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하민성,곽이섭,지진구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3

        하민성, 곽이섭, 지진구.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1권 제3호. 365-372, 2012.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유산소 운동을 적용하여 유연성과 항산화 효소의 활성 및 과산화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허리통증이 있는 60세 이상 노인여성 20명으로 운동수행능력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은 유산소운동을 위해 12주간 걷기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유산소 운동그룹과 통제군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유산소운동그룹에게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걷기운동을 주 5회, 1회당 60분간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전·후 유연성과 항산화능력(MDA, SOD)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유연성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산화적 스트레스 MDA의 농도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후 항산화 지표 SOD 농도의 변화에는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12주간의 유산소운동은 근골격계질환자들의 유연성향상 및 산화적 스트레스의 억제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운동은 근골격계질환자들에게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의 생성을 억제하고,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Ha, M. S., Kwak Y. S., Ji, J. G.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flexibility, MDA and SOD in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Exercise Science, 21(3): 365-372, 20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effect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on flexibility, malondialdehyde(MDA) and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SOD) in female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For this study, 20 female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who have low back pain and have simila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erobic exercise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0). And the aerobic exercise group was trained (walking program) during 12 weeks (5 days per week, 60 minutes per day). Blood samples were taken 2 times, which were at pre and post exercise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DA and erythrocyte S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lexibility test,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higher flexibility levels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according to plasma MDA level,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lower plasma MDA levels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ird, according to activity of erythrocyte SOD level,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higher erythrocyte SOD levels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aerobic exercise have a positively effect on flexibility, plasma MDA and activity of erythrocyte SOD level in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So we wants to suggest regular aerobic exercise on skeletal muscle pain patients in order to increase flexibility, MDA and anti-oxidants enzyme levels.

      • KCI등재

        여대생의 유산소 운동과 저항운동의 일회성 복합운동 실시순서에 따른 인체대사 및 호르몬 반응

        김도윤 ( Do Youn Kim ),김기연 ( Ki Yon Kim ),박동호 ( Dong Ho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의 일회성 복합운동 실시 순서에 따른 인체대사 및 호르몬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20대 신체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1주일 간격으로 65%VO2max의 달리기 유산소운동과 7종목의 65% 1-RM 저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의 순서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단일 유산소운동과 단일 저항운동은 참고독립변인으로서 함께 관찰하였다. 운동순서 및 시기(운동전, 운동직후, 회복 30분, 회복 1시간)에 따른 호르몬(성장호르몬, 코티졸, 테스토스테론 및 에스트라디올) 및 인체 에너지 대사변인 (글루코스, 유리지방산, 젖산)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호르몬(p=007)과 코티졸(p=027)은 운동의 순서와 시기에 의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중 성장호르몬은 저항운동-유산소운동이 유산소운동-저항운동 순서보다 높았다. 반면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은 운동 순서와 시기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 및 운동순서에 의한 주효과는 없었다. 둘째m 글루코스(p=024), 유리지방산(p=010), 젖산(p=002)은 운동형태와 시기에 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운동직후의 유리지방산은 저항운동-유산소운동이 높았다. 글루코스는 저항운동-유산소운동 직후가 유산소운동-저항운동 직후보다 높았다. 코티졸은 유산소운동-저항운동이 저항운동-유산소운동보다 낮았다. 셋째, EPOC(p=000)와 호흡교환율(p=000)은 운동형태별로 시기에 따른 변화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그 중 EPOC는 저항운동-유산소운동이 유산소운동-저항운동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여성에게 있어 저항운동-유산소운동의 순서로 복합운동을 실시할 경우 스트레스호르몬(코티졸) 반응 및 RPE는 더 높을 수 있지만, 운동 중 및 운동직후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유리지방산 농도 증가로 인한 지방산화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운동종료 후 1시간까지의 EPOC 결과 또한 저항운동-유산소운동 순서에서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여성들의 지방산화 촉진을 위한 복합운동 순서로서 저항운동 후 유산소운동의 실시가 추천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hormonal response to various subsequence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Eight females participated in four times exercise which were organized with single aerobic exercise (A: treadmill running at 65%VO2max for 25mm), single resistance exercise (R: bench press, squat, lat pull down, leg arid arm curl, triceps extension, shoulder press, three sets at ten repetitions 65%1-RM with an interset rest period of 105s), resistance exercise after aerobic exercise (A-R) and aerobic exercise after single resistance (R-A) as a combined exercise type. Blood was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nd 30min and one hour after finishing the exercise. Growth hormone (p=007), cortisol (p=027) showed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y exercise and trial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and testosterone between exercise, but just showed the highest increase after finishing R-A exercise and which maintain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mong the exercises. Glucose (p=024), free fatty acids (p=010) and lactic acid (p=002)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y exercise type arid trials respectively, especially glucose showed more concentration of R-A than A-R. EPOC and RER had significant interaction by exercise and trials (p=000 and p=000, respectively), particularly EPOC m R-A was higher than single resistance and A-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rowth hormone response to aerobic exercise is revitalized by the prior resistance exercise. This effect might be caused by the increase in blood FFA concentration.

      • KCI등재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 당뇨병환자의 복부지방, 체력, 아디포카인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예영 ( Yea Young Kim ),임수 ( Soo Lim ),최순미 ( Soon Mi Choi ),이만균 ( Man Gyo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복부지방, 체력, 아디포카인, 그리고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노인 여성 33명을 세 집단(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저항성운동 집단 12명, 통제 집단 9명)으로 구분하여,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은 해당 운동을 각각 HRmax의 60∼70%와 10∼15RM의 강도로 회당 20∼40분,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과 BMI는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제지방량은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체지방률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유산소운동 집단(p<.001)이 저항성운동 집단(p<.01)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부지방면적은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총 복부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그리고 피하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저항성운동 집단에서는 총 복부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만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복부지방면적은 유산소운동 집단(p<.001)이 저항성운동 집단(p<.01)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유산소운동능력(유산소운동능력)은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근력(1-RM)은 bench press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저항성운동 집단은 bench press와 leg press 모두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4) 렙틴은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아디포넥틴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5) CRP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IL-6와 TNF-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트레이닝과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신체구성의 개선, 특히 복부지방면적의 감소, 그리고 유산소운동능력과 근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유산소운동이 신체구성의 개선과 복부지방면적의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저항성운동은 근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두 운동 트레이닝 모두 아디포카인과 염증지표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장기간의 처치 기간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운동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erobic training and resistance training on 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Thirty-three female type 2 diabetes mellitus (T2D) patients, aged 60-78 yrs, in three groups, i.e.,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T; n=12),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RT; n=12), and control group (CON; n=10),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participants peformed at 60-70% of HRmax, 20-40 min/session, 3 sessions/wk for 12 weeks, and RT participants performed at 60-65% of 1-RM, 2-3 sets 3 sessions/wk for 12 weeks. Variables regarding 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were measured in pre- and post-test, and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and between two test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1) Body weight and BMI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and percent body fat (%BF)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AT and RT. %BF in the AT (p<.001)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RT (p<.01). 2) Abdominal fat area including total abdominal fat area, visceral fat area, and subcutaneous fat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whereas total abdominal fat area and subcutaneous fat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T. Total abdominal fat area in the AT (p<.001)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RT (p<.01). 3)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and RT. 4) One-RM of bench press and leg pr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T. 5) Although leptin showed a trend to decrease in the AT and RT, the changes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Adiponecti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s. 6) C-reactive protein (CR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both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improved body composition, especially abdominal fat, aerobic capacity, and muscular strength in female elderly T2D patients. No significant effects of either aerobic or resistance training on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kers were found, except positive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CRP.

      • KCI등재

        12주간의 운동유형이 초등학생의 GH, IGF-1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민기,이민기,박재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on GH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with a treadmill and a step box. The exercise intensity was within the range of HRR 55 ~ 70%. The combined exercise was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exercise. The anaerobic exercise was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using an elastic band. GH (growth hormon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as analyzed by ANCOVA using SPSS 18.0 and significance level was conducted at .05.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dure are as followsFirst, in the change of GH, the aerobic exercise group was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 and the combined exercise group was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in the changes of IGF-1, both the group of aerobic exercise and the group of complex exercise increased meaningfully and i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 group of complex exercise increased more meaningfully than group of aerobic exercise did. Third, in the changes of the blood lipids, TG and TC decreased meaningfully in both groups, but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show meaningful change. In the change of LDL-C, both groups of aerobic exercise and complex exercise increased but not meaningfully, and a meaningful change between two groups was not found. In the change of HDL-C, the group of aerobic exercise increased but was not meaningful, and the group of complex exercise decreased but was not meaningful. And a meaningful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found. In conclusion, the aerobic exercise and complex exercise gave a positive influence to students by increasing the students' IGF-1 and by decreasing the level of TG and TC. The difference between aerobic exercise and complex exercise is that complex exercise positively changes the level of IGF-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이 초등학생의 GH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유산소운동은 트레드밀과 스텝박스를 이용하였으며 운동강도는 HRR 55~70% 범위 내에서 실시하였다. 복합운동은 유산소 운동, 무산소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였고 유산소 운동은 유산소 운동군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무산소 운동은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12주간 주 3회, 60분 실시하였다. 운동 전·후 측정항목은 GH(성장호르몬)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ANCOVA로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에서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GH의 변화에서 유산소 운동군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고 복합운동군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IGF-1의 변화에서 유산소 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는 복합운동군이 유산소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혈중지질의 변화에서 TG, TC는 유산소 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LDL-C의 변화에서는 유산소 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HDL-C의 변화에서는 유산소 운동군은 증가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복합운동군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은 초등학생의 IGF-1을 증가시키고 TG와 TC의 수준을 감소시켜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의 차이는 복합운동이 유산소 운동보다 IGF-1의 수준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산소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혈중지질과 적혈구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박근양 ( Keun Yang Park ),김정수 ( Jung Soo Kim ),이미영 ( Mi Young Lee ),오광훈 ( Kwang Hoon Oh ),김일형 ( Il Hyung Kim ),인치석 ( Chi Seok In ),김종원 ( Jong Wo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박근양 · 김정수 · 이미영 · 오광훈 · 김일형 · 인치석 · 김종원. 유산소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혈중지질과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41-448.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유형별적용에 따른 혈중지질과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BMI가 25 kg/㎡이상인 비만 여고생 1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에 12주간 참가하게 하였다. 신장(p<.001)과 체질량지수(p<.05)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체중과 체지방률에서는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운동군에서 HDL-C(p<.05)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C(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복합운동군은 LDL-C(p<.01)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C, TG에서는 두 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침강속도에서 유산소운동군(p<.001)과 복합운동군(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복합운동군에서 유산소운동군 보다 더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적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군이 유산소운동군보다 높은 감소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모두 유의한 운동효과를 나타냈지만, 적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이 유산소운동 보다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복합운동이 혈관 내 염증상태 변화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K. Y., Kim, J. S., Lee, M. Y., Oh, K. H., Kim, I. H., In, C. S., Kim, J. W.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Combined Exercise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Exercise Science, 20(4), 441-448.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types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for 12 weeks. 16 obese female students with BMI over 25 kg/m2 took part in either the aerobic exercise or combined exercise group. Each group ha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in height (p<.001) and BMI (p<.05). Both groups have reduced weight and the fat percentage but do not show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The aerobic exercise group has increased HDL-C (p<.05), but simultaneously decreased LDL-C (p<.01), which are read as a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The combined exercise group has onl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LDL-C (p<.01). Both TC and TG has presented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oth the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groups demonstrated th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but the combined exercise group showed steeper decline. both groups have presented positive outcom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lood level of HDL-C, LDL-C. When we consider that the positiv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through combined exercise group came out to be higher than the aerobic one, combined exercise group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condition of blood inflammation.

      • KCI등재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체력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김수빈,이병근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ythmic exercise and strengthening-aerobic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modified visual analogue scale(MVAS) in older females for 8 weeks. [METHO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a rhythmic group(RG, n=12), a strengthening-aerobic group(SAG, n=9) and a control group(CG, n=8). There were 47 older females of 72.39±5.5years. The RG executed 70minutes rhythmic program a day, two times per week for 8 weeks. The SAG included wrist and ankle weight sandbag for strengthening exercise mainly and bicycling for aerobic exercise and the program was performed 60minutes a day two or three times per week for 8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for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G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lower muscular endurance, upper flexibility(Right), DBP, and resting HR in older females. The SAG was significantly improved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upper muscular strength(left) in older females. In MVAS, the SAG had a positive effect on back pain.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the other categories of MVAS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hythmic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rengthening-aerobic exercise for improving the physical fitness of older females. We believed that developing of rhythmic exercise and strenghening-aerobic exercise together would be the most helpful program for older females in aging society.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이 고령여성의 체력과 주관적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본 연구대상은 리듬운동군(n=12), 근력-유산소운동군(n=9), 통제군(n=8)으로 구분된 평균 72.39±5.5세의 29명 여성 노인들이다. 리듬운동군은 총 8주간, 주 2회, 일일 70분에 해당되는 리듬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근력-유산소운동군은 8주간 주 2-3회, 근력운동 위주의 프로그램으로 모래주머니와 체중을 이용하여 상하지 근력운동을 세트에 12-15회씩 2세트 일일 60분간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은 고정식자전거타기를 실시하였다.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의 실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for repeated measures)과 프로그램 전후의 paired t-test와 집단 간 independence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리듬운동과 근력-유산소운동프로그램을 수행시킨 결과, 리듬운동군은 하체 근지구력, 우측 상지 유연성, 이완기 혈압, 안정시 심박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으며, 근력-유산소운동군은 전신지구력, 좌 악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주관적 통증의 경우 근력-유산소운동군이 Back pain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다른 항목에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근력-유산소운동 프로그램보다는 리듬운동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전반적인 체력향상에 더 커다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산소성 중심의 리듬운동에 근력-유산소운동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고령화 사회에 여성 노인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체력, 보행능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경태 ( Kyung Tae Yoo ),이만균 ( Man Gyoon Lee ),성순창 ( Soon Chang S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 트레이닝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체력, 보행능력, 그리고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편마비환자 45명을 세 집단 중 하나로 15명씩 무선 할당하였으며, 그 중에서 39명(복합운동 집단 13명, 유산소운동 집단 13명, 통제 집단 13명)이 모든 검사 및 처치를 완료하였다. 복합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트레드밀 걷기운동(20분)과 세라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20분)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고, 유산소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트레드밀 걷기운동(20분)과 고정식 자전거 타기(20분)를 이용한 유산소운동만을 실시하였다. 두 가지 운동 집단의 피검자는 일일 60분, 주 3회, 그리고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의 피검자는 동일한 처치 기간 동안 평상시의 생활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편마비 환자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일상생활체력과 보행능력 및 균형능력을 12주간의 처치 전?후에 측정하였으며, 반복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상생활체력 변인 중 슬관절의 건측 신전 근력, 의자에서일어섰다앉기, 기능적 팔뻗기, 그리고 의자앉아앞으로굽히기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복합운동 집단은 슬관절의 건측 굴곡, 환측 굴곡, 건측 신전, 환측 신전의 근력, 의자에서일어섰다앉기, 기능적 팔뻗기, 2.44m 되돌아앉기, 그리고 의자 앉아앞으로굽히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인 반면, 유산소운동 집단은 2.44m 되돌아앉기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2. 보행능력 변인과 관련하여, 6m 걷기, 4개 계단오르기, 그리고 10m 보행에서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복합운동 집단은 6m 걷기, 3m뒤로걷기, 그리고 10m 보행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인 반면, 유산소운동 집단은 10m 보행에서만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3. 균형능력 변인은 모든 항목에서 처치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12주간 실시한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모두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일상생활체력과 보행능력의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한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유산소운동만 실시한 것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하여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경우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을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운동 집단 모두에서 균형능력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향후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가 요청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training and aerobics training on functional fitness, gait, and stability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Forty-five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and were randomized into one of three groups. Thirty-nine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and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as follows: combined exercise training group (CET: n=13),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ET: n=13), and control group (CON: n=13). Subjects in CET performed treadmill walking(20 min) and resistance exercise(20 min) using Thera-band simultaneously, and subjects in AET performed only aerobic exercise utilizing the treadmill(20 min) and stationary cycle(20 min). Subjects in the training groups performed main exercise for 40 minutes, three times per week for 12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Variables related to functional fitness, gait, and stabil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values were compared among groups and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using 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functional fitness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test interactions for knee extension strength in non-paretic side,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 chair, functional reach, and sit-and-reach on chair. The CE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knee flexion strength in non-paretic side, knee flexion strength in paretic side, knee extension strength in paretic side, 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 chair, functional reach, and sit-and-reach while sitting in a chair, whereas the AE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nly 2.44m up and go. 2. For the gait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group×test interactions in 6m walk, 10m walk, and climbing up 4 steps. The CET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6m walk, 10m walk, and 3m backward walk, whereas the AE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nly 10m walk. 3.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any stability-related variables following all interventions. It was concluded that both the combined and aerobic train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functional fitness for daily living and gait 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Moreover, combined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functional fitness and gait ability than aerobic training. Therefore, resistance exercise as well as aerobic exercise should be included in the treatment for hemiplegic patients later on.

      • KCI등재

        20대 복부 비만 남성의 심폐체력 수준별 유산소운동강도에 따른 Interleukin-6의 비교분석

        전용균(Yong-kyun Jeon)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7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대 복부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심폐체력 수준별 저강도 유산소 운동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12주간 실시하여 IL-6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성인 남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통제집단(n=10), 낮은 심폐체력 수준과 저강도 유산소 운동집단(n=10), 낮은 심폐체력 수준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집단(n=10), 높은 심폐체력 수준과 저강도 유산소 운동집단(n=10), 높은 심폐체력 수준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집단(n=10)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심폐체력 수준별 복부비만남성의 유산소 운동강도에 따른 IL-6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1), 시기x집단 간 상호작용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5),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심폐체력 수준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후 IL-6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1),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높은 심폐체력 수준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다. IL-6의 변화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5),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제집단보다 높은 심폐체력 수준과 고강도 유산소 운동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IL-6 levels in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and high-intensity aerobic exercise for 12 weeks in 20 men with abdominal obesity. For this research, 50 abdominal obese males in their 20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 control group(n=10), a low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 and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n=10), a low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 and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n=10), a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 and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n=10), and a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 and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group(n=10). Upon analysing the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ith the intensity of aerobic exercise by cardiorespiratory fitness level, IL-6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x interaction and group (p<0.05), and HCHA was lower than C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 IL-6 (p <0.01). As a result of post-hoc, HCHA was lower than C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changes of IL-6 and post-test, and HCHA was higher than CG.

      • KCI등재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비만 지표,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 ( S. J. Kang ),정성림 ( S. L. Ju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본 연구는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비만 청소년의 비만 지표,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운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체질량지수 백분위수 85 이상에 해당하는 남자 중학생 중 운동군(n=10)과 통제군(n=10)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 운동은 12주간 여유심박수 50-80%에 해당하는 운동강도에서 걷기와 달리기를 주 5회 40분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산소 운동 처치후 체중(p<.05), BMI(p<.05), 체지방률(p<.01) 및 허리둘레(p<.0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유산소 운동 처치후 공복혈당(p<.05), 인슐린 농도(p<.05) 및 인슐린저항성(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유산소 운동 처치후 유리지방산(p<.01), 중성지방(p<.01),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각각, p<.01) 및 CRP(p<.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p<.0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유산소 운동 처치후 안정시 심박수(각각, p<.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VO2max (p<.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최대 운동 후 심박수 회복기 반응의 1, 2, 3분(각각, p<.01)에서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산소 운동은 비만 청소년의 비만 지표, 인슐린저항성,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개선 및 운동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on obesity index,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exercise capacity in obese adolesc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overweight, and obese student(n=20, BMI ≥85th percenti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llowing exercise group(n=10), and control group(n=10). Exercise group have performed on treadmill walking and running at HRR 50%-80% of exercise intensity for 40 minutes. Exercise treatment consisted of 5times per week was continued to 12weeks. The results following; 1)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weight(p<.05), BMI(p<.05), %fat(p<.01), waist circumference(p<.05) in exercise group. 2)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fasting glucose(p<.01), insulin(p<.05), insulin resistance index(p<.01) in exercise group. 3)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free fatty acids(p<.01), triglyceride(p<.01), HDL-cholesterol(p<.01),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respectively, p<.01), CRP(p<.01) in exercise group. 4) Exercise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VO2max(p<.01), resting HR(p<.01), and heart rate recovery response(respectively, p<.01) in exercise group. In conclusion, aerobic exercise program in obese adolescent appears to be effective for improv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factors, and exercise capacity.

      • KCI등재

        8주간의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가 제2형 당뇨병 여성 노인의 체력, 인슐린 저항성, 간기능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최현아 ( Choi Hyun-a ),김예영 ( Kim Yae-young ),이만균 ( Lee Man-gyo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3

        이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의 유산소 운동처치와 resveratrol 섭취가 체격과 신체구성, 체력, 인슐린 저항성, 간기능, 그리고 안정시 혈압과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51명의 노인 여성을 무선할당 하여 유산소운동집단(EX집단) 12명, resveratrol 섭취집단(R집단) 13명,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 병행집단(EX+R집단) 12명, 그리고 통제집단(CON집단) 14명으로 구성하였다. EX집단의 대상자는 8주간 주 3회, 일일 40분의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였고, R집단의 대상자는 8주간 일일 500 mg의 resveratrol을 섭취하였으며, EX+R집단의 대상자는 두 가지 처치를 모두 받았다. CON집단은 동일한 처치 기간 동안 평상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체격과 신체구성, 체력, 인슐린 저항성 지표, 간기능 지표, 그리고 안정시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격 및 신체구성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체력과 관련하여, 근지구력이 EX+R집단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다른 체력관련 변인은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모든 변인이 EX+R집단에서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간기능과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5) 안정시 혈압과 관련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CON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안정시 심박수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을 실시한 두 집단(EX+R집단, EX집단)에서 개선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8주간 실시한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가 근지구력과 혈압의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인슐린 저항성과 안정시 심박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리고 resveratrol의 장기간의 섭취가 간에 특별한 부담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의 복합 처치가 각각의 단독 처치에 비하여 더 큰 효과가 있었던 것을 볼 때, 장기간에 걸쳐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의 섭취를 병행한다면 근지구력,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혈관 기능의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향후 유산소운동과 resveratrol 섭취 처치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 실시하여 다양한 건강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of aerobic training and resveratrol supplementation on a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nsulin resistance, liver functi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Fifty-one elderly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erobic training group (EX: n=12), resveratrol supplementation group (R: n=13), combined aerobic training and resveratrol supplementation group (EX+R: n=12), and control group (CON: n=14). The subjects in EX group exercised three sessions per week, 40 minutes per session for 8 weeks, the subjects in R group took 500 mg of resveratrol per day for 8 weeks, and the subjects in EX+R group received both treatments. The subjects in CON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normal daily life pattern without any treatment for the same period of interventi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nsulin resistance, liver functi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at pre- and post-test and the data were compared among groups and between tests by utiliz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hysique and body composi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all groups. 2) Muscular endura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EX+R group, whereas the other physical fitness-related 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groups. 3)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HOMA-IR, and HbA1c tended to be improved in EX+R group. 4) AST, ALT, and γ·G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groups. 5)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group. Heart rate tended to be decreased in EX+R group and EX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8 weeks of aerobic training and resveratrol supplem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muscular endurance,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pressure in T2DM elderly women. Research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a longer period of aerobic training and resveratrol supplementation on the same variables would be warran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