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김환석(Hwan-suk K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14 과학기술학연구 Vol.14 No.1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에 대한 사회과학의 지배적 관점은 ‘의료화’ 이론이었는데, 이는 비의학적 현상으로 취급되던 문제(예: 동성애, 알코올중독, 비만 등)를 질병으로 재정의하여 의학적 개입의 영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의 권력이 확대되는 사회적 과정을 가리켰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이후 의료 분야에서 생물과학과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기술과학적 변화와 이와 연관된 생명경제 등 새로운 사회적 배치의 출현은 최근 ‘생의료화’ 이론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관점을 대두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및 과학기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기본 작업의 하나로서 의료화 이론과 생의료화 이론을 비교하고 그 장?단점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 중에서 어떤 이론이 더 적실성이 있는가를 정신장애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어도 정신장애의 경우에 의료화는 19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과정들도 대체로 관찰되며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정신장애에 대한 위험?감시의 기술을 제외하곤) 보인다. 이것은 의료화가 지속적으로 관철은 되어 왔지만, 단지 의료적 영역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질적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화의 개념이 비록 오늘날에도 타당하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적절하고 충분하게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들을 생의료화의 개념이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할 수 있다.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social science on medicine has been the medicalization theory. It indicates the social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medical professionals by (re)defining the problems which were treated as non-medical phenomena(e.g. homosexuality, alcoholism, obesity, etc.) into "diseases" and thus the spheres of medical intervention. Meanwhile, rapid technoscientific changes in the medical field owing to the diffusion of biological sc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ince the mid-1980s and the accompanying emergence of new social arrangements such as bioeconomy and biological citizenship have led to the rise of a new social scientific perspective called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two theories and assess their merits and demerits as a basic work to deepen the understandings of sociology and STS on contemporary medicine. And it also attempts to analyze their relative relevance through the case of mental disorder. The analysis o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clearly shows that the medicalization in that area seems to have continuously proceeded since the early 19th centi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it also seems true that the five central processes of biomedicalization(except for risk surveillance technologies of mental disorder) have been observed and realized since the late 20th centu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medicalization has consistently proceeded, it has not been limited to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medical field but been extended to the qualitative transformation asserted by the biomedicalization theory. Therefore, while the concept of medicalization is valid and significant even today,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biomedicalization allow us to capture the new phenomena which cannot be properly and sufficiently captured by that of medicalization.

      • KCI등재

        의료화된 몸과 자기 돌봄을 통한 주체적인 몸

        심지원(Shim Ji-won),박삼헌(Park Sam-hu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0 아시아문화연구 Vol.52 No.-

        의료화는 이전에는 의료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 질병의 문제로 간주하게 되고, 생애주기 전체를 의료의 문제로 환원시킴으로써, 모든 사람들을 잠정적 환자 또는 미래의 환자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일상에서 생애주기 전반이 의료화되고 있지만 그 가운데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출산, 노년, 죽음, 감정, 자살, 사회적 일탈, 여성 건강과 남성 건강, 성적 쾌락 등)들이 의료화되고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의료화는 대상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음도 살펴보았다. 또한 의료화의 몸과 향상된 몸의 관계 그리고 다양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인간 향상기술의 사회윤리적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의료화된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이중적 태도와 여성들이 미레나와 같은 생리 억제 시술 사례를 중심으로 의료화된 몸 현상과 담론에 대한 대안을 푸코의 자기 돌봄 개념을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의료화된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외모를 개인의 노력으로 성취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자신의 외모를 스펙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의료적 개입을 통해서 외모를 관리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청소년들은 외모로 사람을 평가하는 것에서는 강한 반감을 나타내며, 탈코르셋과 같은 운동에 긍정적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생리에 대한 인식이 시대나 문화에 따라 변화하고, 미레나 같은 생리 억제 시술이 원래는 피임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오늘날 더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의료화된 사회에서는 많은 문제들을 의료적 개입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고,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몸에 대하여 어떠한 선택을 결정해야 하는지 어려움에 처해있다. 그러한 많은 가능성 가운데 주체적인 몸을 지니기 위해서는 어떠한 선택을 해야할 것인가? 신자유주의 시대의 자기주도적인 사업으로서 의료화를 넘어서, 의료화된 몸이 아닌 주체적인 몸, 자기 인식 주체의 타율적 환상이 아니 자기 돌봄 주체의 자율적인 실존의 미학을 구축하는 데 푸코의 후기 사유가 적지 않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리라 기대한다. Medicalization means that what was not previously a medical problem is regarded as a problem of disease, and by returning the entire life cycle to a medical problem, everyone is either a provisional patient or a future patient. Although the entire life cycle is being mediated in our daily lives, we looked at what specifically (birth, old age, death, emotion, suicide, social deviation, women"s health, male health, sexual pleasure, etc.) are being mediated, and we also looked at the degree of medicaliza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In addition, social and ethical problems of human enhancement technique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body of medicalization, enhanced body relationships, and various cases. In a medicalized society, we wanted to find alternatives to medicalized body phenomena and discourse centered on the concept of self-care by Foucault, focusing on the dual attitude of teenagers" appearance and cases of menstrual inhibitor such as Mirena. In a medicalized society, teenagers regard appearance as something to be achieved by individual effort, and they regard their appearanc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qualification and manage it through medical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eenagers are strongly opposed to judging people by their looks, and they are also positive about sports such as decorset. The perception of menstruation also changes with the times and cultures, and menstrual inhibitor, such as Mirena,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contraception purposes, but were used for treatment over time, and are further used tod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 medicalized society, many problems are solved through medical interven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many to decide what choice to make for their bodies. What choice would you have to make to have a self-reliant body among those many possibilities? As a self-directed project in the neoliberal era, Foucault"s later thinking was used to construct the aesthetics of the autonomous existence of the self-caring subject, not the subjective body of the self-aware subject, not the medicalized body, beyond medicalization. It is expected to inspire a great deal of inspiration.

      • 한국교육에서 ‘의료화’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김희정,손준종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7 No.-

        교육은 근대적 주체를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그리고 교육은 의료적 규율을 내면화한 건 강한 주체를 길러내고자 한다. 교육과 의료가 사회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권력의 테크놀로지 로서 기능하면서 그 영역이 확대되는 현상을 교육화와 의료화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에서 의료화의 사회적 성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의료화가 누구에 의해 교육에 들어왔는지 의료화의 추동 주체와 그 의료화를 추동한 주체들이 어떤 의학적 지식과 담론을 형성했는가를 분석한다. Foucault의 계보학을 사용하여 해방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교육에서 학생건강과 관련된 담론과 정책들을 분석하 였다. 산업구조와 질병구조의 변화로 학교에서의 의료화는 검사의 의료화, 예방의 의료화, 강화의 의료화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우선 검사의 의료화는 주로 교육심리학자와 의사들 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의학과 심리학, 정신위생 지식을 기반으로 ‘국가자산으로서의 신체’ 담론과 ‘교수(instruction)의 위생화’와 ‘지능에 의한 타자화’ 담론이 만들어졌다. 예방의 의료 화는 국가와 영리화된 의료 전문가 집단들의 이해관계에 의해 의료화가 추동되었으며, ‘세밀 한 몸 관리’ 담론으로서의 비만의 의료화와 정신건강관리가 중요해지면서 ‘정신건강개입’ 담 론이 생성되었다. 강화의 의료화는 제약회사와 생명기술 산업이 주도적으로 의료화를 추동 하였다. 그리고 분자생물학, 유전학, 유전체학, 생명공학, 약리유전체학과 같은 생의료적 기 술의 발전과 경쟁위주의 사회가 만나 ‘수행성의 병리화’ 담론과 ‘약물을 통한 최적화’ 담론 을 만들었다. 초기 의료는 교육적 도구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현재 의료는 교육적 문법을 벗 어나 약을 통한 통치라는 새로운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적실하게 바라 볼 수 있는 새로운 교육사회학적 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의료화의 역사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 : 새로운 의료법 패러다임의 구상

        정채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현대사회에서 의료 개념의 외연은 ‘질병이 없는 상태’와 같이 소극적인 의미를 넘어서, 아름다움, 행복, 웰빙, 삶의 질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의료는 의료서비스의 상품화와 비인간화, 환자의 소외 등과 같은 ‘현대 의학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 건강, 질병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의료사회학과 같은 학제 간 연구가 증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법학에서 아직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개념인 ‘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의료법과 보건의료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상해보고자 한다. 의료화는 이전에 의료의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문제들이 질병 내지 장애로 인식되고, 정의되고, 다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의료 영역 밖의 일상적 삶의 차원에 놓여있었던 행위와 상태가 의료적인 문제로 설명되는 현상 및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화의 역사적 전개를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의료화는 i)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의료화; ii) 현대사회에서 권력(보건의료행정)과 자본(의료산업)에 의해 추진되는 의료화; iii) 의료화에서 생명의료화로의 역사적 이행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의료화의 역사적 지평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료법패러다임의 방향성은 의료화와 탈의료화의 변증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증의 가능성을 의료인류학과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은 표준화된 의료행위의 한계를 교정하고 의료문화의 가치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시사점, 특히 현행 무면허의료행위 규제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의학과 전통 한의학, 그리고 제도권 의료에 담겨지지 않은 비공식적인 보완대체의료의 다원주의적 협업에 대한 법정책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history of medicalization, the concep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sociology, but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jurisprudence yet. This essay discusses three phases of historical evolution of medicalization. First, medicaliz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overall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the entangled process between modernization and medicalization, modern medicine, medical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rofession have increased their power as active agency of social control. Furthermore, in post-industrial society, medicalization process is propelled by Power(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Money(medical industries). Lastly, our contemporary society moves forward into the third historical phase of medicaliza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shift from medicalization to biomedicalization. There are numerous criticisms on medicalization process.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medicalization and demedicalization, I suggest a medical-legal plur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ed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pluralism. This perspective may provide us a new reflection on the current regulation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culturality of medicine, therapeutic dialogu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on-physicia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providers. The cultural aspects of medicine reques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medical humanities. This integrated understanding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discipline is integral especially in the area of medical law and health care policy.

      • KCI등재

        의료화의 담론 변화와 한국 사회의 노화 인식

        최은주(Choi, Eunjo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5 No.-

        본고는 질병의 의료화에 대한 담론 변화와 노화 인식을 한국 사회에 비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의료화는 질병의 치료 목적보다 질병의 범주를 확장하여 병을 유포한다고 하는 비판의 담론 장 속에 있었다. 의학을 통해 도구화되지 않는 주체로 서 있어야 한다는 철학적 주장은 사회 전반의 공공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의학기술에 대한 노출과 매체의 발전, 능동적인 환자의 출현으로 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바뀌었다. 과학의 발견을 수용으로부터 참여로, 과학에 동의하는 동시에 맞서는 과정을 거쳐 자율적인 지식형성의 과정으로 나가게끔 하여, 주체가 의료화에 의해 도구화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의료화를 주도하기에 이르렀다고 바라보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최근 의료화에 대한 담론의 동향이 3~40년 전에 비해 훨씬 낙관적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특히, 인간 몸의 노화를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는 입장을 뒤엎는 의학연구와 담론에 의하여 노화 또한 의료화의 중심에 놓이면서, 노화는 단순한 미용의 차원을 넘어 의학 차원의 정복 가능한 개념이 되었다. 한국 사회에서 건강, 미용, 젊음은 대중적 관심의 중심에 놓여 있으므로, 항노화의 기술 수용은 상당히 적극적이다. 일상생활에서 일단 문제가 있으면 의학문제가 되는 것은 아주 고전적인 의료화과정의 예다. 이것을 ‘좋은 의료화’의 예라고 주장하는 것은 의학이 개인의 몸에 초점을 둔 고통 감소라는 선한 의지 때문이다. 고통이 생산된다는 주장과 고통의 영향력이 커진다는 우려와 함께 의료화의 부적절한 면도 지적되지만, 유효한 의학진단과 그렇지 않은 의학진단 간의 차이를 어떻게 추정할지는 모호하다. 과학과 의학의 지식은 갈수록 심화되며 이에 따른 일상적 지침은 조정되게 마련이다. 더불어 자연적인 변화를 긍정하는 어떤 규범들은 분명 현재에 처해있는 총체적 상황에 맞는 다른 규범들로 대체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참된 진단인지 거짓된 판단인지 그 차이를 추정할만한 가치중립적인 구분은 불가능하다 것을 전제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nging discourse on medicalization and its perception with the aging of Korean society. Medicalization was in the critical discourse that has been extended to disease rather than merely therapeutic purposes. Therefore, the philosophical position to stand as a non-instrumental subject through medicine has brought about a public sensitivity that has increased not only with the growth of medicalization but also with its resistance. However, over time, the critical view of medicalization began to change as exposure to medical technology, external gaze, media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active patients led to the replacement of top-down medical care with bottom-up medical care. With these changes, the subject has not been instrumentalized by medicalization but has allowed the discovery of science to move from acceptance to participation, acceptance of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onfrontation process to the process of autonomous knowledge formation. Obviously, the trend of recent discourse on medicalization is changing much more optimistically than it did three or four decades ago especially as aging has been put at the center by medical research. In Korea, health, beauty, and youth are at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not merely in some privileged areas, so the acceptance of anti-aging technology has been quite positive. These phenomena are also related to the negative image of old age.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has brought about a welfare crisis in Korean society as well as issues with the social position, economic power, appearance, and manners of elderly people as a whole. In daily life, having a medical problem is an example of a very classic medical process. To claim an example of “good medical care” is due to the good outcome of medicine to reduce pain focuses on the individual body. In other words, the modern welfare state internalized neoliberal standards based on the duties and responsibilities of delivering health to citizens. Although this suggests inadequacies in medicalization exist because pain still exists, it is unclear how to estimate if a medical diagnosis is valid. As the knowledge of science and medicine grows deeper and everyday guidelines are adjusted, some norms that affirm natural change are surely to be replaced by other norms appropriate to the collective circumstances of the present. Therefore, a discussion should be made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rue diagnosis and false judgment.

      • KCI등재

        한국교육에서 의료화 담론의 계보 분석: 학생에 대한 의료적 개입을 중심으로

        김희정,손준종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alogy of the dominant medicalization discourse on student’s live in Korea. Medicaliz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our everyday lives are managed through medical knowledge and medical interventions are expanding. This study had two research questions, who managed and controlled medical intervention for students and what were the dominant medicalization discourse on student’s live in school. Genealogical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Foucault’s genealogical analysis is a search for the connection between power and knowledge and reveals the practice and technology of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the dominant medicalization discourse in school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medicalization of testing, prevention, and enhancement. First, the medicalization of testing was led by doctors, educational psychologists and state as supporter and ‘categorization through testing’ and ‘body as resource of state’ were emphasized. Second, the medicalization of prevention was managed by medical experts from various fields and state as active participant and the dominant discourses were ‘body as resource of individual’ and ‘medical extension to mind’. Finally, the medicalization of enhancement was controlled by pharmaceutical companies along with national and medical experts. Medical intervention was practiced through ‘medical management of cognition’ and ‘optimization’ discourse. We found that medicalization is a power of technology to produce the subjects necessary for society like educationalization. Also, traditionally what has been regarded as an educational problems is increasingly treated as a matter of medical practice. 의료화란 일상의 많은 부분들이 의학적 지식에 따라 관리되고 통제되면서 의료적 개입이 확장되는 현상을 말한다. 교육적으로도 학생에 대한 의료적 개입은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에서 의료화 담론의 계보를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누구에 의해, 어떠한 의학적 지식과 담론을 바탕으로 학생에 대한 의료적 개입이 이루어졌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권력과 지식 사이의 연결을 추적하여 권력의 실천과 테크놀로지를 밝히는 Foucault의 계보학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에서 의료화는 검사의 의료화, 예방의 의료화, 강화의 의료화라는 세 가지 담론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검사의 의료화는 의사, 교육심리학자, 그리고 지원자로서의 국가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국가자산으로서의 신체’와 ‘검사를 통한 범주화’ 담론이 중시되었다. 둘째, 예방의 의료화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학생 건강에 개입하였고, 다양한 분야의 의료전문가들이 함께 주도하였다. ‘개인의 자산으로서의 신체’와 ‘정신으로의 의료적 개입의 확장’ 담론이 강조되었다. 마지막, 강화의 의료화는 국가, 의료전문가와 함께 상업적 제약회사가 주도하였으며, ‘인지의 의료적 관리’와 ‘최적화’ 담론이 중시되었다. 의료화는 교육화와 마찬가지로 국가와 사회에 적합한 주체를 생산하는 권력의 테크놀로지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교육의 문제로 간주되던 것들은 갈수록 의학적 문제로 규정되면서 의료적 실천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 의료화를 통해 본 ADHD 아동 약물치료의 패러다임

        정정숙(Jeongsuk JEONG) 한국마이너리티학회 2018 마이너리티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aim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medicalization of Korean society on drug treatment of ADHD children, and the need for a new perspective of ADHD, through the case study about the need for the applicability of the nonmedical alternative paradigm to ADHD children, status as a social minority.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ed in this study, there were many programmes that emphasized patient individual and family efforts over drug treatment for ADHD. In modern society, for example, things that were not previously ill, such as depression, are defined as diseases, and subject to treatment due to the effects of medicalization. Many of those specified pathology or disabilities are defined by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power relationships rather than by individuals alone, especially by a group of experts represented by medical group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strong possibility that ADHD child problems will develop into a social minority. Furthermore, the de-medical view of ADHD children could provide a useful demonstration of changing views on various social minorities not only within them but also outside. Thus, the experience of overcoming the harmful effects of medicalization on ADHD children was directly linked to the insights of the regulatory factors of social minorities and to the strength of the solution,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the relevant discussion. 본 연구는 ADHD 아동에 대한 약물치료 등의 의료화에 따른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위상과 그에 대한 탈 의료화적 대안 패러다임의 필요성과 적용 가능성에 관한 사례 검토를 통하여 ADHD 아동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사회의 의료화와 그를 통한 새로운 ADHD 관점 필요성의 시사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문헌 자료에 따르면 ADHD에 대하여 약물치료보다는 환자 개인과 가족의 노력을 강조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현대사회에서는 우울증 등 예전에는 병이 아니었던 것들이 병으로 규정되어 의료화의 영향으로 치료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렇게 규정된 병리 혹은 장애들 중 대부분은 개인에게만 원인이 있기보다는 사회적 구조와 권력관계가 변화함으로써 타의, 특히 의료집단으로 대표되는 전문가집단에 의해 규정된 것들이 많다. 이는 ADHD 아동 문제에 대한 사회적 소수자성의 가능성이 농후함을 시사케 한다. 또한, ADHD 아동에 대한 탈 의료화적 시각은 그들 안에서뿐만 아니라 외부의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관점의 변혁에 유용한 시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기에 ADHD 아동에 대한 의료화의 폐해를 극복하는 경험은 사회적 소수자성의 규정 요인의 통찰 및 해결책 강구에 직결되는 만큼 관련 논의의 확장이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료화된 조산 체험의 의미 탐구

        전가일 ( Ga Il Je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통해 의료화된 출산 경험과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 현상학적 연구다.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통해 의료화 조산 경험과 그것이 여성에게 가지는 의미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자기체험적 연구이며, 궁극적으로 그 경험 속에 있는 현존재의 존재의미를 묻고자 하는 연구라는 맥락에서 존재론적 탐구이다. 이 연구는 의료화된 조산 경험과 그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방법으로 일화(anecdote)라는 글쓰기 형태에 주목하여 조산 체험의 과정을 7개의 일화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글 자체가 조산 체험의 과정을 오롯이 살려내는 일종의 연행적(performative) 작업이 되도록 노력했다. 연구 결과 조산체험의 과정은 병원 찾기 과정에서의 거부당함(“그래도 오시겠어요?”), 입원 과정에서의 홀로됨(“이제 그만 모두 가주세요.”), 출산 결정 과정에서의 소외(“그냥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출산 순간의 물화(“그런데 배가 왜 이렇게 작아?”), 아기와의 만남에서의 분리(“절대 만지지 마세요”)으로 주제화되었다. 또한 이 과정 속에서 여성이 경험한 의료화 출산의 의미는 ‘권력화된 의료세계에 내던져진 소외’와 ‘배와 자궁으로 환원되는 신체의 물상화’ 마지막으로 ‘고통의 변증법인 책임감’으로 이해하였다.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자 자신의 조산 체험을 일화쓰기라는 독특한 체험 사례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여성의 삶에서 의료화 출산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phenomenological self lived-experienc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xperience of medicalized childbirth based on the researcher`s own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This study is also an ontological inquiry in the context that it ultimately asks the meaning of existence of Dasein in the experience. Considered to be the appropriate way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medicalized childbirth taken through the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birth, anecdote was used as writing form. The process of the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was divided into 7 anecdotes. This attempt is to make this research a performative task that entirely revealed the researcher`s premature childbirth experience. The process of the lived-experience was thematized into ‘rejected while searching for a hospital(“Do you still want to enter?”)’ ‘separated while being hospitalized(“Please leave, everyone”)’ ‘alienated while making birth decision(“Leave it to an expert”)’ ‘objectized at the moment of birth(“Why is the stomach so small anyway?”)’ and ‘separated from the baby(“Never touch the baby”).’ The meanings of the medicalized childbirth a woman experienced were comprehended as ‘alienation, thrown’ ‘versachilchung of body reduced to stomach and womb’ and ‘dialectical responsibility of pain’ Despite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intends to help understand the meaning of medicalized childbirth experience on the lives of women by revealing the researcher`s own lived-experience of premature childbirth in the form of anecdote.

      • KCI등재

        병원의 의료화와 의료의 병원화 - 병원의 개념적 전환을 통해 본 의학의 문제

        여인석 한국의철학회 2019 의철학연구 Vol.27 No.-

        근대의 병원은 중세의 병원과 개념적 차원에서 단절됨으로써 등장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병원과 중세병원의 단절을 병원의 의료화(medicalization of hospital)와 의료의 병원화(hospitalization of medicine)란 개념을 통해 설명한다. 여기서 병원의 의료화란 원래 구빈이 주요 목적이었던 병원이 의료 시술이 주가 되는 기관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말하고, 의료의 병원화란 의료화된 병원이 이번에는 의료 자체를 병원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시간적으로는 병원의 의료화가 먼저 일어나고, 이어서 의료의 병원화가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료화를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모두 이용하는 보편적 시설이 된 병원은 이제 의료의 전 영역을 점차 병원 안으로 끌어들이는 의료의 병원화를 진행시키고 있다. 이는 생로병사의 전 과정이 이제 병원에서, 혹은 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 KCI등재

        푸코와 우리 시대의 건강 담론-의료화 현상과 관련하여

        홍은영 ( Eun Young Hong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연구 Vol.0 No.50

        이 글에서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편적 담론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 시대의 건강 담론에 대한 이해의 과정 및 체험이 보편적인 것인지 아니면 우리 시대에 특수한 담론에 불과할 뿐인지를 푸코의 담론이론을 통해 접근해봄으로써 의료화를 매개로한 우리 시대의 건강담론이 형성하는 이 시대의 현상들을 탐색하며 그 극복 가능성을 푸코의 후기 사상을 통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즉, 지배 담론에 저항할 수 있는 주체의 공간을 열어 비판적 성찰을 통한 새로운 사유와 실천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종래의 의료 비판이 제기하는 문제와 그 목적을 구명하고 푸코의 사상적 틀 내에서 이러한 문제를 다르게 조망하는 것은 큰 생산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종래의 의료화 비판가들이 제기하는 문제 틀의 위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하고 그러한 대안이 갖는 한계지점을 명료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푸코의 후기 사상을 통해 제시된 자기 배려의 기술을 통해 기존의 제도와 틀에 저항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여 자율성의 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진행 중인 의료화 현상을 보다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준다. 물론 이런 방법을 통한 자율성 회복이 그 실천과정에서 어떤 새로운 문제들을 파생시킬지는 앞으로 더 깊이 검토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discourse on health is specifically valid to our time or universally valid to all the times. By applying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and genealogical method to the discourse on health we can analyze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health discourse in our time. We can explore perceptions, understandings, and experiences of health of which the discourses on health in different historical times have been composed. Through examination of many different discourses of health in different times with help of Foucault’s theory of discourse we can find a way of understanding the modes of which meanings of human beings’ health have been socially defined and constructed by societies in different times. In this paper, I interrogate the notion of medicalization and explore the ways that a Foucault’s perspective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s of power in relation to medical knowledge and prctice and the medical encounter. I would argue that insights derived from a technology of the self informed by Foucault’s later work on the practices of the self may go some way to meet thi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