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고문을 통해 본 동요 교육자 정순철

        류미해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6 No.1

        정순철은 1920년대 방정환, 윤극영, 박태준, 홍난파 등과 함께 우리나라 근대기 동요 황금기를 열었던 동요작곡가이다. 최근 그에 대한 새로운 작품과 자료 발굴들이 진행되면서 그의 위상을 새로이 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순철의 새로 발굴된 기고글들을 소개하고 그의 기고글들을 통해 근대 동요작곡가로서 뿐 아닌 동요 이론 전문가이자 음악교육 실습가로서의 그의 면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새로 발굴된 기고글의 소개와 함께 동요 전문가로서의 정순철 위상 정립을 새로이 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후 그의 작품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길 바란다. Jung Soon-cheol is a Dong-Yo(Children’s Song) composer who, along with Bang Jung-hwan, Yoon Kuk-young, Park Tae-joon, and Hong Nan-pa in the 1920s, opened the golden age of Korean songs for Children(Dong-Yo, 동요) in the modern era. In recent years, new works and materials have been unearthed about him, an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new his status. This study introduces the newly found contributions of Jung Soon-cheol and examines his contributions not only as a modern Dong-Yo composer but also as a theory expert and music education practitioner on Dong-Yo. I hope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newly unearthed articles will help to re-establish his position as an expert as a composer for children songs, and that subsequent research on his works will continue.

      • KCI등재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음악과 수업 시연을 중심으로

        류미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is based on a study 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imed at understanding on how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and utilize the curriculum through the course of a class demonstra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music course has chosen. as for the process, the actual course preparation and class demonstration of teaching was planned and guided for performance. An object of study is on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usage pattern of curriculum in the class-teaching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 Education reacts to the various variables demanded by society and absorbs new trends. Through that, education is looking for technical and directional changes. Considering that, teacher’s use of curriculum in the class teaching, still has the same persistency for the last 30 years. So-called ‘catching-up the text’ is one big form and another is a form of ‘giving lectures’, and these forms are hereditary and carried on generation in class teach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usage pattern of curriculum and teaching approach for the class is not showing a big change. ‘Catching-up the text’ and passive attitude to the curriculum is still handed down for generation. The class is a key aspect in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know the aspect of a current classroom in education, the role and approach of teachers in the curriculum will be observed. Through this process, it will be expected to be able to propose a direction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C-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써 수업 시연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제과목으로 음악교과를 선정하였으며 실제 수업 준비 및 수업 시연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이 되는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실 수업에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는 진행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다양한 변인들에 반응하며 새로운 트렌드 등을 흡수하며 기술적, 방향적 변화를 모색해 나가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 드러난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사용 양상은 여전히 지난 30년 동안 해오던 수업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위 ‘진도 나가기’식 수업방식과 교과서 지시 위주의 강의식 수업 방식이 세습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육에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수업의 모습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역할 및 접근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 시사점 및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 교사의 음악 수업 전문성 연구

        류미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can be best shown during teaching, and commonly the more class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have, the better teachers can be in teaching.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s an expertise and efficiency of class, including all complications and varieties related to class. In this study, 20 pre-service teachers of C-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and provided their class teaching related materiel from their practicum, specifically on music. Collected materiel, along with answers of questionnaires, has been categorized according by measurement tool.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pre-service teacher’s voice and need, and ultimately to help to improve their class teaching professionalism.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수업에서 드러나며 수업 경험의 축적은 교사의 전문성을 만드는 초석이 된다. 교사의 수업 전문성은 교실 수업의 복잡성과 다양한 요소들을 포괄하여 특정 교사가 이뤄낼 수 있는 숙련된 수업의 효율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교육대학교의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음악 교과 수업 실습 사례를 연구하고자 현장 수업 실습을 통한 20명의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음악 수업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은 설문과 함께 예비 초등 교사의 수업전문성 측정도구에 준하여 분류하여 범주화 한 후 핵심 내용을 추출할 수 있도록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예비 초등 교사들의 현장 음악 수업에 대한 수요와 필요를 파악 하고, 궁극적으로 이들의 음악 교과에 대한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초등 예비 교사의 음악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 수업 시연 사례를 중심으로

        류미해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oficiency in music through their practice sessions in training. To understand how pre-service teachers design their classes gives an insight and perspective on what is a good way to approach for teaching a ‘good class’. In order to research this, analyze pre-service teacher’s class practice in training sessions; class planning and class performance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후보

        합창교육의 단계별 학습과정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류미해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9 음악교육공학 Vol.- No.9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aluate the choral activity and to develop the tutoring plan by stages. Singing is the most commonly practiced activity specially in the elementary level of the classrooms. Also music textbooks, used for the class music activities, songs are presented significant percentages of the content. The choral songs, including over 2 voice parts, are getting higher in its importance and also in its number according to children's gra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develop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on choral education in both aspects of teaching it and learning it. In this study, targeting of the first 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to-be i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t them experience the whole process to accomplish the choral wor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eneralize the common stages of the choral activity based on recordings of lessons with each choral teams consisting of between 4 and 8 participants, interviews with them, and daily activity plans written by each participated teams in this case study. Study has been continued for one semester(15 weeks) including 3 choral lessons for each teams. Hopefully it helps understand better as a teacher and at the same time as a learner of the choral music and gives a chance to enjoy music ultimat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aluate the choral activity and to develop the tutoring plan by stages. Singing is the most commonly practiced activity specially in the elementary level of the classrooms. Also music textbooks, used for the class music activities, songs are presented significant percentages of the content. The choral songs, including over 2 voice parts, are getting higher in its importance and also in its number according to children's gra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and important to develop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ethod on choral education in both aspects of teaching it and learning it. In this study, targeting of the first year elementary school teachers-to-be i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t them experience the whole process to accomplish the choral wor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generalize the common stages of the choral activity based on recordings of lessons with each choral teams consisting of between 4 and 8 participants, interviews with them, and daily activity plans written by each participated teams in this case study. Study has been continued for one semester(15 weeks) including 3 choral lessons for each teams. Hopefully it helps understand better as a teacher and at the same time as a learner of the choral music and gives a chance to enjoy music ultimate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술교과 PLC 활동을 통한 교사의 교수 전문성 신장에 대한 가능성 탐색

        류미해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PDS를 이론적 배경으로 교사의 교수 역량 강화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 졌다. PDS의 실천적 연구 방법으로 전문 연구자와 초등 저학년 현장교사로 이루어진 전문가 학습 공동체(PLC)를 조직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육 현장을 이해하고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현장과의 소통 통로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PDS와 PLC에 대해 알아보고 (예술)교사에게 요구되어지는 전문성에대한 이해를 위해 미국 예술 교사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 후 본 연구의 전문가 학습공동체를 구성하는 구성원 및 활동 체계에 대해 제시하고활동을 통한 초등 저학년 예술교과에 대한 참여 교사들의 수업 전반에 관한 인식과 예술교과 현장 수업의 현황에 대해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