analyzes 1) patterns and trends of marriage migration to Korea; and 2) issues, problems, and responses of foreign bride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arriage migration to South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and the leading group of migrants were Korean-Chinese women, followed by Filipino and other Asian women; 2) In the early 1990s these foreign women were the brides of Korean farmers, later in the 1990s Korean-Chinese women married divorced urban lower class men, whom the local women were reluctant to marry. The Unification Chur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troducing foreign brides to rural areas in Korea, but there were many 'disguised marriages' in urban areas; 3) The issues and problems of these foreign brides and their families are poverty or economic difficulties, reinforced 'classism' in their marital relations, and conflicts due to different motivation and expectations between the brides and their grooms; and 4) The extreme responses such as running away from home or divorce are more serious problems for Korean-Chinese women than the other Asian women. This is because the former can obtain jobs more easily because they have similar appearances to Koreans and are able to speak Korean fluently. Final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marriage-related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women to Korea can be regarded as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 KCI등재

        이주, 젠더, 스케일 :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의 화두인‘이주의 여성화’에 내포된 스케일 이슈를 각종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젠더선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는 거시적 스케일에서 뿐만 아니라 미시적 스케일에서 형성되는 젠더관계와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과정이 상호 접목되는 양상을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의 이주연구가 국가별 수준에서, 젠더요인에 대한 피상적 고려에 그친 것을 비판하면서, 페미니스트 접근은 지구적인 노동의 성별분업, 초국가적 가족연계망, 이주여성의 몸과 가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재생산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젠더관계를 주요 연구주제로 상정한다. 최근 국제이주의 주요 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여성은 국경과 공적ㆍ사적 영역을 넘나들며 근대적 젠더관계와 그 경계를 교란하고 있다. 이들의 경계넘기의 젠더정치학은 다양한 스케일의 창출을 수반하는 스케일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증대된 에이전시와 가족관계망의 초국가적 확장을 통한 국제이주의 증가는 이주여성들에 의한 초국가적 스케일의 생성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 문헌에서 나타나는 스케일에 대한 오해를 시정하고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양 학문분야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scale issues in the contemporary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Scale appears as important, yet poorly understood concept in this field of study. The increasing attention to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requires not only gendered, but also scalar-sensitive approaches. Feminists criticize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migration as a gender-blind approach that privileges national scale around which migration processes are organized. Claiming multiscalar and interscalar analyses, they propose investigations ranging from macro to micro processes which include globalized gendered division of labor,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and reproduction which takes place in and through the bodies and homes of migrant women. The migrant women, the major actors in recent transnational migration, cross various borders: the national boundaries and the public and private divides, in particular. This crossover can unsettle patriarchal gender relation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physical and symbolic division of nation-states and public/private spheres. Blurring these divisions accompanies social construction of various scales. The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of migrant women, for example, show the construction of a transnational scale by migrant women as well as globalization from below. This paper points out misunderstandings of scale in the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and attempts to fill the gaps by introducing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cales developed mostly by feminist geographers. In so doing, it promotes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 KCI등재

        이주여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유형화와 정부대응을 중심으로

        송형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4

        This exploratory study takes a close look at migrant women who have been woven into Korean society as spouses, mothers, and workers. As an emerging trend with growing international interest,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essentially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characterized by the multiple roles played by migrant women. However, existing studies of migrant women ve tended to highlight marriage migration while paying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migrant women as workers. This study t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female migrants to explore their place in society to address the shortcoming of suc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ttempts a typology of female migrants by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 government policy, and other factors. This study groups migrant women into the following types: immigrant wives, general workers, domestic workers, and sex workers. After the categoriz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policies towards each group of migrant women.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takes targeted measures towards each group rather than viewing migrant women as a single group.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is forecast to bring about significant social changes that are multifaceted and long-term by transforming family structure, demographics, and the labor market. Their assimilation into society will als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 and perceived rights to welfare. The government needs to design and take both macro and micro policy measures to respond effectively to overarching changes by largely supporting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s well as factoring into the daily lives and work of individual female migrants who form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s workers, spouses, and foreigners. 본 연구는 한국인의 배우자와 외국인 노동자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넘나드는 이주여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이다. 국제이주의 흐름에서 ‘이주의 여성화’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현상으로 다측면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연구들은 여성 결혼이주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여성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경계가 불분명한 이주여성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한다. 이주여성들이 활동하는 공간과 제도화 정도를 기준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 일반노동 이주여성, 가사노동 이주여성, 성노동 이주여성으로 유형화하고, 각각의 집단에 대한 정부대응의 특성을 분석한다. 정부는 이주여성이라는 단일한 범주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이주여성집단에 상이하게 대응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주여성의 증가는 가족관계의 변화 뿐 아니라 노동시장, 국민국가의 성원권, 복지국가의 수급권 등에서 다양하고도 중요한 사회변화를 예견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정부대응은 거시적 수준에서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국제이주의 논의와 미시적 수준에서 노동-결혼-국적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개별 이주여성의 삶과 노동을 함께 고려하는 정책설계가 필요하다.

      • KCI등재

        이주여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유형화와 정부대응을 중심으로

        송형주(Hyung Joo Song)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4

        본 연구는 한국인의 배우자와 외국인 노동자로서의 사회적 위치를 넘나드는 이주여성에 대한시론적 연구이다. 국제이주의 흐름에서 ‘이주의 여성화’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현상으로 다측면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기존의 국내연구들은 여성 결혼이주자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여성 이주노동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와 노동이주의 경계가 불분명한 이주여성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한다. 이주여성들이 활동하는 공간과 제도화 정도를 기준으로 국제결혼 이주여성, 일반노동 이주여성, 가사노동 이주여성, 성노동 이주여성으로 유형화하고, 각각의 집단에 대한 정부대응의 특성을 분석한다. 정부는 이주여성이라는 단일한 범주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며, 각각의 이주여성집단에 상이하게 대응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주여성의 증가는 가족관계의 변화 뿐 아니라 노동시장, 국민국가의 성원권, 복지국가의 수급권 등에서 다양하고도 중요한 사회변화를 예견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정부대응은 거시적 수준에서 ‘이주의 여성화’를 추동하는 국제이주의 논의와 미시적 수준에서 노동-결혼-국적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개별 이주여성의 삶과 노동을 함께 고려하는 정책설계가 필요하다. This exploratory study takes a close look at migrant women who have been woven into Korean society as spouses, mothers, and workers. As an emerging trend with growing international interest,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s essentially a multidimensional phenomenon characterized by the multiple roles played by migrant women. However, existing studies of migrant women ve tended to highlight marriage migration while paying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migrant women as workers. This study t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female migrants to explore their place in society to address the shortcoming of suc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ttempts a typology of female migrants by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work, government policy, and other factors. This study groups migrant women into the following types: immigrant wives, general workers, domestic workers, and sex workers. After the categoriz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policies towards each group of migrant women. It was found that government takes targeted measures towards each group rather than viewing migrant women as a single group.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is forecast to bring about significant social changes that are multifaceted and long-term by transforming family structure, demographics, and the labor market. Their assimilation into society will also change the composition of the nation and perceived rights to welfare. The government needs to design and take both macro and micro policy measures to respond effectively to overarching changes by largely supporting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s well as factoring into the daily lives and work of individual female migrants who form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society as workers, spouses, and foreigners.

      • KCI등재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이혜경(Lee Hye-Kyung),정기선(Chung Kiseon),유명기(Yoo Myungki),김민정(Kim Minjung) 한국사회학회 2006 韓國社會學 Vol.40 No.5

        본 연구는 1980년대 말 친척방문과 함께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국내 이주현상을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현상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4년 3월부터 12월까지 국내에서 식당종업원 또는 가정부로 일하고 있는 조선족 여성 56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구술사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친척방문으로 시작된 중국 조선족의 한국유입이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격차로 조선족들에게는 돈벌이의 기회로 활용되면서 점차 노동이주로 변화하였으며, 한국이 조선족의 국내유입을 제한하는 정책을 실시하자 혼인이주가 노동이주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었다. 여성이 한국에서 취업이 용이할 뿐 아니라 돈을 모으기도 수월하기 때문에 선호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혼인이주와 함께 이주의 여성화에 기여하고 있었다. 조선족의 한국이주는 가족전략적 차원에서 결정되는데, 가족주기와 계층적 지위에 따라 선택하는 가족전략에도 차이가 있었다. 조선족 여성의 한국취업에 확대가족과 남편의 지원은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부부이산 혹은 가족이산은 자녀탈선과 이혼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이주과정에서 조선족 여성은 주체적으로 한국이주를 결정하고, 친정식구연결망을 형성하는 등 적극적인 삶의 자세와 강인한 여성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Korean-Chinese migration to South Korea which begun in the mid-1980s. The data is from in-depth interviews of 56 Korean-Chinese women who work as domestic servants or restaurant employees. The following issues were addressed during the interviews: 1) why the Korean-Chinese migration is more feminized than other Asian migration to Korea; 2) what role the migrants families play 3) what impact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has upon their families. The Korean-Chinese women’s migration to Korea is interpreted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and the ‘transnational fami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gration of the Korean-Chinese to South Korea has transformed from a diaspora to a labor migration due to the economic gap between Korea and China. Many Korean-Chinese migrate to Korea to earn money. However, the Korean government often limits their entry, thus international marriage is sometimes opted as a means to gain entry into Korea. Moreover, Korean-Chinese women are more likely to migrate to Korea because it is easier for them to find a job and save money there. The strategies adopted by Korean-Chinese families to enter Korea usually depend on the family’s life cours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China. It is essential for the women to get support from their husbands and families in order to migrate overseas. However, long periods of separation sometimes lead to divorce and child deviation. Nevertheless, the Korean-Chinese female migrants have demonstrated strength and deter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