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동기이론에 기반한 음악 수업 연구

        승윤희(Seu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이상적인 학교 음악 수업은 문서화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준수하는 가운 데, 모든 학생들이 즐겁게 열심히 학습하고, 음악을 아름답게 느끼고 생각하며, 다양 한 음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일 것이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러한 음악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중요한 영향 을 미치는 것은 학습자의 동기이다. 학습동기는 학습 과정을 성공적으로 지속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에, 음악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내용을 제공하는 동기 관련 연구는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는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기와 동기이론의 다양한 심리학적 관점을 살펴보고, 학습 과정에 중요하고도 깊이 관여되는 목표, 욕구, 자기효능감, 귀인, 학습된 무기력 등 의 동기 관련 요소들과 정서적 요소들이 실제로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음악 학습 상황에서 기술하였다.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음악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학습동기와 정서적 요소들의 특성들을 고려한 음악 수업의 원리와 초· 중등 음악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제시되었다. 음악 교수·학습 전략은 수업 시작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 수업 전개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유지를 위한 전략, 수업 정리 단계에서의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전략들로 구성되어 각 단계에서 구체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었다. The ideal school music class would be a class that abides by the context of documented music curriculum and that all of the students learn enjoyably, feel and think of music beautiful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music activities. However, fulfilling this type of music class in school reality is not an easy task. A learner’s motivation is what greatly influences the whole learning process. Learning mo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llows the learning process to sustain success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a study regarding motivation that provides useful contents to understand the learners in the music proc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are to look over the motivation and motivation theory in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o investigate how motivation-related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objective, needs, self-efficacy, attribu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which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deeply involved in the learning process, affect the learners in the issue of music learning. Principles of music class based on learning motivation and emotional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classes were suggested as music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theory. The strategies for music teaching/learning, which are categorized as strategies for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in the beginning, learning motivation maintenance in the development, and learning motivation improvement in the closing, are provided.

      • KCI등재

        스펙트럼이론(Spectrum Theory)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의 내용 개발

        승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심리학 기반을 가지며 교육에 적용되어온 다양한 교수?학습이론들은 그동안 어떠한 현상에 대 조되는 이론이거나 반대 개념의 아이디어로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 법들이 연구, 발전되어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다가 또 다른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에 의해 사라지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M. Mosston은 새로운 교수?학습 관점과 기존의 교수?학습 관점을 하나의 비대비 시스템(non-versus system) 안으로 수용하여 이들을 병합하고 연결시키는 통일된 틀로써 스펙트럼이론을 제시하였다. 스펙트럼이론은 어떠한 교육적 아이디어도 배제하지 않고 모 든 교육적 아이디어를 수용?존중하며 완전한 교사 중심의 교수 스타일에서부터 완전한 학습자 중 심의 교수 스타일에 이르기까지 11가지 교수 스타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대비 접근방식의 스펙트럼 아이디어를 음악교육에 적용하여 음악교과 성격에 맞는 10가지 교수 스타일 의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 내용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교수 스타일은 교수 행위의 3가지 필수 요소인 교사, 학습자, 교과내용이 어떠한 관계로 조직되는지를 나타내며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음악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기술한다. 교수 스타일에 대한 논리적이고 연속적인 지식체계를 추 구하는 스펙트럼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은 교사 개인의 선호나 신념에 따 라 집중되는 몇몇의 교수 스타일을 지양하고 음악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 한다. Muska Mosston(1925-1994), who was a physical educator, introduced the Spectrum of teaching styles in 1966. His theory about teaching, which identifies a unifying framework that delineates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yles, has been referenced many times in physical education teaching-method textbooks since its introduction. Mosston recognized that ideas or principles in pedagogy are generally presented in opposition to the status quo, such as individualization vs. socialization, cognitive vs. affective movement, direct vs. indirect instruction, and the humanists vs. behaviorists. Based on this type of approach, which we call a 'versus' approach, educators are asked to abandon existing theories as new theories are introduced. Mosston's identific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versus approach led him to study a unifying framework, one that would include and link all ideas into a system. Such a non-versus system honors the full range of educational ideas, thus rejecting none. The Spectrum based on a non-versus approach provides a universal theory about teaching. This idea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because it offers a logical and comprehensive body of knowledge about teachi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pectrum of teaching styles to music education as a new paradigm for a non-versus approach, to propose content of a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for improvement of music teaching/learning, and to develop the proposition specifically as a music teaching/learning model in a unifying framework. In this paper, the 11 teaching styles that Mosston suggested in the Spectrum have been modified to 10 teaching styles for a music teaching/learning spectrum. Each teaching style is develop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any teaching behavior(teacher, learner and content) with a diagram showing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decision mak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arning.

      • KCI등재

        백워드 설계 기반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 방안 연구

        양소영(Yang Soh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근간이 되고 있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또 다른 이름인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백워드 설계 3단계 중 1단계는 <기대하는 학습 결과>, 2단계 <평가 계획>, 3단계 <교수·학습 계획>으로 구성되고, 전체 과정에 학생들의 ‘이해’를 초점으로 둔다. 비슷한 시기에 대두된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은 오디에이션이라는 음악적 사고력 신장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교실활동, 패턴학습, 교실활동 순서로 전체, 부분, 전체 형태로 계획 된다. 백워드 설계와 맞춤형 수업, 고든의 음악학습이론과 패턴 학습은 이론과 그에 따른 방법을 연계한 수업 설계 과정으로, ‘이해’를 강조한다는 점과 개별 맞춤식 수업을 시도한다는 점, 그리고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 교수·학습 계획이 하나로 연결된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백워드 설계에 따른 맞춤형 수업의 일환으로 고든의 기능학습연계를 적용한 교수 학습 활동 계획의 수립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 과정을 학교 현장에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된다.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is emphasiz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higher than knowledge such as core competency, subject competency, generalized knowledge, function, etc.). Under understanding by design, ‘understanding’ refers to the configuration of generalization or principles after figuring out new knowledge in connection with conventional ones. It is deemed that learners are finally understood when a problem can be solved by applying such generalization or principle to other contexts and situations. Gordon insisted the importance of ‘skill learning sequence’ to enhance audiation capability, seeing music curriculum as a step of understanding. Audition is a term which refers to ‘ability to understand music’. It attempts to improve musical comprehension through skin learning sequence. In designing all units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which is needed to implement students’ knowledge actively, it would be a new attempt to apply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o practices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diverse lesson plans based on backward design with a goal of cultivating competency through ‘understanding’.

      • KCI등재

        유아 음악개념지도를 위한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의 시사점과 적용방안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활용을 중심으로-

        방은영(Bang Eun 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음악개념지도를 위한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의 시사점과 적용방안을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활용을 중심으로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과 관련한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사례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이 유아 음악개념지도에 시사하는 바는 첫째, 유아를 위한 음악수업은 유아 음악개념 습득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유아 음악능력의 계발을 도모하는 것이 되어야 하며 둘째, 유아발달을 고려한 음악경험의 내용과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고 셋째, 안내자와 시범자, 그리고 촉진자로서의 교사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보드만 ‘생성적 음악학습이론’이 제시하는 학습내용(content), 제재(context), 음악적 활동(musical behavior), 지식제시의 양식(mode of knowledge Presentation), 인지적 과정(cognitive process), 수업태도(attitudinal climate)의 적용방안으로서 생상스‘동물의 사육제’를 활용한 유아 음악개념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Boardman s generative music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music concept education and how to apply it to that education using Saint-Saëns Le Carnaval des animaux. Literatures and earlier studies on Boardman s generative music approach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of his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music concept education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music instructions should be provided for preschoolers by focusing on their acquisition of music concepts. Ultimately, music instructions should aim at developing their musical competence. Second, what kind of music experience should be gained and how to make it happen should b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development. Third, teacher roles as a guide, demonstrator and facilitator are of importance. Based on the findings, how to teach young children music concepts using Le Carnaval des animaux by Saint-Saëns was suggested as a way to apply his approach in terms of content, context, musical behavior, mode of knowledge presentation, cognitive process and attitudinal climate that were presented in it.

      • KCI등재후보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즉흥연주지도

        최미영 ( Mi Young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사고과정 속에서 조직화된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 고든은 음악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정신과정을 오디에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오디에이션이란 물리적으로 소리를 듣지 않고도 마음으로 음악을 재현해내는 능력이다. 오디에 이션을 통해 음악의 구조를 내재화하고 조직하는 능력은 성공적인 즉흥연주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의 오디에이션 이론에 기초한 단계적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을 제안함으로써 초등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즉흥연주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그들의 음악적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예시 학습 지도안은 음악교사에게 평소 가르치는 관행 속에서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지식과 방법 뿐만 아니라 음악교사들이 이미 잘 하고 있는 것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설령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음악수업에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하더라고 이를 적용한 음악수업에서 가르치는 기술과 내용을 지도함으로써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 계발 및 이에 기초한 즉흥연주능력의 계발을 도울 수 있다. 제시한 즉흥연주활동과 예시 학습 지도안의 실제 적용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듣기 경험을 통해 오디에이션 하여 노래 불러본 후, 즉흥연주를 한다. 둘째, 정확한 모델링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의 듣는 귀와 역량이 중요하다. 셋째, 모델링, 오디에이트, 반 전체 즉흥연주, 개별 즉흥연주의 순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오디에이션의 충분한 계발을 위해 음악 기호에 대한 학습은 다소 지연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오디에이션에 기초한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연구와 개발이 광범위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즉흥연주 학습 지도안의 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uccessful improvisation is dependent o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among musical elements and the assimilation of the syntactic feature of the music. In order to be able to manipulate the structures of music into an organized, spontaneous, meaningful performance, students should create organized musical meaning in their thought process. Gordon coined the term “audiation” to describe the process of making musical meaning. Audiation is the ability to hear and to comprehend music for which the sound is not physically present, is no longer physically present, or may never have been physically present. Audiation is the ability to think musically. Although music is not a language, the process is the same for audiating and giving meaning to music as for thinking and giving meaning to language. The highly skilled audiators can recognize familiar music, identify unfamiliar parts on the basis of their relationship to familiar parts, and give meaning to the whole. They can also retain the understanding of musical sound over and over and draws on their understanding to improvise music. The more accurately students are able to audiate musical patterns, the better they can improvise music and eventually establish music understanding. For successful improvisation, it is vital to develop a larger vocabulary of musical patterns, and organize and restructure the patter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ies and enhance their musical understanding using Gordon`s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in elementary music class. The sample lesson plans provide music teachers with knowledge and tools to develop students` audiation with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actice.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gives a powerful way to enhance the many things music teachers already do well. Although they do not directly apply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to their music class, they would be able to help the enhancement of students` audiation and improvisation ability by teaching the skills and contents students learn in music class applied to music learning theory. Some guidelines that help teachers apply the suggest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lesson plans to their music class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ise meaningfully, students should spend enough time listening to a song and sing it while audiating, then improvise. Second, teachers have musical ear and competency so that they can provide accurate modeling and feedback. Third, it is desirable that the steps to improvisation should be modeling, audiating, whole class improvising, and individual improvising. Last, the introduction of music notation is somewhat delayed until stu- dents` executive audiation vocabulary of rhythm patterns and tonal patterns are develope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ation-based improvisation activities and sample elementary music lesson plans would be carried out in the further study.

      • KCI등재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노주희,Rho, Joohe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4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 No.1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ccording to Edwin Gordon(1987, 1997, 2003), music aptitude is a product of interaction of innate potential and early environmental experiences. He referred to music aptitude of children up to nine years of age as developmental music aptitude which fluctuates due to musical environment. Music aptitude stabilizes at age nine, and the music aptitude after age nine is called "stabilized music aptitude". This research is to examine Gorden's hypothesis that the younger a child receives music education, the higher music aptitude. Also, this research is to experiment the effect of Audiation activities developed in Audie Music Curriculum on music aptitude. The researcher and another Audie teacher as a co-teacher guided children together for 30 minutes once a week. The pedagogy guidelines for informal guidance in music learning theory were kept throughout the classes. Also, Audie's teaching method which had been developed for Korean Kindergarten educational environment was also applied. Five-year-old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1 experienced the Audie Music Curriculum of one year; five-year-old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2 experienced it for two years.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during their last year of Kindergarten.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s, one examined at the beginning and the other at the end of their last year in Kindergarten, received no Audie instru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nal aptitud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hythmic aptitude(p< .05) among the experiemental groups. Because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 .001) in the music aptitude increase during their academic year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year-end music aptitud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the expected result.

      • KCI등재

        음악수업에서의 협동학습의 의미와 적용: 중학교를 중심으로

        정재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theories on cooperative learning proved as the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in music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various teacing and learning methods in music education was emphasized to provide the effective instuction in classroom. In the initial phase of the study, theories on cooperative learning were examined. Theories included the meaing, the princip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hen, based on the theories examined, various cooperative leaning model, for example,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 STAD, Teams-Games-Tournament: TGT, 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TAI,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CIRC, Jigsaw, Group Investigation: GI, Learning Together: LT, Co-op Co-op were examined in four ways. The analysis of the music text book in the secondary school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was added. In addition to, Four cooperative leaning model - Teams-Games-Tournament: TGT,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CIRC, Learning Together: LT, Co-op Co-op - were selected to suggest the lesson plan in the music classroom in secondary school. Finally, conclusion and the suggestion to the future research was mentioned.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점 내용 중 하나인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을 적용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음악 교수 방법 중 한가지로 입증되고 있는 협동학습의 원리와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모형을 음악수업에의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협동학습 이론이 중등 보다는 초등음악수업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이 아닌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중심으로 협동학습의 적용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학습모형 중 팀 경쟁학습(Teams-Games-Tournament: TGT), 읽기와 쓰기 통합학습(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and Composition: CIRC), 함께 학습하기(Learning Together: LT),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을 선택하여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에 근거를 두고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고든의 음악학습이론과 연계된 음악 교과서 교사용지도서 연구-Jump Right In : the Music Curriculum, Teacher's Edition을 중심으로-

        홍승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guide of Jump Right In: the Music Curriculum, Book 1, which has a composition not covered in the existing elementary music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between music learning and language learning, which are the prerequisites of music learning theory, Jump Right In was consistently composed of a teaching-learning plan to expand the musical listening vocabulary required for music learning. Musical listening vocabulary was structured to learn according to Gordon's technical learning hierarchy, and classroom classes are conducted in a three-stage method of ‘whole/part/whole’.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was compositional learning hierarchy and rhythm learning hierarchy. In addition to the composition in major and minor, various tonalities such as Dorian, Phrygian, Lydian, Mixolydian, Aeolian, pentatonic scale, and multi tonal were used. Among the 17 types of activity in the selected songs, movement (37.7%) and singing (24.5%) activity were the dominant, followed by musical instruments, dancing, and preparing sheet music (10.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을 적용한 음악교과서의 교사용지도서, Jump Right in the Music Curriculum, Book 1, Teacher's edition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초등 음악교과서 집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첫째, Jump Right In은 매우 독특하면서 일관된 구성방식으로 모든 교수학습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전체/부분/전체’ 3단계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부분’에서 조성 및 리듬 학습위계활동을 통해 구별학습(듣기/모방하기, 언어연합, 부분통합)과 추론학습(일반화, 창작/즉흥연주하기)을 단계별로 적용하고 있다. 셋째, 제재곡에 사용된 조성은 장조(58.4%) 외에도 화성단음계(9.3%), 도리안(6%), 다중조성( 5.6%)과 에올리안(5.6%), 믹솔리디안(3.8%) 등 다양했고, 박자도 혼합박자, 겹박자, 다중박자 등 다양하게 분포했다. 넷쨰, 제재곡을 위한 활동은 17가지 중 움직임(37.7%)과 노래부르기(24.9%)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음악적성 성장기 학령인 초등학교 1, 2학년 음악 교과 수업 재개의 필요성, 둘째, 장조 중심의 제재곡에서 다양한 조성과 박자의 제재곡 개발과 제시의 필요성, 셋째, 음악적성 신장에 필수적 요소인 ‘조성’과 ‘리듬’을 중심으로 매 수업시간에 교수학습 할 수 있는 일관된 구성방식의 필요성 등이다.

      • KCI등재후보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한 음악교수/학습방법 연구

        승윤희 한국음악교육학회 2005 음악교육연구 Vol.29 No.-

        인지심리학에서 제시한 정보처리이론은 기억, 사고, 문제해결 등과 같은 정신적 사건들의 과정을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정보가 입력되어 산출되기까지의 정보처리과정을 이해하면 음악학습에서 음악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발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정보처리이론에 따른 음악교수․학습의 원리와 모형, 음악교수․학습방법의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정보처리이론에 기초한 음악교수․학습방법은 음악교수․학습의 과정을 개선하고 음악정보를 보다 많이 기억, 인출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내용들을 제공하여 줄 것이다.

      • KCI등재

        음악 교과 수업을 위한 거꾸로 교실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정재은,류미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e paradigm of 21st century education focuses on cultivating talented person for future. In each subject including music,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performed and studied to develop thinking skil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which are core competencies of future talented person. The flipped classroom, inverting the general aspect of classroom teaching, can suggest an effective way to teach in music classroom.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it basically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for learning activities. For the next, individual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re all applied in music class. The third, a range of the level of learners is wide. It is possible to take an advanced learning, if the flipped classroom are adapting to music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and meaning of flipped classroom,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music curriculum, and suggested a level of music lessons adapting a flipped learning to music classroom. Through this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music class adapting flipped learning are drawn as follows; a learner-centered music lesson, a circulating process for music activities, a extension and change of learning environment. 21세기 교육의 패러다임은 미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각 교과에서는 미래 인재의 핵심능력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창의력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교수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일반적인 수업 양상을 뒤집는 거꾸로 교실은 음악교과의 수업에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음악 교과의 수업은 기본적으로 활동을 위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이 모두 가능하며, 학습자의 수준 차이의 범위가 넓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과에 거꾸로 교실 이론의 적용이 보다 효율적인 교과 심화학습이 가능하리라 전제하고 음악교과에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거꾸로 교실 이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음악교과의 전통적 특성에 대해 제시하고, 거꾸로 교실 이론을 적용 한 음악교실 안과 밖의 수업단계 제시를 통해 거꾸로 교실의 음악교과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거꾸로 교실을 음악 교과에 적용 했을 경우 학습자 중심의 음악수업, 순환하는 음악활동 과정, 학습 환경의 확장과 변화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