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顯宗代의 佛敎政策과 佛敎界의 動向

        오경후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7 No.-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는 옹호와 비판의 사이를 오가면서 시작되었다. 이 극단의 논리는 결론적으로 조선시대 불교를 탄압과 소외의 역사로 규정지어버렸으며, 연구의 외연을 넓히는 작업은 고사하고 불교사론(佛敎史論)조차도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현종대의 불교정책은 탄압의 연속이었다. 전란 이후 붕괴된 주자학 부활의 기치아래 실천철학으로서의 예학(禮學)을 강화시키고 발전시켜야 했기 때문이다. 현종 원년에는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사찰을 철폐하고 출가자의 환속을 명하였다. 아울러 대동법 실시 이후 부역에 동원된 일반 백성들은 그 대가를 받았지만, 승려들은 대가없이 광범위하고 혹독한 국역(國役)에 동원되어야 했다. 이와 같은 현종이 단행한 대불교시책은 이시기 불교정책이 탄압일변도 진행되었음을 인식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왕조실록조차도 현종대 불교정책과 불교인식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예컨대 신료들이 풍속을 상하게 하고 국가와 조정을 그르친다고 하여 반대하였지만, 신륵사와 대승사, 옥천사, 봉국사에 원당(願堂)을 설립하여 두 딸과 매부의 명복을 빌기도 하였다. 현종의 대불교인식과 정책은 즉위 10년을 기점으로 변한다. 왜란과 호란 당시 승군의 활약과 희생, 전란 이후 부역참여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다. 예컨대 사찰에서 담당한 종이생산과 납부에 따른 이중고를 없애게끔 명한 것이다. 더욱이 전란 이후 계속되는 가뭄과 기근 속에서 대가없는 지난한 부역 담당은 해당관리뿐만 아니라 왕조차도 그 해소책을 모색할 정도였다. 현종실록의 현종행장에는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후 그 폐해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는데, 현종이 즉위 초부터 예학발전의 기치 아래 배불정책을 시행하여 수천 년 동안 그 명맥을 유지해 왔던 불교의 폐단을 물리쳤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조선 후기 가장 혹독한 불교탄압정책을 단행했던 배불군주인 현종조차도, 고려후기 주자성리학 전래와 조선건국 이후부터 역대 왕이 보여주었던 실질적인 대불교인식의 태도와 결코 다르지 않았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e protection and the criticism existed together in the early study of buddhism in Joseon Era. This extreme logic made a history of Buddhism in Joseon a history of suppression and neglect. So there were no expansion of study and no adequate theory of Buddhism. The Policy about Buddhism in Hyeonjong's reign was a chain of suppression. It was the reason that the reinforcement of Yaehak as practical philosophy for reconstruction of Sung Confucianism in postwar days. First, the government ordered the abolition of temples for the peace of the royal family and the return to secular life of Buddhist monks. And monks were often put to slave labor. These policies about Buddhism in Hyeonjong's reign looks like a chain of suppression, but it is not a whole story. Because Hyeonjong constructed wondang in Shinreuksa, Daeseungsa, Okcheunsa, Bongguksa to pray for the repose of two princesses and a brother-in-law. After the years later since his coronation, Hyeonjong's policy about Buddhism changed. Because he were impressed by the monk soldiers' activities in War and their slave labors in postwar days. So he ordered to discontinue temples' production and delivery of paper. It was described in the records of Hyeonjong Shilok that Hyeonjong rejected the old vice of Buddhism. However, in fact, Hyeonjong was not different from other kings of Joseon in an attitude to Buddhism.

      • KCI등재

        月坡居士 趙鼎九의 生涯와 活動

        오경후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5 No.-

        The life and activities of Wolpageosa Jo Jung-gu. Jo Jung-gu (1860-1926) was a patriot who lived in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rule. He was the second son-in-law of Heungseon Daewongun and the brother-in-law of King Gojong. He is also an in-law of independence activist Lee Hoi-young. In such an environment, Jo Jung-gu was able to live his life comfortably with great power despite foreign interference and aggression, but foreign interference and the threat of Japanese imperialism did not allow him to live comfortably. As an official of the Gungnaebu, Jo Jung-gu did not hesitate to carry out the secret orders of King Gojong to restore the sovereignty of the Korean Empire as well as the royal administration. In 1903, Jo Jung-gu also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Jeungbomoonheonbigo(增補文獻備考). This was done in 1769 by order of the king to examine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surrounding Joseon and respond to the change. Jo Jung-gu and his family were walking in the midst of a whirlwind of challenges and counterattacks such as the Hague Special Envoy Case in 1907 and Hanil Unification in 1910. Jo Nam-seung, son, delivered a credential to Hulbert, an American, asking him to withdraw King Gojong's slush funds, and hid 87 important diplomatic documents from Joseon at the time of King Gojong's orders. When Jo Jung-gu finally became annexed in 1910, he even attempted suicide, refusing the silver medal and baron title given to high-ranking 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 would rather die righteously, but I cannot live dishonorably.” Afterwards, Jo Jung-gu fled to Beijing, China. After King Gojong's death in 1919, after completing his funeral, he was named on the list of 18 Pyeongjeonggwan(評政官) when he established the Hanseong Provisional Government. Although he was not an official patriotic movement, his desire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independence was stronger than anyone else's. Afterwards, he fled to China and wandered, but after hearing the news of the death of his second son, Nam-ik Jo, he died while living at Bongseon Temple. Shortly before his death, he published a document disapproving of the treaty of annexation of Sunjong, stating that the annexation of Treaty Korea and Japan was arbitrarily proclaimed by Japan and a group of evil spirits. 조정구(1860~1926)는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를 살다간 애국자다. 그는 흥 선대원군의 둘째 사위이자 고종의 매형이기도 했다. 또한 독립운동가 이회영 과 사돈지간이다. 이와 같은 조정구의 환경은 외세의 간섭과 침략에도 불구 하고 막강한 권력으로 일생을 안락하게 살 수 있었지만, 외세의 간섭과 일제 의 위협은 그를 안락하게 살게 하지 않았다. 우선 조정구는 궁내부의 관원으 로 왕실 행정뿐만 아니라 대한제국의 자주권 회복을 위한 고종의 비밀지령을 수행하는 일조차도 주저하지 않았다. 조정구는 1903년 증보문헌비고편찬 에 참여하였다. 1769년 왕명으로 조선을 둘러싸고 급변하는 정세를 살피고 그 변화에 대응하는 취지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 조정구와 집안은 1907년 헤이그밀사사건, 1910년 경술국치와 같은 일제의 조선침략이라는 도전과 응 전의 소용돌이 속을 걷고 있었다. 아들 조남승은 고종의 비자금을 인출해 달 라는 신임장을 미국인 헐버트에게 전달했고, 당시 조선의 중요 외교문서 87 건을 고종의 명을 받아 일제 몰래 숨겨두기도 했다. 조정구는 1910년 마침내 합방이 되자 조선총독부가 조선의 고위 관리에게 내린 은사금과 남작 작위를 거부하고 자살시도까지 했다. “차라리 의롭게 죽을 수는 있지만 욕되게 살 수 는 없다”는 것이었다. 이후 조정구는 중국 북경으로 망명하였으며, 1919년 고종이 승하하자 장례 를 마치고, 한성임시정부를 수립할 때는 評政官 18명의 명단에 이름을 올렸 다. 비록 표면적인 활동은 못했지만, 나라의 자주와 독립 염원은 누구보다도 강렬한 것이었다. 이후 그는 중국으로 망명하여 유랑했다가 둘째 아들 조남익의 사망소식을 듣고 봉선사에 기거하다가 사망하였다. 죽기 직전에는 한일 병합이 일본과 역신의 무리들에 의해 제멋대로 선포했다는 순종의 병합조약 否認文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 朝鮮後期 王室의 佛敎信仰과 華溪寺의 役割

        오경후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The temple, Hwagyesa was built by the national monk Tanmun who succeedto national Buddhist traditio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There is no historicalrecord of Hwagyesa in relation to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andthe early Chosun dynasty, Because Chosun dynasty’s repression against Buddhismresulted in the decline of Buddhism. But since pre and post war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Hwagyesa had been extended its size and its scale by material aids of Surpyung-gun, Deokheung-gun, and Heungseon taewongun during thelate of Chosun dynasty, and in supports of female of the royal family, such as thequeens and the royal concubines. In period of Sedo politics that the King’s materialrelatives reigned, as a national and central temple of buddhist circle, Hwagyesa hadnot only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emple, but also had been built the economicfoundation, which can carried on ascetic exercises of monks and popular religiouspractices. no matter how Hwagyes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may be great, the related record of the temple was limited so that we could find no trace of the temple’shistory. Historically, The only record of Hwagyesa back that we can trace, was whatwe call Hwagyesa-YakJi(華溪寺略誌), and was consisted of a brief record of thetemple. It put the pieces of the temple’s past together. But such atemple’s brief document published in 1938 expressed no little historical contradictions into its contents. For example:Firstly, except of the Yakji, there is no historical clue to explain the connectionbetween the temple-builder Tanmun in early of Goryeo dynasty and Hwagyesa. Secondly, it made no clear that the real story of Surpyinggun(西平君) who sup-ported the reconstruction of Hwagyesa in 1522. Thirdly, After Dukhung taewongun who constructed the temple in 1559, died at the age of thirty, it wassaid a storythat, still he personally attempted to reconstruct the temple. Finally, the plaquemarked Bohwaru(寶華樓), was notthe written art work of Yi Ha-eung(Heungseontaewon-gun), but Sin Heon (wi dang)’s work. these historical mistakes are enable tofabricate the transition of Hwagyesa, inju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temple, andunderestimate the temple in itself by later generation. For a lack of therelated materials of Hwagyesa, it can not choose but limit to investigate not onlythe historical truth of the temple but also the cultural identity and history of korea. On cautious finding,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objective values of Hwagyesa’s Buddhist culture historically and bring its values up to the present time,with the far-reaching collecting of its related material, we have to find the interfacebetween Hwagyesa’s historical heritage and culture of modern Buddhism, graft theformer into the latter, and finally develop the both side. 화계사 관련 기록은 사찰이 차지하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그 관련 자료와 흔적이 일천하여 안타깝다. 화계사의 전후사정을 파악할 수 있는 『華溪寺略誌』가 편린을 모아 화계사의 역사와 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다. 다만 1938년 찬술된 약지(略誌)의 내용은 적지 않은기록상의 모순을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화계사는 고려전기 법인국사 탄문대사(坦文大師)가 창건한이후 조선전기까지의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부터 화계사는 서평군과 덕흥군,그리고 조선후기 흥선대원군과 왕실비빈들의 발원과 재정적 지원에 의해 점차 사찰의 규모를 확장해 갔다. 세도정치 시기에는 본격적인 중창이 이루어졌다. 또한 김정희와 흥선대원군의 사제관계에서 비롯된추사학파의 교류와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진경문화의 흔적들이 현재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화계사는왕실의 번영을 기원하면서부터왕실의 원찰기능이 강화되었고 여러 전각을 비롯한 수행시설과 대중신앙을 수행할 수 있는 재정적 기반이 안정되어 갔다. 결국 화계사의 불교문화사적 가치는 불교가 탄압받았던 시대상황 속에서 불교신앙의 전통을 굳건히유지해갔으며, 조선후기부터 독자적 성격이 짙은 우리 문화를 창조하는 산실의 역할을 하였다. 화계사에 관한 연구는 조선시대 불교문화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의 측면에서 앞으로도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鏡虛·滿空의 法脈과 韓國佛敎에 미친 영향

        오경후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鏡虛·滿空의 출현은 단절된 한국불교의 출발을 의미한다. 이들은 격동기 대한제국과 암울한 일제치하에서 한국불교가 지닌 독자성을 천명하고, 정통성을 수호했다는 점에서도 민족사적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경허·만공에 대한 연구는 단편적인 개인사 연구의 범위를 떠나 근현대 불교사와 사상을 연구하는 근간인 것이다. 경허·만공의 법맥은 그 자체에 대한 규정과 해석보다는 조선 중후기부터 전개된 불교사의 틀 속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법맥문제 역시 한국불교사의 범주 안에서 해석되고 평가되어야 할 부분이기 때문이다. 경허의 일생에 걸친 선의 부흥을 위한 노력은 제자들에게로 전해진다. 이른바 경허의 세 달이라고 할 수 있는 혜월·만공·수월은 불교중흥을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漢巖·慧庵·寂音·金烏 등은 스승의 가르침과 한국현대불교를 위해 진력하였다. 이와 같이 경허·만공의 영향을 받은 후학들은 격동기와 암울한 시기를 사는 동안 위로는 正法을 수호하고자 했으며, 아래로는 중생의 삶까지도 외면하지 않았던 수행자로서의 본분을 잊지 않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현대불교의 동향과 慧菴 性觀의 수행과 교화

        오경후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1 No.-

        혜암선사는 성철선사와 함께 한국 현대불교사의 상징적 존재이다. 혜암의 출가는 깨달음과 佛法을 위한 것이었다. 그가 평생 동안 지속했던 장좌불와와 오후불식의 수행은 그의 상징이 되었다. 그가 참여했던 1947년 봉암사결사는 그의 수행정신을 더욱 확고하게 해주었던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일제강점기 식민지불교의 잔재를 청산하고, 한국불교의 정통성을 다시 세우는 일이기도 하였다. 그는 1994년과 1998년 조계종의 혼란과 모순을 청산하는데 앞장섰다. 혜암은 ‘개혁’은 부처님 말씀대로 안했기 때문에 나온 말이라고 하였다. 결국 혜암의 삶은 철저한 수행과 함께 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살기위한 것이었다. Zen master Hyeam is the symbolic presence of modern Korean Buddhist history together with Zen master Seong-cheol. His lifelong banquet and the practice such as “sitting, not lying throughout his life(長座不臥),”and “afternoon abstinence(午後不食)” became his symbol. In 1947, when he participated, the Bongamsa Association became the occasion to strengthen his spirit of execution. In addition, the remnants of colonial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dissolved and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was reestablished. He took the lead in clearing the confusion and contradictions of the Jogye Order in 1994 and 1998. Hyeam said that 'reform' was a word that came because he did not follow the Buddha's word. In the end, Hyeam's life was to carry out Buddha's teachings with thorough performance.

      • KCI등재

        朝鮮時代 奉恩寺의 佛敎的 位相과 文化價値

        오경후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8 No.-

        Bongeunsa Temple is a key element in understanding the trends of Buddhism from the early to late year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5). Serving as a royal shrine dedicated to the royal ancestors of the Joseon Dynasty from its early years, the temple has inherited the traditions of the suppressed and alienated Buddhism. As the royal mausoleums of King Seongjong and King Jungjong became enshrined in the temple, the dynasty government officials and nobility flowed in and out of the temple continuously. With the reintroduction of Seunggwa (state examination for Buddhist monks) and the temple serving as the central temple of the dynasty’s Seon Buddhist sect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Bongeunsa also played an essential role in terms of Buddhist administration. During Imjin Waeran (Japanese invasion) and Byeongja Horan (Qing invasion), its famed monks including Cheongheo and Samyeong joined the wars, and the temple mobilized and managed Buddhist warriors for building and defending Namhansanseon and Bukhansanseong Fortresses. Adding to its central functions for the royal families’ Buddhist rites, protection of the state and Buddhist administration, Bongeunsa provided the intrinsic religious functions as well. The nobility and monks widely exchanged, prepared for the state examinations, and often soothed despair and agonies. Consequently, while performing its religious functions centering on the royal families and ruling class, Bongeunsa helped create and maintain diverse cultures of the Joseon Dynasty. 봉은사는 조선전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시대 불교의 동향을 이해하는 핵심요소이다. 조선전기부터 왕과 왕실 조상을 추모하는 기능을 담당하면서 억압과 소외된 불교의 명맥을 굳건히 유지시켜나갔다. 성종과 중종의 능(陵)을 수호하고 추모하면서부터는 신료와 사대부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봉은사는 명종(明宗)대 승과(僧科)의 부활과 선종의 중심사찰이 되면서 불교행정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지녔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당시에는 청허와 사명 등이 전란에 참여했고, 이후에는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쌓고 수비하는데 경기도와 강원도 사찰의 승군(僧軍)을 동원하고 관리하였다. 봉은사는 욍실의 불교신앙과 호국불교, 불교행정의 중심역할 뿐만 아니라 종교본연의 기능 역시 담당하였다. 사대부와 승려들이 폭넓은 교류를 했고, 과거시험을 준비했으며, 절망과 아픔을 달래기도 하였다. 결국 봉은사는 왕실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기능을 담당하면서 왕조의 다양한 문화를 창출하고 유지해갔다.

      • KCI등재

        月精寺 八角九層石塔과 韓國의 탑돌이

        오경후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7 No.-

        탑돌이는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중생구제에 대한 찬탄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아울러 불교도의 개인적인 염원에서 비롯되었다. 탑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도는 이 의식은 인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불교국가에서 지금까지도 행해지고 있는 불교의 중심신앙이다. 한국의 탑돌이는 불교적 의미와 함께 한국의 토착문화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불교가 쇠락한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그 의식절차나 구체적 사례가 거의 소멸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는 불교본연의 의미보다는 민속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한계를 노출시켰다.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법주사·월정사·중앙탑의 탑돌이가 체계적으로 전승되기 위해서는 첫째, 경전이나 문헌적 근거를 수집 정리하여 보존의 당위성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현재 축제나 놀이의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탑돌이가 불교본연의 의식임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셋째, 탑돌이의 의식절차나 지역적 특성과 같은 원형을 복원해야 한다. 이와 같은 탑돌이의 문헌적, 지역적, 그리고 본질에 대한 체계적 정리는 불교신앙과 함께 전통문화 계승에 일정한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Tower-turning started with admiration for Sakyamuni’s enlightenment and mankind relief. In addition, it began with individual Buddhists’ wishes. This ceremony of turning around the tower forms central belief of Buddhism in a majority of Buddhist countries as well as India. Tower-turning in Korea has unfold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its aboriginal culture together with its Buddhist meaning. However, from the Joseon era when Buddhism declined the ceremonial procedure and specific cases of tower-turning started to disappear and almost ceased to exist when Japan ruled over the country. Such problem revealed the limitation of emphasizing its ethnological aspect rather than its Buddhist meaning. For systematic transmission of Beopjusa, Woljeongsa, and Jungangtap tower-turning, the following conditions should be met. First, scriptures or literary grounds should be collect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ness of its conservation. Second,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tower-turning performed as part of a festival or play is a Buddhist ceremony. Third, the original form of tower-turning such as its ceremonial procedure or reg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recovered. Such systematic, literary and regional organization of tower-turning and its essence will have a certain effect on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long with Buddhist faith.

      • KCI등재

        한국 근현대불교의 태동과 擎雲 元奇

        오경후 한국동양철학회 2018 동양철학 Vol.0 No.50

        The Emergence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Buddhism in Korea and KYUNGUN-WONGI(擎雲 元奇) KYUNGUN-WONGI is a person who has lived the tradition and modernity of Korean history. During this period, Korean Buddhism was also in a great turning point. KYUNGUN is a person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Study of Zen and Non-zen Buddhism, Chantingf Buddhism, Vinaya Pitaka of the Korean Buddhism which has been blurred since the 19th century. Because of this, even the Japanese have regarded the Buddhist identity of the Korean Buddhism as a person who has maintained the identity. Although the order of Korean Buddhism was confused by the influx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disciples said that they were afraid of their hearts as if they were listening to the commandments themselves. KYUNGUN has also systematized the collapse of Sun-am Temple(仙巖寺). In the future, Choi Nam-seon(崔南善) said that KYUNGUN was a virtuous practice to keep the Vinaya, not to stick to and keep it. He formed Baekryeon-gyeolsa(白蓮結社), even the people who did not know Buddhism had a deep influence on Buddhism. H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m as well as establishing Buddhism’s Order(Samgha) at the time. At that time, Buddhist denomination's efforts to nurture the post-Buddhist education of the Korean Buddhism and to improve the Propagation were the only reason for the tide to go outside the prose. The disciples of Tongun were outstanding. Han-Young Park( 朴漢永)·Jin Jin Eung(陳震應)·Geumbong byeong-yeon(錦峰 秉演) The disciples followed the tide of Buddhism at that time,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education of Buddhism and to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Buddhism in Korea. 경운 원기는 한국 역사의 전통과 근대를 살다 간 인물이다. 이 시기 한국불교 역시 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경운은 조선후기 불교계에서 부흥했지만, 19세기부 터 그 명맥이 희미해진 한국불교의 선교학과 염불, 그리고 계율의 전통을 선암사의 스승들로부터 온전히 계승한 인물이다. 때문에 일본인조차도 결연하게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보호 유지해온 인물로 평가하였다. 일제강점기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승가 의 질서가 혼란스러웠지만, 제자들은 경운을 보는 자체로 계율을 듣는 것처럼 마음 에 두려움을 느꼈다고 하였다. 경운은 선암사의 무너진 계율을 체계화시키기도 하 였다. 훗날 최남선은 경운이 계율을 지키는 것은 얽매여서 지키는 것이 아닌 좋아서 하는 고결한 실천이었다고 하였다. 그가 결성한 백련결사 역시 불교를 모르는 사람 들조차도 불교에 입문할 정도로 깊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당시 불교계의 교단 설립 과 함께 한국불교의 방향설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당시 불교교단의 한국불 교의 후학 양성과 포교 향상을 위한 노력은 경운이 유일하게 산문 밖을 나가는 이유 였다. 경운의 제자들은 걸출했다. 영호 정호·진응 혜찬·금봉 병연은 경운에게 선 교학을 수학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불교정신을 따르고자 하였다. 제자들은 당시 불 교계에서 경운의 뒤를 이어 후학양성과 한국불교 안정과 발전에 진력하였다.

      • KCI등재

        사명당 유정의 忠義가 지닌 불교적 의미

        오경후 한국역사민속학회 2020 역사민속학 Vol.0 No.58

        The study of Buddhist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been a study of the Ch’ǒnghǒ Hyuchǒng(淸虛休靜) and Sa-myung Yujeong(四溟 惟政), and their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in the Imjin War were symbolized by the Buddhism Buddhism. Moreover, the Buddhist army’s “Loyalty(忠義)” was interpreted only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so the Buddhist meaning and identity were not identified. This is because the monks' abandonment of their monarchs and parents left the country and society out of order, and Sa-myung Yujeong's performance seemed very unusual. Sa-myung participated in the war, but it was not a longevity blinded by resonance. a historiographer and Confucian even ignored him because he was involved in world affairs. However, the recognition and reward of the four graces(四恩) were also an important role for the monks. In particular, loyalty to the monarch and the country and filial piety to the parents were indispensable. ‘loyalty’ is basically interpreted as true heart, Center of mind, and Qualitative. It is a virtue of practicing humanity as a subject of personal ethical practice before it is a unilateral virtue of the monarchs and servants. Even Confucians interpreted Sa-myung of loyalty as a practice spirit of Buddhism. The sound and image are opposed to the truth, but they fuse with each other and maintain complementary relationships. He interpreted Confucianism’s strict morality as a natural one that does not enforce it. In the end, the loyalty emphasized by Sa-myung was based on the Daharmadhatu Pratityasamutpada(法界緣起), which believes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of phenomena are true. 조선시대 불교사연구는 그동안 청허 휴정과 사명 유정 연구가 전부였고, 그들의 임진왜란 참여와 활동이 호국불교로 상징화되었다. 더욱이 승군의 ‘충의(忠義)’는 유가적 입장에서만 해석되어 불교적 의미와 정체성은 규명되지 못했다. 승려들이 군주와 부모를 버리고 출가한 것이 국가와 사회를 외면한 것이어서 사명당의 활약은 매우 특이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사명당은 전란에 참여했지만, 공명심에 눈 먼 장수가 아니었다. 그러나 사관과 유학자는 그가 수행하지 않고 세상일에 관여한다고 무시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네 가지 은혜에 대한 인식과 보답은 승려의 중요한 본분이기도 했다. 특히 군주와 나라에 대한 충성과 부모에 대한 효는 빼놓을 수 없는 것이었다. ‘충’은 사람이 근본적으로 지닌 진심(盡心)․중심(中心)․성(誠)은 군주와 신하의 일방적인 덕목이기 이전에 개인적인 윤리실천의 주체로서 인(仁)을 실천하는 덕목으로 해석된다. 유학자들조차도 사명당의 활약을 불교의 실천정신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소리와 형상이 진리와 대립하지만, 서로 융합하며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그는 유가의 엄격한 강상의 도리 역시 강제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도리로 해석한 것이다. 결국 사명당이 강조한 충의는 현상계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난 것을 포함한 모든 법이 그대로가 모두 진리라고 보는 법계연기를 기초로 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