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식축제 방문동기가 관광지 선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Choi, Young-min),길가영(Kil, Ga-yo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음식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동기가 음식축제 장소인 관광지 선택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제공되는 무분별한 음식축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식관광 활성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축제 방문동기와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가설검증 결과 방문동기 요인에서 일상탈출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체험성과 관광지선택 속성에서는 음식체험성은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체험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문화체험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화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에서는 가족친화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편의성과 지역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매력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검증에서 축제매력성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축제 매력성은 편의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에서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들은 지역정체성이 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otivation of tourists visiting local food festivals affects the choice and satisfaction of tourist sites,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food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nd to present practical guideline for activation of the culinary touris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 between food festival visiting motivation and sightseeing selection attributes, daily escape influences attractiveness and service among tourist attractions; food experience has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service in food experience and tourist attractions; culture experience has an effect on attractiveness, service, and local identity. Family affinity affects the convenience and local identity of tourist attractions, and attractiveness and service are influenced by sociability and tourist attractions. Festive attra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all areas of tourist attractions, such as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The festival attractiveness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ce. Second,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which are all area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local identity has the mos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음식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동기가 음식축제 장소인 관광지 선택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제공되는 무분별한 음식축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식관광 활성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축제 방문동기와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가설검증 결과 방문동기 요인에서 일상탈출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체험성과 관광지선택 속성에서는 음식체험성은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체험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문화체험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화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에서는 가족친화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편의성과 지역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매력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검증에서 축제매력성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축제 매력성은 편의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에서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들은 지역정체성이 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otivation of tourists visiting local food festivals affects the choice and satisfaction of tourist sites,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food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nd to present practical guideline for activation of the culinary touris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 between food festival visiting motivation and sightseeing selection attributes, daily escape influences attractiveness and service among tourist attractions; food experience has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service in food experience and tourist attractions; culture experience has an effect on attractiveness, service, and local identity. Family affinity affects the convenience and local identity of tourist attractions, and attractiveness and service are influenced by sociability and tourist attractions. Festive attra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all areas of tourist attractions, such as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The festival attractiveness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ce. Second,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which are all area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local identity has the mos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 KCI등재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환식(Moon, Hwan-Sig)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제철음식 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제철음식 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01일부터 0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WIN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음식선택요인의 제철음식조리법이 가장 높고, 편의성요인, 서비스요인, 제철음식품질요인이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제철음식조리법요인이 가장 높고, 제철음식품질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철음식 인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asonal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in those who had used or were using seasonal fo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hrough 31, 2010, on the people who had used or were using seasonal foods. A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version for Windows was utiliz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impact of seasonal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a seasonal food recipe factor that was a food selection factor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a convenience factor, a service factor and a seasonal food quality factor. As to the impact of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the seasonal food recipe factor was most influential, and the seasonal food quality factor exerted influence. Seasonal food awareness affected satisfaction.

      • KCI등재

        음식관광 관여도와 동기가 참여활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덕순 ( Duk Soon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관광객들의 음식에 대한 관여도와 동기가 참여활동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자체의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관광객들의 음식관광 만족을 높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 관여도는 음식관광 참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지역음식에서 자기표현, 음식체험에서 사회적 유대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관광 동기는 음식관광 참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지역음식에서 문화, 체험 및 행복, 음식체험에서 고유음식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식관광 참여활동은 음식관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지역음식이 음식체험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지자체는 지역음식의 맛과 문화 등 다양한 부분을 관광객들이 인지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홍보를 통하여 관광객들이 관광지를 방문하기 이전에 지역의 음식에 충분히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야 한다. 둘째, 지역의 음식이 관광객들에게 지역문화를 이해할 수 있고, 행복감을 주며 지역고유의 특색을 경험할 수 있다는 감성적 홍보를 통해 관광객들의 동기를 자극함으로써 음식관광 참여활동을 이끌어 내야 한다. 셋째, 음식관광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관광객들이 지역을 방문하였을 때지역음식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행사를 시행하고 또한 지역고유음식점들의 홍보를 통해 관광객들이 지역음식을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많이 제공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the food tourism of municipal government and to raise the tourists` satisfaction with food tourism by examining the effect of motive and involvement on th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ctivity in food touris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involvement in food tourism influences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For the local foods, the kind of the foods did not affect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For the food experiences, the locality did not affect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Second, the motive of food tourism influences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For the local foods, food quality and charm did not affect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Third, the participation activity in food tourism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food tourism. The effect of local foods was larger than that of food experience. This study shows that the motive and involvement in food tourism can influence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in food tourism.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result is that the implement of promotional marketing stimulating the motive and involvement in food tourism of food tourists visiting Jeonju city area can act as good policy measures that can raise the satisfaction with the food tourism in Jeonju city area. Thus, Jeonju city should stimulate the interests and motives of the Jeonju food tourists by the promotion of the images and the tastes of various Jeonju foods. The involvement in food tourism can influence the satisfaction with the Jeonju food tourism.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result is that the participation activity in Jeonju food tourism can raise the satisfaction of the Jeonju food tourists. Thus, Jeonju city can advertize the Jeonju food and raise the satisfaction of the Jeonju food tourists by implementing the programs and events where Jeonju city tourists can taste and buy Jeonju foods.

      • KCI등재

        유기농식품 소비가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를 통해 소비자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4

        Although organic food consumption has been well recognized as well-being oriented consumption behavio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empirically examines how consumers’ behavior of consuming organic foods contributes to their subjective well-being. To fill this gap,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empirically examine if organic food consumption positively influences consumer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panel members pre-recruited by a market research firm. Eligible participants were primary grocery shoppers in the household living in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age of 19 or older who had ever purchased organic foods. A total of 420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s. To analyze the data, partial least squares(PLS) path modeling with SmartPLS 3.0 software was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H1 was supported based on the finding that organic food consump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Full support for H2 was also fou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With regard to H3,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food consumption and physical well-being was fully mediated by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In addition, partial mediation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food consump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food consumption and social well-being. This finding is important because it makes us to better understand how organic food consumption contributes to consumers' subjective well-being. Consumers who consume organic foods more often are likely to have higher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which in turn increases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유기농식품을 소비하는 행동은 웰빙지향형 소비행동으로 인식되었으나 정작 유기농식품 소비가 소비자의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밝혀진 점들을 토대로 유기농식품 소비가 영역별 삶의 만족도 개념인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를 통해 소비자의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식품구매를 주로 담당하는 가구원 중 유기농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소비자로, 전문 리서치 기업의 패널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을 수행하여 총 420부의 설문지를 얻었고 이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martPLS 3.0을 활용한 부분최소제곱법(PLS: Partial Least Square)을 적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농식품 소비는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가설 1은 채택되었다. 즉 유기농식품을 자주 소비할수록,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는 신체적 웰빙, 정서적 웰빙, 사회적 웰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1), 2-2), 2-3)은 모두 채택되었다. 즉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소비자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그리고 사회적 웰빙에 대한 평가 또한 높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음식 관련 삶의 영역은 신체적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다른 차원의 웰빙에 비해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실제 결과에서는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가 주관적 웰빙의 신체적 차원뿐만 아니라 정서적, 사회적 차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매개변수인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는 유기농식품 소비와 신체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유기농식품 소비와 정서적 웰빙 그리고 사회적 웰빙 간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였다. 따라서, 가설 3 또한 채택되었다. 이는 유기농식품 소비가 소비자의 주관적 웰빙을 어떻게 증진하는가에 대한 기제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유기농식품의 소비는 소비자의 음식 관련 삶의 만족도를 향상하며, 이는 더 나아가 소비자의 신체적 건강과 관련된 웰빙, 정서적 웰빙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 형성과 관련된 웰빙에 대한 자신의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지각가치의 매개효과 연구

        박기순,이영빈 한국관광연구학회 2018 관광연구저널 Vol.32 No.12

        본 연구는 남도음식문화 큰 잔치 축제 참가자를 대상으로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음식판매장메뉴선택속성과 지각가치, 지각가치와 축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음식판매장 메뉴선택속성과 축제만족도 간에 있어서 지각가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음식축제 운영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요인과 축제만족도와 영향관계에서는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축제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지각가치와의 영향관계에서는 메뉴선택속성의 모든 요인은 쾌락적 가치와 효용적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가치와 축제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지각가치의 모든 요인이 기대 만족도와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쾌락적 가치의 매개역할 검정 결과를 보면,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서비스 만족도 간에 있어서 쾌락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보면,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고유성과 서비스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축제음식판매장의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기대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의 매개역할 검정 결과를 보면,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결성 요인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뉴선택속성 요인과 서비스 만족도 간에 있어서 효용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보면, 고유성, 편리성, 음식성, 청결성 요인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서비스성 요인에서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PA를 활용한 한국음식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조문수,고승익,오상운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visitor by country of origin using IPA.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956 respondents, 653 of whom were Korean at three international airports: Incheon, Busan and Jeju, Korea. The returned surveys were analyzed using IPA, with four quadrants: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Quadrant Ⅱ: Possible Overkill, Quadrant Ⅲ: Low Priority, and Quadrant Ⅳ: Concentrate Here. Eight aspects were identified concerning Korean food: quality, quantity, presentation, price, manner of cooking, ingredients, traditional value and brand value.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s and Japanese are less satisfied with quality, quantity, presentation, manner of cooking, ingredients, traditional value and brand value. Chinese are less satisfied with quality, quantity, price, cuisine, and ingredients. Westerners are satisfied with all aspec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esterners' were more satisfied with Korean food than Koreans, Japanese, or Chinese. Consequently, Korean restaurants should implement quality segment strategies that focus on target markets.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in strategic planning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d satisfaction of custom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음식점을 이용한 외국인들과 한국인들의 한국음식 평가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음식의 세계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표본의 크기를 살펴보면 외국인의 경우 303명, 한국인의 경우 653명이며 외국인의 경우는 인천ㆍ부산ㆍ제주국제공항에서 설문이 실시되었다.집단을 한국인과 외국인으로 분류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실시한 결과 외국인의 경우 모든 속성이 Ⅲ, Ⅳ사분면에 위치하여 한국음식의 만족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인의 경우 음식의 질, 지명도, 음식의 모양, 음식의 가격 속성에서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형성하였다.외국인을 일본어권, 중국어권, 서구권으로 분류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실시한 결과 서구권의 경우 모든 속성이 , Ⅳ사분면에 위치하여 한국음식의 만족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권의 경우에는 음식의 질, 식재료, 음식의 모양이 Ⅱ사분면에 속하고, 중국어권의 경우에는 식재료, 조리법, 음식의 가격이 Ⅱ사분면에 속해 있어 이들 속성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본 연구 결과 외국인 방문객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인에 비해 높으며 계속적인 한국음식의 개발을 통해 만족도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음식점은 각 음식점의 표적시장에 맞는 품질세분화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전략수립에 활용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음식점은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 전통음식에 대한 개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음식관광 참여활동, 관광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

        김성곤,이선호,이종호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7

        This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causation of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on culinary tour participation activities. This was accomplished using a questionnaire distributed among 212 local residents throughout Busan from January 15th to January 30th, 2017. SPSS(V23.0) and AMOS(V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item. Confirmatory factors, and correlational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o measure correlations between the pairs of elicited factors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f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fidelity, systematic causation of the complete model,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each sub factor of participating activities in culinary tourism has collectively the largest significant causation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Furthermore, tourism satisfaction acts as a causation of behavioral intent as well.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is most significant in terms of tourism cuisine, and partially mediated in the culinary experience participation. However, no mediating effect was detected in the purchase of regional specialty products. These implied culinary tourism participation activities present in the results prove the influence of tourism satisfaction as a systematic causation of behavioral intent. The results also show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 through tourism cuisin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regional government organizations discover renowned restaurants and traditional cuisine to actively market culinary tourism and seek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본 연구는 음식관광 참여활동이 관광만족도와 행동의도와의 구조적인 인과관계 및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에 거주하는 지역민 2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15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V 23.0)와 AMOS(V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측정 항목별 신뢰도 분석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요인 간 연관성 측정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전체모형의 접합도 및 유기적인 인과 관계와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음식관광 참여활동의 하위요인 모두 관광만족도에 유의한 인과관계에서 관광지음식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고, 관광만족도 또한 행동의도와의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는 관광지음식은 완전매개, 음식체험참가는 부분매개, 특산물구매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시사점 음식관광 참여활동이 관광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유기적인 인과관계와 및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는 관광지음식을 통하여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유명식당 및 전통음식을 발굴하여 행정 및 재정지원을 통하여 적극적인 음식관광 마케팅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음식관광 태도와 음식관광객 활동이 전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미영,고호석,양진연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관광 태도와 음식관광객 활동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는 약 3주간에 걸쳐 경상남도(창원, 남해, 하동)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경상남도(창원, 남해, 하동) 지역에 총 350부를 배포하여 331부(94.6%)를 회수하였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6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25부(92.9%)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 태도(음식 거부감, 다양성 추구, 쾌락/실용태도, 음식 관여도)는 음식관광객 활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관광객 활동은 인구통계적인 특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식관광객 활동은 전체 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관광객 활동은 행동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ffect of food tourism attitudes and food tourist’s activity on tota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is end an onsite survey was conducted to visitors who Gyeongsangnam-do(Changwon, Namhae, Hadong) area for more than three-weekly. The obtained data(325)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and SPSS 18.0 were used for statistical programs of empirical analysis.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food tourism attitudes(food neophobia, variety-seeking tendency, food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food related activities. Second, food related activities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visible. Third, food related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otal satisfaction. Fourth, food related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향토음식이미지의 조절효과: 기장군을 중심으로

        김헌철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4

        기장군은 바다를 중심으로 한 우수한 자연경관과 식재료가 풍부하여 관광지에 대한 매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기장군 관광지에 대한 연구는 더욱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장군의 향토음식의 이미자가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간에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가설에서 제시한 가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장군 관광지 선택속성 중 휴양, 시설, 체험, 탐방, 쇼핑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은 기각되었다. 둘째, 학습은 관광만족에서 기각된 이유는 기장군이 타 지역에 비하여 생태지 체험, 문화유산, 역사적 가치, 농어촌 체험과 같은 학습적 가치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관광만족 간에 기장군 향토음식 이미지의 조절효과에서 체험×향토음식 이미지, 탐방×향토음식 이미지, 휴양×향토음식 이미지는 향토음식 이미지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다 높은 관광만족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향토음식 이미지, 쇼핑×향토음식 이미지, 시설×향토음식 이미지는 조절효과가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휴양과 관련된 요인들은 관광만족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는 바다를 중심으로 향토음식과 휴양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해안가 및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적 요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리조트와 같은 수박시설보충, 해수욕장 주변시설보수, 레저시설보충은 관광객에게 새로운 관광자원이 될 것이다. Although the Gijanggun has abundant natural scenery and food materials centered on the sea, the study on the gijanggun tourist attraction is even mo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d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 destin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and the image of Gijanggun local food h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ourist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ourist selection attributes and tourism satisfaction in Gijanggun, recreational facilities, experiences, exploration and shopping were significant and the learning was rejected by tourism satisfaction. Second, the reason why the learning was rejected from the satisfaction of tourism is because the lack of learning value such as ecological experience, cultural heritage, historical value, farming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s lower than other regions. Third, i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ocal food image of Gijanggun between selection attribute of tourist destina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the experience × local food image, recreation × local food image showed higher tourism satisfa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local food imag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 local food image, shopping × local food image, and facility × local food ima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factors related to recreation have a high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a natural environmental factor centering around the sea, coastal areas and beaches where local food, recreation and rest can be enjoyed. Therefore, accommodation facilities such as resorts, maintenance of facilities around beaches, and supplementation of leisure facilities will be new tourism resources for tourists.

      • KCI등재

        음식관광박람회 관람객의 관람동기 요인이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민계홍(Min, Kye-H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3 觀光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신정보와 고급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지식산업 분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음식관광박람회 관람객들을 대상으로 관람동기와 만족도, 재방문 의도, 추천 의도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조사시기는 2013년 04월 23일부터 04월 2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박람회 관람객의 관람 동기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것이다 에서는 사회적 관계형성 요인, 사회적 안정 요인, 전문성 요인, 자기발전 요인인 만족도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관광박람회 관람객의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서는 심리적 만족 요인이 재이용의도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식관광 박람회 관람객들의 관람 동기는 추천 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에서는 사회적 안정 요인과 전문성 요인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음식관광 박람회를 주관하는 기관에서는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마케팅이나 신상품 개발에 전략을 수립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at the Audiences of the food tourism expo, which has been perceived as a field-of-knowledge industry that can make it possible to acquire the latest and high-quality information, analyzed the Audiences motive,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april 24, 2013 to april 26, 2013. what follows are the results of our research concerning the hypothesis. First, the audiences motivation for the food tourism expo will have a positive effect upon satisfaction, social-link establishment factor, social stability factor, and expertise factor. Furthermore, the self-development factor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satisfaction of the food tourism expo Audiences will influence the intention for reuse; psychologica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for reuse. Third, audiences motivation for the food tourism expo audiences will influence perceptions between pre-and post-participation. Perceptions prior to and after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actors pertaining to social stability and expertise. Based on these results, we will adopt a strategy to develop marketing and new tourism products for tourism corporate Bo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