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물질이전계약에 관한 법적고찰

        손경한,심현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의생명과학과 법 Vol.8 No.-

        Although Parties, directly involved, had made contracts for a technology transfer or a patent licens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past, the new form of contract, a material transfer agreement,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Especially, as a biotechnology was developed and patent for life was allowed, the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 became increased rapidly. The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 could be made variously depending on the form of transfer, sort of material, parties, directly involved, and whether they could be paid or not. Securing a right to material is a key point for providers and gaining a right to product of work is main point for receivers. So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should correctly reflect the intention of providers who have expertise on materials and balance the claims and obligations of providers and receivers. Also it should deal with problem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materials and products of work. Uniform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UBMTA) of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is used as a global standard. But UBMTA only regulates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so the study should be done to prepare a standard which rules relationships between profit-making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and profit-making organiz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Also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made accor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y grasping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Furthermore, Access and Benefit Sharing(ABS) agreement could be mixed up with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because it also deals with life like genetic resources and it uses a name of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So, the study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and ABS agreement should be done.

      • KCI등재

        이전고시에 관한 소고 - 기존 판례 입장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겸하여

        노경필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이전고시는 도시재개발법상의 분양처분과 사실상 같은 것이고, 도시재개발법상 분양처분은 토지구획정리사업법 혹은 도시개발법상의 환지처분과 유사한 것이라고 하여, 결국 이전고시의 법적 성격과 효력을 분양처분이나 환지처분의 그것과 같이 설명하는 것이 이제까지의 일반적 견해이고, 판례의 입장이기도 하다. 그러나 도시정비사업은 노후·불량한 기존 주택을 철거하고 거기에 새로운 주택(아파트)을 건설하여 토지등소유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주거와 도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업으로서, 토지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토지를 교환·분합하는 환지사업과는 그 사업 목적이나 절차, 새로 조성된 대지나 건축물의 분배 방식 등을 달리한다. 그리고 도시재개발법에서 분양처분이라고 하였던 것을 도시정비법에서는 이전고시라고 하여 그 용어를 달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도시재개발법과 도시정비법의 규정도 완전히 같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환지처분이나 분양처분에 관한 기존 법리를 도시정비법상 이전고시에 적용하는 것에는 치밀한 분석과 충분한 숙고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우선 이전고시를 환지처분처럼 순수한 대물적 처분으로 보는 것, 그리하여 관리처분계획 및 이전고시에서 누구를 분양대상자로 지정하였든 관계없이 종전 재산의 진정한 소유자가 새로운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다는 기존 판례를 적용하는 것에는 달리 볼 여지가 있다. 환지사업과는 달리 정비사업에는 토지등소유자의 분양신청절차가 있고, 분양신청을 하지 않은 토지등소유자는 새로 조성된 대지나 건축물을 분양받을 지위를 상실한다. 여기에 정비사업의 입체환지적 성격, 관리처분계획의 공정력, 정비사업에 따른 개발이익 혹은 손실의 귀속 문제 등을 고려하면 이전고시는 대물적 요소뿐 아니라 대인적 요소도 포함한 혼합적 성격의 처분으로 봄이 옳다. 따라서 토지등소유자가 분양신청을 하여 관리처분계획에서 분양대상자로 지정되고 그에 따라 이전고시에 의해 소유권을 취득하였다면, 설령 종전 재산에 대한 등기가 무효이어서 그가 진정한 소유자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었다 하더라도 새로운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이전고시의 일부 취소에 관하여도 환지처분이나 분양처분에 관한 판례 입장과는 달리 이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분양처분이 공고되어 효력이 발생하면 전체의 절차를 다시 밟지 않는 한 그 일부만을 따로 떼어 변경할 길이 없다는 논거는 재검토되어야 한다. 오히려 도시정비법이 정비사업 일부에 관한 이전고시를 허용하고 있는 점 등에서 이전고시의 일부 취소도 허용된다고 보며 이를 인정하여야 할 실제적 이익도 있다. 이전고시가 있을 경우의 관리처분계획 취소 또는 무효확인소송의 운명과 관련하여서도 무효확인소송은 몰라도 적어도 관리처분계획에 대한 취소소송은 이전고시에도 불구하고 소의 이익이 소멸하지 않는다고 봄이 옳다고 생각한다. 이전고시가 있더라도 사후에 법원의 판결 등에 의해 이전고시가 취소되거나 무효로 확정될 수 있는데, 관리처분계획 취소소송에는 제소기간의 제한이 있어 그 기간이 지나면 더는 다툴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전고시의 효력과 관련하여 도시정비법 제54조와 제55조는 그 문언으로만 본다면 상호 간에 다소 모순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 Relocation public notice under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the MIUADCR Act”) may be equal to unit selling disposition under the Urban Redevelopment Act. Unit selling disposition under the Urban Redevelopment Act can be similar to land substitution disposition under the Land Compartmentalization and Rearrangement Project Act or the Urban Development Act. Accordingly so far the usual opinion and the precedents take the position that relocation public notice's legal characteristic and validity may be explained like those of unit selling disposition or land substitution disposition. However, the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project remove old and defective preexisting houses and build new houses(apartment) to distribute them to land owners and improve residential and urban environment, where project purpose, procedure, and division method as to newly established residential land or construction structure differ from the substitution project where land was exchanged or divided to enhance value of using the land. The unit selling disposition under the Urban Redevelopment Act was changed to relocation public notice in the MIUADCR Act, and related provisions of the Urban Redevelopment Act and the MIUADCR Act cannot be said to be completely identical. In this respect, detailed analysis and sufficient consideration must precede the application of the former legal principle about land substitution disposition or unit selling disposition as to the relocation public notice under the MIUADCR Act. First of all it may need to be changed to apply the precedent where a relocation public notice was viewed as pure in rem disposition like land substitution disposition, and real owner of former property acquires new real estate ownership regardless of who is designated as a person qualified for unit buying in managed disposition plan and relocation public notice. Unlike substitution project,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 has the procedure of a land owner's unit buying application, and land owners who did not apply for unit buying lost the status of unit buyers of new land or constructed structure. I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s voluntary substitution characteristic, managed disposition plan's fairness,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s development profit or belonging of losses are considered additionally, a relocation public notice is a disposition which has a characteristic mixing in rem as well as in personam disposition. Thus, if land owner applies for unit buying and is designated as person qualified for unit buying in the managed disposition plan, and acquires ownership rights pursuant to relocation public notice, although the former property registration had been invalid and a person was revealed as not the real owner, it should be deemed as that real estate ownership is acquired. Partial cancellation of relocation public notice needs be allowed unlike the position of the precedents as to land substitution disposition or unit selling disposition. We need to reexamine the position that part cannot be separated for a change unless the whole procedure is restarted once the unit selling disposition is published and becomes effective. Since the MIUADCR Act permits relocation public notice as to part of maintenance and improvement project, part of the relocation public notice can be seen as subject to cancellation, and substantial interest exists to recognize it. As to the managed disposition plan cancellation or invalidation confirmation lawsuit in case of relocation public notice, it is justifiable to think that interest of lawsuit at least in the cancellation lawsuit against managed disposition plan, let alone invalidation confirmation lawsuit, does not become extinguished despite a relocation public notice. Although a relocation public notice can be cancelled or invalidated by judgment of the court, there cannot be any...

      • KCI등재

        하이테크 산업에서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임인종(In-Jong Lim),이상명(Sang Myung Lee),이정환(Jeonghwa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전자부품연구원과 반도체 테스트용 프로브카드 회사간 기술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이전이 사업화 성과까지 연계되기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술이전의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정부정책과 기업전략 측면에서 기술이전과 기술사업화 성과를 창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프레임워크 설정, 사례분석의 과정을 거쳐 기술 수요자, 기술 공급자, 이전 기술, 기술이전 과정 특성의 4가지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기술 수요자 특성은 신기술 이전획득전략 및 추진의지/보완 자산과 흡수 능력, 기술 공급자 특성은 기술이전 및 사업화 경험/기술이전과 연계한 사업화 지원의지/풍부한 이전 대상 기술군, 이전 기술 특성은 연구개발단계 및 기술분야/기존 기술과의 연계성, 기술이전 과정 특성은 기술이전 전담조직의 지원활동/기술 이전과정의 적극적 참여 등이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ccess factors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high-technology industries. We specifically analyzed the case of technology transfer between KETI and probe card company.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nd analyz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hich can lead to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both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and corporation strategy. This research oversees the previous research works. framework setting and case study analysis to derive 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points of views: technology receiver, technology provider, technology’s characteristics, technology transfer’s process.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terms of technology receiver, the experience i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will to support for R&BD and rich technology pool are also important. In terms of technology provider, acquisition strategy, will to push, complementary assets and absorptive capacity are very crucial. In terms of technology’s characteristics, R&D stage, technology category and connectivity of existing technology are closely related with successful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Finally, Support of TLO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ransfer process are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technology transfer’s process.

      • KCI등재

        이전가격과세제도에 의한사외유출금액의 소득처분과 원천징수

        박영웅 한국국제조세협회 2019 조세학술논집 Vol.35 No.3

        The disposal of corporate income from external outflow is stipulated in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and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The disposal of income is the basis to withhold the corporate tax through the notification of changes in amount of income or the notification of transferred income, and also determines whether to exercise the right of taxation in Korea and its relevant scope in international transaction relations. The transfer pricing taxation stipulated in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is a regulation, which adjusts a transfer price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between a domestic corporation and its foreign related party by comparing the transfer price with the arm’s length price. If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fer price and the arm’s length price, is not be restored from a foreign related party, it shall be appropriated into the amount included in the calculation of gross income, and it shall be treated as a dividend vested or an increased investment in the foreign related party. Article 16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stipulates that the disposal of income as a dividend if the other party is a stockholder of a domestic corporation (No. 1), an increased investment if the other party is an investee corporation (No. 2), and a dividend if it is not a stockholder or an investee corporation (No. 3). In this study, the legal natur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isposal of income stipulated in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and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were summarized, and the revision of Article 16 of the Enforcement Decree on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which stipulates the disposal of income in the transfer pricing taxation is introduced as well as the regulations of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France, and Japan were compared to review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current transfer pricing taxation. The problem of the current Korean transfer pricing taxation regulates that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should be considered internal reserves when the other foreign related party is an investee corporation, even though the concept of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is under the assumption of the disposal of income from external outflow. This results in inconsistent premises and conclusion. Furthermore, discrimination against domestic transactions and international transactions that do not apply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exists without proper reasons. In addition, it is not logical to dispose income as a dividend even if the person attributable to the external outflow income is not a stockholder. Th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Taxes Act was enacted by referring to the part of Secondary Adjustments in the OECD Transfer Pricing Guidelines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Tax Administrations. In this regard, the United States considers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as a dividend, equity contribution, and loan while Germany treats it as a dividend or equity contribution.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do not make secondary adjustments, and France considers it only a dividend regardless of its equity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As improvements, first, in the Korean legislation, a measure that treats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as a loan may not be a realistic alternative as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that is not returned is accumulated and the amount of interest creates excessive tax burden to the domestic corporations. Second, it is also difficult to adopt a measure that does not accept secondary adjustments on the amount of foreign transferred income because it is no different from the idea that a country gives up the right to levy taxes on the income that a foreign related party obtains in Korea. As a result, if a foreign related party is not a st... 사외유출된 법인소득의 소득처분은 법인세법과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다. 소득처분은 소득금액변동통지나 이전소득금액통지를 통해 법인의 원천징수의 근거가 되고, 국제 거래 관계에서는 국내 과세권 행사 여부와 그 범위를 결정한다.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이전가격과세제도는 내국법인과 국외특수관계인 간의 이전가격을 정상가격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제도이다.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 제1항은, 내국법인이 이전가격과 정상가액의 차액에 해당하는 국외이전소득금액을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반환받지 않으면, 상대방이 주주인 경우 배당(제1호), 피출자법인인 경우 출자의 증가(제2호), 주주나 피출자법인이 아닌 경우 배당(제3호)으로 소득처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법인세법과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소득처분의 법적 성격과 차이점을 정리하고, 이전가격과세제도에서의 소득처분을 규정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조의 제․개정 연혁과 이에 관한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규정들을 비교하여 살펴본 뒤, 현행 이전가격과세제도에 의한 소득처분 규정이 가지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이전가격 조정에 따른 국외이전소득금액을 내국법인의 익금에 산입하는 것은 소득의 사외유출을 전제로 한다. 그럼에도 상대방이 피출자법인이라는 이유로 이를 출자의 증가로 보아 사내유보로 소득처분하는 것은 전제와 결론이 불일치하고, 국내거래나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이 적용되지 않는 국제거래와의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이 발생한다. 또한, 상대방이 주주나 피출자법인이 아닌 국외특수관계인인 경우에도 배당으로 소득처분하는 것은, 소득의 귀속자가 주주가 아닌 경우에까지 배당으로 소득 구분을 의제한다는 점에서 논리적 타당성이 떨어진다. 이전가격 조정에 따른 소득처분을 규정한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령은 OECD이전가격지침에서 소득의 귀속 및 구분에 관한 2차조정에 관한 부분을 참고하여 제정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국외이전소득금액을 배당, 출자의 증가, 대여금으로, 독일은 배당이나 출자의 증가로 간주한다. 영국과 일본은 2차조정을 하지 않고 프랑스는 상대 법인과의 지분관계와 무관하게 오직 배당으로 간주한다. 첫째, 우리 법제에서 국외이전소득금액을 대여금으로 취급하는 방안은 영원히 반환되지 않는 국외이전소득이 누적되고 그 이자 상당액만큼 내국법인에게 과도한 세부담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없다. 둘째, 국외이전소득금액에 대한 귀속이나 소득구분을 의제하지 않는 방안은 국외특수관계인이 우리나라에서 얻게 되는 소득에 대하여 우리나라가 스스로 과세권을 포기하게 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므로 채택하기 어려운 대안이다. 결국, 국외특수관계인이 주주가 아닌 경우 기타소득으로 소득처분하여 현행 법인세법상 소득처분 규정과 사실상 차이를 두지 않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전경구(Kyung Ku Ghun),김은경(Eun Kyung Kim),조덕호(Deok Ho Ch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2

        도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이전은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경북도청의 경우도 2014년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안동·예천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대구경북의 지역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도청이 이전해 가는 지역은 경제적으로 큰 편익을 누리는 반면 떠나는 지역은 경제적 침체를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 하는데, 지금까지 이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 더러 있다. 그런데 이와 관련되어 발생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청이 중심도시를 떠나 권역 내의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집적경제가 약화되어 지역 전체에 부정적인 효과를 많이 발생시킬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에 반하여, 도청이전은 출발지역과 도착지역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만, 상쇄효과 때문에 지역경제권 전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낙후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고 지방자치의 원칙에도 부합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청이전의 효과에 대해서는 상반되는 주장이 있으나 지금까지 그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측면에서 지역 간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 에서 경북도청 이전이 대구경북광역경제권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 청이전으로 인하여 대경광역경제권의 생산유발효과는 1,290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705백만원, 고용유발효과는 571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이외의 타 권역에 생산유발효과 1,179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23백만원을 감소시키는 반면, 고용유발효과는 오히려 10명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북도청 이전은 대경권 전체와 타 권역에 대하여 고용을 제외한 각종 유발효과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크기는 그렇게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심도시의 기능과 산업구조 개편 등의 필요성에 관한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relocation of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the provincial government attracts much attentions since it results in substantial regional economic impact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from Daegu city to Gyeongsangbuk-Do, which is scheduled for 2014,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Based on the interregional input-output model and I-O data which were provid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multiplier effects of the relocation in terms of producti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on Daegyeong economic region and other regions, except for the construction effects of the provin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ocation is expected to reduce the production by 290million won, value added by 709million won, and employment by 571 persons in Daegyeong economic region. Also, the relocation turns out to decrease the production by 1,179million won and value added by 123million won of other regions. This paper discus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 KCI등재

        이전상장이 감사인의 감사투입에 미치는 영향

        신유진,김정옥 한국공인회계사회 202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5 No.1

        The stock market in Korea is divided into three stock markets, and companies find and list markets suitable for the company’s situation. If it is not a company listed on the highest market, the KOSPI, each company has an incentive to transfer to the better market. This is because that decrease uncertainty as higher market. I t makes the company can raise t he fund relatively easy . However, t he business risk and litigation risk of firm arising from an increase in an unspecified number of investors also increas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in various aspects whether increase relatively the audit hour and audit fee of listing changes, focusing on the increase in risks associated with changing the market. The analysis results of t his study are a 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 he difference between audit hours and audit fees of companies that performed the listed market shifting, the audit hours and audit fees of companies that performed the shift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that did not perform the shifting.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vious three years with other years for only companies that performed the shifting stock market, the audit input in the previous three yea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other period. In other words, it is interpreted that if the auditors perform audit in the period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market changing, auditors will perform a more intensive audit for preparing a devi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possible risks in the future. Finally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udit hours and audit fees before and after the listed market shifting, the audit efforts after the chan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crease in stakeholders due to shifting stock market, leads to uncertainty and acts as a risk factor for auditor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demonstratio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udit input, such as companies that perform transfer listing and those that do not, and before and after transfer listing, and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is difference in auditing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for market investors. 우리나라는 세 개의 주식시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기업은 기업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시장을 선택하여 상장한다. 만약 가장 상위시장인 유가증권시장(KOSPI)에 상장한 기업이 아닌 경우라면 각 기업은 상위시장으로 이전상장 하려는 유인이 있다. 왜냐하면 상위 주식시장일수록 불확실성이 감소하며 자본조달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위 시장으로의 이전상장으로인하여 기업의 가시성 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기업의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이 이전상장을 하는 경우 증가되는 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이전상장하는 기업의 감사과정에서 감사인이 투입하는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지를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상장을 수행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감사시간및 감사보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전상장을 수행한 기업의 이전상장 전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가 이전상장을 수행하지 않은 기업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기간내에 계획되고 실행될 수 없는 이전상장의 특성상 감사인은 이전상장을 준비하는 기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감사투입을 하여 감사위험을 줄이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이전상장 후 다양해진 이해관계자 등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소송위험과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감사투입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사인은 감사위험을 줄이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전상장을 수행한 기업을 대상으로 이전상장에 근접할수록 또는 이전상장 직전 3개 연도일수록 감사투입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전상장에 근접할수록 감사투입이 증가하였으며 직전 3개 연도에 해당할수록 다른 연도에 비해 감사투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즉, 감사인은 이전상장을 위한 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기간의 재무제표를 감사하는 경우일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강도 높은 감사를 수행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마지막으로 이전상장 기업에 대하여 이전상장 전과 이전상장 후의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를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이해관계자들이 다양해지고 기업의 규모 등이 증가한 기간인 이전상장 후의 감사투입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외적으로 점차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이전상장으로 인하여 이해관계자가 증가하는 등 불확실성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감사인에게 위험요소로 작용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본 연구는 이전상장을 수행하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그리고 이전상장 전후의 감사투입에 유의한차이가 있다는 실증을 제공하며, 이러한 감사품질의 차이가 시장의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제의 조화방안 -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의 용역 수입을 중심으로 -

        박설아,박훈 한국세무학회 2016 세무학 연구 Vol.33 No.1

        The international trade has changed in its structure from finished goods-oriented trade into intermediate goods and service-oriented trade based on the Global Value Chain since 1990s. Following such change in the international commerce environment, intra-group service trades of multinationals have drastically increased, in the course of which multinationals sometimes establish managerial strategies to reduce tax burden by artificially forming transfer prices. Since value-added tax (“VAT”) and income tax for a single transaction price operate in opposite directions, one has to approach transfer pricing from a tax-neutral perspective as opposed to the tax revenue reduction of a certain tax item. For services between a multinational and a foreign related party at a price outside an arm’s length, the transfer price is adjusted by applying transfer pricing rules in an income tax aspect. If a price adjustment for VAT taxation on the single transaction is not carried out, issues like VAT avoidance or double taxation may occur. Otherwise put, the neutrality in VAT is damaged. Thus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effects of transfer pricing adjustment for income tax when importing services from related parties on VAT and has made an in-depth examination on the plans to harmonize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Transfer pricing adjustments under transfer pricing rules may directly affect VAT in the following cases assuming that a Korean business operator without a full right to deduction of input tax imported services from a foreign related party:firstly, where the price of services imported to Korea increases following the primary adjustment of an exporting country, and thus any corresponding adjustment or compensating adjustment is carried out in Korea, in which a Korean business operator pays the foreign related party the balancing payment and such amount is accounted for as additional consideration for the originally provided service or as consideration for a separate taxable service;secondly, where the price of services imported to Korea is decreased due to a primary adjustment or compensating adjustment made in Korea, in which a Korean business operator receives the balancing payment from the foreign related party and the payment is accounted for as decreased transaction price for the originally provided service, in which case if the substantial/economic relationship of consideration between the payment of the balancing payment and an original service or a separate service is acknowledged, it may directly affect VAT. With respect to the convergence plan for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as there may be interpretive confusion as to whether a claim for VAT reassessment may be filed for the reason of transfer pricing adjustment under the current Act, provisions on claim for VAT reassessment and amended tax return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shall be newly established in the Act. Further, a provisional tax return system shall be introduced in order to secure the creditworthiness of compensating adjustment and to prevent an abusive use of the claim for VAT reassessment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Further, if an agreement on adjustment of VAT following transfer pricing adjustment and the scope of such adjustment, etc. is made in the course of advanced pricing agreement, it is deemed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inconsistencies in VAT and transfer pricing rules may be resolved. 국제무역은 1990년대 이후 완제품 중심의 무역구조에서 국제가치사슬에 기반을 둔 중간재 및 용역중심의 무역구조로 변화했다. 이러한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로 다국적기업 내부의 용역거래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다국적기업은 용역의 이전가격을 인위적으로 형성하여 세부담을 절감하려는 경영전략을 세우기도 한다. 그룹 내부의 용역거래시 하나의 거래가격에 대해 소비과세와소득과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므로, 이전가격행위는 어느 한 세목의 세수 감소가 아니라 조세중립성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하는 경우 이전가격조정에 따른 부가가치세의 사후조정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부가가치세 회피 결과가 발생하거나 납세자가 이중적 세부담에 노출되고 재화 수입과의 형평에도 맞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를 조화시킬 필요성이 인정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하는 경우 소득과세를 위한 이전가격조정이 부가가치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제를 조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살펴보았다. 이전가격세제상 이전가격조정이 부가가치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는 완전한 매입세액공제권한이 없는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용역을 수입한 상황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첫째, 수출국의 일차조정으로 우리나라에 수입된 용역의 가격이 증액되어 우리나라에서 대응조정을 하거나 보상조정이 이루어진 경우로서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에게 가격조정금을 지급하고 이를 당초 공급된 용역에 대한 추가대가 또는 별도의 용역 대가로 처리한 경우이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일차조정을 하거나 보상조정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에 수입된 용역의 가격이 감액된 경우로서 우리나라 사업자가 국외특수관계인으로부터 가격조정금을 지급받고 이를 당초 공급된 용역의 거래가격이 감소된 것으로 처리한 경우이다. 이때 가격조정금의 지급과 당초의 용역 또는 별도의 용역 사이에 실질적․경제적 대가관계가 인정된다면 부가가치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다. 이전가격세제와 부가가치세의 조화방안과 관련하여, 현행법상 이전가격조정을 이유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를 할 수 있는지 해석상 혼란이 있으므로, 부가가치세법에 이전가격조정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 및 수정신고 규정을 신설해야 한다. 그리고 보상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전가격조정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경정청구제도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 잠정가격 신고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정상가격 산출방법 사전승인 과정에서 이전가격조정에 따른 부가가치세의 조정 여부 및 조정범위 등에 관하여 합의가 이루어진다면 부가가치세와 이전가격세제의 불일치 문제가 상당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생명물질이전계약에 관한 법적고찰

        손경한,심현주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의생명과학과 법 Vol.8 No.-

        Although Parties, directly involved, had made contracts for a technology transfer or a patent licens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past, the new form of contract, a material transfer agreement, emerged in the late 20th century. Especially, as a biotechnology was developed and patent for life was allowed, the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 became increased rapidly. The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 could be made variously d epending on the form of transfer, sort of material, parties, directly involv ed, and whether they could be paid or not. Securing a right to material i s a key point for providers and gaining a right to product of work is mai n point for receivers. So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should correctl y reflect the intention of providers who have expertise on materials and balance the claims and obligations of providers and receivers. Also it sh ould deal with problem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o materials and p roducts of work. Uniform Biological Material Transfer Agreement(UBMTA) of National I nstitutes of Health(NIH) is used as a global standard. But UBMTA only r egulates relationships between public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ni zations, so the study should be done to prepare a standard which rules r elationships between profit-making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and profit-making organiz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non-profit orga nizations. Also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made according to the un iqu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by grasping charac teristics of each material. Furthermore, Access and Benefit Sharing(ABS) agreement could be mi xed up with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because it also deals with li fe like genetic resources and it uses a name of the material transfer agr eement. So, the study which compares and analyzes the material transfer agreement and ABS agreement should be done.

      • KCI우수등재

        무효인 계약에 대한 이전 및 양도의 효과 - 금융산업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상 계약이전결정 및 민법상 계약양도를 중심으로 - - 대법원 2015. 7. 9. 선고 2015다1475 판결 -

        이재명,김제완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3

        The judgment or the subject of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stated that even an invalid contract could be transferred or assigned to a third party. The P&A as a method of resolving the failing financial institution is used much in the United States. This method is accepted in the subject judgment. In particular, the judicial precedent regarding the contract transfer decision used much to resolve the failing financial institutions sees to it that “the contractual position occurring in the financial transaction would be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effectively by a unilateral decision of Financial Service Commission, and thus, that it is a kind of the administrative measu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Civil Code.” The provision of ‘Act on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Financial Industry’ (hereinafter referred to ‘the Act’) excluding the invalid contracts from the transfer may not well be compatible with the cause of the contract transfer system. If so, the failing financial institution that is expected to disappear in the future would take over the monetary settlement, causing loss to the other party of such invalid contract. The researcher agrees to the conclusion of the subject judgment, but does not agree to its jurisprudence. For example, the expression ‘the insurance contract invalid as of the date of transfer’ is not clear and further does not conform to the judicial reasoning, considering that the contract violating the mandatory rules is invalid absolutely.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ider the entire system of the contract transfer decision procedures encompassing the details of the transferrable contracts and their prices and thereby, examine the whole process of the system comprehensibly rather than stick to the expressions of the Act. After all, it would be most reasonable if both parties of the contract should decide on whether their contract would be included in the list of the transfer. In addition, although the current Act does not specify ‘the transfer of contract’, it would also be necessary to unify by amending the Civil Code the terminologies ‘transfer of contract’ and ‘acceptance of contract’ into ‘transfer of contract’ because it prevails actually. Lastly, it is regrettable that the subject judgment did not consider the degree of illegality of the case where the insurance contract had been made for an illegal collection of the insurance money, but declared the contract ‘invalid’ according to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All in all, it is deemed reasonable to solve such a case by applying Article 110 of the Civil Code regarding the defrauding. It is deemed necessary to more flexibly and elastically apply the legal provisions of the Act specifying the cases excluded from those of the contract transfer. 대상판결은 무효에 해당하는 계약이라 할지라도 이전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부실금융기관 정리방식으로서 P&A는 미국에서 실무상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 방식은 대상판결의 사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부실금융기관정리방식으로 활용되는 금산법의 계약이전결정에 대하여 판례는 “금융위의 일방적 결정에 의하여 금융거래에서 발생한 계약상 지위가 이전되는 사법상의 효과를 가져오는 행정처분”으로 보고 있으며, 부실금융기관에 대하여 계약이전결정을 하면서 무효인 계약을 이전에서 배제하는 금산법의 조항은 계약이전제도의 취지와 양립할 수 없다. 왜냐하면 복잡한 처리과정으로서의 금전적인 정산을, 향후 소멸이 예상되는 기존의 부실금융기관이 담당하게 되어 무효인 계약의 상대방으로서는 불측의 손해를 받을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상판결의 결론은 타당하지만, 그 설시에의 법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계약이전에서 제외대상으로서의 ‘이전기준일 현재 무효인 보험계약’이라는 표현은 불명확하며 강행규정 위반으로 인한 절대적 무효의 개념을 고려할 때 이치에도 맞지 않는다. 금산법 조항의 문언에만 치중하지 않고 이전대상 명세서와 이전대상의 가액 등을 포함하여 계약이전결정제도의 절차 전반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결국 양도인과 양수인 양 당사자가 이전대상에 포함시킬지 여부를 합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또한 계약이전이라는 법규정은 존재하지 않지만, 실무상 널리 활용되고 있기에 현재 계약양도, 계약인수 등으로 혼용되는 용어를 ‘계약양도’로 통일하여 민법개정을 통해 명문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상판결에서는 보험금을 부정취득할 목적으로 보험계약을 체결한 사안의 불법성의 경중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민법 제103조를 적용하여 계약을 무효로 만들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오히려 이러한 경우 사기에서의 기망행위로 보아 민법 제110조에 의하여 해결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계약이전 제외대상을 규정한 금산법의 조항을 비롯하여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법리의 적용이 요구된다.

      • KCI등재

        기업특성에 따른 국제이전가격의 결정요인

        전태영,변용환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학 연구 Vol.25 No.2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the enterprise specific factors which are supposed to affect on the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hereafter we call it ITP) methods of Korean listed companies. Researches in this field have mostly targeted the advanced economies including United States and Japan. For the present, however, considering that Korean multinational companie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their economic powers, the research on Korean companies is urgently needed. In the research model, 10 independent variables(corporate tax differences, tax audit, equity ratio of investors, export orientation, enterprise asset size, competition, market share, import regulation, political climate, and industries) are included as explanatory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is binomial in that a value of 1 is given if transfer pricing method adopted by each enterprise is classified as market based method, and a value of 2, in case of cost-based method. Data has been collect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resulting in 81 valid responses. Logistic regression has been followed on this mod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export oriented enterprises are likely to adopt cost-based method. Considering that tax authorities are lenient to exporting activities, as well as a variety of tax incentives are provided to exporting business, those firms are likely to utilize the subjective nature of cost-based ITP method. Additionally, import regulation has been proved to be significant showing that firms prefer cost-based method to cope with strong regulations. Data also have shown that firms prefer cost-based method to utilize corporate tax rate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And big enterprises are shown to prefer market based ITP method. As big firms have diverse markets in various countries, market-based ITP method is appropriate in that it gives flexibility to cope with varied situations. Other variables like experience of tax audit, equity ratio of investors, competition, market share, political climate, and industries have proved to have only insignificant influence.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법인의 국제이전가격결정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축적되어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기업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어 국제이전가격에 대한 연구도 소홀히 할 수 없다는 동기에서 본 연구는 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 현지법인을 가지고 있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서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모두 81개의 사용가능한 자료가 확보되었다. 연구모형에는 세무 및 기업변수로 구성된 10개의 독립변수(법인세율의 차이, 세무조사, 지분비율, 수출비중, 기업규모, 경쟁, 시장점유율, 수입규제, 정치상황, 업종)가 사용되었다. 종속변수로는 2원적 명목변수(시장기준국제이전가격 및 원가기준이전가격)를 채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투자대상국과 본국의 법인세율차이가 클수록 원가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환경의 차이를 활용하는 다국적기업의 속성상 원가기준이 이러한 목적에 유리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또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원가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당국이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에 대하여 관대하게 대하는 경향이 있고, 수출에 대한 각종 세제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현상을 고려할 때 수출주도적인 기업은 주관적인 성격의 원가기준이전가격을 통한 소득이전의 유인을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기업규모가 클수록 다국적기업은 시장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적기업은 다양한 시장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점과, 세무당국에 쉽게 노출된다는 점을 의식하여 시장기준이전가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수입규제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규제장벽이 높을수록 기업은 원가기준이전가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제를 이전가격으로 회피하기 위한 동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세무조사를 받았는지의 여부, 지분비율, 경쟁, 시장점유율, 현지의 정치상황 및 업종은 이전가격결정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이 다국적기업으로서의 위상이 현저하게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과 정부가 우리나라 기업의 국제이전가격과 관련된 정책에 활용할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업실무 및 정책수립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