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탐색과 치유로서의 글쓰기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를 중심으로

        김찬자 ( Kim Tchan Ja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6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6

        이오네스코에게 글쓰기는 고백이다. 그에게 창작은 자신의 꿈, 번민, 어두운 욕망, 내면의 갈등을 연극의 재료로 자신의 내면의 드라마를 무대에 투영하는, 자신을 표현하는 특별한 수단이다. 그의 작품 『의무의 희생자』로부터 『죽음으로의 여행』까지의 무대는 이러한 이오네스코의 깊은 내면의 여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오네스코는 진정한 인간의 모습은 내면 깊은 곳에 존재한다고 믿었고, 그래서 그의 작품은 모든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근원이며 공통된 심리적 현실인 무의식의 탐구로 향한다.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는 무의식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작가자신의 자아와 만남을 통해 존재의 심연을 풀어내는 자전적 연극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개인적 심리 탐색을 위한 거짓 추리극 형태의 도입, 심리 탐색의 구체적 매체 역할을 하는 수수께기 인물 말로 말없는 부인으로 형상화된 무의식의 물질화, 하강-상승-추락으로 표현되는 무의식의 공간화, 극중극을 통한 작가의 무의식 해방과 치유로서의 사이코드라마적 구성, 이오네스코는 자신의 인물들을 중개로 무대에 자신의 내면 고백을 공간화하고 있다. 이오네스코는 『의무의 희생자』에서 자신이 중심적 주인공인 자신의 꿈을 무대화하면서 무의식의 탐색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 억눌린 채 감추어져 있던 깊은 상처들과 조우한다. 그는 상상의 무대를 통해 과거와 만나고 자신에게 큰 고통을 주었던 아버지를 만나 갈등을 풀고 평생의 죄의식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자 한다. 결국 이오네스코에게 글쓰기는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 스스로와의 대화이며,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방식이다. 『의무의 희생자』는 자신의 무의식을 탐색하고 진정한 자신과 대면하여 치료적 기능을 수행하는 작가로서의 `자신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무덤으로의 여행』까지 이어지는 작가의 심리적 여정의 길잡이인 무의식의 탐색에 근거한 시론이 반영된 첫 번째 자전적 작품이다. L`ecriture est d`abord, pour Ionesco, le moyen privilegie d`une expression de soi. Son theatre en effet, de Victimes du devoir au Voyagechez les morts, est une sorte de `confession`. La dimension autobiographique et autoreflexive est donc l`une des caracteristiques essentielles du theatre d`Ionesco. A larecherche du `moi` authentique, Ionesco rejette une realite superficielle et les normes de la logique rationnelle. Pour Ionesco, la personnalite `authentique` est dans la profondeur. Tout son theatre est donc une exploration de l`inconscient, concu comme lasource de lapensee et comme larealite psychique commune a tous les individus. L`objet de notre etude dans ces pages est de presenter quelques observations sur l`ecriture autobiographique d`Ionesco a travers Victimes du devoir, la piece qui marque le debut d`une recherche systematique de l`inconscient. Ionesco porte a lascene le personnage Choubert, tres proche de lui par sapsychologie et ses preoccupations esthetiques. Tout d`abord, larecherche de soi est representee dans Victimes du devoir sous laforme d`une enquete policiere. Mais l`intrigue policiere n`est qu`un pretexte pour l`investigation psychologique. Choubert est un double du dramaturge qui projette sur lascene une part de lui-meme. Choubert se lance dans un parcours imaginaire. L`image du voyage comme exploration de l`inconscient traverse l`oeuvre. Dans les profondeurs de l`inconscient, Choubert retrouve un episode de sapetite enfance : une violente querelle de ses parents. A travers Choubert, Ionesco fait revivre les episodes de son passe douloureux qu`il avait reprime. Victimes du devoir est la premiere piece autobiographique qui met en relief le devoilement de soi permettant au dramaturge d`assumer lafonction therapeutique. Pour Ionesco, l`ecriture consiste a lui poser des questions et a communiquer avec lui-meme. Elle est aussi un moyen de communiquer avec les autres.

      • KCI등재

        ‘의사(擬似) 드라마’와 극작술 연구 - 이오네스코의 『의무의 희생자들』

        이영석(Lee, Yongseog)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34 No.-

        외젠 이오네스코는 전통극을 거부하는 반연극 혹은 부조리극을 쓰기 위해서 전통 연극의 문법을 거부하고 새로운 기법의 연극을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연극에 새로운 전망과 해석을 제시하기 위하여 자신의 연극에 일련의 부제를 단 연극을 발표하였다. 이오네스코는 『의무의 희생자들』에 대하여 ‘의사(疑似) 드라마’라는 부제를 달았다. 그는 이러한 부제를 통해 기존의 연극 장르의 전망을 넓힌다. 또한 이 연극은 이오네스코가 실존적, 사회적 경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적 연극이다. 이 극작품은 무엇보다 작가 자신의 억압된 과거에 대한 기억의 결과물이다. 이오네스코는 이 극작품에서 이전의 작품에서 다루었던 부조리한 언어의 문제를 다른 방식으로 접근한다. 그는 ‘연극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극글쓰기와 연극시학의 세계를 생각해 냈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이오네스코가 자신의 방식으로 연극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어떠한 연극글쓰기를 시도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몽환과 환상의 세계를 표현하는 등장인물의 정체성을 통해 이 극작품에 나타난 존재의 부조리함과 인간의 자유를 구속하는 사회의 이념에 대한 이오네스코의 사유를 연구하고자 한다. Eugène Ionesco rejects the grammar contained within traditional plays and proposes a new technique in order to write a semi-play that denies traditional methods. He published a play with a series of subtitles inorder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to his play. Ionesco added a subtitle of “pseudo-drame” to “Victimes du Devoir” This play is a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written by Ionesco based on existential and social experiences. Above all, this play is the result of the artist"s own suppressed memories of the past. In this study, we are exploring what method of drama writingIonesco attempted to express theatricality. Through the identity of various characters expressing a world of dreams and fantasy, Ionesco"s thoughts on the absurdity of existence and the social ideology that restrain human freedom in this play are studied.

      • KCI등재

        김수영의 ‘번역’과 시(론) 변화의 상관성

        고봉준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8

        Kim Su-Young simultaneously conducted “creation” and translation “ in the era dominated by “the politics of cold war culture“ and “anti-communism.” In summary, Kim Su-Young’s early translation comprised six volumes published by Chungang Munhwasa, and his later translation was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various types of collected works planned and published by Shingu Munhwasa. It is noteworthy that his early translation was rarely affected by books other than those written by Allen Tate. In his later translation, however, Kim Su-Young actively embraced his reading and translation experiences into changes in his poetry and poetics. While participating as a translator in several collected works planned by Shingu Munhwasa, Kim Su-Young also translated single volumes at the request of other publishers. In addition, he translated some writings of critical nature published in “Encounter”, “Partisan Review”, and “The London Magazine” and had them included in several magazines. Among them was also Ionesco’s “The Wall.” Before translating this work for Ionesco, he had written an essay titled “The Wall”, which shows remarkable similarity in the way of expressing humans and modern society. Ionesco’s essay “The Wall”, which Kim Su-Young translated, intensively talks about the problem of human alienation in modern society. Ionesco clearly points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and the antitheater by emphasizing that “language” cannot be trusted against the argument that “language”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to resolve human alienation. Ionesco’s theater of the absurd, which distrusted literature and language, became a considerable stimulation on Kim Su-Young who had deeply thought about the modernity of literature. However, he selected a different path than Ionesco’s because he ultimately did not withdraw his trust in “literature” and “language.” In the mid-1960s, Kim Su-Young’s contemplation began in “Beginning Note 7” that led to “Theory of Anti-Poetry” and “Poetry, Spit It Out”,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Grass.” In this work, Kim Su-Young revealed that a mainstay of the essay that he wrote in this period was an answer to the question raised by Ionesco. Following this, Kim Su-Young focused on Heidegger's theory of “Rilke”, and in particular, Rilke’s advice “Learn to forget such an impulsive song” made him contemplate on “poetry as an existence.” 김수영은 ‘냉전문화정치’와 ‘반공주의’가 지배하는 시대에 ‘창작’과 ‘번역’을 동시에 진행했다. 김수영의 초기 번역은 중앙문화사에서 출간한 여섯 권의 단행본으로, 후기 번역은 후기 번역은 신구문화사에서 기획 출간한 여러 종류의 전집에 공동번역자로 참여한 것으로 각각 요약된다. 초기 번역에서 주목할 점은 앨런 테이트 이외의 책들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반면 후기 번역에서 김수영은 자신의 독서 경험, 그리고 번역 경험을 시와 시론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김수영은 신구문화사가 기획한 여러 전집에 번역자로 참여하면서 동시에 다른 출판사들의 의뢰를 받아 단행본을 번역하기도 했다. 또한 《엔카운터》 《파르티잔 리뷰》 《The London Magazine》 등에 실린 비평적 성격의 글들을 번역하여 여러 잡지에 수록하기도 했다. 이것들 가운데에는 이오네스코의 「벽」도 있었다. 김수영은 이오네스코의 글을 번역하기 직전에 「벽」이라는 제목의 산문을 썼는데, 이 글은 인간과 현대사회를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놀라운 유사성을 보인다. 김수영이 번역한 이오네스코의 산문 「벽」은 현대사회의 인간소외 문제를 집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오네스코는 인간소외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와 ‘소통’이 중요하다는 주장에 맞서 ‘언어’를 신뢰할 수 없음을 강조함으로써 부조리극, 반(反)연극의 당위성을 설파한다. 문학과 언어를 불신한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은 문학의 현대성을 고민하던 김수영에 상당한 자극이 되었다. 하지만 김수영은 끝내 ‘문학’과 ‘언어’에 대한 신뢰를 거두지 않았기에 이오네스코와는 다른 길을 선택한다. 1960년대 중반 이후 시에 대한 김수영의 사유는 「시작 노트 7」에서 시작하여 「반(反)시론」, 「시여, 침을 뱉어라」로 이어지며, 그것은 「풀」로 귀착된다. 이 글에서는 김수영이 이 시기에 쓴 산문의 한 축이 이오네스코가 제기한 문제에 대한 응답임을 밝혔다. 그 이후 김수영은 하이데거의 ‘릴케론’에 주목했는데, 특히 “격한 노래를 잊어버리는 법”을 습득하라는 릴케의 조언은 김수영으로 하여금 ‘존재로서의 시’를 사유하도록 만들었다.

      • 이오네스코와『대머리 여가수』

        윤동진(YUN Dong-Ji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人文科學硏究 Vol.15 No.-

        오늘날 대부분의 프랑스 문학사와 연극사는 1950년대 ‘누보 테아트르’를 외젠 이오네스코의 『대머리 여가수』로 시작한다. 지금은 고전이 된 이 작품은 파리 뒷골목의 허름한 소극장에서 연극 내용에 불만스러워하는 극소수의 관객을 대상으로 초연되었다. 그럼에도 이 연극의 전위 근성, 즉 전통극의 철저한 전복을 지향하는 전위적 시도는 오래지 않아 문예계의 확고한 지지를 이끌어낸다. 『대머리 여가수』의 탄생은 그것이 종합 예술인 연극 장르인 이상 작가 혼자의 공로일 수는 없다. 특히 연출가 바타유는 사실적인 연기로 작품의 희극성을 부각시키는데 성공하며, 영어 회화 교재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의 극작술을 존재론적 차원으로 무대에서 심화시키는데 역량을 발휘한다. 이오네스코는 청년 시절 루마니아에서 인정받던 시인과 특히 비평가로서의 경력과 단절된 채 불혹의 나이를 넘겨 파리에서 희곡 작가로 데뷔했다. 노년에 이르러서는 그 옛날 자신이 새로운 연극의 젊음을 과시하기 위해 나이를 줄인 적이 있다는 것, 루마니아 시절의 습작이었던 『대머리 여가수』를 파리에서 창작한 새로운 연극으로 포장하여 극적으로 등장시켰다는 것을 고백하지만 그것은 이미 사소한 이야기 거리에 불과하고 작가의 위상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못한다. 문예사의 새로운 장을 연 『대머리 여가수』와 위대한 작가 이오네스코만 기록될 뿐이다.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et du théâtre français la Cantatrice chauve d'Eugène Ionesco ouvre souvent le chapitre du Nouveau Théâtre des années cinquante. Cette oeuvre, déjà devenue classique, a été créée devant un tout petit nombre de public dans une toute petite salle à Paris. N'empêche qu'elle attire l'attention et l'appui des hommes de théâtre et des grands écrivains, d'autant qu'elle se montre avant-gardiste, c'est-à-dire qu'elle vise à renverser le théâtre traditionnel de conventions. La naissance et le succès total de la Cantatrice chauve n'est venu seulement d'écrivain mais aussi de metteur en scène. Nicolas Bataille réussit à souligner le comique avec les jeux réalistes, et à appronfondir sur la scène, jusqu'au niveau métaphysique, le mécanisme de la dramaturgie inspirée de la méthode de l'anglais. Ionesco, reconnu en Roumanie comme poète et critique dans son jeune temps, a fait ses débuts à Paris comme dramaturge très tard, à l'âge de quarante et un ans, tout coupé de son ancienne carrière brillante. Vieilli, il avoue qu'il a réduit son âge pour que le nouveau théâtre s'apparût jeune, et qu'il a écrit la Cantatrice chauve en Roumanie non pas à Paris. Mais tout cela n'est plus qu'une petite histoire négligeable. Reste que le grand écrivain Ionesco et la Cantatrice chauve situés inébranlablement dans l'histoire de l'art avec le Nouveau Théâtre.

      • KCI등재

        이오네스코의 ‘놀이’ 사용법 - 하위징아와 카이와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이선화 ( Sun-hwa Lee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21 프랑스어문교육 Vol.74 No.-

        우리는 이오네스코의 작품세계를 놀이의 세계로 상정하고, 놀이의 측면에서 이오네스코의 극작술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카이와가 구분한 네 가지 놀이 유형을-아곤, 미미크리, 일링크스, 알레아-분석틀로 하여 그의 작품에 삽입된 놀이적 요소들을 발굴하고 유형화하면서 작품의 메시지와 놀이적 요소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아곤 형태의 놀이를 통해 작가는 현대사회 인간들의 초상을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은 놀이를 통해 일상생활의 권태와 지루함을 견디고, 타자와의 대화를 이어나간다. 놀이에 열중하는 이들의 모습은 정체성을 상실한 채 물건처럼 교환가능한 현대인의 자화상을 그려낸다. 미미크리 형태의 놀이를 통해 등장인물들은 소외된 존재감을 회복하기 위해 타인 되기를 꿈꾸기도 하고, 감춰뒀던 욕망을 분출하기도 하고, 폭압적인 권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일링크스는 발음연상 놀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파편화된 양상을 드러내고, 사물들의 증식과 가속성을 통해 실존을 위협받는 인간들의 상황을 재현한다. 알레아 형태의 놀이는 공연 시간에 기대어 주인공의 생존시간을 설정하면서 등장인물들이 위치한 허구 세계와 관객들이 위치한 현실 세계 간의 경계의 와해를 보여준다. 이오네스코는 이처럼 내용의 차원뿐 아니라 형식의 차원에서도 놀이를 작동시키며 놀이를 전방위적으로 사용한다. Tout comme Huizinga a examiné l'histoire culturelle du point de vue de la richesse et de l'esprit du jeu, nous examinons différentes pièces de théâtre de Ionesco à travers divers concepts du jeu. Pour ce faire, nous nous référons à la classification des jeux proposée par Caillois. Nous retirons des éléments correspondant à chaque catégorie du jeu (agôn, mimicry, ilinx, alea), concernant la pièce de Ionesco, puis analysons leur signification et leur message. À travers l'agôn comme compétition, Ionesco présente un portrait de l'homme moderne. L'apparence des personnages participant au jeu révèle une société instable et désorientée. Par le mimicry, qui repose sur le jeu de l'imitation, les personnages dévoilent leurs désirs et exercent un pouvoir sur autrui. L'ilinx est réalisé par la prolifération et l'accélération des choses. Il soulève des questions sur l'identité des personnages dans la société moderne et exprime la situation des humains submergés par les choses matérielles. L'alea, qui dépend de la chance et du destin, montre l'effondrement de la frontière entre la réalité et la fiction.

      • 이오네스코 문학 세계의 전기적 고찰

        윤동진 경기대학교 1995 論文集 Vol.37 No.-

        이제 그의 마지막 일기 "간헐적 탐색"(1987)을 따라가며 그의 세계관과 문학 사상을 정리해 보자. 이것은 죽음의 벼랑 위에서도 결코 무디어지지 않는 작가의 날카로운 의식이 좀체로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세계에 본질적 질문들을 던지고 있는 기록이다. 이 세계 속의 모든 존재, 모든 것은 환상이다 그러나 환상이라고 의식하는 '나'가 존재하고, 따라서 타인이. 그리고 세계가 존재한다. 즉 환상의 현실은 환상이 아니다. 그리고 환상은 그 환상을 야기하는 원인이나 이유가 있다. 따라서 환상은 그 원인, 즉 실재의 일면이다. 다시 말해서 환상은 창조의 일면, 창조의 상식이다. 그런데 인간은 창조물을 외양에서만 알아볼 뿐, 모든 것을 시간적·공간적 제한하에 있는 나의 의식의 범주내에서 의식하므로 칸트의 물 자체 불가지론처럼 그 실체는 인지가 미치지 않는다. 다만 인간은 때때로 聖의 현현, 신의 발현에 접할 수 있다 한편 이오네스코는 절대의 탐색의 연장선 상에서 문학을 통한 영광과 구원에의 욕망을 승화시킨다. 나의 존재는 타자의 기억을 필요로 한다. 나는 타인에 의해서만 실존하고 타인들은 나를 통해서 살아있다. 그러므로 나는 타자이다. 그런데 나는 타자에게서 재료를 취하므로 타자이지만 그 형태와 구조는 나의 정신, 즉 나다 그러므로 나는 異他的인 '나'이면서 동시에 나의 열린 부분인 타자이다. 그리하여 개인적인 문학은 보편적인 독자들에게 소통된다. 독자들 역시 나처럼 언젠가는 사라질 환상이므로 문학적 욕망은 헛될 수밖에 없지만 절대와 문학을 동시에 추구한다면 신의 구원을 지향하는 나와 동일한 영혼들과 절대적, 형이상학적 가치를 공유하는 것이다. 또한 내가 수평적 문학 기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뇌의 심연에서, 언어의 카오스에서 절대를 탐색할 때, 문학은 종교로 인도해 줄 것이며 신은 나의 조그만 문학 작업에서 열매를 거두리라. 과연 삶과 죽음을 동시에 정당화해 줄 방법이 아닌가. 그는 나치 집단 수용소에서 자원해서 죄수들과 죽어가며 죄수들로 하여금 두려움 없이 죽음을 받아들이도록 도와준 콜베(Maximilien Kolbe) 신부님의 모범을 "죽음만큼 삶을 정당화시키는 일이었다며 그러한 일을 문학을 통해 하고 싶다고 피력한 적이 있다. 따라서 마지막 일기의 문학 성찰은 그의 희망의 범주내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인간 조건의 한계를 짓는 벽 앞에서의 풀릴 수 없는 최후의 질문은 인류 공동의 운명을 확인시키면서 그 고뇌의 확인으로 모두를 이어주는 우애의 고리를 지어낸다. 이를 일컬어 이오네스코는 "형이상학적 휴머니즘"이라고 한다. 그가 異他性을 利他主義로 감싸고 자기 기만이 없는 진실한 문학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해갈 때 우리는 그의 희망의 실현과정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외젠 이오네스코의 자전적 연극

        박형섭(PARK Hyung-Sub)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1 프랑스문화연구 Vol.23 No.-

        La grande majorité des thèmes abordés par Ionesco dans un théâtre ont leur source dans le continuum autobiographique constitué par les mémoires, les journaux intimes, les articles divers réunis dans Notes et contre-notes et les entretiens avec Claude Bonnefoy. Ces livres ont pour objet l'homme Ionesco. Dans cette étude, nous allons donc examiner les écrits intimes de Ionesco, et après nous allons les comparer son théâtre. Spectateurs ou lecteurs connaissent certains faits marquants de sa vie, même sans avoir lu de biographies du dramaturge. D'abord, parce qu'à mesure que le temps passe, le théâtre de Ionesco évolue vers des pièces plus oniriques mais dites aussi autobiographiques. Nous allons approcher les thèmes comme ceci: Le souvenirs des parents; La Chapelle- Anthenaise; Bérenger-Ionesco; l'Esprit critique de chez Ionesco. Et pour conclure on pourrait dire la fonction de la cure de l'écriture de l'auteur lui-même. Les images, les souvenirs d'enfance conduisent Ionesco aux rêves et interrogations suscitées par le fait d'exister. Ces motivations semblent bien constituer le point de départ de sa dramaturgie. Son théâtre évolue vers des pièces qui utilisent de plus en plus d'éléments biographiques. Des étapes, épreuves ou expériences marquantes de son existence sont intégrées aux représentations. En fait, plus le personnage se dépersonnalise et plus Ionesco le situe pourtant dans un contexte qui emprunte des éléments de sa propre vie. Ensuite, les journaux de l'auteur relatent encore d'autres épisodes de son existence. On y voit le développement de sa personnalité. En fin de compte Ionesco définit son théâtre comme la projection sur la scène d'un univers intérieur. Les acteurs de ce théâtre sont les médiums qui nous font accéder à l'intérieur de notre propre rêve. Et Ionesco remet en question la création dramatique. Son théâtre est non seulement une réflexion esthétique mais aussi une série de confessions comme l'expression de son angoisse et sa réalité.

      • KCI등재

        이근삼의 희곡들과 이오네스코의 〈 수업 〉속에 타나난 교수들의 문제점 연구

        송정애 ( Jungai Song ) 한국드라마학회 2004 드라마연구 Vol.- No.23

        최근 비교문학의 연구 동향은 프랑스식 비교문학의 전형적인 방법인 영향관계보다는 작가나 작품간의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문학 현상을 대상으로 그 유사성을 대비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근삼의 〈 원고지 〉, 〈 거룩한 직업 >, 〈 광인들의 축제 〉와 프랑스의 극작가인 이오네스코의 〈 수업 >사이에 어떤 영향 관계가 없음에도 교수들의 문제점들의 유사 현상들이 다뤄져 있음을 볼 수 있어, 대비연구를 통해 시ㆍ공간을 초월해 교수 사회가 지닌 보편적 문제를 파악한다. 이 연구는 두 작가의 학자에 대한 견해가 유사하기 때문에 차이성보다는 보편성에 중점을 두어 연구한다. 두 작가의 희곡들 속에 나타난 교수들의 보편적 문제점들은 인물들이 교수 사회의 기본 환경의 문제들을 극복하지 못한 채, 교육관의 부재, 학문관의 부재,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의 부재들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교수 개개인이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현상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현상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우리의 옛 선비들과 학문의 진정한 의미와 교수사회를 연구한 많은 학자들의 연구들을 통해 제시한다. 두 작가의 희곡들이 쓰여 진지 수십 년이 지났으나 인물들이 지녔던 문제들은 오늘날에도 반복되고 있어, 그 시대보다도 더욱 순수한 학문에 대한 관심보다는 학위나 직장 얻기에 더욱 관심을 지니는 국가와 대학사회와 학생들의 요구에 자신의 지식과 에너지를 동원해 이를 충족시키며, 연구의 질보다는 양에 관심을 지니고, 헛된 명예를 쫒는 많은 교수들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수들 각자가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갖고, 자신의 학문 연구를 통한 인식의 진보가 세상에 대한 새 시각을 주어 이것으로 세상이 발전하게 공헌하는 지성인으로서의 책임을 다 해 사회의 양심이며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교수들이 앞으로의 희곡들의 주인공들로 많이 창작되어, 이러한 주인공들을 통해서 보편적인 바람직한 교수 상을 연구하게 되어, 희곡들과 연구들이 교수 사회의 새 방향을 제시해 이끌 수 있는 날이 오걸 기대한다. There are the problems of professor in Lee Geun-Sam`s plays, paper for a manuscript, the profession sublime, fete of madmen, and in Ionesco`s play, the Lesson. There are the problems similar of professor in there plays, because Lee Geun-Sam and Ionesco held the same view about professor. Heros in their plays have not a strong conviction about education, science and their roles for the society. But the wisdom of our ancient scholar to give a capacity surmount an obstacle mental of professor and to give a capacity to fine their roles for the society.

      • KCI등재

        부조리극 서사의 수행적 가능성 -외젠 이오네스코의 < The Chairs >를 중심으로-

        서종현 ( Seo¸ Joung-hyun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본고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서사적 특징과 수행성 개념을 바탕으로 드라마 연극의 관습을 거부한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 The Chairs >(1952)의 서사가 지닌 수행성을 탐색한다. 포스트드라마 흐름 속에서 연극텍스트에 관한 논의는 주로 연출가의 글쓰기나 공동창작의 글쓰기 작업에 집중된 반면에 극문학은 과거의 논의 대상으로 치부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본고는 포스트드라마 현상이 극문학을 연구 대상에서 등한시 하는 흐름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제안한다. 특히 ‘반-연극’이라는 용어 그대로 연극적 관습에 대한 자기해체와 자기반성을 의도하는 부조리극의 서사에는 내용(이야기)보다 표출 방식/행위(이야기하기)가 중요하고, 서사의 의미는 능동적으로 작품 구성에 참여하는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보된다는 점에서 본고의 논지를 전개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있다. 본고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부조리극의 연극사적 의의, 작가의 의도, 철학적 의미를 규명하는 것으로부터 나아가 부조리극 텍스트의 짜임을 서사의 내용과 서사의 표출 방식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고는 부조리극 서사의 양면적 기능을 확장하고 부조리극 서사가 지닌 수행적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러한 발견은 재현과 현존의 대립에서 비켜 서있는 극문학의 서사가 지닌 가치를 재고하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고의 성과를 바탕으로 포스트드라마의 지각방식이 더욱 다양한 유형의 극문학에 적용되어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formativity in the narrative of the absurd play, Eugene Ionesco’s < The Chairs >(1952) that rejected the convention of dramatic plays, based on the narrative features of postdramatic theatre and the performative concepts. While discussions on theatrical text in the flow of post-drama focused on either director’s or co-creative writing, plays tend to be dismissed as a subject of the past. This study reflects the postdramatic phenomena neglecting plays as research topics.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hat in the narrative of absurd plays that intend to self-destruct on the theatrical convention, the way of expression/ action(storytell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tent(story), and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is secured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e producing work. Moving forward from the previous research identifying the theatrical significance, author’s intentions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absurd plays, this study examines the texture of absurd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narrative and the way of it is expressed. In this sense,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two-sided function of the narrative of absurd plays and discovers its performative potential. This discovery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nsiders the value of plays that escape the confrontation between presence and mimesis. From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perceptual strategy of post-drama can be applied to more diverse types of plays.

      • KCI등재

        50년대 프랑스 연극의 대표들에 대한 이오네스코의 견해

        윤동진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고전주의 이래 세계 연극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장을 차지한 프랑스 연극이라면 그 미학의 혁명성이나 세계적 파장을 고려할 때 단연 1950년대 누보 테아트르가 선두에 떠오를 것이다. 이제 그 시절의 아방가르드가 나타나서 고전분투하고 인정을 받은 지 반세기가 흘렀다. 그 주역들도 모두 사망하고 다음 세대의 새로운 사조 역시 가닥이 잡히니, 연극계와 문학계에서 난무하던 이 연극에 대한 평가는 거의 정리된 듯하다. 20세기가 끝날 무렵, 50년대 연극의 뒤를 이은 연출가 시대의 거장들과 집단 창조 극단들의 공연미학의 쇄신, 제3세계연극, 일상극, 페미니즘연극, 그 밖의 여러 작가들의 극작술의 변화를 지켜본 랭가에르Jean-Pierre Ryngaert 교수는 “현대연극은 아직도 50년대의 ‘전위’와 동일시된다”고 선언한다. 그보다 이미 30년 전, 전후 연극계를 대표하던 실존주의 문학의 거장 사르트르Jean-Paul Sartre는 한 강연에서 자신의 연극미학을 전복시킨 “이오네스코, 베케트, 아다모브, 장 주네 […] 이후, 이전에 말했듯이 연극에 대해 말할 수 없다”고 단언하지 않았던가? 막 출판되어 사르트르가 이 강연을 준비하기 위해 읽었다는 『새로운 연극의 역사』의 저자 세로Geneviève Serreau는 더욱 포괄적이고 당당한 예언을 담아 결론을 내린다. Ionesco, un des auteurs représentant le théâtre français des anneées cinquante, nous laisse des commentaires précieux sur ses rivaux contemporains. Ses remarques sont généralement bien explicites qui nous rappellent sa carrière de jeunesse de critique brillant. Mais il n'apprécie guère les oeuvres théâtrales réalisées différemment de sa conviction artistique. Adamov, considéré au début comme une 'Troïka' avec Ionesco et Beckett, se détourne de l'esthétique d'avant-garde et du théâtre métaphysique pour se convertir au théâtre engagé. C'est Adamov d'avant cette conversion que Ionesco admire en déplorant le malheur de "ce dramaturge injustement oublié aujourd'hui". La plupart des historiens littéraires consentent à Ionesco, tandis que quelques savants du théâtre tendent à observer les essais persévérants Adamov pour unir les trouvailles du Nouveau Théâtre et le théâtre à brechtienne. Beckett dont Ionesco reconnaît le mérite se restreint à être un auteur qui exprime merveilleusement les angoisses existentielles. Quant à formalist Beckett, malgré l'admiration quasi unanime du monde artistique, Ionesco s'y oppose et le prend pour le dramaturge attachant aux techniques artificielles. Il va jusqu'à critiquer sa dimension métaphysique limitée à ne point dépasser ce monde terrestre. Enfin Ionesco est bien conscient de ses apports au théâtre en tant que dramaturge d'avant-garde et promoteur du Nouveau Théâtre. C'est ce qu‘il défend absolument de toute objection dans son dernier tem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