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파생 형용사의 의미

        송정근 ( Song Jung-keun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4 No.-

        우리말은 형용사가 다양한 의미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형용사가 풍부한 언어이다. 단일어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파생 형용사 역시 다양한 의미 유형을 나타낸다. 특히 파생 형용사 가운데에 ‘가치’, ‘인간 기질’, ‘물리적 속성’ 등의 의미 유형을 나타내는 단어가 많다는 특징도 확인되는데, 이는 ‘-스럽-, -하-’ 등 생산적인 형용사 파생 접사가 주로 이들 의미 유형의 파생 형용사를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단어의 구성 성분의 의미와 파생어의 의미를 비교해 보면, ‘길다-길찍하다, 붉다-불그레하다’와 같이 형용사로부터 파생된 형용사는 어기와 동일한 의미 유형을 갖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다른 품사에서 파생된 형용사 가운데 ‘-스럽-, -롭-, -쩍-’ 등의 접사에 의해 파생된 형용사는 특정한 몇 개의 의미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반면, ‘-하-’에 의해 파생된 파생 형용사는 다양한 의미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이들 접사들이 어기에 대해 갖는 제약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명사나 어근으로부터 형용사를 파생하는 접사들은 ‘어기의 속성이 있음’이라는 공통된 의미를 갖는데, ‘어른스럽다’와 같이 구체 명사를 어기로 한 파생 형용사는 명사의 속성 중 하나의 속성만 부각하여 나타내 대상이 어기 자체는 아니라는 부가적 의미를 갖는다. ‘궁상맞다, 능글맞다’와 같이 부정적 의미를 갖는 파생 형용사는 접사가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주로 부정적 의미를 갖는 어기와 결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파생 형용사를 형성하기 위한 형태론적 절차의 의미 기능 중 가장 광범위하게 확인되는 것은 ‘정도성’ 표현 기능인데, 이는 접사나 어근형성요소에 의해 표현되기도 하고, 자음이나 모음 교체, 중첩 등의 형태론적 절차에 의해서도 나타낼 수 있다. Korean is a language with a large adjective class in typological views in that the semantic content of Korean adjectives ranges over all the semantic types proposed by Dixon. Korean has abundant derived adjective as well as underived. In Korean, productive suffixes like ‘-silep-’, ‘-ha-’ make a derived word classified as ‘value’, ‘human propensity’, ‘physical property’ type. In comparison between the meaning of base and derived word, derived adjective like ‘kilccik-hata’ and base word ‘kilta’ have same semantic type. Some adjectives derived from other word class by ‘-sulep-, -lop-, -ccek-’ can have specific few semantic type. but other adjectives derived by ‘-ha-’ have various kind of semantic types, which is due to the difference of restriction of suffixes. Adjective-derivational suffixes attached to noun or root share the similar meaning ‘characterized by’. The negative meaning of derived adjectives like ‘kungsang-macta’ is came from base ‘kungsang’ not from suffix ‘-mac-’. It means suffix ‘-mac-’ do not have negative meaning. The most common meaning shared by all morphological processes namely derivation, reduplication, sound symbolism(consonant change and vowel change) is ‘graduality’.

      • KCI등재

        ‘lait’의 형태적 친족(famille morphologique)에 대하여

        김경석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Cet article est consacré à la description et l'explication d'un certain nombre d'unités lexicales construites morphologiquement à partir du primitif lait : allaiter, allaitement, délaiter, laitage, laiterie, laiteux, *laitierV, laitier. Ces unités se groupent sous le nom de la famille morphologique des mots. C'est-à-dire qu'une famille morphologique est l'ensemble des unités lexicales construites morphologiquement à partir d'un primitif, quel que soit le nombre d'opération dont elles résultent. Il aborde donc un certain nombre de problèmes morphologiques fondamentaux et parcourt un fragment significatif de la grammaire morphologique du français. Les présupposés théoriques et méthodologiques de cette description sont explicités, et une argumentation est développée pour justifier la représentation des propriétés morphologiques et sémantiques de chaque mot en fonction de la grammaire morphologique du français. En conclusion, chaque unité lexicale construite se caractérise par la conjonction d'une forme, d'une catégorie, d'une structure et d'un sens construit. Donc, la forme n'est pas une propriété identifiaire suffisante ; une même forme correspondant à deux catégories lexicales différentes correspond aussi à deux unités lexicales ; pour une même forme, une structure différente s'accompagne toujours d'un sens construit différent. Ce qui nous reste est de répondre à la question la plus difficile concernant la décision de savoir si, lorsqu'à la seule forme correspondent plusieurs sens référentiels, on a affaire ou non à la même unité lexicale. 본 논문은, ‘lait’의 형태적 친족 관계에 대하여, 어기 ‘lait’와 이로부터 파생되는, 그리고 의미적으로 동일한 뿌리를 가진 어휘들을 분석하였다. 형태적 친족은 어근이나 어원이라는 공통된 요소를 중심으로 형태적·의미적으로 관계를 형성하는 일련의 단어군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휘를 파생하는 조작이 몇 단계이건 어근이나 어기로부터 형태적으로 도출되는 모든 어휘를 포함한다. 의미가 이를 판별하는 중요한 준거로 작동하는 이유는, 외형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해 보여도 친족관계와 무관할 수 있고, 반대로 형태상 전혀 다른 것처럼 보이더라도 그러한 관계를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어휘 중에서 ‘lait’를 선택한 이유는, 다양한 접미사나 접두사를 수용하는 생산성이 우월하고, 형태적이거나 의미적 조작뿐만 아니라 합성어 혹은 품사 전성 등 거의 모든 유형의 파생과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관련된 어휘들이 어기 혹은 어근으로부터 형태적으로 도출되는 과정 및 논리적 근거를, 다른 한편으로는 어휘에 대한 형태적 파생 조작이 의미까지도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시적 의미와 파생적 의미를 구분하면서, 은유라는 조작을 통해 의미가 확장되는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형용사 ‘laitier’는 ‘lait’로부터 직접 파생된 경우와 접미화, 품사 전성, 접미화라는 세 단계를 필요로 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따라서 두 개의 형용사 ‘laitier’는, 형태는 동일하나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니는 어휘로 간주하고, 그 결과 하나의 형태가 서로 다른 어휘를 이루는 경우가 명사 ‘laitier’와 형용사 ‘laitier’이며, 형용사 ‘laitier’는 한 단계의 조작을 거친 유형(laiteirA1)과 세 단계의 조작을 통한 유형(laitierA2)으로 구분한다. 하나의 형태가 다양한 의미를 지닐 때, 동일한 어기에서 파생하면 다의어이고 서로 다른 어기에서 파생하면 동형이의어이다. 하나의 어휘 단위가 다양한 파생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형태적 파생 의미와는 다른 의미가 별개의 의미 조작으로 도출되거나, 형태 조작이 동일한 어기의 서로 다른 의미에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지시를 갖는 형태라고해서 반드시 서로 다른 어휘가 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지시적 의미가 형태적으로 도출되거나, 혹은 의미 조작을 통해 우연히 독립적으로 파생한 단 하나의 의미에 입각하여 설명이 가능하다면, 이 형태는 단 하나의 어휘 단위이다. 그러나 하나의 형태에 해당하는 다양한 지시에서 형태적으로 파생한 다양한 의미가 가능할 경우, 그 형태는 서로 다른 어휘 단위로 간주한다. 이를 구분하는 원리나 규칙의 제시는 향후 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派生接辭 ‘-이’의 意味成分 分析

        최상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4

        This paper examines the lexical meaning which the derivative affix '(-이)' comes to have with word roots in semantic formation of derivative words, and further, how its semantic domain and semantic features can be analyzed. What is to be specifically analyzed are derivative sub- stantial nouns for real things from which we are able to grasp their connotations and denotative concepts. Depending on combinative aspects of word roots or sentences as semantic components, derivative affix ‘-이’ comes to be able to cover a wide range of semantic domains. The semantic formation of derivative words consists, primarily, of the cooccurrence relation to arise between word roots and affix words; and, secondarily when affix words intervene as sentence components, it is constituted by a self-organization derived from its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sentence components. Semantic features of affix ‘-이’ can be analyzed separately between their connotative and denotative dimensions. Connotative semantic features can be analyzed in view of its semantic domain, whereas denotative ones are possible to be analyzed when derivative words are used as sentence components. 이 論文은 派生語 意味形成에서 派生接辭 ‘-이’의 語彙的 意味를 살펴보고, 그 意味領域과 意味資質은 어떻게 分析될 수 있는가를 考察한 것이다. 派生接辭 ‘-이’는 動詞 語幹에 접미되어 [+有情性]을 지닌 人物, 動物 또는 [-有情性]을 지닌 事物 등의 의미가 添加되어 特定한 個體를 지닌 實體名詞를 파생시킨다. ‘-이’는 語基 혹은 문장의 意味構成要素로서의 결합 양상에 따라서 다양한 意味領域을 가지게 된다. 파생어 의미는 1차적으로는 語基와 接辭의 相補的인 意味的 共起關係로 이루어지고, 派生語가 문장의 構成要素로 參與하면 2차적으로 文章構成素와의 相互間 有機體的 自己組織(self-organization)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파생접사 ‘-이’의 意味資質은 內包的 意味資質과 外延的 意味資質로 나누어 분석될 수 있다. 內包的 意味資質은 意味領域을 考慮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外延的 의미자질은 파생어가 문장 속 構成要素로 쓰이고 있을 때 분석이 가능하다.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명사의 의미 파생 연구 - 러시아어 코퍼스(НКРЯ)에 나타난 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

        권용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3

        언어외적 환경의 극적인 변화와 이에 따른 새로운 명명의 필요성은 언어적 표현의 의미전개 메커니즘, 즉 의미파생의 본질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높이는 동기로 작용한다. 고도의 상황 표상 능력을 가지며 문맥에 민감한 동사적 어휘는 의미파생 메커니즘을 규명하려는 기존의 시도에서 집중적인연구대상이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고에서는 명사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아 술어에 고유한 상황정보가 명사에도 내재하는 것으로 보고, 명사의 의미파생 또한 상황의 문맥적 실현으로 유발된다는것을 러시아어 시사 텍스트에 등장하는 몇몇 명사들의 의미적 변화 과정을 추적하여 증명한다. 따라서 언어의 중요한 속성으로서 이와 같은 명사의 의미파생 과정을 상황적 접근이라는 방법론을 통해설명해 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 된다. 연구 대상으로 선택된 일부 러시아어 명사가 발화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어휘적 변화는 발화 상황으로부터 단어의 상황으로 의미적 전환이 일어난 결과이다. 즉 발화에서 활성화된 상황은 점차 단어 그 자체의 의미로 고정된다. 단어가 가리키는 상황이 변하는 것은 특정 상황을나타내는 발화 문맥에서 단어 의미가 생성되고, 텍스트에서 단어, 문장이 설명하는 상황이 복잡한방식으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텍스트에서 명사는 대상물을 지칭할 뿐만 아니라 대상물이 사용되는 방식, 행위 및 상황 참여자에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황을 생성하는 데에도 참여한다.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명사의 이러한능력을 통해 독자적으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는 동사 파생 명사와 물리적 대상만을 나타내는 구체명사 사이에서 개별 명사의 상황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결국 어떤 단어의 최초 의미와 관련된 상황이 의미파생의 근원이 되며, 단어의 의미보다도 상황에더 많은 정보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의미파생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상황적 접근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러시아어 명사의 의미파생은 문맥의 영향 하에서 단어가 나타내는원형적 상황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다.

      • KCI등재

        合成動詞의 多義 形成過程에 대한 考察 -基本意味와 派生意味 間의 意味關係를 中心으로-

        유승국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rocess of polysemization in complex verb. So I observe how the derivative meaning in each cases is related to the basal meaning and I study on the assumption that the meanings of a word are based on the present dictionary. The derivative meaning of complex verb seems to be formed in both cases, that is based on the basal meaning of it, and that is based on the meanings of basal word which is before compounded. 이 論文에서는 국어 合成動詞의 多義形成過程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複合動詞와 派生動詞 각각의 경우에서 형성된 派生意味들이, 基本意味와 어떠한 관계에 놓여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여, 여기에서 나타난 의미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多義形成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복합 동사나 파생 동사의 파생 의미들은 그 기본 의미와, 또 語基 내지는 基語의 의미와 有緣性을 지니기도 한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하여 複合語나 派生語의 多義化 과정에서 파생 의미가 형성되는 基底가 그 합성 동사의 기본 의미에 있는 경우와, 합성 이전의 基語의 의미에 있는 경우의 두 가지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동사에서는 파생 의미들이 基語의 의미에 기초하여 형성되며, 합성 동사의 기본 의미에 기초하여 파생된 의미들은 사실상 基語의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서는 2차적으로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프랑스어 접두 파생의 특징

        유종숙(You, Jong-Suk)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코기토 Vol.- No.77

        본 연구에서는 언어 구성의 기본단위로 인식되는 단어를 새롭게 생성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인 파생의 특징을 프랑스어를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접두 파생과 접미 파생의 차이점은 접사의 위치 뿐 아니라 품사 변화의 유무로도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접미 파생은 품사변화를 초래하지만 접두 파생은 어간의 품사 범주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M. Riegel et al.의 연구에서는 접두 파생도 접미 파생만큼 체계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품사의 범주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단어의 통시적 변화를 관찰해보면, 어간으로부터 파생어가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공시적 관점에서 보면, 현재 파생어는 사용되는 반면에 어간은 사용범위가 제한되거나 소멸되는 비대칭 현상을 비록 광범위한 차원은 아니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 목격할 수 있다. 그리고, 접두 파생으로 인한 의미변화를 살폈을 때, 본 연구에서 한정한 범위 내에서는 어간과 파생어 사이에 소속 또는 대립의 의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접두사의 의미 유형이 파생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요인이지만, de-를 중심으로 관찰하면 접두사의 형태와 의미가 일대일 대칭을 이루지 않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언어형태가 그에 상응하는 의미에 연결된다는 일반적 인식에 반하는 현상이므로 앞으로도 계속적인 연구, 천착이 필요한 부분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亯’의 의미파생 관계 및 분화과정 고찰

        유현아 한국중문학회 2019 中國文學硏究 Vol.0 No.75

        ‘亯’은 갑골문 시기에 출현한 상형자로, 자형과 본의, 의미파생 관계 등에 대한 의론이 분분하며, 특히 ‘亯’자의 造字 근거에 대해서는 종묘설, 조리기구설, 穴居설, 天壇(제단)설, 가옥(주택)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견해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亯’의 의미파생관계 및 분화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면, ‘亯’의 字形과 字義, 문헌상의 용례 분석 등을 통해 각각의 造字근거, 본의와 파생의미 간의 의미체계, 의미파생의 양상 및 분화과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종합해보면, ‘亯’은 ‘제사 지내는 곳’을 본뜬 한자로 本義는 ‘제사지내다’이다. ‘亯’의 의미파생 체계는 상당히 복잡한 편이어서 本義인 ‘제사지내다’를 기점으로 바치다’, ‘흠향하다’, ‘누리다’, ‘합당하다’, ‘끓이다’, ‘손님을 접대하다’ 등의 다양한 파생의미를 생성하였는데, 그 의미파생 관계 또한 連鎖式과 輻射式이 혼재된 混合式의 양상을 나타낸다. ‘亯’은 후에 ‘享’, ‘亨’, ‘烹’으로 분화되었는데, 이들은 서로 同源字 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미체계의 발전 및 분화는 사회의 발전을 따라 언어문자가 함께 풍부하고 다양해진 결과이다.

      • KCI등재

        동사와 그 파생 행위명사의 의미적 상관성

        조남신 한국슬라브어학회 2013 슬라브어연구 Vol.18 No.2

        동사에서 파생된 행위명사의 의미와 그 의미구조를 분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는 파생명사에 나타나는 의미의 ‘과정성 – 비과정성’이다. 그런데 이 과정성의 의소는 바로 파생모어로 기능하는 동사의 어휘의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비과정성과 더불어 행위명사의 의미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위명사를 세 가지 유형의 의미그룹, 즉 1) 순수한 과정의 의미만을 지니는 명사들, 2) 과정의 의미와 함께 비과정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는 명사들, 3) 과정의 의미를 완전히 상실하고 구체적인 대상의 의미만을 가지는 명사들의 그룹으로 나누어 이들 행위명사의 의미와 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사의 의미가 지니는 의미적 상관성은 물론 파생명사의 의미구조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행위명사의 의미적 특성은 무엇보다도 그 파생모어로 기능하는 동사가 가지는 어휘의미적 특성, 즉 과정성이 어느 정도 반영되는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기술하였다. 여기에서 행위명사의 어휘의미적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성-비과정성은 바로 파생모어인 동사의 과정성이 반영되는 정도에 따라, 즉 얼마만큼 강력하게 동사의 행위가 행위명사에 반영되는가에 따라서 달라지며, 그 결과 행위명사는 과정, 과정과 구체적인 대상, 그리고 대상만을 지칭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행위명사의 한 특성으로 나타나는 부차적인 의미, 즉 비과정적 의미를 다시 추상적인 대상과 구체적인 대상으로 세분하여 그 의미구조는 물론, 그것이 동사와 가지는 의미적 파생 메커니즘도 살펴보았다. 결국 행위명사의 의미를 그 한 특성으로 나타나는 과정성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행위명사가 파생모어인 동사와 가지는 의미적 상관성은 물론, 행위명사의 의미구조, 부차적인 대상의 의미, 그 통사적 특성 등을 정확하게 포착하여 기술할 수 있다.

      • KCI등재

        어휘 의미망의 형태 의미 관계 설정 -국어의 사건 명사를 중심으로-

        차준경 ( Joon Kyun Cha ),임해창 ( Hae Chang Rim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국어의 사건 명사를 대상으로 형태 의미 관계를 고찰하고 그 의미 관계를 어휘 의미망에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형태 의미 관계는 형태론적으로 파생 관계에 있으면서 의미론적으로 유의 관계 등의 관련성을 갖는다. 이러한 의미 관계를 기존의 국어사전에서는 충분히 다루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서술성 명사의 파생 용언의 경우, 명사의 부표제어로 다루어져 용언으로서의 용법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다의적인 사건 명사의 경우, 어떤 의미에서 용언이 파생되었는지 명확히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사건>과 <실체> 유형이 복합된 사건 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이러한 형태 의미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건 명사의 다의를 유의관계인 파생어로 나타낼 수 있고 이러한 관계를 국어사전의 유의 관계로 명시해야 한다. 둘째, 사건 명사에서 사건성과 실체성이 복합되어 실체로 해석되는 경우, 사건 명사의 의미 구조에서 참여자(논항) 중의 하나가 실체로 해석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사건 명사를 어기로 하는 파생어들은 사건 명사와 일정한 의미 관계를 갖고 있다. 즉, 사건 명사의 의미 구조의 참여자에 해당하며 이러한 의미를 파생어를 형성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 의미 관계를 어휘 의미망에 표상한다면 다의어의 의미를 문맥에서 자동적으로 생성하고 해석하는 등의 국어 정보 처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morpho―semantic relations in Korean event type nouns and to apply to developing a Korean lexical―semantic network. Morpho―semantic relations are related to derivational morphology and synonymy. These semantic relations have been overlooked in Korean dictionary. For instance, denominal verbs have been dealt with as sub―headwords of predicate nouns, and the usage of verbs was not provided in dictionary. In case of polysemous event nouns, dictionary do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such as which meaning of a word can be a base form of a denominal verb. We focus on the complex type of nominals which can be interpreted to <event> and <entity> types. We find the interpretation of event types can be a base form of denominal verb, and the interpretation of entity types can be referred to synonymous derivational words. In addition, the meaning of entity types can be realized as a participant of semantic structure of event nouns such as actor, theme, result, time, place etc. These regular semantic relations can be described to between derivational words and base event nouns. If these morpho―semantic relations are represented to the lexical semantic network, we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interpret the contextual meaning of polysemous words.

      • KCI등재

        자원(字源) 분석에 기초한 ‘使’의 문법화 연구

        이창민(Lee, Chang-Min)(李昌珉) 대한중국학회 2021 중국학 Vol.74 No.-

        본고는 고대 중국어에서 현대 중국어에 이르는 동안 ‘使’의 의미 변화 및 의미소의 분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자원(字源) 분석에서 출발하여 의미 변화의 출발점이 되는 ‘使’의 본래의미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본래의미에서 기타 의미로 파생되는 원리를 추론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使’는 ‘派遣’라는 본래의미로부터 ‘命令’, ‘出使’, ‘役使’ 등의 의미가 파생되었고, 또한 ‘役使’ 의미에서 ‘使用’ 등의 의미가 파생되었으리라 추정되며, 이러한 파생의미를 기초로 ‘使’는 ‘致使’ 의미의 문법소, ‘假使’ 의미의 連詞 등의 용법으로 발전되었다는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paper demonstrated how ‘Shǐ(使)’ has changed from a lexical verb in classical Chinese. ‘Shǐ(使)’ is a lexical verb in classical text, but it s not always easy to figure out all the connections among derivative meanings. An investigation into the semantic derivation of ‘Shǐ(使)’ will benefit the understanding of diachronic change of the Chinese language, help with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 paper claims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Shǐ(使)’ is ‘to send’. The diverse semantic values such as ‘to command’, ‘to delegate’, ‘let’ and ‘to go out as ambassadors’ were derived from the original meaning ‘to send’, and the meanings of Noun ‘ambassador’, ‘government position’ and ‘mission’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s of Verb ‘to command’, ‘to delegate’, ‘to order’ and ‘to go out as ambassador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meaning, ‘Shǐ(使)’ has been grammaticalized to function words such as Causative marker and Conjunctions. Thus grammaticalization processes show how ‘Shi(使)’ has undergone a change in its grammatical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