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아 이슬람의 쟁점

        오명석(Myung-Seok Oh)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이 글은 동남아 이슬람의 쟁점을 이슬람과 현대성이 맺는 관계에 대한 이슬람적 담론과 실천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문제의식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구적 현대성에 대한 이슬람 근대주의(또는 신근대주의)와 이슬람 근본주의의 담론적 대응을 분석하고, 다원적 현대성 또는 대안적 현대성과 같은 최근의 논의와의 연관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슬람 근대주의가 지향하는 이슬람적 현대성이 현실 속에서 어떤 모습으로 구현되고 한계를 노정하고 있는가를 말레이시아의 이슬람화 정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동남아 이슬람의 역동적 변화를 무슬림 세계의 지구적 연결망과 지역적인 수준에서의 사회적 맥락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slam and modernity through diverse Islamic discourses and practices, with special attention to Southeast Asia. The discourses of Islamic modernism (or neo-modernism) and of Islamic fundamentalism, both as responses to the Western modernity in different ways, are analyzed in relation to issues of the recent academic discussions about ‘multiple modernity’ or ‘alternative modernity.’ In particular, this paper shows how the policy of ‘Islamization’ in Malaysia has played a powerful role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slamic modernity, as well as its limits. It also emphasizes the need to understand the dynamic changes of Southeast Asian Islam at the level of both the global networks of the Muslim world, and of the social contexts of local regions.

      • KCI등재

        이슬람채권(Sukuk)에 대한 조세감면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박성진 한국회계정책학회 2011 회계와 정책연구 Vol.16 No.3

        It was the main motivations of Korean government to support Islamic bond(Sukuk) plan in September 2009 that domestic companies improve borrowing conditions and lower the risk to diversify the sources of borrowing focused on U.S. and Europ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slamic funds. On the other hand, Islamic bond support plan was not fair to other similar transaction. Except for UK, Singapore, Ireland, among non-Islamic countries, United States, Japan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have no separate tax exemption rul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major issues as to Islamic bond support plan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tax incen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lamic bond is designed to pay lease or sale-gain instead of interest according to Islamic law but Islamic bond is foreign currency bond under principle of real taxation. Thus, as for Islamic bond, it is possible to apply tax exemption regulations based on the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Article 21(tax exemption of interest income). Second, Islamic bond support plan does not give an undue tax benefits compared with other foreign currency bond and recognition of tax exemption rules for formal transactions is often in Korean tax law. Third, the possibility of tax avoidance through Islamic bond can be solved through maintenance of the relevant system.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supervision of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 personnel exchanges and train specialized workforce. 정부가 2009년 9월에 이슬람채권(Sukuk)의 지원방안을 마련하게 된 주요한 동기는 풍부한 이슬람 자금의 도입을 통한 미국 및 유럽 중심의 차입선을 다변화하여 위험을 분산하여 국내기업의 차입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의 2009년 9월의 정부안에 대해 일부에서는 이슬람채권에 대해서만 조세를 면제해 주는 것은 다른 동일한 일반적인 거래와 비교하여 형평에 어긋나며 비이슬람 국가 중 수쿡에 과세혜택을 주는 나라는 영국, 싱가포르, 아일랜드, 프랑스 등 4개국이며 미국, 일본 등 다른 선진국에서도 별도의 과세특례제도를 두고 있지 않음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슬람채권에 대한 지원방안의 찬반논란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이슬람채권에 대한 조세감면의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며 조세감면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슬람채권이 이자수수를 금지하는 이슬람율법에 따라 이자를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대신 임대료, 이익금 등의 형식으로 지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실질과세원칙’ 하에서 판단하면 외화표시채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슬람채권에 대해서 ‘국제금융거래에 따른 이자소득 등에 대한 법인세 등의 면제규정’인 조세특례제한법 제21조에 근거한 조세특례규정의 적용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슬람채권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안은 이슬람채권을 다른 외화표시채권에 비해 특별히 우대하기 위해 과도한 세제상의 혜택을 부여했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우리나라 세법에서도 형식적인 거래에 대해 과세특례를 인정하고 있는 사례가 적지 않으며 이슬람채권에 대해서만 유일하게 과세특례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셋째, 이슬람채권을 통한 조세회피가능성에 대해서는 국내의 관련제도의 정비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국내 이슬람금융의 감독기관과 이슬람금융기구와의 협력 및 인적교류를 강화하고 이슬람금융에 특화된 전문화된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이슬람 과격주의의 유사점과 차이점

        서정민 ( Jeong Min Seo ) 한국이슬람학회 2008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ol.18 No.3

        이슬람의 이념을 분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접근법으로 나뉠 수 있다. 서구의 전통적인 접근법으로 대표적인 것은 이슬람이 현대의 세속적 변화에 적응할 수 없다는 시각이다. 반면 이슬람이 본래의 정신적 가치를 바꾸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근대화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본 논문은 두 번째 접근법에 따라 이슬람 과격주의를 분석한다. 이슬람 과격주의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근대 과격주의의 대표적인 세 이론가를 비교분석한다. 파키스탄 자마아티 이슬라미의 마우두디, 이집트 무슬림형제단의 쿠틉, 그리고 이집트 지하드 그룹의 파라즈의 과격주의를 비교한다. 세 이론가의 저서에 나타난 과격주의 사상을 세계관과 국가관, 국가 지도자관, 그리고 지하드에 대한 시각으로 분류해 고찰한다. 세 명의 사상은 상당히 혁명적 특성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중 지하드 그룹의 이론가 파라즈의 사상을 가장 과격한 것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파라즈의 경우 마우두디와 쿠틉에 비해 그의 개인적 성장 및 활동 배경이 상당히 어려웠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정치적, 사회·경제적, 그리고 개인적 환경이 특정 이념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3대 과격주의 사상가의 이념과 성장배경에 대한 비교분석은 이슬람 사상이 시대적 그리고 주변적 상황에 따라 바뀌고 진화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이슬람에서의 과격주의가 이슬람의 본질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서구의 여러 이념들처럼 특정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개인적 맥락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 이슬람 채권의 이해

        최두열,오규택,박동규 한국재무학회 200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04

        본 논문은 최근 국제금융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슬람 채권(수쿡)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슬람 채권은 그 발행이 급증하고 있 을 뿐 아니라 그 투자자들이 이슬람 인구뿐만이 아니라 서구의 투자자 계층에게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또한 발행 국가도 이슬람권이 아닌 서 구의 국가로 확산되고 있어 점차 글로벌 채권화하고 있다. 따라서 중동 을 비롯한 이슬람권 진출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자금 조달원으로서, 한 국의 금융기관 등 자산관리자들은 포트폴리오 운영에 있어서 새로운 운영 대상으로서 이슬람 채권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알아야 할 필요 가 있다. 이슬람 채권은 이슬람 금융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발행되는데 이슬 람 금융은 근본적으로 이자의 수수를 금지하고 있는 대신 이윤과 손실 을 분배하는 원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본 논문에서는 이윤과 손실을 분배하는 이슬람 금융 원리에 의해서도 전통적인 채권과 유사한 채권 의 구조화가 어떻게 가능한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이슬람 채권은 그 바탕이 되는 실물자산에 대한 이슬람 금융 계약의 형태에 따라 이자라 수쿡, 살람 수쿡, 무라바하 수쿡, 무샤라카 수쿡, 무다라바 수쿡, 이스티스나 수쿡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종류별 이슬람 채권들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본 이슬람교의 신관 고찰

        이상웅 ( Sang Ung Lee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6 No.-

        이슬람교는 더 이상 우리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는 종교가 아니고 바로 우리가까이에 다가와 있을 뿐 아니라 왕성한 선교정책(다와)을 통하여 확장일로에 있다. 그리고 국내에는 1만명에 이르는 이슬람 다문화 가정이 존재하고 있으며, 적지 않은 문제들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개혁주의자들도 이슬람에 대한 바른 이해와 사역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에 이슬람의 신관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하는 점을 필자는 의식하면서 본고를 전개하였다. 논자는 이슬람교의 알라신과 개혁주의자들이 믿고 있는 성경적인 하나님이 같은 신인가 아닌가라고 하는 문제 제기에서 본고를 시작했고, 논의 과정을 통하여 알라신과 개혁주의적인 하나님은 전혀 다른 신임을 입증하였다. 첫째 알라라고 하는 신명의 기원과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알라라는 명칭은 알라하, 엘 혹은 엘로힘과 언어적인 상관관계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지만, 그 내용은 다르다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우리는 이슬람 이전에도 알라신이 배일신교의 숭배 대상으로 존재했으며, 무함마드가 아라비아의 다신론을 척결하고 최고신이었던 알라를 유일신으로 승화시켰음을 알게 된다. 둘째로 이슬람교의 핵심이요 근간이라고 할수 있는 알라의 유일성(tauhid)교리에 대해서 논구해 보면, 알라는 일위일체론적인 신이기 때문에, 어떤 형태의 다신론도 거부할 뿐 아니라 심지어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론까지 거부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꾸란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성령의 신성을 부인할 뿐 아니라, 어떤 이단의 영향으로 알라, 마리아, 예수 등의 3신론을 기독교인들이 믿고 있다고 오해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알라의 속성에 대해서 논구해 보았다. 꾸란은 알라에 대해서 묘사하거나 정의내리는 것을 배척하면서도 알라의 속성과 사역에 대해서 풍성하게 선포하고 있다. 특히 꾸란과 하디스에 근거하여 후세 이슬람 학자들이 정립한 99가지의 알라의 이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중에 알라의 사랑의 속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알라의 사랑은 철저하게 알라 중심이요, 무함마드 중심이며, 조건적이라고 하는 점을 확인할 수가 있었으며, 이는 아무런 조건 없이 죄인들을 구원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내어버리시기까지 하신 성경적인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사랑과는 너무나도 대조된다는 점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슬람교의 알라는 구약의 여호와 하나님이나 신약의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와 전혀 다르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이슬람교와 기독교는 그 형식적인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같은 신을 믿는 종교일수 없다는 점은 분명히 해야 한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가 기존의 유대교와 기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만들어낸 다른 종교라고 해야 할 것이다. Islam is no more a far away religion for us. It is expanding through vigorous and variable missionary policies (dawa) in Korea. There are over ten thousand Islamic Multicultural families now living in Korea and they have caused some considerable problems. In such a situation, it is imperative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Islam and to make relevant ministry plans for them. I think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Islamic viewpoint of god righ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important issue whether the Allah of Islam and the God that we believe are the same or not. Through the process of a lengthy discussion, we have concluded that the Allah and the Biblical God are totally different. At first, we have looked a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origin of the name of Allah, and admitted that the name of Allah had the linguistic correlation with Alaha, El or Elohim but they were of totally different contents. And we also know that even in pre-Islamic period, Allah had been worshiped as a supreme god in henotheistic religion of Arabia and Muhammad wiped out the polytheism completely and sublimated Allah as the monotheistic god. Secondly, if we study the doctrine of Uniqueness (tau hid) of Allah, we know that Islam refuses any form of polytheism, even the Christian Trinity. As they believe that Allah is the one and only personal god and Quran denies the divinity of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together, they misinterpret the Christian Trinitarian God as a family gods composed of Allah, Jesus and Mary influenced by certain heresies. Finally, we have examined the attributes of Allah. While Quran rejects to describe or define Allah, it proclaims abundantly the attributes and works of Allah. We especially looked at about 99 names of Allah, which Islamic scholars established based on the Quran and Hadith. If we examine specially the love of Allah, we understand that the love of Allah is Muhammad-centered, Allah-centered and it is thoroughly conditional. So we see that such love of Allah is totally opposite to the unconditional love of Biblical God, who gave Himself up for sinners without any condition.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we may conclude that the Islamic Alla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Yahweh God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Father of Jesus Christ of the New Testament. So we should say clearly that Islam and Christianity do not profess the same god at all. It should be said that Islam is another religion that Muhammad made influenced by the existing Jewish and Christian sects.

      • KCI등재

        이슬람국가에서의 국제상사중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손태우 ( Tae Woo Sohn ),홍문영 ( Moon Young H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31 No.4

        이슬람 국가들 역시 전통적으로 중재를 상거래에서 일어나는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사실은 샤리아의 주법원인 꾸란 및 예언자 모하메드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에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세계 2차 대전 이후 중동 국가들은 석유 시추 및 거래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국제상사중재로 해결하려고 하였으나, 일련의 관련 중재판정에서 준거법으로써의 이슬람법은 전근대적 원시법으로 폄하되거나 서구법이 관련 거래에 적합한 일반 법원칙을 가진 법이라고 하여 이슬람법이 관련 사건의 준거법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이에 많은 중동국가는 국제상사중재에 큰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1970년대 이후까지 계속되었다. 그렇지만 이후 글로벌화의 진전과 국제상사분쟁에서의 중재의 중요성을 재인식함으로써 중동국가를 위시한 많은 이슬람국은 국제상사중재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 뉴욕협약에 가입할 뿐만 아니라 UNCITRAL 모델중재법을 수용하여 자국의 중재규범을 국제적 수준까지 올리고 있다. 또한 이들 국가는 자국 내에 국제적 중재기관 혹은 센터를 설립하여 외국인도 국제적 상사중재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한다. 문제는 이슬람 개별 국가가 어느 정도의 국제적 상사중재규범을 가지고 운영을 하고 있는 가는 샤리아가 이들 국가의 상사중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 그 중 공통적인 것은 샤리아가 여전히 국제상사중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며, 특히 샤리아에 기반을 둔 각 국의 공공질서는 뉴욕협약 상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을 거부할 수 있는 예외사항으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분쟁당사자가 중재와 관련해서 준거법을 선택함에 있어서 당연히 샤리아가 지정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의미를 당사자가 샤리아 이외의 다른 법을 준거법으로 약정하는 경우에 그 준거법이 샤리아에 적합하다면 그것을 약정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하는 지는 앞으로의 연구대상이다. 한편 이슬람국가에서 중재합의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그 대상인 분쟁이 이미 발생하여 명백히 특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는 샤리아 상 불확실성이 포함된 계약인 가라르에 해당될 수 있는 중재조항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많은 이슬람국가는 중재조항의 국제매매에서의 유용성과 당사자의 편익을 고려하고 샤리아의 현실적응성과 구체적 타당성의 특성에 따라 중재조항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중재가능성에 대한 이슬람국가의 입장 역시 각 국이 추구하는 중재규범의 목적과 샤리아의 영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샤리아에 기반을 둔 중재합의 내에서만 중재가 가능한 것으로 보아 샤리아 상 허용되지 않은 문제와 공공질서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서는 중재를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말레이시아와 같은 이슬람국가는 ICC 중재규칙이나 UNCITRAL 모델중재법처럼 사법상 처분 가능한 법률관계이면 중재대상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중재인의 자격요건에 관해서도 전통적으로 샤리아는 중재인의 요건으로 법관의 자격요건에 무슬림 남성일 것을 요구하였다. 지금도 이러한 요건을 중재인의 자격으로 요구하는 이슬람국가도 있지만, 많은 이슬람국가는 중재인의 자격요건에 남성일 것과 무슬림일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중재인은 중재사건에서 독립성과 공정성을 갖추어서 중재판정을 내리면 중재에서 오는 민 · 형사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일반적 국제상사중재의 원칙인 바, 이러한 원칙을 그대로 수용하는 이슬람국가도 많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일부 이슬람국가에서는 중재인이 중재계약에 따라 선임된 자이기 때문에 자신의 과실여부에 관계없이 중재로부터 발생한 당사자의 피해에 대해 책임을 진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많은 이슬람국가는 자국의 국제상사중재제도를 서구식 국제상사중재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샤리아에 대한 선입견으로 이들 국가 혹은 국민인 무슬림과의 중재합의를 주저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무슬림은 계약의 준수의무를 종교적 의무로 보고 있기 때문에 중재합의를 포함한 주계약의 이행 가능성이 서구의 계약당사 자와의 계약 이행가능성보다 훨씬 높다. 단지 샤리아의 영향력이 여전히 지대한 일부 이슬람국가 혹은 그 국민과의 중재합의 시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해야 할 것이다. 이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적용되는 샤리아가 전근대적 혹은 원시적 내용을 지닌 규범이 아니고 현대 경제생활에 유연하게 적용되고 당사자의 구체적 타당성을 충분히 고려하는 진화하는 샤리아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슬람국가의 국제상사중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샤리아에 대해 긍정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The Islamic countries are governed by Islamic law, also known as Sharia. Sharia controls not only their personal and religious lives, but also their commercial and political things. Arbitration existed in the Middle East before the emergence of Islam. Even the Quran and the Prophet Muhammad approved of the use of arbitration to settle disputes,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based on Western countries’ practices gained notoriety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because of the arbitral awards rendered on a devaluation of lslamic law in the arbitration of oil disputes. But a resurgence of international arbitration arose in many Islamic countries due to globalization and growth in international commerc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these Islamic countries, especially in strict disciplined countries such as Saudi Arabian, that arbitration is proceeded by Muslim arbitrators, and the arbitrators are also required to render an award that is enforceable under Sharia. Furthermore, these countries require their courts or authorities to review all arbitration awards to ensure that each award is given in accordance with the Sharia. Even though most of the above countries joined the New York Convention, the Convention let them allow to align themselves more closely to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standards without having no abandon their public policy based on the Sharia because of its exception clause. One frequently raised issue in Islamic commercial arbitration is that Sharia does not recognize the imposition of interest in any contract. Another one is that Muslim parties will often require the application of Islamic law when an arbitration agreement is silent as to choice of law. But in this case, a wester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will usually be the law of the jurisdiction in which the arbitration is seated. Even though Sharia has historically been quite humane, affording equality and protection in some areas that Western law did not, foreign investors who are operating in a deeply religious Islamic countries will potentially be giving up some procedural rights and be limited in the types of remedies avaliable to them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 KCI등재

        이슬람 사원 건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이스탄불 비잔틴양식 기법을 중심으로

        임상규,강훈,이일,심영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2 No.4

        유일신인 하느님을 숭배하는 기독교 카돌릭의 구교와 신교 그리고 기독교 성경의 구약을 믿는 유대교와 구약과 선지자 마호메트를 섬기는 이슬람교 이 모두 단일신인 유일신을 믿는 종교이나 서로는 상대를 불신하고 갈등과 반목의 관계이다.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기독교 건축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만 이슬람교에 대하여 부정적인 선입견과 무관심이 현실이다. 지역마다 시대별로 다양한 종교들이 변화를 거듭하며 진화하는 종교와 문화는 우리는 그 어느 것도 자세히 알지 못하고 그것들을 이해하기도 불가능하다. 이스탄불의 지금의 종교가 자리 잡기까지는 수많은 시간 속에 혼란과 역경의 나날들 위에 오늘의 이슬람교를 국교로 국민적 신앙으로 하는 국가를 만들었다. 이스탄불은 그리스 · 로마문화를 기층문화 위에 초기 기독교 문화 그리고 동서 로마의 결별로 종교도 기독교에서 동방정교회로 변화되고 1453년의 비잔틴제국에서 오스만제국의 개국으로 말미암아 동양의 종교인 이슬람교로 개종하였다. 이슬람교는 유일신교로 기독교 성경의 구약을 믿고 선지자 마호메트를 선지자로 믿는 종교이므로 기독교와 유사한 동방정교회는 이슬람교가 유일하게 인정하고 수용하는 종교이다. 이스탄불은 종교의 격변시간에 이슬람교의 사원들은 동방정교의 사원 형식을 답습하고 모방하여 이슬람 사원건축을 완성하였다. Christia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nd the Christian Old Testament Judaism and the Old Testament and Islam serving the Prophet Muhammad are both religions that believe in a single god, the one god, or each other, distrust one another, and conflict and opposition. In the Christian culture, research on Christian architecture is active, but negative prejudice and indifference to Islam is a reality. Religious religions and cultures are evolving and varying from region to region, and we do not know anything in detail and cannot understand them. Until the present religion of Istanbul took place, in a number of times, on the days of confusion and adversity, today's Islam was established as a state religion with national religion. Istanbul transformed Greek and Roman culture from the foundations of the early Christian culture and from the East-West Roman to the religion from Christianity to the Eastern Orthodox Church, and from 1453 to the Ottoman Empire, to the Eastern religion of Islam. Islam is the only religion that believes in the Old Testament of the Christian Bible and believes the Prophet Muhammad as the Prophet. In the turbulent times of religion, the mosques of Islam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Islamic mosques by following and imitating Eastern Orthodox mosque forms.

      • KCI등재

        이슬람 공동체‘움마’와 기독교 공동체‘교회’의 정체성 연구

        정은배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1 No.-

        본 연구의 발단은 국내에 이슬람 관광객 및 이슬람 이주민들이 늘어감에 따라 이슬람 기도실 건립에 대한 유무로 인한 관심사에서 비롯되었다. 이슬람 기도실은 단순히 관광객 편의를 위한 시설제공 여부의 차원을 벗어나 종교적 특혜라는 것과, 이슬람이 한국에 정착되어 갈 수 있는 우려의 상황들을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논란이 계속 일어났었던 부분이다. 그렇다면, 이슬람 기도실은 무슬림들의 삶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인가? 단순한 기도장소에 불과한 것인지, 아니면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의 사상이 함께 내재되어 그들의 삶에 핵심적인 장소를 제공하는 것은 아닌지 고려하게 되는 사항이다. 더욱이, 이슬람 선교는 무슬림 한 개인에게 복음전파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슬람 공동체 전체가 선교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선교적 차원을 고려할 때 이슬람 공동체 움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부분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소고는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의 정체성에 대하여 연구한다. 아울러, 기독교 공동체인 교회에 대하여서도 성경적, 신학적 개혁주의 입장에서 교회가 존재론적으로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연구한다. 이로써, 이슬람 공동체 움마와 기독교 공동체 교회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교회는 곧 예수님의 몸이며, 예수님의 머리가 된다는 존재론적인 독특성과 구원사역에 대한 본질적인 교회 사명의 차별성을 드러낸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슬람 공동체 움마가 꾸란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역사속에서 움마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되어갔는지 고찰한다. 이어서 모스크가 이슬람 공동체의 권위와 핵심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즉, 이슬람 공동체 움마와 기독교 공동체 교회는 신앙을 가진 공동체로서 사람들의 모임, 집단이라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공동체가 형성된 배경이나 공동체가 갖고 있는 본래적인 의미는 기독교 교회와 전혀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힌다. 이슬람 공동체 움마는 정치적 권력과 정복전쟁이라는 배경아래 당시 무함마드를 따르는 추종자들과 함께 메디나에서 최초로 이슬람 공동체가 형성되었지만, 기독교 교회의 태동 원리는 정복전쟁이나 권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구원 역사를 이루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자기 피로 사신 교회(행20:28)에 기인한다는 점을 고찰한다. 본 소고는 이슬람 공동체 움마와 기독교 공동체 교회의 비교 분석에 있어서 기능적인 차이보다는 공동체 형성 원리, 공동체 존재의 목적, 공동체의 본질과 정체성에 중점을 두고 비교 분석하였다. 각 이슬람 국가마다 지니고 있는 공동체 움마의 특성까지 심층적으로 연구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이슬람 선교에 있어서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를 좀 더 깊이 이해하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interest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prayer room for those who immigrated to and travelled in Korea. There are two opinions conflicted in relation to the Islamic prayer room where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for their convenience, or it can be a religious privilege and make Islam adjust in Korea. So what does a prayer room mean for the Muslims? It’s a matter tha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ther it is just a simple place for prayer or a central place in their lives where the Islamic community’s, or Ummah’s, ideas are inherent. Moreover, the mission for Muslims doesn’t stop at spreading the gospel to one individual. The whole Islamic community can be subject to the mission, so research about the Ummah community is a part that should be regarded urgently considering these missionary aspects. Therefore, this thesis studies the identity of the Ummah. In addition, it also examines the church, a Christian community, in Biblical, theological and Evangelical view: what meaning and value the church has in its existence. So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slamic and Christian communities, the ontological uniqueness can be revealed in that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and the head of the Church is Jesus Christ, and the difference of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in the ministry of salvation can be found. So then, I study the meaning of the Ummah from the Quran, as well as how the Ummah has developed and progressed throughout history. Then, I also present that the mosque has a role in the Islamic community’s authority and as a core center. In other words, the Islamic community and the Christian community are similar in them being both communities with faith, a gathering of a group of people. Bu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ommunities formed or the original meaning is totally different. The Ummah was formed as the first Islamic community in a situation of political power and a war of conquest in Medina by Muhammad and his followers. However, the Christian church’s beginning does not lie in a war of conquest or in power, but in God’s plan by the church built by Jesus’ blood to accomplish salvation.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slamic and Christian communities, this thesis focuses more on the principles of formation of communities,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their nature, and identities rather than their functional differences. There is a limit in researching, in dep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Ummahs in each Islamic countries, but regarding the Islamic ministry, I hope for more contributions in extensively understanding the Ummah, an Islamic community.

      • KCI등재

        이슬람 선교의 걸림돌로서 IS(Islam State)에 대한 연구 -해석학, 이상 사회론, 구원론, 종말론을 중심으로

        김성운 ( Sungwoon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5 복음과 선교 Vol.31 No.-

        IS는 두 가지 점에서 심각한 선교의 장애를 만들어 낸다. 첫 번째장애는 IS의 문제가 이슬람의 문제가 아니라 기독교 서구 문화와 이슬람문화 사이의 종교 갈등과 분쟁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생겨난다. 이런 주장을 인정하면 이슬람 테러에 대한 분노가 서구와 기독교에 대한 분노와 공격으로 바뀌게 되어 이슬람 선교는 설 자리를 잃게 된다. 두 번째 장애는 IS로 인해 이슬람을 폭력적 이데올로기나 테러와 동일시하는 데서 생겨난다. 이슬람에 대한 그러한 단순한 이해는 이슬람선교에 대한 확신을 약화시키고, 더 나아가 무슬림들에게 전도하는 것 자체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슬람 선교를 위해 이러한 걸림돌은 제거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IS는 서구의 패권주의가 만들어 낸 하나의 기형적인 현상이 아니라 이슬람이라는 종교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성에서 발생한 것이며, IS의 이슬람 해석과 실천 방식을 이슬람과 동일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4장에 걸쳐 IS의 신학과 신앙의 골격을 구성하고 있는 해석학, 이상 사회론, 구원론, 그리고 종말론을 연구한다. 왜냐하면 이슬람 신앙의 핵심을 구성하는 이러한 요소가 IS라는 현상이 외부적 요인이 아니라 이슬람의 본성 때문에 생겨난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IS의 신학적 해석학적 원리는 이븐 타이미야(Ibn Taymiyya)가 기초를 놓은 ‘살라피즘’(Salafism)에 기초한다. 13세기에 등장한 이 해석학적 전통은 이슬람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함마드와 정통 칼리프 시대의 언행과 삶의 양식을 가감 없이 문자 그대로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살라피즘에 따르면 무슬림들이 일차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표는 무슬림 선조(Salafi)들이 세웠던 방식으로 이슬람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IS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지하드를 수행한다. 지하드는 이슬람 사회의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는 반 이슬람적인 그룹들을 무력으로 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어진 알라의 명령이다. IS가 이슬람의 이름으로 폭력과 테러를 행하는 것은 그러한 가르침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슬람의 구원론은 무슬림들을 지하드로 이끄는 강한 원심력으로 작용한다. IS를 추종하는 자들이 지하드에 가담하는 것은 이상적인 사회를 꿈꾸기 때문만은 아니다. 지하드는 의무이지만 지하드에 참여하는 자들과 순교하는 자들에게는 구원과 낙원의 풍성한 보상이 보장된다. 기독교와는 달리 자신의 행동을 통해 스스로 구원을 얻어야 하는 무슬림들에게 구원을 보장받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지하드에 참여해서 순교자가 되는 것이다. 무슬림들이 IS에 가담하는 또 다른 중요한 동기는 종말에 대한 신앙이다. 이슬람은 출발부터 강한 종말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IS에 가담하는 무슬림들은 하디스에 기록된 종말의 예언에 따라 바그다디(Baghdai)가 칼리프로 추대된 것과 시리아의 다비크(Dabiq)가 IS에 의해 점령된 것을 종말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징조로 믿는다. IS는 이곳에서 로마 즉 서구와 전쟁이 일어날 것이며 그때 마흐디(Mahdi)라는 구원자가 등장하여 서구를 격파하고 온 세계를 이슬람화 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터키 국경을 넘어 시리아로 밀입국하는 무슬림들의 마음에는 칼리프의 통치를 받으며 종말이 시작되는 곳에서 순교하고자 하는 열망이 놓여 있다. 이처럼 IS의 문제는 분명 이슬람의 문제이다. 그러나 IS를 이슬람과 동일시할 수 없다. IS는 다양한 이슬람의 해석의 한 일면일 뿐이다. 그리스도인들은 그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럴 때 IS는 선교를 촉진시키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IS는 무슬림들에게 이슬람이 가지고 있는 어두운 면과 거기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시하도록 하고,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이슬람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IS라는 선교의 장애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는 이슬람에 대한 연구와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Islamic State. The IS creates two grave obstacles to mission work. The first obstacle happens due to the claim that IS’ problem is not solely Islam’s problem but rather a problem created by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Culture based on Christianity and the Islam Culture. However, accepting such claims changes the rage towards Islam Terrorism to a rage towards the Western World and Christianity, which will result Islam Mission to have no place to stand. The second obstacle results from equating Islam with IS’ violent ideology and terrorism due to its aggressive terror attacks. Such simplex understanding on Islam not only degenerates the certitude towards Islam Mission but also arouses skepticism towards evangelizing towards Muslims. Such obstacles must be eliminated for the good of Islam Mission. As a result, the article argues that IS is not a deformation that is formed due to the West’s hegemonism but a result of Islam’s nature, and that one cannot equate the IS’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f Islam with actual Islam. In order to support these argues, the articles will study and examine the backbone ideas of IS’ theology and belief: hermeneutics, idealistic society theory, soteriology, and eschatology throughout the four subjects because these core ideas clearly shows that IS is not a result from a external factor but a result of Islam’s nature. IS’ theological hermeneutic fundamentals are based on Salafism, which Ibn Taymiyya laid a foundation. Appeared in the 13th century, this hermeneutic tradition claims a word by world execution of Muhammad and the rightly guided Caliph’s words and lifestyles to achieve Islam’s ideals. According to Salafism, the primary purpose of Muslims should be constructing an Islamic Society based on the way their ancestors (Salafis) had believed. Jihad Allah’s order to forcefully hold back the anti-Islamic groups that exist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Islam society and the reason why IS, which follows this claim, causes violence and terror attacks. Islam’s Soteriology acts as a strong centrifugal force to pull Muslims towards Jihad. Followers of IS do not solely participate to Jihad because of their idealistic society. Though Jihad is a duty, it also guarantees the martyrs salvation and paradise as rewards. Unlike Christianity that does not depend any actions for salvation, Muslims have to work for their salvations, and the best way to guarantee salvation is to participate in Jihad and be martyred. Another important motivations for Muslims to participate in the IS is their belief in the end. Islam, from the very beginning, carried an apocalyptic characteristic. Muslims who participate in the IS believe that the selection of Baghdai as Caliph and the IS conquest of Syria’s Dabiq are all fulfillments of the apocalyptic prophecies recorded in the talk about the begging of the apocalypse. IS believes that in here, a war with Rome, or the Western World, will begging and that a savior named Mahdi will appear, defeat the Western World, and Islamize the whole world. Muslims who cross the Turkish border and smuggle into Syria carry the aspiration to be martyred where the apocalypse begins. As one can see, the problem of IS is clearly an Islamic problem. However, one must not equate IS with Islam. IS is just a fragment of diverse interpretations of Islam. Christians must admit that. In this situation, IS can be an opportunity to expedite missions. IS encourages the Muslims to face the dark sides and the problems that the dark sides accompany while draws the attentions of Christians. In order to change IS from an obstacle to missions to an opportunity, research about Islam and effort to evangelize Muslims must continue.

      • KCI등재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

        최현숙(Choi, Hyun Sook)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7 No.-

        현재의 무슬림 수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세계 인구의 약 25%인 12억 내외로 알려져 있다. 이슬람 인구의 증가는 현대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의 문제에 대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시사점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슬람국가가 단지 출산을 장려하기 때문에 출산율이 높은 것만은 아니고, 우리나라도 출산을 장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저출산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출산은 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슬람국가의 가족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슬람국가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법제연구는 이슬람국가의 높은 출산율을 이끌어내는 어떤 법리를 찾아서 우리 법에의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슬람법의 혼인과 이혼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저출산의 해결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또한 이슬람국가 중에서 가장 이슬람적인 색채를 가진 가 족법이 이집트 가족법인데 이집트는 ‘쿨으’라는 이혼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있다. 이슬람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 시켰다고 평가되고 있는 ‘쿨으’제도의 도입과정에서 개정을 위한 그들의 노력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가족법 상 이혼과 혼인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찾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슬람 가족법에 대해서 가장 흔히 알려진 것이 일부다처제와 혼납금 그리고 남성에 의한 일방적 이혼과 폭력의 문제이므로 이슬람 국가의 가장 중요한 法源인 샤리아법에서 혼인과 이혼의 규정을 살펴보았다. 이슬람 국가의 여성은 꾸란에 따라 부양받을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여성의 부양받을 권리는 단순히 여성이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아이를 출산하고 양육하여야 하는 존재로서 부양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성은 단지 여성이라는 존재라기 보다는 아이의 출산과 양육에 대한 권리는 갖는 자이고 출산과 양육은 경제적 지원과 주변의 지원이 필요한 일임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입장은 이슬람 국가의 출산율이 높은 중요한 원인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는 현실적으로 매우 열악하다. 남성은 여성에 대하여 일방적인 의사표시만으로 이혼을 요구할 수도 있고, 혼인의 효과로 남편은 아내의 일탈적인 행동에 대하여 최후의 방법으로 징계할 권리가 꾸란에 의해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꾸란을 다시 살펴보면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지위는 처음부터 남성보다 열등하다는 이유에서 시작하였다기 보다는 남성에 의해 꾸란과 샤리아가 해석됨으로 인하여 원래의 취지를 왜곡하여 남성에게 유리하게 해석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의 이러한 오랜 관행을 무너뜨리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불가능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쿨으 제도의 도입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꾸란과 샤리아의 올바른 해석은 이슬람 국가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를 남성과 동등하게 회복하는 실효적인 전략이 될 것이고, 여성의 법적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충분한 시사점이 있다할 것이다. Although the current number of Muslims in the world is unknown, their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1.2 billion, approximately 25 per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The increase in the Islamic population has implications for resolving low birth rate, which is currently a severe social issue in Korea. This is not simply because Islamic countries encourage childbirth, but because Korea continues to exhibit low birth rate despite the country’s efforts to promote childbirth. Childbirth generally takes place through marriage, and thu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family law in Islamic countries should be prioritized. Legislative research on marriage and divorce in Islamic countries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n law by finding the legal principles in those countries that drive high birth rates.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toward solutions to address Korea’s low birth rate through research on Islamic marriage and divorce laws. Additionally, Egypt, whose family law is the most characteristically Islamic among the Muslim nations, is strengthen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by implementing a system of divorce called khul. This study also seek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marriage and divorce within Korea’s family law system by researching Egypt’s amendment effort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khul system, which is judged to have improved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Muslim countries.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stipulations of marriage and divorce in Sharia, the most important system of laws and courts in Islamic countries, since the most commonly known elements of Islamic family law are polygamy, dowry, and problems with unilateral divorce and violence by men. vvWomen in Islamic countries are guaranteed birthright by the Quran. This guarantee is not simple, however, because women are considered lower beings than men. It can be interpreted as a guarantee because they give birth to and raise children. Women are indi viduals who possess therights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n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need economic and supportive assistance. This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n important cause of the high birth rates of Islamic countries. In reality, the legal status of women in Islamic countries is extremely inferior. A man can demand a divorce from a woman with simply a unilateral declaration of will, and is also guaranteed the right by the Quran to punish his wife as a last resort for deviant behavior. However, another examination of the Quran shows that this is because women’s status was distorted to benefit men through a faulty interpretation the Quran and Sharia law, rather than because a woman’s status in Islamic countries were inferior to that of a man from the outset. It may be difficult to demolish these long-time customs, but the implementation of the khul system demonstrates that it is not impossible. A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Quran and Sharia law will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restor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to a level footing with men in Islamic countries, and has sufficient implication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for improving the legal status of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