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세기 전반 순조와 헌종대의 도별읍지 편찬

        이재두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8

        19세기 말 일본은 조선⋅대한제국 침략과 식민지 지배의 기초자료가 될 읍지 수집에 적극적이었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9종의 도지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일본 육군이 수집한 육군문고본이다. 이 가운데 19세기 전반기에 편찬된 것은 『호남지』, 『경기도읍지』, 『관동도지』, 『호서읍지』이다. 『호남지』와 『호서읍지』는 순조와 헌종 당시의 것이며, 『경기도읍지』와 『관동도지』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베낀 후사본으로 읍지의 원형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1832년 규장각에서는 『각도읍지』에 빠진 고을 읍지를 채워 넣기 위해 각도 감영에 읍지 수집 공문을 보냈다. 『관동지』는 1823년 강원감영에서 편찬한 『관동지』 전12책에 『장릉사적』 상⋅중⋅하를 포함인데, 『각도읍지』 강원도편 1832년지 14개 중 8개의 읍지는 『관동지』를 저본으로 하였다. 『각도읍지』 전라도편 1832년지 9개는 1832년 전라감영에서 상송한 『호남지』를 재필사한 것이다. 경도와 한성부의 읍지인 『동여비고』는 1789년지를 저본으로 하여 1832년에 일부 내용을 추가한 읍지를 재필사하면서 ‘금상’을 순조로 고친 것으로 보인다. 헌종대인 1840년대에는 경상도부터 연차적으로 도지를 편찬하였다. 『영남여지』(1841)는 60% 정도인 44개 고을만 확인된다. 일부 읍지의 권말에 수록된 유사록을 보면, 당시 경상감영에서 주로 『여지도서』 대체유형인 구지를 바탕으로 편찬한 것이다. 『경기지』(1842~43)는 『경기도삼십육읍읍지』의 저본이며, 규장각 후사본 읍지와 『경기도읍지』는 『경기도삼십육읍읍지』 수록 읍지를 베낀 것이다. 『관동읍지』(1843)는 1843년 편찬한 강원도 읍지를 중심으로 마에마 교사쿠가 후사한 것이다. 『관동도지』는 이 읍지를 베끼면서 선생안의 지방관 재임시기를 간단히 하였다. 『충청도읍지』(1847)는 1847년까지 편찬한 충청도 각 고을의 읍지를 선별한 도지이다. 『호서읍지』도 1847년경에 편찬한 읍지로 여겨진다. 『호남읍지』(1847~48)는 1747년 말부터 1748년 초에 편찬한 읍지이다. 1747년 말 전라감영에서는 각 고을의 읍지만이 아니라, 영(병영⋅수영)⋅진⋅역⋅목장 등의 지도와 읍지를 집중적으로 수집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국외로 유출된 도별읍지까지 포함하여 살펴보면, 19세기 전반 순조와 헌종대에도 분실한 읍지를 보충하고 각 고을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앙정부나 감영 단위의 읍지 편찬사업이 계속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고을에서는 읍지상송령이 내려오면, 이전에 편찬한 구지를 그대로 베끼거나, 구지를 바탕으로 일부 내용을 추가한 경우가 많았으며, 원본 그대로 보내기도 하였다. 20세기 통감부 시절과 일제강점기에는 읍지 후사 작업과 읍지 출판이 광범위하게 진행되었다. 따라서 읍지에는 편찬 당시의 당대 현실을 반영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특정 지역 연구에 읍지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별읍지보다는 도별읍지나 전국읍지를 중심으로 편찬시기와 수록내용, 저본과 후사본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읍지 수록내용의 전후 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786년 편찬한 이마니시문고 『경상도읍지』의 분석과 그 의미

        이재두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8 No.-

        This article looked for its meaning while analyzing the Gyeongsangdo-eupji(1786) collected by Liu Imanishi(今西龍). The books, which were owned by Imanishi, are the original versions of the Gyeongsangdo-eupji, which are owned by Kyujanggak and an Army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Japan. Dr. Imawanishi's collection of microfilm version of the original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the original books are kept by the Tenri Library in Japan, contains a total of 154 reel 667 kinds 1,532 volumes. Each local eupji of Gyeongsangdo-eupji(1786) has a type of Gyeongsangdo-eupji types 61%, and a type of Yeojidoseo+α is 39%. It shows a transitional look before the Gyeongsangdo-eupji type, which was developed in 1768 and matched with the Gyeongsangdo-eupji type in 1832. In 1775, it was also in the 'time of being abandoned' as the the Yeojidoseo+α type was distributed. Each eupji should have a map to match the ‘eupji’, as in Yeongdoseo. The book owned by Imanishi did not have a map on it. The Gyeongsangdo-eupji(1786) generally followed the order of the Daejeon-Tongpyeon(『大典通編』), but unlike Honam-eupji(1793) it was not necessarily. Imanishi's collection not only contains Gyeongsangdo-eupji, but also a variety of eupjis and maps, including Gyeonggido-36eup-eupji, which requires further research. 일본 덴리대학 덴리도서관 이마니시문고는 정조대에 편찬한 경상도 62개 고을의 읍지를 소장하고 있다. 이중 21책 60개 고을의 읍지는 『금서박사수집 마이크로필름판 조선사원본 컬렉션』(이하 이마니시필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함안군과 곤양군의 읍지가 실려 있는 『함안지』 1책은 이마니시필름에 들어있지 않다. 1786년(정조 10) 당시 경상도 71개 고을은 모두 읍지를 편찬하였지만, 9개 고을 읍지는 분실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정조대 경상도 각 고을 읍지와 일본국립국회도서관 육군문고 『경상도읍지』는 이마니시문고의 『경상도읍지』(이하 이마니시본)를 베낀 것이다. 『경상도읍지』(1786)는 1832년(순조 32)에 모든 고을 읍지를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일치시키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각 고을 읍지를 구체적으로 분류해 보면, 『경상도읍지』 유형이 61%이고, 『여지도서』+알파(α) 유형이 39%이다. 전국적으로는 1768년(영조 44)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이 1775년(영조 51) 『여지도서』+α 유형 보급이라는 ‘용도폐기의 시기’를 거친 뒤에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이었다. 조선후기 읍지는 『여지도서』(1760)나 『호남읍지』(1793)처럼 첫 장에 지도를 싣는 게 기본 형식이었다. 초계군의 군지절목, 합천군의 읍지목록, 봉화현의 봉화현산천지도를 보면, 『경상도읍지』도 ‘읍지’에 걸맞게 각 고을 읍지에는 ‘지도’를 수록하여야 했다. 1786년과 1832년의 『경상도읍지』 권차는 『대전통편』 기재순서를 기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두 시기 모두 『대전통편』의 고을 기재순서를 어느 정도는 지켰지만,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대전통편』 고을 기재순서는 18세기 말 지방행정이 도 아래에 몇 개의 거점 고을을 중심으로 집행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 단위로 일원화한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18세기 중엽 이래 여러 차례 추진한 읍지 편찬 사업은 고을에 따라서는 점차 재지사족들의 공의를 바탕으로 하기보다는, 사족들을 배제하고 지방관과 향리세력이 중심이 되면서 이전의 읍지를 그대로 베끼거나, 일부 내용만을 보완하였으며, 아예 이전에 있던 내용마저도 과감히 생략하였다. 이마니시필름에는 『경상도읍지』만이 아니라, 『경기도삼십륙읍읍지』 등 다양한 읍지를 수록하고 있어 규장각의 전사본 읍지와의 대조 검토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정조대의 전국읍지 편찬 사업 재검토

        이재두 한국사연구회 2020 한국사연구 Vol.- No.189

        King Jeongjo intended to replac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by publishing Haedong Yeoji Tongjae. It combines National Eupjis which has been compiled several times since King Yeongjo's time in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The National Eupjis Compilation Projec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may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as of June 1789, when those responsible for compilation are designated by province and items. According to the Gakdo Eupji compiled in 1780, 56 of the 61 are of the Yeojidoseo line, and five are of the Gyeongsangdo Eupji type. In response, King Jeongjo intended to publish a new type of the National Eupjis combining the Gakdo Eupji and Yeoji Seungram. The Dongguk Munheon Bigo was ordered to be revised, while the Gaeseongbu and Ganghwabu published the eupjis, and the Hongmungwan in 1786 was required to collect the eupjis of each county. In August 1787, the ‘Regulations on eupji' was established, and the government ordered the eupji compilation of two large counties for each province, but failed to produce any results. In the latter half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the eupjis were corrected according to certain guidelines based on eupjis and the central government's various records. Lee Seo-gu practically led the project by assisting Jeongjo as a secretary. It was quickly corrected to Gyeongdo, Hanseongbu,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In 1790, the west library of Gyujanggak had 46 books of Haedong Eupji, which were revised by the officials in charge and corrected by Lee Seo-gu. The project, which had been pushed back in priority, gained momentum in September 1792 when Lee Seo-gu returned as a secretary to the King Jeongjo. At the end of 1792, the regulations sent from Seungjeongwon were ordered to follow the Yeongnam-style and to revise them by imitating the examples in Yeoji Seungram if anything unreasonable was found. In Jeolla-do, some of the additional items were added based on the Andongbu Yeojiji(1786), and Honam Eupji was completed when Lee Seo-gu was the governor. The Honam Eupji type was a ‘perfect eupji type’ to replace the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and reflected the ideal of King Jeongjo's Haedong Yeoji Tongjae. The 60 volumes of the Haedong Yeoji Tongjae, the only manuscript at the end of King Jeongjo's reign, were completed to some extent, but were not properly kept. Thus, traces of Haedong Yeoji Tongjae can be found only in Dongguk Yeoji Bigo and Honam Eupji. 18세기 말 정조는 『동국여지승람』에 영조대부터 여러 차례 편찬한 각도읍지를 결합한 『해동여지통재』를 출판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정조대의 전국읍지 편찬 사업은 도별⋅항목별 집필 담당자를 확정한 1789년(정조 13) 6월을 기준으로 전⋅후반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정조 초기에 편찬한 『각도읍지』 1780년지를 보면, 61개 중 56개가 『여지도서』 계통이고, 5개가 『경상도읍지』 유형이다. 이에 정조는 이전부터 수집한 1780년지 등 각도읍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결합한 새로운 읍지를 편찬하여 출판하고자 하였다. 『동국문헌비고』 개정을 명하였고, 개성부와 강화부에서는 읍지를 출판하였으며, 1786년(정조 10) 홍문관에서는 도별로 감영이 중심이 되어 각 고을 읍지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1787년(정조 11) 8월에는 읍지 범례를 하달하여 도별로 큰 고을 두 개씩의 읍지를 편찬하게 하였으나,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정조 후반기에는 그동안 수집한 읍지와 중앙정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각종 기록들을 통해 일정한 지침에 따라 읍지를 정본화하였다. 이서구는 승지로서 정조를 측근에서 보좌하면서 이 사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였다. 경도, 한성부,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까지 빠르게 추진하여, 1790년(정조 14) 규장각 서고에는 집필 담당자들의 수정과 이서구의 교정을 거친 『해동읍지』 46책을 비치하였다. 우선순위에 밀렸던 이 사업은 1792년(정조 16) 9월 이서구가 승지로 복귀하면서 탄력을 받았다. 1792년 말 승정원에서 내려 보낸 절목에서는 영남규모에 따르고, 불합리한 것이 있으면,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예를 모방하여 수정하라고 지시하였다. 당시 전라도 도사 권방은 『안동부여지지』(1786)를 바탕으로 일부 항목을 신설한 수록규정을 보급하였으며, 1793년(정조 17) 8월 이서구가 감사로 부임하면서 『호남읍지』를 완성하였다. 권방은 안동 출신이었으며, 『안동부여지지』는 전형적인 『경상도읍지』 유형은 아니었다. 『호남읍지』 유형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대체할 완벽한 읍지 유형으로 정조의 『해동여지통재』의 이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정조 말에는 정본화한 『해동여지통재』 60권을 어느 정도 마무리 하였으나, 유일 필사본으로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다. 『해동여지통재』의 흔적은 경도와 한성부의 읍지인 『동국여지비고』와 『호남읍지』에서 겨우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793년 『호남읍지』의 편찬과 그 의미

        이재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한국문화 Vol.0 No.84

        Since the late 1990s, many ancient books have been computerized with state-led information service projects. The site of each eupji(local gazette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provided not only with the lifting work but also with the original image. Contrary to expectations, however, the government lacks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search into the entire town area, and the materials published by the city government or cultural center are not properly utilized. No study noted that most of eupji of Jeolla and Gyeongsang provinces in the late 18th century, housed by G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as originally a second-class manuscript. This article attempted to be tangibleized as part of a search for a genealogy of eup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four projects to compile nationwide eupji in the late 18th century, 1759(Yeongjo 33), 1768(Yeongjo 44), and 1775(Yeongjo 51). Some municipalities were organized in 1786(Jeongjo 10) and 1793(Jeongjo 17) through Gyeongsangdo-eupji and Honam-eupji. Around 1786 a project was carried out to compile provincial-level supports in Jeolla Province. So in the late 18th century, there were six different types of eupji left behind. There were Yeojidoseo types, Yeojidoseo types of Gyeongsang Province, and Daegu-eupji types, Yeojidoseo+α types, Honam-eupji types as well as Dongguk-Yeoji-Seungram types. Honam-eupji is a type of town that comes out as a result of harmonizing interes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ocal elite, reflecting the intention of compiling Haedong- eupji. Honam-eupji has many unique texts that have not been identified so far, and it is worth its value in that it reflects the situation of each town in Jeolla-do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 KCI등재

        1768년 개발한 『경상도읍지』 유형의 확산과 정착

        이재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 Vol.53 No.-

        1768년(영조 44) 경상도에서는 『대구읍지』․『의흥읍지』․『기천지』가 편찬되었다. 『여지도서』와는 다른 새로운 읍지 수록규정이 개발되어 적용된 것이다. 당시 개발한 규정은 전국의 각 고을에 하달되었다. 그러나 『여지도서』처럼 모든 고을 읍지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지는 못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1768년 목차의 개발, 1775년(영조 51) 적용의 위기, 1786년(정조 10) 확산 단계를 거쳐 1832년(순조 32)에 모든 고을에 일률적으로 적용하였다. 1831년 경상도에서는 도지를 편찬하면서 모든 고을이 수록규정(규식)을 따르도록 하였다. 규정을 어긴 읍지는 수정․보완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경상감영에서는 수정․보완․정서하여 각 고을별로 대개 40개 항목으로 구성된 도지를 완성하였다. 1768년 개발한 읍지 수록규정이 경상도내 모든 고을 읍지에 적용된 것이다. 따라서 1768년의 규정이 적용된 읍지를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겠다. 『경상도읍지』 유형은 『여지도서』에 비하여, 독립항목으로 장시․환적․과거․비판․임수, 부속항목으로 화세․요역을 신설하였으며, 호구․도서․군기․전부는 분리하거나 통합한 항목이다. 해읍에는 장시 다음에 어염을 두었다. 다만, 1831년에는 인공림인 임수를 신설하였고, 이때 창고의 부속항목인 군기를 독립항목으로 분리하였고, 관방은 관애로 바로잡았다. 1768년 개발한 읍지양식은 『여지도서』 경상도편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였으며, 선현의 행적과 시문을 중요하게 여긴 영조와 정조의 읍지 편찬의 이상이 반영된 것이다. 성리학의 수용과 그 실천에 모범적인 선현이 많았던 경상도에서는 다른 지역과 달리 이 유형의 수용에 적극적이었다. 그 결과 경상도 고유의 읍지양식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 KCI등재
      • 人參과 獨活의 原形質體 融合에 影響을 미치는 諸 要因

        이재두,이택견 성균관대학교 1991 論文集 Vol.42 No.1

        두 원형질체 사이의 융합에 PEG, PEG 용액내의 Ca^2+ 이온 농도, DMSO의 농도, 처리 시간, eluting 용액 내에서의 pH, Ca^2+ 이온 농도 등이 융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가장 높은 융합빈도는 25% PEG 6000, 10mM의 CaCl_2·2H_2O, 2% DMSO, 그리고 eluting 용액내에 pH 10.5, 55mM CaCl_2·2H_2O를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높은 분자량(PEG 8000)과 고농도(30% 이상)의 PEG, 2.5% 이상의 DMSO 및 25분 이상의 처리시간은 원형질체의 활성도에 악영향을 미친다. Factors affecting fusion frequency of protoplasts Panax ginseng calli and Aralis continentalis mesophyll cells were studied. Using the enzyme solution of 0.5% macerozyme 'Onozuka' R-10 and 15% cellulase 'Onozuka' R-10, Panax ginseng protoplasts were isolated. And, Using the enzyme solution of 1.0% macerozyme 'Onozuka' R-10 and 2.0% cellulase 'Onozuka' R-10, Aralis continentalis protoplasts were isolated. The fusion frequency was depended upon (1) polyethylene glycol(PEG), (2) Ca^2+ concentration in the PEG solution, (3) concentration of DMSO, (4) incubation time, (5) pH in the eluting solution, and (6) Ca^2+ concentration in the eluting solution. The highest fusion frequency between two kinds of protoplasts was obtained when protoplasts were treated with 25% PEG(MW 6,000), 2% DMSO, and 10mM CaCl_2·2H_2O for 15-20 minutes and eluted by eluting solution supplemented with 55mM CaCl_2·2H_2O at pH 10.5. But, when protoplasts were incubated in solution with high MW(PEG 8,000) and high concentration(more 30%) of PEG and more than 2.5% DMSO for more 25 minutes, protoplast viability was decreased.

      • 은행나무 根端의 組織分化에 對한 觀察

        李載斗 成均館大學校 1959 論文集 Vol.4 No.-

        The seed of Ginkgo biloba is germinated in complete sterilized conditions, then after 5days, be cutted in longitudinal plane by radial section method. Consequently, we can observed there is 11 initial cell graups in one tier, and it formed derivative meristem at up and down, up-derivative meristem formed procambium by perclinal division, down-derivative meristem formed rib-meristem by periclinal division, and formed groud meristem by anticlinal division. The rib-meristem formed calyptra that it protect initial cells area, therefere, we recognize that its' tissue differentiation type is Pseudotsuga type that is reported by Allen G S. at 1947.

      • KCI등재

        Immediate effects of neuromuscular control exercise on neck pain,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in persons with neck pain

        이재두,신원섭 물리치료재활과학회 2020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Vol.9 No.1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intervention using neuromuscular control, self-stretching (SS), and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NSEs) on neck pain, range of motion (ROM), and proprioception of position sense in adults with neck discomfort. Design: Thre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Forty-four adults who complained of neck pain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groups: neuromuscular control exercise (NMCE) group (n=15), SS group (n=14) and NSE group (n=15). The NMCE group did rolling with only upper limb pattern on both sides. The SS group performed neck stretching on each side, 3 sets of 30 seconds for each muscle. The NSE group had the pressure biofeedback applied with increases in pressure by 2 mmHg at a time from 20-30 mmHg while in the hook-lying position. All groups performed exercises for 10 minutes. Neck pain, ROM, and propriocep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methods. Results: Intra-group comparison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exercise in pain, ROM, and proprioception in the NMC group (p<0.05).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NMC group had a significant decrease in pai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ROM between the groups but the NMC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ft rotation compared to the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p<0.05). For proprioception, the NMC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error than the other two groups (p<0.05). Conclusions: NMCEs through upper extremity pattern rolling exercise is effective in improving neck pain, ROM, and proprioception.

      • KCI등재

        대한제국기 각군읍지와 『읍지대장』

        이재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9 No.-

        1899년(광무 3) 대한제국 내부에서는 13도 관찰부에 훈령을 내려 각군의 읍지와 지도 2건씩을 한 달 안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동안 1899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한성부를 포함한 전국 342개 부ㆍ군에서 제작한 읍지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는 못했다. 그런데, 규장각 소장의 『읍지대장』과 규장각의 청구기호는 1899년지를 확인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준다. 총독부 참사관실에서 조사한 『읍지대장』은 각군읍지를 도별 군별로 번호와 읍지명을 기록하고 있는데, 일부 읍지를 제외하면 1899년에 제작한 312개 군의 읍지 목록이다. 『읍지대장』에 실린 5종 38개 읍지와 강원도 읍지 23종은 내부의 읍지수상령과 관계없는 읍지이다. 강원도의 22종 25개 고을 33개 읍지는 1910년대 초반 총독부 참사관실의 지시로 강원도청에서 제작한 것이며, 강원도 양양군 읍지인 『현산지』도 1911년경에 편찬한 읍지이다. 장서각은 강원도 26개 군의 1899년지를 소장하고 있다. 규장각 도서 중에는 1899년에 제작한 각군읍지가 경기도부터 함경북도까지 일정한 청구번호대에 연속해 있다. 1899년 당시의 342개 부ㆍ군 가운데, 강원도 26개 군을 제외하면, 『읍지대장』에서는 한성부, 경상북도 경주군, 평안남도 성천군, 함경남도 함흥군의 4개 읍지만 확인되지 않는다. 그런데 『읍지대장』과 규장각 목록에 실려 있던 평안북도 영변군 읍지는 분실한 상태이며, 성천군 읍지는 ‘후사본 읍지’ 중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규장각과 장서각 도서에서 1899년지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는 한성부ㆍ경주군ㆍ영변군ㆍ함흥군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