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법(Disaster Law)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 : 사회적 자연재난으로서 포항지진과 앞으로의 과제

        정채연 법과사회이론학회 2020 법과 사회 Vol.0 No.63

        The Pohang earthquake, which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cal/regional community and involves complex and multi-layered issues surrounding the disaster. Several aspects of the Pohang earthquake as a ‘socio-natural disaster’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approach is required to analyze the legal issues of disasters. The field of interdisciplinary disaster studies has grown in social sciences based on the shared awareness of research problems that are hard to be addressed within a discipline alone; howeve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disaster law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major issues of disaster studies, which should be reflected in legal research on disasters to legitimately and efficiently regulate disaster-related matters in contemporary societies. The article firs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isasters and analy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disaster resilience, which has become a key concept in the recent disaster management paradigm. It also discusses the components of disaster resilience, including i) disaster governance; ii) disaster citizenship; iii) disaster vulnerability; iv) disaster trauma. Furthermore, the article suggests the notion of ‘transitional justice’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appropriately understand the recovery and restoration process after a disaster. Moreover, it outlines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as a representative case to address the issues mentioned above.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author reviews the Special Act on the Pohang earthquake and concludes with the insights from the historic nature of disasters and civic identity in a post-disaster local community. 지난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포항지진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재난을 둘러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쟁점들을 함축하고 있다. 사회적 자연재난이라는 포항지진의 독자성, 국가의 책임 및 책무에 대한 포항시민사회의 요청, 그리고 지진으로 인한 포항사회의 재난피해 양상은 재난에 대한 연구가 지역공동체 차원의 총체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개별 학문 영역 내에서의 재난연구가 직면하는 난제에 대한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재난에 대한 학제 간 연구로서 재난학이 성장해 왔고, 그 연구성과가 사회학, 심리학, 인류학, 행정학, 경제학 등을 중심으로 축적되어 왔으나, 재난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재난법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재난으로서 포항지진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된 문제의식으로 삼아, 현대사회의 재난을 규율하는 데 있어서 재난법이 수용하여야 할 성찰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사회에서 재난의 속성을 살펴보고, 재난관리에 있어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재난 복원력의 이론적・실천적 의의를 검토한다. 또한 재난 복원력을 구성하는 요소들로서 i) 협력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재난 거버넌스와 이를 뒷받침하는 ii) 재난 시민성, 그리고 iii) 재난 취약성 및 iv) 재난 트라우마를 제안한다. 나아가 재난의 복원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이행기 정의’가 이론적 틀로서 갖는 의미를 고찰한다. 특히 재난의 사회적 양상에 있어서 포항지진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위에서 논한 일련의 쟁점들을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대표사례로서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성과들을 정리해본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포항지진 특별법을 논평하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 후, 재난 복원력을 제고하는 긍정의 계기로서 재난이 갖는 역사성과 포스트-재난공동체로서 포항시민 및 지역사회의 정체성을 언급하면서 논의를 마친다.

      • KCI등재

        다원주의적 사법을 통한 이행기 정의와 초국가적 인권의 실현 -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와 가챠챠(Gacaca) 법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정채연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고려법학 Vol.0 No.65

        제노사이드와 같은 중대한 인권침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사법 모델이 적합한지에 대한 물음은 해당 사안이 문화, 사회, 정치의 복잡한 맥락 속에 깊이 관련되어 있을 때, 더욱 쉽게 답하기 어려운 문제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1994년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국제적⋅초국가적, 국내적, 지역적 차원의 대응을 살펴보면서, 초국가적 인권과 이행기 정의라는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사법체계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해보도록 한다. 이 때 특히 법학, 역사학, 인류학, 심리학 내지 정신분석학 간의 학제 간 연구가 주목된다. 르완다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다수의 인류학적 비평들은 1994년의 단일한 사건에 논의가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보다 중층적인 역사⋅정치적 맥락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공통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1994년 르완다 제노사이드에 이르기까지의 후투와 투치의 민족 갈등의 역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러한 반목이 식민지시대와 각 민족의 정치엘리트집단들 사이에 벌어진 이데올로기적 갈등의 산물임을 이해할 수 있다. ICTR과 르완다의 국내사법체계는 제노사이드를 불러일으킨 인종적 갈등을 종식시켜 끊임없는 복수와 폭력의 악순환을 끊고 새로운 르완다의 정체성을 형성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 둘 모두는 분쟁해결절차로서 이론적⋅실천적 한계를 가진다. ICTR과 르완다 국내사법체계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총체적 차원에서 제노사이드 문제를 바라보고, 새로운 국가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제를 실질적으로 수행해내기 위해, 르완다 정부는 르완다 전통사회에서부터 분쟁해결의 기능을 담당해 온 가챠차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해 화해를 지향하는 공동체 사법으로의 길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가챠챠 법원의 정당성 및 적법성은 대체적 분쟁해결절차가 가지는 의의, 이행기 정의와 과거청산의 역사성, 진실의 발견을 통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라는 세 가지 지평을 가진다. 르완다 제노사이드와 같은 대규모 인권침해 이후, 이행기 정의는 인종간⋅민족간 폭력의 악순환을 종결짓고, 새로운 국가정체성을 모색하고, 민주적 법치국가로의 이행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정의와 화해 사이의 조화”로 요약될 수 있겠다. 정의와 화해를 화해불가능하거나 양립할 수 없는 대척점에 서있는 가치가 아닌 동시적인 과제로 바라보기 위해, 이행기 정의는 바로 정의와 화해가 지양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이행기 정의와 초국가적 인권이 다원주의적 사법 모델을 통해 – 예컨대 르완다의 경우, ICTR, 르완다 국내사법체계, 가챠챠 법원의 다원적 사법 구성을 통해 – 실현되도록 구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국제형사사법과 국내형사사법, 그리고 지역사회의 공동체 사법은 관할권에 있어 그 효력 상의 우열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법형성의 차원에 있어서는 수평적이고 병렬적인 구조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행기 정의를 실현하는 제도들은 다양한 법질서들의 공존을 다루는 법다원주의에 대한 인식을 요청한다. The question regarding the appropriate mode of justice systems in massive human rights tragedies is difficult when the violation is deeply related in complex context of culture, ethnicity, and politics. In the case of Rwandan genocide, the question becomes more difficult because of historical background of colo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social structure, which influenced Rwandan genocide, wa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colonist powers, it is hard to determine who should bear the responsibility, diluting the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Moreover, individual accountability is hard to be claimed because of the mass-participatory characteristic of the genocide. The goals of transitional justice, redressing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 encompass the following perspectives: i) ending the vicious cycle of ethnic violence; ii) promoting human rights and the Rule of Law; iii) giving official acknowledgement of ‘what actually happened’ and publicly assuring that ‘justice will be done’; and iv) constructing a new national identity. These objectives might be summarized as “a balance of justice and reconciliation.”As one of the measures, the ICTR has succeeded in punishing leading genocidaires. However, it has several deficiencies, such as slow proceedings, diplomatic/political influence, and long distance from Rwandan local communities. Also, the most critical point is its lack of accessibility, cultural relevance, and participation of Rwandan people, who are the immediately interested parties. Without substantial connection with Rwandans, the ICTR becomes merely symbolic institution. Also, the different notions of guilt or legal terms/concepts might be problematic during the testimony process of Rwandan witnesses. Because of these shortcomings, which are detrimental to credibility of the ICTR’s judgments, the reasoning behind the move to the Gacaca courts seems to be valid. As a practical matter, the Rwandese government had to solve the problem of massive amount of prosecutions, considering that speedy trial is one of the important legal rights. However, more fundamentally, the Gacaca courts, as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in South Africa, were devised to creat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past abuses and to promote reconciliation in conflict-torn society for the future. Even if the traditional Gacaca has dealt with minor disputes, it might be suitable for the genocide case, especially when we focus on the value of reconciliation. The philosophy of the Gacaca is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promoting recovery and reconciliation among community members. Facilitating reconciliation processes among ethnic groups is a joint task of community. Therefore,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Gacaca courts’ proceedings might be described not as rights but as duties. Generally, numerous indigenous dispute resolution processes in Africa are rooted in restoration and reconciliation. On the contrary, given the adversarial nature of proceedings, western official courts are generally based on zero-sum game, clearly dividing the winner and the loser.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native court, as an autonomous and informal mechanism, include harmony, equilibrium, and peace. Therefore, the Gacaca judge’s role is more like an ‘advisor,’ a ‘mediator/arbitrator,’ or a ‘healer,’ trying to be a good listener to derive the essence of conflict and to arrive at reconciliation. Therefore, the problem of untrained judge’s incompetence might not be that serious problem as criticized by Amnesty International. The question whether the Gacaca judges are competent is not easy to be answered, when we consider the objective of reconciliation. For this matter, the Gacaca judges, who share the same cultural/historical context with Rwandans, might be more competent than the ICTR judges, who presumably cannot even understand the local language of Rwanda. Also, at local forum of Gacaca,...

      • KCI등재

        블록체인 민주주의와 디지털 거버넌스

        정채연 한국법학원 2023 저스티스 Vol.194 No.2

        lockchain technology, leading the decentralized monetary economy, is considered an underlying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throughout corporate governance and government administrative services.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fundamental premise that blockchain is not just mere technology but also implies the philosophy and spirit of the postmodern era and discourses of democracy and governance. Decentralized governance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has democratic implications, including restoring personal sovereignty and autonomy, substantializing democracy, and effectively controlling state power. This discuss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central themes of Enlightenment political philosophy, such as the social contract theory as a principle of formation of the modern nation-state and the guarantee of individual freedom. Blockchain as the ‘disruptive technology’ that reorganizes the existing system in a subversive way is closely related to the criticism of the emergence of big government, the abuse of state power, the failure of the government, and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which impairing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nation-states. As such, blockchain technology’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also imply postmodernity, trans-sovereignty, and cosmopolitanism in that it is seeking a new transition in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tate. Furthermore, the challenge in the blockchain technology discourse is to build an ecosystem that can be dealt with within the legal and political realm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identity the technology pursues. Blockchain technology enables private individuals to create and operate autonomous decentralized communities, which means that new normative spaces and various legal norms can be spontaneously formed. Here, it is necessary to keep a precise distance from the perspective of pursuing a kind of norm-void community utterly free from the control of state-centered power, such as technological liberalism or technological anarchism that is leading the discourse of blockchain democracy toda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discuss the direction of proceduralism through regulatory pluralism and ‘law as governance.’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에서 지능로봇의 윤리화 과제와 전망 - 근대적 윤리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중심으로 -

        정채연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2 No.1

        지능정보사회에서 지능로봇의 도입 및 수용에 따라 새로이 제기되는 가치판단의 문제들은 로봇윤리담론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로봇윤리는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이 내리는 의사결정이 인간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기본적인 전제로 삼으며, 특히 인간의 생활세계에서 함께 공 존하는 사회적 로봇의 맥락에서 보다 특별한 윤리적 고려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윤리담론의 연구성과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조망하면서 논의의 전반적 인 추이 및 동향, 그리고 유의미한 성찰점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때 특히 기존의 윤리담론이 상정하고 있는 논의의 전제들을 넘어서거나 적어도 우회하는 대안적 접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근대윤리담론에 대한 대안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탈근대적인 방향성을 내포 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능할 수도 있겠다. 이를 위해 먼저 로봇윤리의 범주를 세 가지로 구분하고, 로봇윤리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지능 로봇의 유형 스펙트럼을 개략적으로 제시한 후, 사회적 로봇이 갖는 독자적 속성 및 특수한 쟁점 을 언급하도록 한다(Ⅱ). 또한 사회적 로봇을 주된 상황적 전제로 하여, 기존의 근대적 윤리담론에 대해 대안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는 로봇윤리의 담론 추이를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쟁점화한다: i) 자율적인 행위자로서 지능로봇의 윤리적 책무성; ii)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과 동반자 관계; iii) 인간과 로봇의 정서적 소통과 공감; iv) 로봇을 통한 인간의 역량 강화와 상호진화의 가능성. 이렇듯 로봇윤리담론의 추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먼저 i) 윤리적 행위자로서 지능로봇을 승인하 기 위하여 기존의 법⋅윤리 개념을 확장적으로 재구성⋅재해석하거나, 인공지능 및 지능로봇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들을 창설하려는 시도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ii)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연구 성과에서 잘 나타나듯이 의인화 등 로봇과 관계 맺는 인간의 반응에 주목하면서, ‘정신’에서 ‘신 체’로, 그리고 ‘실재’에서 ‘현상’으로의 관심 전환을 이끌었으며, 이와 더불어 인간-로봇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주종관계에서 동반자관계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나아가 iii)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이 갖는 호혜성에 대한 강조는 윤리적 가치판단에 있어서 ‘이성’보다 ‘감정’ 및 ‘공감’의 정서를 중요시하는 논의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iv) 이러한 소통적 관계는 새로운 기계 종인 로봇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인간 스스로의 자기이해가 변화하고 인간의 전반적인 역량이 강화될 수 있다는 공진화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에서 극대화된다(Ⅲ).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이 인간 자신의 자기이해와 인간적 좋음 및 행복에 기여한다는 윤리 적 논의의 지평은 로봇윤리를 인간윤리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도록 하며, 이때 로봇윤리와 휴머 니티와의 양립가능성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Ⅳ).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everal issues rai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telligent robots have led the growth of robot ethics discourse. Ethical issues in robotics are accompanied when a series of decisions made by intelligent robots significantly affect human society. This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context of social robots interacting and coexisting with human in the real life-world. In this paper, the author takes a view of overall trends of robot ethics discourse and suggests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xisting legal and ethical theory. Here, the paper focuses on alternative approaches that go beyond or at least bypass the major premises of existing ethical discourse. These approache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alternatives to modern ethical theories and therefore inherently having a postmodern directivity. First, the author provides three categories of robot ethics, outlines the types of intelligent robots, and then describes the unique attributes and issues of social robots(II). Furthermore, the paper suggests major alternative approaches to robot ethics discourse as follows: i) ethical accountability of intelligent robots as autonomous agents; ii) human-robot interaction and partnership; iii) emotional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human and robot; and iv) human capabilities and the possibility of co-evolution(III). Finally, as a concluding remark, the author provides future prospects of robot ethics compatible with humanity(IV).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혐오와 차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역사적 현상과 동인(動因) -

        정채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7 No.1

        Tracing the history of the epidemic, we can find historical phenomena in which hatred towards ‘Others’ and discriminatory perceptions simultaneously occurred and spread.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anxiety and fear of infectious diseases are extended to prejudice, stigmatization, or marginalization against vulnerable groups. As ‘history repeats itsel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ndemic and hatred is being found even in the era of COVID-19, and issues of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related to ‘pandemic hatred’ are being raised in many societies. This not only leads to harmful consequences for certain individuals or groups, bu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gal regulation preventing and controlling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the law should not be ignorant of this correlation, and should devise active ways to prevent ‘a pandemic of hate’ that can appear throughout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provide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discussions in history, philosophy, and social psychology on the epistemological motives or drivers of pandemic hatred. This article first attempts to derive and describe the historical scenes in which hate was sparked during the pandemic as follows: i) the Epidemic enchantment and social stigma found in the 14th-century European society during the black death; ii) an ethnocentric perspective on cholera in the 19th-century colonial era; iii) stigma associated with HIV/AIDS and political rhetoric in the 20th-century. Furthermore, the article discusses and analyses the drivers of pandemic hatred on several dimensions as follows: i) the moralization of diseases and moral condemnation of the infected; ii) ‘viruses as Others’ and xenophobia; iii) the politicization of the epidemic and the potential hatred towards socially vulnerable groups, and then applies the discussion to the recent COVID-19 situations. Moreover, the article further explains the correlation between pandemic and hate by accepting the concepts of ‘disaster resilience’ and ‘disaster vulnerability’ to suggest that the pandemic crisis may provide a positive opportunity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post-pandemic society. 전염병의 역사를 거슬러 추적해보면 팬데믹이라는 시대상황적 맥락에서 타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적 인식이 동시적으로 발생ㆍ확산했던 역사적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전염병에 대한 불안 및 공포가 사회적 약자 및 취약 집단에 대한 편견 및 선입견, 사회적 낙인, 소외화, 그리고 차별적 대우로 연장된 현상들을 전염병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과 같이, 팬데믹과 타자화 및 혐오의 상관성은 오늘날 코로나19의 상황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 혐오와 관련된 인권 및 사회적 정의의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특정 개인 및 집단에게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법과 정책에 있어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곧, 법은 팬데믹과 혐오의 문제에 대해 몰이해적이어서는 안 되며,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혐오의 팬데믹’을 방지하기 위한 섬세한 고려를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은 팬데믹 사회에서 촉발되는 혐오의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인식론적 동기 혹은 동인에 대한 역사학, 철학, 사회심리학 등에서의 논의를 총체적으로 수용하여 고찰하는, 기초법에서의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 글은 먼저 팬데믹의 상황에서 혐오가 가시적으로 드러난 역사적 장면들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서술한다: i) 14세기 페스트가 창궐한 유럽 사회의 주술화된 전염병과 사회적 낙인; ii) 19세기 식민지에서 발생한 콜레라와 자민족중심주의; iii) 20세기 에이즈 바이러스와 성소수자의 성적 일탈을 관련지었던 정치적 수사. 다음으로 혐오의 동인으로서 전염병에 대한 논의를 i) 전염병의 도덕화와 감염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 ii) 전염병의 타자화와 이방인혐오증; iii) 전염병의 정치화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잠재적 혐오와 같이 몇 가지 층위로 나누어 분석하고, 최근의 코로나19 상황에 적용 및 대입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재난학의 복원력 및 취약성 개념을 수용하여 감염병예방법에 대한 간략한 논평을 제시한 후, 팬데믹이라는 재난의 상황을 포스트-재난공동체의 사회통합을 위한 긍정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맺는다.

      • KCI등재

        벤하비브(S. Benhabib)의 세계주의에서 이주의 도덕성과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

        정채연 한국법철학회 2019 법철학연구 Vol.22 No.3

        The existence of ‘strangers’ has been a serious topic since ancient philosophy.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refugees, cosmopolitanism, ethics for others, and citizenship in a constitutional democracy are significant issues in legal philosophy.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Seyla Benhabib among scholars who embrace these philosophical themes and issues. A phenomenon of transnational migration is essential in Benhabib’s discussion. In particular, she provid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realize the universal human rights of strangers such as aliens, immigrants, refugees, asylum seekers, through constitutional democracy of the modern nation-states. Benhabib adopts Kant’s cosmopolitanism, Arendt’s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and Habermas’s discourse ethics as philosophical foundations. Also, she accommodates postmodern thoughts such as Derrida’s deconstructionism and cultural studies to achieve her normative cosmopolitan ideal. Then sh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harmonizing the universalistic human rights and democratic sovereignty in political entities. This paper first examines Benhabib’s diagnosis of world society in the context of i) the crisis of territoriality, ii)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and iii) disaggregation of citizenship. Then the paper reviews Kant’s cosmopolitan rights and Arendt’s concept of ‘right to have rights,’ and highlights the ‘paradox of democratic legitimacy.’ Next, in reviewing Benhabib’s argument regarding the possibilities of dialectic relations between universalist human rights and democratic sovereignty, the paper evaluates the process of ‘democratic iterations,’ which is the core notion of Benhabib’s cosmopolitan federalism. ‘이방인’의 존재는 고대 철학에서부터 진지하게 다루어져 온 주제이다. 세계사회의 이방인이라고 할 수 있는 난민, 망명자 등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세계주의, 타자에 대한 윤리, 그리고 민주적 헌정질서에서 시민권 자격 등은 중요한 법철학적 쟁점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법철학적 주제와 쟁점들을 아우르는 학자들 중에서 세일라 벤하비브에 주목하고자 한다. 인간의 이주 문제는 벤하비브의 철학적 기반을 잘 드러내 보여주는 중요한 쟁점이라고 할 수 있다. 벤하비브는 외국인, 이주민, 난민, 망명자와 같은 이방인의 보편적 인권을 국민국가의 민주적 헌정 질서를 통해 구현해 내기 위한 이론적 바탕과 실천적 구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그녀는 칸트의 세계주의, 아렌트의 인권 이해, 하버마스의 대화윤리를 철학적 원천으로 삼아, 이들 사상가들의 이론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발전적으로 계승하기 위해 데리다의 해체주의 및 문화이론 등과 같은 포스트모던적 사유와 결합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난민을 비롯한 이방인의 보편주의적이고 세계주의적인 인권의 보장과 공화주의적 연방국가로 조직된 정치공동체의 민주적 승인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세계사회에 대한 벤하비브의 진단을 영토성의 위기, 국제인권레짐의 형성, 시민권의 분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벤하비브의 세계주의 구상에 있어서 사상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칸트의 세계주의적 권리와 아렌트의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 그리고 이들의 논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주적 정당성의 역설을 검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세계주의적 지향점에서 보편주의적 인권과 민주적 주권의 변증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벤하비브의 세계연방주의적 시민권 논의에 있어서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민주적 반추’에 대한 이론적 평가를 시도해보도록 한다.

      • KCI등재

        데리다의 환대의 윤리에 대한 법철학적 성찰

        정채연,최샘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1

        The complexity, multilayeredness, and plurality of contemporary society call for a review of modernity and new reflection on modern law and philosophy. In particular, the law faces fundamental limitations i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he strangers, the heterogeneity and hybridity, which are present in the legal system today. Attempts to seek peaceful and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same and the difference reveal the essential limits inherent in modern law and modern tolerance. Derrida’s hospitality ethics offers new opportunities of reflection for the law to embrace various values of justice. Hospitality is a norm that aims for a just and harmonious society, a core value for law, and an essential ideological foundation for legal justice and legitimacy.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reflections in contemporary legal philosophy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postmodern thinking in law through hospitality ethics. To this end, the limitations of modern tolerance and Kant’s hospitality concept a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hospitality proposed by Derrida are analyzed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II). Furthermore, we discuss ‘justice to come’ and ‘law of hospitality’ in relation to the aporia of hospitality, and examine the spiraling creation of the law as a practice of hospitality(III). Afterward, this paper defines the leg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ospitality ethics in that it reconstru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nd approves ‘universality with variability’ in the law(IV). Finally,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law must respect singularity and diversity to achieve justice in the age of heterogeneity and hybridity. For this purpose, we would like to conclude by summarizing the meaning and the limitation of Derrida’s hospitality ethics as the basis of a new legal philosophical reflection(Ⅴ). 현대사회의 복잡성, 중층성, 그리고 다원성은 모더니티 기획에 대한 재검토와 근대법과 철학에 대한 새로운 성찰의 필요성을 요청한다. 특히 오늘날 현전(現前)으로 다가와 있는 이방인의 문제, 곧 이질성 및 혼종성을 법체계에서 수용하기 위한 도전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법은 근본적인 한계에 직면해 있다. 주체와 타자, 그리고 동일자와 차이 사이에 평화롭고 조화로운 공존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도는 근대법과 근대적 관용에 내재한 본질적인 한계를 들추어낸다. 이때 데리다의 환대 윤리는 법이 다양한 정의의 가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준다. 환대는 정의롭고 조화로운 사회를 지향하는 규범으로서 법이 추구해야 할 핵심 가치이자, 법적 정의와 정당성을 위한 중요한 사상적 기초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법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갖는 이론적·실천적 의의를 데리다의 환대 윤리를 통해 고찰하면서 현대 법철학에서의 성찰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적 관용과 칸트적 환대 개념의 한계를 검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개념으로서 데리다가 제시하고 있는 환대의 개념과 구조를 분석한다(Ⅱ). 또한 무조건적 환대와 조건적 환대라는 아포리아와의 연관성 속에서 ‘도래할 정의’와 ‘환대의 법’을 논하고, 환대의 실천으로서 법의 나선형적 생성에 대해 살펴본다(Ⅲ). 나아가 환대의 윤리가 법에서 주체와 타자의 관계를 재구성하며, ‘변화 가능한 보편성’을 통해 역동적으로 살아있는 법이 되도록 한다는 점에 집중하여 그 법철학적 함의를 정리해본다(Ⅳ). 마지막으로 이질성과 혼종성의 시대에서 법이 정의를 실현하는 규범이 되기 위해서는 고유성과 다양성을 존중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철학적 성찰의 기초로서 데리다의 환대의 윤리가 갖는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면서 논의를 맺고자 한다(Ⅴ).

      • KCI등재

        의료화의 역사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 : 새로운 의료법 패러다임의 구상

        정채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현대사회에서 의료 개념의 외연은 ‘질병이 없는 상태’와 같이 소극적인 의미를 넘어서, 아름다움, 행복, 웰빙, 삶의 질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의료는 의료서비스의 상품화와 비인간화, 환자의 소외 등과 같은 ‘현대 의학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 건강, 질병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의료사회학과 같은 학제 간 연구가 증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법학에서 아직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개념인 ‘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의료법과 보건의료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상해보고자 한다. 의료화는 이전에 의료의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문제들이 질병 내지 장애로 인식되고, 정의되고, 다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의료 영역 밖의 일상적 삶의 차원에 놓여있었던 행위와 상태가 의료적인 문제로 설명되는 현상 및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화의 역사적 전개를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의료화는 i)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의료화; ii) 현대사회에서 권력(보건의료행정)과 자본(의료산업)에 의해 추진되는 의료화; iii) 의료화에서 생명의료화로의 역사적 이행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의료화의 역사적 지평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료법패러다임의 방향성은 의료화와 탈의료화의 변증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증의 가능성을 의료인류학과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은 표준화된 의료행위의 한계를 교정하고 의료문화의 가치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시사점, 특히 현행 무면허의료행위 규제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의학과 전통 한의학, 그리고 제도권 의료에 담겨지지 않은 비공식적인 보완대체의료의 다원주의적 협업에 대한 법정책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history of medicalization, the concep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sociology, but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jurisprudence yet. This essay discusses three phases of historical evolution of medicalization. First, medicaliz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overall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the entangled process between modernization and medicalization, modern medicine, medical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rofession have increased their power as active agency of social control. Furthermore, in post-industrial society, medicalization process is propelled by Power(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Money(medical industries). Lastly, our contemporary society moves forward into the third historical phase of medicaliza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shift from medicalization to biomedicalization. There are numerous criticisms on medicalization process.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medicalization and demedicalization, I suggest a medical-legal plur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ed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pluralism. This perspective may provide us a new reflection on the current regulation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culturality of medicine, therapeutic dialogu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on-physicia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providers. The cultural aspects of medicine reques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medical humanities. This integrated understanding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discipline is integral especially in the area of medical law and health care policy.

      • KCI등재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채연,안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2 No.2

        The public interest litigation(PIL) in India has its own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countries‘ PIL systems. Since the PIL in India was introduced in the 1970s, this innovative system has developed in three phase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Indian society. The PIL in India has positively reflecte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Indian society, and it has clearly shown the judicial policy protecting certain interests of marginalized groups in India. In other words, India’s PIL system sets forth the purpose of ensuring the ‘access of justice’ for all social classes. Especially, the Indian PIL has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in the Indian Constitution. This constitutional basis could be found in the Fundamental Rights(FRs), the Directive Principles of State Policy(DPs), and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phases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constitutional theories and cases, and the specific judicial procedures of the PIL in India, and to derive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relaxation of locus standi, procedural flexibility, inquisitorial approach, the fact-finding commissions in evidence procedures, and judicial remedies extended to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justice. Furthermore, the paper examines the criticisms and limitations of the Indian PIL, including concern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judicial capacity, the disguised public interests, overuse of lawsuits, and judicial populism. In conclusion, the paper provides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Indian PIL to prospect the future of the Korean public interest litigation. 인도의 공익소송은 다른 국가의 공익소송제도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속성을 갖고있으며, 이로 인해 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인도사회의 특수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혁신적인 공익소송제도는 1970년대에 도입된 이래로, 인도사회의 시대역사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단계적으로 발전해 왔다. 인도의 공익소송은 제도의 도입 시점에서부터 여타 공익소송제도와 구별되는 정책적 방향성을 분명히 갖고 있었다. 즉, 인도의 공익소송제도는 모든 사회계층의 사법접근권 보장이라는 목적성을 분명히 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공익소송의 사상적 기초라고 할 수 있다. 인도의 공익소송제도는 특히 헌법에 그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갖고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헌법적 기초는 헌법 제3장의 기본권, 헌법 제4장의 지도원칙, 그리고 사법부의 독립성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도 공익소송제도의 역사적 발전단계, 헌법이론적 기초, 그리고 구체적인 공익소송 제도 및 절차를 분석하여, 인도 공익소송의 독자적인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때 원고적격 요건의 완화, 절차적 융통성, 규문주의적 접근방식, 증거절차에서 위원회의 역할, 입법적 사법과 행정적 사법으로 설명되는 사법적 구제방식의 다양화에 대한 논의가 중심을 이룰 것이다. 다음으로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더불어, 주되게 논의되고 있는 비판점 및 한계를 면밀히 다루도록 한다. 특히 인도 사법부의 광범위한 권한 행사로 인해 제기된 권력분립원칙 훼손의 문제와 공익실현의 실효성, 공익을 가장한 사익 목적의 소송제기로 초래되는 소송남용, 그리고 사법적 포퓰리즘 등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나아가 인도의 공익소송제도에 대한 개관 및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공익소송제도에서의 성찰점을 정리함으로써 결론에 갈음하고자 한다.

      • KCI등재

        데리다의 세계주의 구상과 무조건적 환대의 생성적 가능성

        정채연 한국법철학회 2015 법철학연구 Vol.18 No.2

        The phenomenon of globalization requests a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the Enlightenment and modernity from a new perspective. This paper studies Derrida’s understanding, diagnosis, and explanation of cosmopolitanism. Cosmopolitanism is the topic which shows a key characteristic of the thought of Derrida as the legacy of the Enlightenment. First, as a theoretical found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fundamental concepts in Derrida’s thought, including ‘deconstruction’, ‘boundary’, and ‘aporia’. Furthermore, this paper analyses the concepts of ‘unconditional forgiveness’ and ‘unconditional hospitality’ to show the positive possibilities of Derrida’s aporetic thinking in his cosmopolitan ideal. Especially, the concept of hospitali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st and the guest, and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stranger. For Derrida, aporetic thinking is a precondition for continuous deconstruction. Therefore, the threshold of tolerance here is the condition itself where the positive possibilities of aporia stand continually open between ‘law and justice’, ‘conditional forgiveness and unconditional forgiveness’, and ‘conditional hospitality and unconditional hospitality’. Derrida’s aporetic thinking helps us understand that his deconstructivism is positive and future-oriented rather than skeptical or nihilistic. Moreover, as practical aspects of Derrida’s cosmopolitanism, this paper considers his deconstructive critique of terrorism and 9/11 terror, and the promise of ‘Europe-to-come’ as the other heading which cosmopolitanism should aim for. From Derrida’s understanding of cosmopolitanism, we can discuss the potential for the nexus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in the global dimension. 세계화 현상은 철학으로 하여금 모더니티와 계몽의 유산에 대한 근본적인 사유를 다시금 요청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데리다의 세계주의에 대한 진단 및 해설과 해체주의가 제시하고 있는 대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세계주의는 계몽의 유산으로서 데리다의 사유가 갖는 특징을 잘 보여 주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데리다의 세계주의 구상에 있어 이론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해체, 경계, 그리고 아포리아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세계주의적 지향점에서 데리다의 아포리아 개념이 갖는 생성적 가능성을 보여 주기 위해, 무조건적 용서, 무조건적 환대 개념을 고찰한다. 특히 관용 개념의 한계를 넘어서는 환대 개념을 통해 주인과 손님의 관계와 이방인의 고유한 속성을 제시하도록 한다. 데리다에게 있어서 아포리아적 사유는 해체가 지속적으로 가능하기 위한 당위적인 전제조건으로서 이해된다. 그에게 있어서 관용의 한계는 법과 정의,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 조건적 환대와 무조건적 환대 사이에서 펼쳐지는 아포리아적 사유를 통해 아포리아의 생성적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열려져 있는 상태 그 자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데리다의 아포리아적 사유는 그의 해체주의를 회의주의적이거나 허무적이라기보다는 긍정적이고 생성적인 가능성을 강조하는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데리다의 세계주의 구상의 구체적인 논의의 지평으로서 테러리즘과 9/11에 대한 그의 해체적 비평, 그리고 세계주의가 나아가야 할 ‘또 다른’ 지향점으로서 데리다가 제시하는 도래할 유럽의 약속을 고찰하도록 한다. 데리다의 세계주의 구상에 대한 논의를 통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상이한 이론적 전통이 세계적 지평의 실천적 논의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변증하는 세계주의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반성적 모더니즘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