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이원준 ( Lee Won-ju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2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의 물격설(物格說)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주의 `리(理)`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퇴계 이도설에서 포착되는 퇴계 성리학 체계에서의 `리` 개념이 후대에 전개·심화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무위의 본체인 `리`를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던 이도설에 대해 영남지역의 퇴계 후학들은 대체적으로 자구(字句) 해석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한주역시 `격물(格物)`·`물격(物格)`에서의 `격(格)`을 `구(究)`의 의미로 풀이한 것에 기반하여 이도(理到)의 서술어인 `도(到)`를 `진(盡)`의 의미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퇴계가 `리(理)의 자도(自到)`를 승인하면서 체인하였던 `리`의 `체용(體用)`과 `활물`적 특성을 퇴계 성리학의 종지(宗旨)로 보았으며, 이는 그의 인식방법론으로 대표되는 삼간법(三看法)을 설명하는 곳에서 나타난다. 한주 이전의 학자들은 자구의 의미를 수정하는 데에서 더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이도설 해석을 통해서 학문적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한주는 리(理)에 대한 활간(活看)이 부족할 경우 `심(心)`과 `리(理)`의 관계를 곡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리일분수(理一分殊)의 관점에 기반하여 퇴계 이도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리(物理)를 본구한 `심`의 주류변화(周流變化)와 `리`의 작용성을 등치시켜 `리`의 `분수`적 측면을 아우르면서 `심`이 만물의 `리`를 통섭한다는 `리일`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u Yi Jinsang (寒洲 李震相, 1818∼1886)`s thought of the `Li(理)` through Hanju`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latter Mulgyuk(物格) theory,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about Toegye School`s concept of Li from Toegye`s Ido-seol. The Ido-seol was criticized for regarding Li - the immovable principle - as `living thing`. Toegye School`s scholar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translating the `word` correctly. Hanju also translated the word `Do(到)`, the verb of `Ido`, as meaning of `perfectly understood` based on his translation of the word `Gyuk(格)` as `Ku(究)`. On the other hand, he also regarded the principle-application structure of Li and the its characteristic the `Li as Hwalmul(活物)` as the main point of Toegye`s Neo-confucianism thought his methodology `Three viewpoints[三看法]`. Before Hanju, scholars dose not have more opinion from the translation of the word, and it is too difficult to identifying their scholarly identity through their viewpoints on Ido-seol. On the other hand, Hanju thought that the lack of the idea for comprehensive approach between Xin(心) and Li(理) will cause the mis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in and Li. In this reason, he evaluated Toegye`s Ido-seol based on the concept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oldness[理一分殊]`. Consequently, he concatenated the characteristic of Xin which includes all things with concept of Mulgyuk, and emphasized that Xin which penetrates the principle of all things has the characteristic of `One principle(理一)`.

      • KCI등재

        대산 이상정의 물격설(物格說)과 리활물설(理活物說) -이도설(理到說)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원준 ( Won-jun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대산 이상정(大山 李象靖, 1701∼1781)의 물격설(物格說)과 리활물설(理活物說)을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이도설(理到說)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 사상사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퇴계의 이도설은 인식론적 명제인 물격에 대해 도리의 체용 구조를 통해 형이상의 개념인 ‘리(理)’에 작용성을 적용한 이론으로, 퇴계는 이를 통해 최만년에 이르러 理를 활물로 확신하였다. 이후 후학들은 학파를 막론하고 무위의 ‘리’를 구태여 물리적 운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하였다고 비판하였다. 2세기 뒤 대산은 ‘리기’의 동정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리’의 주재성과 실재성을 강조하기 위해 리활물설을 천명하였다. 반면, 물격설은 이도설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의 학설을 수용한다. 이도설과 리활물설은 비록 경로는 다르지만 모두 ‘리’의 무위성에만 주목하여 실재하는‘리’를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는 병폐를 극복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리의 작용성’을 통해 ‘활물로서의 리’를 논증하였고, 동시에 ‘리’의 본체 개념을 통해 그 활물적 특성을 주재성과 실재성으로 규정하였다. 리활물설은 대산의 이기론을 확인할 수 있는 명제가 되는 것은 물론, 이도설의 논리적정합성을 확보하고 주자학의 체계 내에서 ‘리’의 실재성을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기여하는 이론이 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Mulgyeok-seol(物格說) and LiHwalmul-seol(理 活物說) by Daesan Lee Sang Jeong(1701∼1781) in the history of ideologies, focusing on its relationship with Ido-seol(理到說) by T``oegye Yi Hwang(1501∼1570). Ido-seol by T``oegye is a theory that, concerning mulgyeok(物格) of the epistemological proposition, applied action to the metaphysical concept, Li, through the structure of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Dao-li(道理), and by the his last year of life, ToeGye felt assured that Li is a Hwalmul(活物). Later, scholars, regardless of their school, criticized him for regarding Li, the inaction, as a thing having physical motility. In two centuries, Daesan declaired LiHwalmul-seol to emphasize superintendence and substantiality of Li(理), but concerning Mulgyeok-seol, accepted the theory of Galam Lee Hyeon Il(1627∼1704) that critically inherited Ido-seol. Both Ido-seol and LiHwalmul-seol, though they had different paths,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to overcome the ills that focus on the inactivity of Li and view the existing Li as something nonexistent. Also, they both demonstrated Li’s characteristics as a Hwalmul through its activity, and at the same time, they used the concept of essence of Li and defined Hwalmul’s characteristics as a superintendence and substantiality. LiHwalmul-seol not only serves as a proposition that confirms Li-Qi(理氣) theory of Daesan, but secures logical consistency of Ido-seol and contributes to clearly understand the substantiality of Li within the system of the doctrines of Zhu Xi.

      • KCI등재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 丁時翰)의 견해

        이원준 ( Won Jun Le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의 만년 학설인 이도설(理 到說)에 대한 우담 정시한(愚潭丁時翰, 1625∼1707)의 견해를 살펴봄으로 써 퇴계 이도설에 대한 후대 학자들의 수용과 계승 및 발전의 양상을 이 해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퇴계 이후 이도설은 ‘물리도심(物理到心)’으로 이해되었고, 갈암 이현일 (葛庵李玄逸, 1627∼1704)은 이를 무위의 본체인 ‘리(理)’에 ‘저기서부터 여기로 이른다’는 방향성과 운동성을 부여하였다고 비판하였다. 반면 우 담은 ‘물리도심’을 긍정하였고, 이를 ‘리’의 온전한 체(體)를 부여받아 만물의 용(用)을 아울러 갖춘 ‘심(心)’이 만물을 통섭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존에 구축한 ‘리의 용(用)’에 대한 정치한 해석에 기반하여 ‘이 도(理到)’를 ‘물아위일(物我爲一)’로 확장하였다. 이때의 ‘물아위일’은 단순한 융회관통의 차원이 아닌 ‘물리’가 질서정연해져 ‘심’ 속에 누가 되지 않는 경지가 된다. 우담의 견해는 ‘이도(理到)’의 서술어에 해당하는 ‘도(到)’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이를 ‘진(盡)’으로 대체하여 이도설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려한 갈암과는 그 양상이 사뭇 다르다. 우담은 보다 본체론적인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우담의 견해는 퇴계가 구 축한 ‘리’ 중심의 성리학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하나의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이는 우담의 리체용론이 퇴계학파의 사상 형성과 그 양상을 확 인하는 데 중요한 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appearance of development, inheritance and acceptance of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theory after his life by examining Udam Jeong Sihan(愚潭丁 時翰, 1625∼1707)’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s latter theory. After Toegye, Ido-seol was translated as ‘The principle of matters reaches the human mind’. Galam Yi Hyunil(葛庵李玄逸, 1627∼1704), the contemporary scholar with Udam, criticized this translation for applying the directivity and motility to ‘Li’, the immovable principle. However, Udam agreed with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Ido-seol and understood it as the consilience of mind which got the entire principle(體) of ‘Li(理)’ and contained the application(用) of all things. He extended this concept as the level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 [物我爲一]’ based on his former theory, the exquisite interpretation of ‘application of Li’. The meaning of ‘sameness between objects and self[物我爲一]’ is not amalgamation but applepie order of matter`s principle in mind. The Udam`s viewpoint is differ from Galam who tried to overcome the structural limit of Ido-seol by transforming ‘Do(到)’, the predicate of ‘Ido(理到)’, into ‘Jin(盡)’. It means that he tried to interpret ‘Ido(理到)’ on the more essential aspect. His view can be the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the Toegye`s neo-Confucianism system with ‘Li(理)’ as central figure. It suggested that Udam`s theory of the principle and the applecation of ‘Li’ can be the important theory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of Toegye schools` though and its development.

      • KCI등재

        퇴계에서의 상제(上帝)와 이도설(理到說)에 관하여

        황상희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1

        In Joseon, the term of ‘religion(宗敎)’ was not used. The term of religion was coi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fucianism was excluded from religion to pseudo religion and included into the area of superstition or study. This piece of writing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we could have introduced Confucianism if it had not been for the colonial era. This thesis aims at revealing religiosity in Toegye’s thoughts through the subject of ‘Toegye’s Sangje(上帝) and Li(理)’ and examining spontaneous religiosity. Since the ancient times including Joseon, ancestral rites for the highest ancestor god, Sangje, had been held, which can be also verified through the writings of Mokeun and Sambong. Mentions about Sangje are also easily found in Toegye’s writings. In 『Seonghaksipdo』, the world view of 「Taegeukdo」 is found to pursue a cosmic family community. A family is a sacred place to experience Taegeuk, and Ohryun is a holy order to maintain the community. As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over Sadan and Chiljeong with Gobong for 8 years, Toegye distinguished Jungdo(中圖) from Hado(下圖) in 「Simtongseongjeongdo」 of 『Seonghaksipdo』, and said Sadan(四端) of Hado was ‘Libal(理發)’, and Chiljeong(七情) was ‘Gibal(氣發)’. Regarding Hado, in the sense of the condition that an object is connected to oneself, the sacred sense of Sadan was separated. It’s a sense that anyone can see in the place of oneself, and it was separated from a general sense, so its topological position became different. As for Gyeokmul(格物), Mul(物) doesn’t mean a thing as an object, but refers to the objects and matters that meet and happen in Oryun(五倫) as Mul of Cheosajeopmul(處事接物). Lidoseol(理到說) deducted from Gyeokmul is that the main body of Li(理) meets one’s Li(理), and it’s the faith that god comes to the place where one’s true heart stays. While Gyeokmul is the process of Geukgi(克己) accompanying actions, Lijado(理自到) of Gyeokmul can be said to be a certain phenomenon to respond to it. So to speak, when one meditates in Zen Buddhism, the meditation way is not the one with contents whose topic one chooses, but the one without topics that Geukgi continues and at some moment, a topic leads one. It can be also expressed as that when one concentrates with Geukgi for a long time for Sadan, that Sadan moves by itself, gets to one and leads one. In other words, it is the stage that bright light appears in an empty room without oneself through concentration of Geukgi for a long time(Heosilsaengbaek,虛室生白). 조선에서 종교(宗敎)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다. 종교라는 단어는 일제 강점기에 만들어 졌으며, 유교는 종교에서 제외된 유사종교의 영역으로 배제되어 미신의 영역, 혹은 학문의 영역에 속하게 되었다. 이 글은 만일 조선에 일제 강점기의 굴곡이 없이 현재까지 자연스럽게 전해져왔다면 유교를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라는 의문으로 시작한다. ‘퇴계의 상제와 이도설(理到說)’이라는 주제를 통해서 퇴계사상 안의 종교성을 살펴보려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조선은 고대로부터 최고의 조상신인 상제에 제사를 지내왔으며, 퇴계의 저술에서도 상제를 언급한 부분을 쉽게 볼 수 있다. 『성학십도』에서 「태극도」의 세계관은 우주적 가족공동체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족이란 태극을 경험하는 성스러운 장소이며, 오륜은 그 공동체를 유지하는 성스러운 질서이다. 퇴계는 고봉과 8년간의 사단칠정논변의 결론으로 『성학십도』의 「심통성정도」에서 중도(中圖)와 하도(下圖)를 구분하여 하도의 사단(四端)은 ‘이발(理發)’이라고 하고 칠정(七情)은 ‘기발(氣發)’이라 하였다. 하도는 대상이 나에 닿아 있는 상태의 의식에서 사단이라는 성스러운 의식을 따로 구분하였다. 나라는 장소에서 누구나 알 수 있는 의식으로 일반 의식과 구별하여 위상학적 위치를 달리하였다. 격물(格物)에서 물(物)은 대상적 사물이 아니라 처사접물(處事接物)의 물로 오륜 안에서 만나고 일어나는 대상과 일을 말한다. 격물(格物)에서 도출된 이도설(理到說)은 이(理)의 본체와 나의 理가 만나는 일이며, 나의 정성이 있는 곳에 신이 이른다는 신앙이다. 격물(格物)이 행위까지 동반한 극기(克己)의 과정이라면 격물(物格)의 이자도(理自到)는 거기에 응답하는 어떠한 현상일 것이다. 이를테면 선불교에서 명상을 할 때 화두를 내가 잡는 내용이 있는 명상의 방식이 아니라 극기의 계속된 상황에서 어느 순간 화두가 나를 끌고 가는 내용을 죽인 형식이라 말할 수 있겠다. 사단을 위해 극기의 집중을 오래하다 보면 그 사단이 저절로 움직여서 내게 이르러 나를 끌고 간다는 말이고, 다른 표현으로는 克己라는 긴 시간의 집중을 통해 나 스스로가 비워진 빈방에 밝은 빛이 생기는 경지[虛室生白]라는 말일 것이다.

      • KCI등재

        소론계(少論系) 학인 간 격물(格物) 논변의 배경과 향방

        이원준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본 연구는 1690년을 전후하여 집중적으로 진행된 소론계(少論系) 학인 간 격물(格物) 논변의 사상사적 배경과 그 전개 방향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소론계 학인들이 상대 계파보다 이른 시기에 격물설 논변을 전개한 동인(動因)을 확인하고, 논변에서 포착되는 소론계 학인들의 학문적 자세와 그 사상사적 의의를 시론해 보고자 한다. 소론계 학인들이 격물을 활발하게 논의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이전 학계에서 쟁점화되었던 물격(物格)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신속하게 일단락된 점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물격관은 이이의 학설에 기반한 이황의 이도설(理到說) 비판으로, 노소분당 이전 기호학맥의 관점을 계승한 것이다. 이러한 까닭에 소론계 학인들은 기존 학계에서 쟁점화되지 않았던 ‘격물’에 대한 논의를 남인계보다 먼저 진행할 수 있었다. 소론계 학인들의 격물 논변은 크게 자의(字義) 분석을 바탕으로 한 자가설 논변과 탈주자학적 격물설과 관련된 논변으로 나뉘어진다. 자의 논변은 ‘격(格)’자의 해석 방식과 관계된 ‘격무궁의(格無窮義)’ 논변과 ‘사지격(使之格)’ 논변이 있으며, 탈주자학적 격물설 관련 논변으로는 양명학적 격물설을 둘러싼 논변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선배 학자들이 주자의 해석에 따른다는 명목으로 별다른 이의 없이 수용한 감이 없지 않았던 ‘격물’ 그 자체를 철저히 분석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한국성리학의 독자적 격물 이론 형성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outlines the thought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Gyeokmul格物(Investigation of things) discussions that occurred intensively among the scholars of Soron少論(Disciple’s Faction) around 1690. Through this process, I will check the causes of their discussions earlier than the other faction, and examine the academic attitudes of Soron scholars revealed in each discussions and their thought historical significance. The background that scholars in Soron Faction were able to actively discuss Gyeokmul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discussions on Mulgyeok物格 that had been controversial in the previous academia ended relatively quickly between them. The point of view they share on Mulgyeok is a critique of Toegye Yi Hwang’s view on Li理 based on the doctrine of Yulgok Yi Yi. This agreement had already been concluded before the the division of the Westerners(Seoin西人) into the Noron老論(Patriarch’s Faction) and the Soron. For this reason, their discussions of Gyeokmul, which had not been relatively controversial in the past, was able to proceed ahead of the other faction, the Southerners(Namin南人). Discussions for Gyeokmul by Soron scholar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discussion of self-theory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l meaning and the discussion related to understanding Gyeomul outside the scope of the learning of Zhu Xi.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letters is mainl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Gyeok格', and the discussion related to the anti-Zhu Xi learning includes the argument surrounding the learning of Wang Yangming. Soron scholars began to thoroughly analyze Gyeokmul itself, which had not been accepted without any objection by the senior scholars in the name of follow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Zhu Xi. In addition, various methodologies were used in the argumentation process, and accordingly, they show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n unique Geukmul the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 KCI등재

        이현일의 ‘격물치지’설

        안유경(安琉鏡) 한국동양철학회 2008 동양철학 Vol.0 No.30

        이현일의 격물치지는 대학 에 서술된 ‘致知在格物’ 혹은 ‘物格而後知至’의 내용에 충실하고 있다. 이것은 곧 주자의 격물치지에 대한 철저히 계승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반드시 만물의 理를 궁구한 연후라야 心속에 구비된 衆理 를 밝힐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때문에 ‘자기에게 절실한 것’을 먼저 하고 ‘널리 物理를 살피는 것’을 뒤로 해야 한다는 先後本末의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한갓 근본에만 힘쓰고 말단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일관되 게 강조하였다. 비록 格物의 목적이 致知에 있을지라도 밖으로의 ‘格物’을 통해서만 안으로의 ‘致知’가 완전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에게 있어서 ‘格物’이란 바로 ‘致知’를 이루기 위한 전제조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格物을 말할 때는 진실로 내가 궁구하여 물리의 극처에 이르는 것을 말하지만, 物格을 말하는데 이르러서는 물리의 극처가 나의 궁구하는 바에 따라 이르지 않음이 없다”는 이황의 설과 마찬가지로, ‘格物’단계에서는 이르는 대상을 나의 마음(心)으로 보아야겠지만, ‘物格’단계에 이르러서는 이르는 대상을 물리(理)로 보아야 한다는 보고 ‘理到說’을 인정하고 있다. 아울러 신익황은 金長生(혹은 이이)의 학설을 인정하는 입장에서 이황의 ‘이도설’이 갖는 논리적 부당성을 제기하자, 이현일은 이이의 학설을 비판하고 상대적으로 이황의 학설을 지지하였다. 즉 이이의 ‘등불비유’가 바깥대상의 고찰과 이해를 강조하는 정주학의 뜻이 아니라 ‘자신의 본심만을 밝힐 것’을 주장하는 육학 의 뜻이라고 비판하고, ‘물리가 원래 극처에 있다’는 설은 또한 정주학의 ‘천하의 물에는 리가 있지 않음이 없고 일물 가운데도 精粗와 本末의 차이가 있다’는 뜻에 맞지 않다고 비판하였다. 이처럼 이현일의 格物致知는 정주학의 “오늘 하나의 물에 나아가고 내일 하나의 물에 나아가 축적된 것이 많은 뒤에 豁然貫通의 곳이 있다”는 격물하는 과정과 절차를 중시하였으며, 이황의 理到說을 긍정함으로써 인식주체인 내가 物理를 궁구하는 단계를 지나서 주희가 말하는 豁然貫通의 경지에 이르게 되면, 인식대상인 물리가 자연히 주관의 의식 속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李玄逸的格物致知是可以知道忠實了‘致知在格物’和‘物格而後知至’的內容著述 大學. 這樣的觀點是可以說明徹底地程朱學的繼承. 他是必窮究萬物的理然後才把 心中所具備衆理能發明的觀點堅持了. 因爲‘切實於自己’以爲先‘觀察於物理’以爲 後認定了先後本末的差異但不能努力根本輕視末段. 總而言之李玄逸的格物致 知重視了程朱學的‘今天格於一物明天格於一物’ 許多蓄積然後豁然貫通的格物過程 和節次肯定了李愰的理到說作爲認識主體自己經過窮究物理之段階朱到了熹說 明的豁然貫通之境地作爲認識對象物理自然到了在主觀的意識中强調了.

      • KCI등재

        중·근세 조선인의 島嶼 경영과 경계인식 고찰

        손승철(Son, Seung-cheul)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9 No.-

        울릉도와 독도 근해는 신라시대부터 우산국으로 기술되면서, 신라의 영토에 편입되어 있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의 영토로 인식되었고, 1141년부터는 명주도의 관리구역이었다. 『高麗史』에 의하면 東界 울진현의 행정구역으로 소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1350년대에 왜구의 침입하면서, 울릉도는 동해안 지역을 약탈하기 위한 중간 거점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강원도를 비롯한 동해안지역에 대한 왜구의 침탈은 계속되자, 울릉도가 왜구침탈의 중간거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처로 "居民刷出"을 했다. 그런데 이러한 "居民刷出"이 일인사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해양정책으로 규정되어 "空島政策"이란 용어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대마도에서는 일본인의 울릉도 이주를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태종은 일본인의 울릉도거주를 허용하는 것은 越境이므로 허락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일본인의 이주를 청한 것이나, 越境이어서 안된다고 한 것은 일본이나 조선의 울릉도에 대한 경계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울릉도 관리를 위해 "武陵等處按撫使"와 "武陵島巡審敬差官"을 파견하였고, 17세기 말 "안용복사건"을 계기로 搜討制가 제도화되어 1894년까지 지속되었다. 결국 "공도정책"이란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거민쇄출"도 울릉도를 경영하는 하나의 시책이었다. "居民刷出"을 시행하면서 조선에서는 按撫使 - 敬差官 - 搜討官을 파견하여 울릉도에 판한 도서경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왔다. 한편 于山國이 于山과 武陵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우산과 무릉이 一島인가, 二島인가 하는 문제이다. 『고려사』나 『세종실록』에는 우산과 무릉이 두 섬으로 기술되었는데, 『신증여지승람』에는 한 섬으로 되어있다. 이 사료는 조선왕조가 동해의 도서에 대해 어떠한 영토인식을 가지고 있었는가를 설명해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一島說"과 "二島說"의 혼란은 『동국문헌비고』에 의해 완전히 "二島說"로 정리된다. 이는 1696년 안용복 도일사건이후 벌어진 조일간의 "울릉도쟁계"의 결과 나타난 영토인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于山國은 于山과 武陵이며, 두 섬으로 되어있고, 于山은 독도, 武陵은 울릉도"라는 사실이 모두 증명된다.

      • KCI등재

        동해의 무루구세무와 부룬세미

        권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09 일본학연구 Vol.27 No.-

        There are records about Ulrundo and Dokdo on Korean documents such as 『Koryosa geography』․『Sejong record geography』. From those records we can say, people knew about two islanda in those days. But Japanese claim, Korean did not know about the existense of Dokdo until 1904, because there are different views about Ulrundo and Dokdo on Korean documents. However We can declare that their opinions is not true through the discovery of Japanese ancient document『The report on Takesima』. On this record, Korean knew about the exsistense of two islands Mugurusemu(Ulrundo) and Burunsemi(Dokdo) in The East Sea. These contents correspond with Korean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