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문반파고-이마니시 류(今西龍), 「기문반파고(己汶伴跛考)」 『사림(史林)』 제(第)7권(卷) 제(第)4호(號), 1922-

        위가야(역) ( Wee Kaya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32

        이 글은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己汶伴跛考」를 번역한 것이다. 1922년 『史林』 제7권 제4호에 게재되었고, 이마니시의 사후 편찬된 『朝鮮古史の硏究』(京城, 近澤書店, 1937)에 수록되어 있다. 단행본에 수록된 것을 저본으로 삼아 번역하였다. 이마니시 류는 1903년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처음 조선사 연구에 발을 들여놓았다. 당시 지도교수였던 쓰보이 구메조[平井九馬三]의 권유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1907년 김해패총을 발굴하고 1913년에는 낙랑군 치소를 확정지을 수 있는 <점제현신사비>를 발견하는 등, 이마니시의 초기 연구는 고고자료 조사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후 주된 관심이 문헌 중시로 옮겨간 이후에도 현지조사에 대한 중요성을 경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2) 이는 1920년에 발표한 「加羅疆域考」(『史林』 제5권 제1호)의 내용에 그가 1917년 9월부터 1918년 1월까지 선산 · 달성 · 고령 · 성주 · 김천 · 함안 · 창녕 등 이른바 가야지역의 고분과 산성을 조사한 결과가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가라강역고」를 통해 가야 각국의 역사지리를 면밀하게 고찰한 이마니시 류는 이후 연구의 진전과 나이토 도라지로[內藤虎次郞]에게 빌려 본 『翰苑』 등의 새로운 자료를 통해 기문과 반파에 대한 그의 기존 위치 비정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하게 되었고, 「기문반파고」를 통해 이를 정정하였다. 「기문반파고」에서 이마니시 류가 중점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것은 『일본서기』의 己汶과 『신찬성씨록』의 己汶(巴汶)이 같은 이름의 다른 지역이었다는 사실이다. 「가라강역고」에서는 이 두 기록의 기문이 모두 같은 지역이며 『삼국사기』의 甘文을 가리킨다고 보아 그 위치를 개령(경상북도 김천의 옛 이름)에 비정하였다. 하지만 『한원』에 인용된 「括地志」의 基汶河가 섬진강이라는 사실을 통해 『일본서기』의 기문을 섬진강 유역의 남원에 비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위치비정이 기문(파문)에 대한 『신찬성씨록』의 기록과 지리적으로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은 두 기록의 기문을 다른 지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해결하였다. 이때 『신찬성씨록』의 기문은 「가라강역고」와 같이 개령에 비정하였다. 기문에 대한 위치비정은 현재까지도 결론이 내려지지 않는 문제이다. 문제의 핵심은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이 전하는 지리정보가 서로 부합되지 않는 모순에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마니시 류의 견해는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차치하고라도 이 모순에 대해 타협점을 찾았던 선구적인 성과로 볼 수 있다.3) 하지만 당시 실증사학을 추구했던 동료 일본인 역사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마니시 류의 연구 역시 일제의 조선강점에 역사적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했던 식민사학의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는 「가라강역고」에 임나일본부의 유적 · 유물이라는 말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임나지배 및 한반도 남부에서의 주도권 장악을 전제로 삼고 논의를 전개하는 점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이 같은 전제는 「기문반파고」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4) 본문에 인용된 사료는 모두 번역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다만 번역자와 저자의 이해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사료 원문을 본문에 인용된 구두점 그대로 [역자주]에 수록했다. 각주는 원문에서는 미주로 처리되어 있었지만, 독자의 편의를 위해 [원주]로 표기하고 각주 처리했다. 본문 중에 볼드체로 표시한 부분은 저자가 글자 위에 위첨자(°)를 표기하여 강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This article is a translation of 「Study of kimun and banpa」 written by Imanisi Ryu in 1922. In this article, Imanisi Ryu corrected the error of 「Study of kara`s territory」, a article which he wrote in 1920. According to him, Kimun from 『Nihonsyoki』 and 『Sinsensyouziroku』 refer to different geographic area but share an identical name. The 『Nihonsyoki』 indicates kimun located in Namwon, Jeollabuk-do and 『Sinsensyouziroku』 finds Kimun located in Gimcheon, Gyeongsangbuk-do. No decision has yet been made where Kimun is located now because there is a contradiction on the historical records. 「Study of kimun and banpa」 is considered a pioneering result of solving this contradiction.

      • KCI등재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거리 : - 이마니시 류今西龍가 구축한 조선의 歷史像 -

        심희찬(SHIM, Hee-Chan)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In the present paper I examine two public institutions that supported the development of colonial history,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d the Keijō Imperi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y by Imanishi Ryu, who worked at both institutions. The paper considers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Korean history studies in postwar Japan and in post-liberation Korea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through removing the history of their colonial past, defining themselves through its otherness. In other words, colonial history was discarded from the territory of modern history; but can we actually draw a line between these two terrains? This is the basic question addressed by this paper. For example, Hatada Takashi, who revived Korean history studies in postwar Japan, pointed out that the major flaw of pre-war Korean history studies was the lack of “love for its object of study”, and he stressed that the mission of researchers in Korean history from that moment onwards was to eliminate colonial “distortions” from the “pure territory of scholarship”. Yet “distortion” and “love” are not opposed elements but rather each is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other; consequently, without “distortions” there would not be “pure scholarship”. This paper analyzes Imanishi Ryu´s research on Korean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In short, it examines the layers of relationships that exist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through the works of Imanishi. Imanishi, who thought of himself as “a son of Korea” and wrote in many places, “I love Koreans”, made ancient Korean history the main theme of his research. In Imanishi´s ancient history, the Korean people (from Silla, Baekje and Gaya) and the Japanese people joined hands, competing over and over against the powerful northern peoples (from Goguryeo). He called this association a community of nations. This community of nations operated as a scheme that fixed and explained, back to its origins, the present historical state of colonial government. Imanishi tried to establish this scheme as the key element of a general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writing of general history in this way, Imanishi could arrange the events of the past in the form of a chronicle that extended to the present, laying the foundations of a Korean history that could unify the Korean and the Japanese people. What Imanishi repeatedly stressed here was the “love” from the Japanese towards the Korean people, and this was how he validated from the distant past the roots of his own feelings. Imanishi worked hard to oust Dangun´s legend, a northern peoples´ myth, from the foundations of his work. At the time, Dangun was erupting as the new national and historical subject of the Korean people and his rejection by Imanishi was, needless to say, plain colonialism. However, in this way Dangun became a “vanishing mediator”, acting as an intermediary between moder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This was somewhat paradoxical, since Dangun´s reje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y in colonial Korea. Incidentally, the inscription on the Gwanggaeto stele, while supporting some of Imanishi´s theories, also helped them to collapse. It was like a bone struck in the throat; that is to say, it was an external existence that troubled Imanishi but one which he had to swallow against his will. This is perhaps one metaphor against modern history. May we not have a glimpse of those colonialist actions, so frequently occurring in the discipline of history, that swallow the other into oneself? 이 글은 식민지조선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을 지탱하던 두 군데의 공적 기관, 조선사편수회와 경성제국대학에서 각각 수사관과 교수로 근무했던 이마니시 류의 조선사연구를 검토하고,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의 양가적인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후 한국의 한국사 연구와 일본의 조선사 연구는 식민주의 역사학을 타자로 배제함으로서 자신들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왔다. 이는 다시 말해 식민주의 역사학을 근대역사학의 영역에서 추방하는 작업인 것인데, 과연 이 양자를 구별하기란 가능할 것인가, 라는 점이 이 글에서 묻고자 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이다. 가령 패전 후 일본의 조선사 연구를 새롭게 출범시킨 하타다 다카시는 대상에 대한 사랑이 없다는 점에 제국주의 시절 일본의 조선사 연구의 커다란 결함이 있다고 지적하고, 순수한 학문의 영역에서 식민주의적인 일그러짐을 제거하는 것이 새로운 조선사 연구의 사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그러짐과 사랑은 상반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가 서로를 구성하는 요소이며 따라서 일그러짐이 없으면 사랑에 근거한 순수한 학문도 존재할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시각에 입각하여 이마니시의 조선사 연구를 분석한다. 즉, 이마니시를 통해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이 구성하는 층위를 검토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한국의 아이라 여기고 한인에 대한 사랑을 글로 남긴 이마니시는 주로 한국고대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마니시가 본 한국고대사는 한민족(신라, 백제, 가야 등)과 일본민족이 손을 잡고 강대한 북방민족(고구려)와 경쟁을 반복하는 것이었으며, 그는 이를 Community of nations라 이름 지었다. 이 Community of nations란 식민지지배라는 작금의 역사적 현실을 그 기원으로 소급하여 확정하는 도식, 곧 통사의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이마니시는 과거의 여러 사건들을 연대기 위에 올려놓음으로서 현재에 연결시키고, 한민족과 일본민족을 통괄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자 했다. 여기서 이마니시가 거듭 강조한 것이 한민족에 대한 일본민족의 사랑이었으며, 이는 또한 자신의 감정의 근원을 머나먼 과거에서 추인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이마니시는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북방민족의 신화인 단군전설을 자신이 구축한 토대에서 내몰았다. 당시 한민족의 새로운 민족적, 역사적 주체로서 등장하고 있던 단군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식민지주의적 폭력에 다름 아니거니와 이를 통해 단군은 사라지는 매개자가 되어 근대역사학과 식민주의 역사학을 중개하는 존재가 되었다. 이마니시의 단군부정은 도리어 근대역사학이 식민지조선에서 확립하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했던 것이다. 그런데 광개토대왕비의 기사는 이마니시가 구축한 토대를 지탱하면서 무너트리는, 말하자면 목에 걸린 가시라는 타자적 존재로서 이마니시를 괴롭혔고, 이마니시는 이를 억지로 삼키기에 이른다. 이러한 과정은 근대역사학에 대한 일종의 비유가 아닐까? 여기에는 타자를 자신 안에 삼켜버리는 식민지주의적 행위가 바로 역사학의 근원적 성격임을 보여주는 알레고리가 존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식민주의 역사학 속의 일본과 중국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任那日本府 및 樂浪ㆍ帶方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정상우 ( Jeong Sang Wo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2

        가장 대표적인 식민주의 역사학자 가운데 하나로 고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를 연구했던 이마니시 류의 연구가 일본의 침략과 식민통치를 옹호하는 것이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그의 연구는 20세기 전반 일본의 대륙침략이라는 역사적 국면만이 아니라 당시 일 본의 역사학계라는 자장 속에 있는 것이기도 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생각에서 이마니시 류의 연구에 나타나는 일본과 중국에 대한 논의들을 임나일본부와 낙랑ㆍ대방을 중심으로 살펴보며, 그것이 일본사의 해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강점 이전부터 한국을 직접 조사해 본 경험이 있던 이마니시는 시종일관 일선동조론에 대해 선을 긋고, 한일은 빈번한 “교통”에 따른 “지배ㆍ피지배”의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고대 일본이 삼한과 신라에 비해 진보해 있었다고 보았다. 이러한 고대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위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바로 고대 일본의 한반도 남부 경영이었다. 수차례의 고고학적 조사에도 어떠한 유물이 발견되지 않은 임나일본부에 대한 이마니시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았다. 특히 그는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 일본 세력의 성쇠를 일본의 국가 발전과 연결지었다. 즉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은 일본 朝廷의 집권력이 일본 전체에 미칠 정도로 발전ㆍ성숙한 이후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일본에서 神功皇后代에 이르러 통일적인 집권력을 갖춘 국가가 성립했다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내부적 역량을 바탕으로 신라 정벌을 단행한 이래 雄略天皇代까지 한반도 남부에서 일본 세력은 전성기를 구가했다는 설명으로 이어졌다. 또 神功皇后의 신라 정벌의 시기를, 나카 미치요와 마찬가지로 日本書紀의 기년에 대략 120여년을 더하는 기년론에 입각하여, 4세기 초ㆍ중반이라고 보았는데, 이는 일본에서 4세기에 들어 집권력을 갖춘 국가가 등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일본이 이렇게 이른 시기에 발전을 구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일찍부터 선진적인 중국 문명을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이마니시는 중국 문화를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연원”으로 위치짓고, 일본의 중국 문화 도입 시기를 낙랑군을 통해 끌어 올렸다. 강점 이후 일본인 연구자들이 평양 일대의 고분군을 낙랑군과 연결지으며, 낙랑군을 평양 일대로 비정하는 데에 결정적인 유물을 발견했던 이마니시는 중국과 일본의 교류를 낙랑군과 일본의 교통으로 치환하여 그 시기를 기원 전후로 소급하는 한편 중국 문화의 수용도 더욱 편리해졌을 뿐만이 아니라 3세기 중반까지도 대방을 통해 魏와 倭가 계속해서 접촉을 이어갔다고 이야기한 것이다. 당시 일본인 연구자들은 낙랑과 대방은 한반도에 있었지만, 당대 중국 문화의 정수를 간직한 곳으로 파악했으며, 이마니시 역시 이러한 연구자 가운데 하나였다. 이는 일본이 기원 전후 이래 낙랑과 대방을 통해 수용한 중국 문화는 바로 당시 최고 수준의 것이었으며, 이러한 문화 수용이 일본의 발전에 중요한 자양분이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즉 이마니시는 낙랑과 대방을 통해 기원 전후부터 중국 문화를 수용해 성장을 거듭하여 통일적인 집권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한 일본이, 4세기 두 郡이 소멸하고 삼국이 정립되는 가운데 신라의 압력으로 위협을 받던 任那 小國들의 구원을 위해 신라를 정벌함으로서,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는 새로운 국면으로 나아간다는 역사상을 제시했다고 하겠다. Most of the studies by Imanishi Ryu, one of the leading historians of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ere about ancient Korean history. And it is indisputable that his work advocated Japanese aggression and colonial rule to Korea. However, his studies were not only in the historical phase of Japan’s invasion to the continent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but also in the magnetic field of Japanese academia of history at that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how Imanishi’s research on the Japanese Ministry of Imna and Lelang-Daifang Commandery were linked to the explanation of ancient Japanese history. Imanishi, who had investigated Korea before the colonial rule, believed it all the time that Korea and Japan had a “dominance-subordinance” relationship based on frequent “transportation” and that ancient Japan was more advanced than Samhan and Silla. What symbolized Japan’s dominance over ancient Korea was that it dominat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no relics had not been found in several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manishi’s belief in the Japanese ministry of Imna remained unwavering. In particular, he linked the rise and fall of Japanese powe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Japanese state. In other words, it was possible to conquer Silla by Empress Jingu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s power was mature enough to affect Japan as a whole. This meant that by the time of the Empress Jingu’s reign, a state with unified power was established in ancient Japan. Based on these internal capabilities, it was explained that the Japanese powe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eached its heyday from conquering Silla by the Empress Jingu until the reign of Emperor Yūryaku. And Imanishi regarded the time when the Empress Jingu conquered Silla, based on the year adjustment, which adds 120 years to Nihon Shoki’s Calendar year, like Naka michiyo, as the middle of the 4<sup>th</sup> century at the latest. This meant that in the 4<sup>th</sup> century, a unified state that stretched its power to the whole of Japan emerged. The reason Japan was able to make progress in this early period was because it adopted advanced Chinese culture early. Imanishi argued that both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originated from Chinese culture, and argued that ancient Japan was more advanced than Korea on the grounds that Japan adopted Chinese culture before Korea. After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Japanese researchers linked the tomb clusters in Pyongyang with Lelang Commandery, and Imanishi discovered a decisive relic proving that Lelang Commandery was in Pyongyang. Since then, Imanishi replaced the exchanges between China and Japan with transport between Lelang Commandery and Japan, insisting that this exchange began around A.D. In addition, he said that China and Japan continued to maintain contact through Daifang Commandery until the middle of the 3<sup>rd</sup> century. At the time, Japanese researchers agreed that the essence of Chinese culture was preserved in Lelang-Daifang Commandery, although they were loc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manishi was also one of these researchers. This also meant that the Chinese culture that Japan had embraced throughLelang-Daifang Commandery since around A.D. was the highest level at the time, and that this culture acceptance was an important nutrient for the development of Japan. Imanishi’s discussion about Lelang-Daifang Commandery was that Japan grew up to embrace Chinese culture since around A.D. and matured into a unified state in the 4<sup>th</sup> century. In addition, he suggested that in the early 4<sup>th</sup> century, while the Lelang -Daifang Commandery disappear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three kingdoms were established, and in order to save the small states of Imna from the pressure of Silla and Baekje, Empress Jingu conquered Silla. As a result, Imanishi suggested that a new historical phase of East Asi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was developed after 4<sup>th</sup> century.

      • KCI등재

        근대일본의 단군 후대 창안설과 만선사학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 이나바 이와키치를 중심으로-

        윤병모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7 No.-

        Shiratori, Imanishi, and Inaba were the most discussed among the Dangun theories of many Japanese in the modern period. First, Shiratori, the founder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the creation of Buddhist monks in future generations. They also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originally a fictional tale based on Buddhist folklore, or that it was an fake story made by the people of Koguryeo. There is no historical basis for the claim that it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Changsu or an fake story of Dangunmyth. In addition, it is pointed out that Shiratori's argument became the basis for the Dangun criticism and Dangun denial theory in colonial Coseon. Imanishi argued that the Dangun myth was a Buddhist myth created during the Koryeo Dynasty and had no relation to the present Korean people. However, Imanishi's historiography to drive out Dangun, who was elevated as a historical and national subject of Coseon, is clearly within the boundaries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and colonial history. Shiratori and Imanishi limited the founding date of the Dangun myth to Koguryeo and Koryeo. Afterwards, it not only caused misreading about the Dangun myth, but also aroused a backlash from Choi, nam-sun, the only Dangun theorist of colonial Koreans. As a way to block Coseon's independence, Inaba held the Dangun denia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Manchurian-Coseon. He also mentioned the fake of the Dangun myth for fear of spreading the Dangun myth among Koreans.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Manchuria Coseon, he argued for the indivisibility of Manchuria Coseon. The core of Manchurian Coseon history that Inaba claims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t is emphasized that Choi, nam-sun's counterattack against Shiratori and Imanishi's Dangun theory was unique to colonial Koreans at the time. In the end, Shiratori, Imanishi, and Inaba argued for the creation of the Dangun myth in koguryeo and koryeo, respectively. However, this is in line with Manchurian Coseon history, along with the theory of monk manipulation in the Dangun myth in Samguk Yusa . Therefore, it must be said that there was no historical validity. 근대시기에 들어와 다수 일본인의 단군론 중에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물은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 그리고 이나바 이와키치였다. 먼저 시라토리는 만선사의 창시자로 단군신화에 대해 후세 불교도의 창작이라는 승도망탄설을 주장하며 단군신화는 본래 불교설화에 근거한 가공의 선담이라거나 고구려인들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가작담이라 주장했다. 단군신화에 대한 선담과 가작담 또는 장수왕 때 성립하였다는 주장은 그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시라토리의 이런 주장은 이후 식민지 조선의 단군비판이나 단군부정론의 기초가 되었음이 지적된다. 이마니시는 단군신화에 대해 고려시대에 창안된 불설(佛說)로 현재의 한민족과는 관계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조선의 역사적 그리고 민족적 주체로서 고양된 단군을 쫒아내려는 이마니시의 역사학은 분명히 만선사와 식민주의 역사학의 테두리 안에 있음이 지적된다. 시라토리와 이마니시가 단군신화의 성립연대를 고구려와 고려로 한정지으면서 이후 단군신화에 대한 오독을 일으킴은 물론 식민지 조선인의 유일한 단군론자인 최남선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나바 이와키치는 조선독립을 저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만선사의 입장에서 단군부정론을 펼치고 조선인들 사이에 단군신화가 퍼지는 것을 우려해 단군신화의 가공성을 언급하는 한편 만선사의 입장에서 만선불가분론을 주장하였다. 이나바가 주장하는 만선사의 핵심은 두 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하나는 만주사로 중국과 맞선 위대한 역사라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조선사로 패배자의 역사라는 것이다. 곧 단군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고려후기 창작물로 본 것이지만 이런 견해는 만선사 곧 식민주의 역사학 입장에서 일뿐이다.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이마니시 류의 단군론에 대한 최남선의 반격은 당시 식민지 조선인으로서는 유일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시라토리와 이마니시, 이나바는 단군신화에 대해 고구려와 고려시대로 각각 창안설을 주장했지만 이는 삼국유사 단군신화의 승도망탄설과 함께 만선사에 경도된 것으로 그 역사적 타당성은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만선사의 입장에서 고조선과 고구려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의 시각에서 고조선과 고구려사를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이마니시 류(今西龍)의 조선사, 혹은 식민지 고대사에서 종속성 발견하기

        정준영 ( Jung Joon Yo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5

        이 글은 이른바 `식민사학`의 대표적 학자로 일컬어지는 경성제국대학 조선사 강좌의 이마니시 류의 연구를 검토한 것이다. 식민사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마니시를 비롯한 식민사학자들의 조선사 연구에서 드러나는 오류들을 하나하나 지적하면서 그 이데올로기적인 성격을 격렬히 비판해 왔다. 그럼에도 식민사학 역시 `실증사학`이라는 근대 역사학의 방법에 입각한 것이었기 때문에 실증적인 오류를 반복적으로 지적하는 것만으로는 뚜렷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식민사학이 제시한 역사적 사실의 오류를 또 다시 실증을 통해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식민사학이 갖는 `진리효과`가 구성되는 방식을 분석하는 전략을 구사하여 식민사학의 해체와 극복의 한 계기를 만들어 보고자 한다. 특히 헤이든 화이트(H. White)가 제기한 `서사 장치의 효과` 분석을 참조하여, 이마니시 류가 구성하려 했던 조선사 서사의 구조와 구성을 검토해 볼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atic character of Imanishi Ryu`s ancient history of Korea. He was the professor of Korean history lecture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who is said to be a representative scholar of so-called `colonial historiography(植民史學)`. Existing studies on the colonial historiography have criticized its ideological nature by pointing out many mistakes in the study of the colonial historians including Imanishi. Nevertheless, since colonial historiography was also based on the method of modern history called `positive-historical` research, strong criticism of empirical errors shows definite limitations. This article will not criticize the errors of the historical facts presented by the colonial historiography, but analyze the way the `truth effect` of the colonial historiography is constructed. In particular, I will examine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historical narrative that Imanishi Ryu sought to construct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narrative device proposed by Hayden Whit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1786년 편찬한 이마니시문고 『경상도읍지』의 분석과 그 의미

        이재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8 No.-

        This article looked for its meaning while analyzing the Gyeongsangdo-eupji(1786) collected by Liu Imanishi(今西龍). The books, which were owned by Imanishi, are the original versions of the Gyeongsangdo-eupji, which are owned by Kyujanggak and an Army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Dr. Imawanishi's collection of microfilm version of the original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the original books are kept by the Tenri Library in Japan, contains a total of 154 reel 667 kinds 1,532 volumes. Each local eupji of Gyeongsangdo-eupji(1786) has a type of Gyeongsangdo-eupji types 61%, and a type of Yeojidoseo+α is 39%. It shows a transitional look before the Gyeongsangdo-eupji type, which was developed in 1768 and matched with the Gyeongsangdo-eupji type in 1832. In 1775, it was also in the 'time of being abandoned' as the the Yeojidoseo+α type was distributed. Each eupji should have a map to match the ‘eupji’, as in Yeongdoseo. The book owned by Imanishi did not have a map on it. The Gyeongsangdo-eupji(1786) generally followed the order of the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but unlike Honam-eupji(1793) it was not necessarily. Imanishi's collection not only contains Gyeongsangdo-eupji, but also a variety of eupjis and maps, including Gyeonggido-36eup-eupji, which requires further research. 일본 덴리대학 덴리도서관 이마니시문고는 정조대에 편찬한 경상도 62개 고을의 읍지를 소장하고 있다. 이중 21책 60개 고을의 읍지는 『금서박사수집 마이크로필름판 조선사원본 컬렉션』(이하 이마니시필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함안군과 곤양군의 읍지가 실려 있는 『함안지』 1책은 이마니시필름에 들어있지 않다. 1786년(정조 10) 당시 경상도 71개 고을은 모두 읍지를 편찬하였지만, 9개 고을 읍지는 분실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정조대 경상도 각 고을 읍지와 일본국립국회도서관 육군문고 『경상도읍지』는 이마니시문고의 『경상도읍지』(이하 이마니시본)를 베낀 것이다. 『경상도읍지』(1786)는 1832년(순조 32)에 모든 고을 읍지를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일치시키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각 고을 읍지를 구체적으로 분류해 보면, 『경상도읍지』 유형이 61%이고, 『여지도서』+알파(α) 유형이 39%이다. 전국적으로는 1768년(영조 44)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이 1775년(영조 51) 『여지도서』+α 유형 보급이라는 ‘용도폐기의 시기’를 거친 뒤에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이었다. 조선후기 읍지는 『여지도서』(1760)나 『호남읍지』(1793)처럼 첫 장에 지도를 싣는 게 기본 형식이었다. 초계군의 군지절목, 합천군의 읍지목록, 봉화현의 봉화현산천지도를 보면, 『경상도읍지』도 ‘읍지’에 걸맞게 각 고을 읍지에는 ‘지도’를 수록하여야 했다. 1786년과 1832년의 『경상도읍지』 권차는 『대전통편』 기재순서를 기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두 시기 모두 『대전통편』의 고을 기재순서를 어느 정도는 지켰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대전통편』 고을 기재순서는 18세기 말 지방행정이 도 아래에 몇 개의 거점 고을을 중심으로 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 단위로 일원화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18세기 중엽 이래 여러 차례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은 고을에 따라서는 점차 재지사족들의 공의를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사족들을 배제하고 지방관과 향리세력이 중심이 되면서 이전의 읍지를 그대로 베끼거나, 일부 내용만을 보완하였으며, 아예 이전에 있던 내용마저도 과감히 생략하였다. 이마니시필름에는 『경상도읍지』만이 아니라, 『경기도삼십륙읍읍지』 등 다양한 읍지를 수록하고 있어 규장각의 전사본 읍지와의 대조 검토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1910년대 금서룡(今西龍)의 삼각산(三角山) 명칭해석(名稱解釋)에 대한 검토(檢討)

        오경후 ( Kyeong Hwo Oh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1917년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이었던 이마니시 류(今西龍)는 삼각산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후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에 국한시켜 삼각산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북한산은 삼각산을 포한한 주변의 많은 산과 강, 개천 등을 거론하며 그 영역을 확대하였다. 때문에 이마니시는 삼각산이 옛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북한산의 다른 이름이기보다는 북한산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마니시 역시 조선시대 삼각산에 옛 북한산성이 있을 것으로 단정하고 다시 산성을 축조한 이후 `북한산성`으로 명명하고 그 이후부터 이 산의 일반적 이름을 북한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하였다. 삼각산은 2,000여 년 동안의 역사만큼이나 그 이름도 다양하다. 부아악(負兒嶽)·화산(華山)·삼각산으로 명명되었다. 반면 북한산은 다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 의하면 한강이북의 서울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산의 명칭보다는 지정학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오늘날 소위 북한산에 자리 잡고 있었던 산들이 모두 `삼각산 삼천사(三川寺)`·`삼각산 진관사(津寬寺)` 등 사찰 앞에 삼각산을 표기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요컨대 북한산의 명칭은 역사적 문화적 사실을 기초로 검토했을 때 삼각산으로 그 명칭이 재고되어야 한다. Imanish Reu(今西龍) who was a investigator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Jo Sun(朝鮮) made final report in 1917 after he investigate the historic remains in Sam Gak San(三角山). In his report, he defined Sam Gak San just with In Su Bong, Baek Un Bong and Man Kyeong Bong. He extended, however, the bounds of Buk Han San to contain the small hills and streams around as well as Sam Gak San. Imanish recognized that the name of Sam Gak San was not the other name of Buk Han San but a part of it. Nevertheless, he also asserted that there were old Bukhan mountain fortress wall in Sam Gak San and that it seemed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wall it was named `Buk Han San Seong` and afterwards the mountain was normally called Buk Han San. San Gak San varied in name such as to be named separately Bu Ah Ak(負兒嶽), Wha San(華山) and Sam Gak Sa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h Bang Gang Yeok Go(我邦疆域考) written by Jeong Yak Young(丁若鏞) the name of Buk Han San designated Seoul district on north of Han River. It seemed that he emphasized the territory more than the name of the mountain. The Buddhist temples, such as `Sam Gak San Sam Cheon Sa(三川寺)` and `Sam Gak San Jin Kwan Sa(津寬寺)`, which are located in Buk Han San contain the word of `Sam Gak San` in front of their names. To conclude,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of Buk Han San, its name should be changed into Sam Gak San.

      • KCI등재

        1910년대 今西龍의 三角山 名稱解釋에 대한 檢討

        오경후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7 No.-

        Imanish Reu(今西龍) who was a investigator of historical remain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Jo Sun(朝鮮) made final report in 1917 after he investigate the historic remains in Sam Gak San(三角山). In his report, he defined Sam Gak San just with In Su Bong, Baek Un Bong and Man Kyeong Bong. He extended, however, the bounds of Buk Han San to contain the small hills and streams around as well as Sam Gak San. Imanish recognized that the name of Sam Gak San was not the other name of Buk Han San but a part of it. Nevertheless, he also asserted that there were old Bukhan mountain fortress wall in Sam Gak San and that it seemed that after the re-construction of mountain fortress wall it was named 'Buk Han San Seong' and afterwards the mountain was normally called Buk Han San. San Gak San varied in name such as to be named separately Bu Ah Ak(負兒嶽), Wha San(華山) and Sam Gak Sa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h Bang Gang Yeok Go(我邦疆域考) written by Jeong Yak Young(丁若鏞) the name of Buk Han San designated Seoul district on north of Han River. It seemed that he emphasized the territory more than the name of the mountain. The Buddhist temples, such as ‘Sam Gak San Sam Cheon Sa(三川寺)’ and ‘Sam Gak San Jin Kwan Sa(津寬寺)’, which are located in Buk Han San contain the word of 'Sam Gak San' in front of their names. To conclude,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of Buk Han San, its name should be changed into Sam Gak San. 1917년 조선총독부의 고적조사위원이었던 이마니시 류(今西龍)는 삼각산의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후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였다. 그는 이 보고서에서 삼각산은 인수봉⋅백운봉⋅만경봉에 국한시켜 삼각산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북한산은 삼각산을 포한한 주변의 많은 산과 강, 개천 등을 거론하며 그 영역을 확대하였다. 때문에 이마니시는 삼각산이 옛 문헌에 기술된 것처럼 북한산의 다른 이름이기보다는 북한산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마니시 역시 조선시대 삼각산에 옛 북한산성이 있을 것으로 단정하고 다시 산성을 축조한 이후 ‘북한산성’으로 명명하고 그 이후부터 이 산의 일반적 이름을 북한산이라고 부르게 된 것 같다고 하였다. 삼각산은 2,000여 년 동안의 역사만큼이나 그 이름도 다양하다. 부아악(負兒嶽)⋅화산(華山)⋅삼각산으로 명명되었다. 반면 북한산은 다산 정약용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 의하면 한강이북의 서울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다. 산의 명칭보다는 지정학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오늘날 소위 북한산에 자리 잡고 있었던 산들이 모두 ‘삼각산 삼천사(三川寺)’⋅‘삼각산 진관사(津寬寺)’ 등 사찰 앞에 삼각산을 표기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요컨대 북한산의 명칭은 역사적 문화적 사실을 기초로 검토했을 때 삼각산으로 그 명칭이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근대 일본인과 이병도의 진번군 인식

        윤병모 한일관계사학회 2024 한일관계사연구 Vol.83 No.-

        The study of Zhenpanjun by modern Japanese begins with the claim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First, the argument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was initiated by Michiyo Naka and continued by Takajiro Higuchi and Shiratori. Naka Michiyo is significant in that he was the first modern Japanese to claim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Michiyo Naka's claim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also had the same effect on his disciple Shiratori. However, the claim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was denied by Inaba and Imanishi, and then again by Ikeuchi. The claim that Zhenpanjun is in the north is also denied by Lee-byoungdo in 1929. It can be seen that the modern Japanese study of Zhenpanjun was born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Japan's advance into Manchuria. In other words, Zhenpanjun research can be seen as a result of modern Japan's interest in Chosun and Manchuria. Eventually, after Inaba and Lee- byoungdo, the claim that Zhenpanjun was in the south emerged as the mainstream theory and continues to this day. Inaba argued for the Zhenpanjun Chungchengdo theory as part of his claim that Zhenpanjun was in the south, while Imanishi and Ikeuchi went further and argued for the Chungchengdo and Jeonlabukdo theories. Lee-byoungdo said that Zhenpanjun is north of the Han-river. The historical basis for claiming that Zhenpanjun is in the south lies in the ‘Zhenpanzhili’ appearing in Wulingshu and Shiji . These modern Japanese theories of Zhenpanjun Chungchengdo and Jeonlabukdo raise the issue of expanding Hansijun's territory not only to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but also to the southern area. Also, when basing the location of Zhenpanjun on Wulingshu , a lack of space in the ‘peninsula’ is pointed out. 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gration theory, it can be said that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Zhenpanjun moved from Liaodong to Hwanghaedo. 근대 일본인에 의한 진번군 연구는 진번군 재북설로 시작한다. 먼저 재북설은 나카 미치요에 의해 시작되고 히구치 다카지로와 시라토리에게 이어진다. 나카 미치요는 근대 일본인 중에 최초로 진번군 재북설을 주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나카 미치요의 진번군 재북설은 그의 제자인 시라토리에게 그대로 이어지는 효과를 가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나바와 이마니시에 의해 진번군 재북설은 부인되고 이어 이케우치에 의해서도 다시 부정된다. 진번군 재북설은 1929년 이병도에 의해서도 부정된다. 근대 일본인의 진번군 연구는 일본의 만주 진출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 탄생한다. 곧 진번군 연구는 근대 일본의 조선과 만주에의 관심이 투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나바는 진번 재남설의 입장에서 진번군 충청도설을 주장했고 이마니시와 이케우치는 더 나아가 충청도 및 전라북도설을 주장했다. 이병도는 진번군이 한강 이북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진번군 재남설이 주장하는 사료적 근거는 무릉서 와 사기 에 나타나는 ‘진번지리’에 있다. 이런 근대 일본인에 의한 진번군 충청도설과 전라북도설은 한사군의 영역을 ‘반도’의 중부는 물론 남부 일대까지 확대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하지만 진번군 위치를 무릉서 에 근거할 때에 ‘반도’에서의 공간적 부족이 지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