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주체의 이중성으로 본 여성성장의 일면

        崔銀晶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고는 츠리(池莉)의 《물과 불의 혼재(水與火的缠绵)》를 대상으로 하여, 여성성장의 일면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水與火的缠绵》은 청망망(曾芒芒)이라는 한 여성의 연애와 결혼 및 떠남에 관한 서사로, 청년기부터 결혼 이후까지의 여성성장의 노정을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통해 츠리는 여성의 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여성의 성장이란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몰((mole)적 존재에서 분자적 존재로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여성다움에서 벗어나 개별화된 여성 ‘자신’으로서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성장 여정에 작용하는 여성주체의 이중성이다. 츠리는 가부장제 여성다움을 내면화한 청망망이라는 여성주체 안에 내포된 두 개의 주체를 발견한다. 작품 제목이 암시하는 ‘水(순응하는 정주적 주체)’와 ‘火(탈주하는 유목적 주체)’가 그것이다. 츠리가 보기에, 여성의 성장은 바로 이 ‘水-정주적 주체’와 ‘火-유목적 주체’가 끊임없이 부딪히고 교차하며 부침(浮沈)하는 과정이다. 중요한 것은 정주적 주체와 유목적 주체가 갈등하면서 어느 하나가 현현(顯現)하는 순간 다른 하나가 완전히 거세되거나 은폐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놓지 못하고 여전히 엉켜있다는 데 있다. 그 결과 한 주체에서 또 다른 주체로 끊임없이 이행과 반전과 전이를 거듭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츠리가 포착한 여성성장의 곤혹이며 특징일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an aspect of woman s growth through Chi Li s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is an epic story of romance, marriage and separation of a woman named ‘Ceng mang mang(曾芒芒)’. The story describes the courses of female growth from adolescence to post-marriage. With the story, Chi Li points out two regarding female growth as follows. One is the course in which a woman grows from an existence of a normative ‘mole’ under patriarchal system to a molecular existence. In other words, it is a route to compose ‘one’s own’ identify as individualized woman escaping from normative femininity in patriarchy. The other is the duality of female subject that affects the course of female growth. Chi Li finds two subjects in the female subject ‘Ceng mang mang’ whose patriarchal femininity is internalized. They are ‘a residental subject of settlement’ and ‘a nomadic subject of escape’. In Chi Li s opinion, a woman grows through endless conflict, alternation, and integration of the residental subject and the nomadic subject. What is important in the course is that the moment they are integrated to one of them through conflict, the other does not vanish or sealed off, but they still continue carrying on, turning over each other, and metastasizing. It is here where Chi Li captured the confusion and distinction of female growth.

      • KCI등재

        탈주하는 ‘몸주체’와 회의를 시작하는 비체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중심으로

        박선경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한강의 작품 채식주의자는 여성 자아들 사이의 ‘차이’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체성’의 문제를 회의, ‘재사유’케 하는 ‘유목적 주체’의 모습들을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은 철학적, 정신분석학적, 심리학적 인식을 기반으로 주체/탈주체, 가부장체제의질서, 여성주의 문제를 다루는 독창성과 심미안의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을 관통하는 두 자매의 대칭구도는 남근이성적 언어가 기입된, 기존의 ‘코기토적 주체’(언니)와 몸적 경계선의 침범에 대해 온 몸으로 저항하는 ‘몸주체’(동생) 로 분기되는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주체와 탈주체의 변이적 모습들로서, 유목적 주체들의 다양한(複數) 모습이라 하겠다. 거기에는 가부장체제 안에서 ‘살아본바 없거나’(언니), 체제에서 추방되어 정신병원에 감금되거나 죽음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동생), 여성들의 현실적 모습이 드러나고 있었다. 이러한 자매의 상반된 두 여정의 근간에서 가부장제가 공통분모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어떠한 모습의 주체이던 여성 삶은 가부장체제의 피침식자로 한정되는, 아픈 현실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것은 매일같이 소소한 일상에서 시작되는 것으로 가부장체제의 끊임없는 ‘경계선’ 침범과 강압적 관리로 여성은 주체아닌 비체로, 혹은 상상계를 동원한 몸주체로, 유목적 주체로 분기되고 있었다. 이는 여성은 ‘주체’라고 칭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과 그 존재적 의미마저 자신을 위한것이 아니라는, 실제적 여성 현실의 심도 깊은 재현을 통해, 현실 이면의 가부장적상징체제의 폭력적 원리와 실상 및 분기할 수 밖에 없는 유목적 주체라는 시대인식을 형상화하는 것이었다. By sh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selves through the work The Vegetarian by Han Kang, it narrates the appearances of the 'nomadic subject' in that it causes skepticism and "rethinking" the issue of 'subjectivity'. Following the intention of the artist who developed the lives of her sisters under the same parents in a symmetrical composition, she analyzed the intention and in-depth subject consciousness of her work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he lives of two women. In the end, the symmetrical structure through the sisters showed a divergence into the existing 'cogito’s subject' (elder sister), in which phallic rational language was written, and the 'body subject' (younger sister) who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bodily boundary with the whole body. This can be said to be the plural form of nomadic subjects as a variant form of the subject and the escaped subject. In the symbolic system, the realistic appearance of women who have never lived (older sister), who are exiled from the system and confined to a mental hospital, or who have no choice but to die (younger sister) is revealed. At the basis of these two conflicting journeys of the sisters, the patriarchal system was established as a common denominator, and the hidden painful truth that women's lives, no matter what shape they were in, was limited to the victims of the patriarchal symbolic system, was being revealed. It begins with the trivial everyday life, and due to the patriarchal system's constant invasion of the 'borderline' and coercive management, women are diverging into abjects, or body subjects mobilizing the imaginary, or nomadic subjects. It can be seen that patriarchy is the common denominator at the foundation of these two sisters' conflicting journeys, and the painful reality that women's lives, no matter what they are, are limited to being victims of the patriarchal system is revealed. It started from small everyday life, and due to the patriarchal system's constant invasion of the 'boundary' and coercive management, women were bifurcated into abject rather than subjects, into body subjects mobilizing the imaginary, and into nomadic subjects. This was to embody the violent principles and reality of the patriarchal symbolic system behind reality through an in-depth reproduction of the actual female reality that women are beings who cannot be called ‘subjects’ and that even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s not for themselves. This symbolized the perception of the times as a nomadic subject that had no choice but to diverge.

      • KCI등재

        미래 시대 새로운 주체 이해의 모색: 탈-존적 주체, 유목적 주체, 그리고 포스트휴먼 주체로의 이행과 관련하여

        이관표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5

        This study ai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the future era. It deals with the transition process to existential philosopher Martin Heidegger’s “ek-sistence subject,” postmodernist Gilles Deleuze’s “nomadic subject,” influenced by Heidegger’s ontology, and the “posthuman subject” of Rosi Braidotti, who develops posthumanism and feminism by accepting the becoming theory of Deleuze. The study summarizes the transition of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he subject to a definition of the subject in the future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understanding it through modern philosophy. Humans live in time, and as time passes, everything they have changes. Humans experience clear shifts due to various circumstances. Thus, we need to admit the changing of ou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which may be distorted, into something appropriate for the times.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subject in modern thought and intends to suggest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it in the future. Humans can no longer become subjects and dominate others, and they must overcome their differences to live together as subjects. It is the transition process of ek-sistence and not being fixed like a nomad but always becoming the other that is one direction of the subject to be met in the future. 본 글은 미래 시대의 새로운 주체 이해를 모색하며, 이를 위해 실존철학자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의 ‘탈-존적 주체’, 하이데거의 존재론에 영향받은 포스트모더니스트 들뢰즈(Gilles Deleuze)의 ‘유목적 주체’, 그리고 들뢰즈의 생성론을 받아들여 포스트휴머니즘과 페미니즘을 전개하는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의 ‘포스트휴먼 주체’로의 이행과정을 다룬다. 그럼으로써 본 글은 전통적 주체에서부터 현대철학을 거쳐 미래로 연결되는 ‘주체’ 규정의 이행과정을 정리해보고, 그 이후 그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시대 주체 이해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인간은 시간 안에 있으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그가 가진 모든 것들은 변해간다. 그리고 주체에 대한 이해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시대의 상황과 다양한 요소들을 통해 분명한 전환을 경험해왔으며, 우리는 앞선 시대에서 혹시 왜곡되었을 수도 있는 이 ‘주체’에 대한 이해 역시 시대에 합당한 것으로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 본 글은 바로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특별히 현대사상에서 나타났던 주체의 이행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적 주체의 방향성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더 이상 인간만 주체가 되어 타자를 지배할 수는 없으며, 존재하는 모든 이들은 차이를 횡단하며 주체가 되는 사건 안에 함께 살아가야 한다. 탈-존으로서, 또한 유목민처럼 고착되지 않고, 늘 타자가 되어(생성해)가는 과정, 바로 이것이 미래에 맞게 될 주체의 한 방향성이다.

      • KCI등재

        학문후속세대,신진연구자들의 한국어문학 및 문화 연구의 동향과 방향 :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 Bun Il Ku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 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 KCI등재

        우리 소설에 나타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 연구

        구번일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The Korean novels that deal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increased since 2000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 as subaltern in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ing on Jung In's <The place of the woman>, <Time with the other>, and Paik ga-huim's <Puy, Thuy, Whatever>. These novels reveal married immigrant women's dreams, hardship, and oppression in a Korea society.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ich increase rapidly in our society ar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Married immigrant women are undergoing multiple discriminations such as nationality, race, gender, mother-language etc.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s well as focuses on their subalternity. The notion of Subaltern is from Gayatri Chakravorty Spivak’s article, can the subaltern speak? Based on subaltern and Spivak'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our responsibil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e subaltern cannot speak means that “the subaltern’s utterance cannot be heard to us.”Therefore, we must rethink who we are against them and where our positions are, so that our identities can consist in nomadic subjectivity. This study focusing on these perspectives can contribute to social unification by accepti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our society as not the strangers but our true neighbors. 이 글은 정인의 단편소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백가흠의 단편소설 <쁘이거나 쯔이거나>를 중심으로 하위주체로서의 결혼이주 여성의 재현방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들 소설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은 이방인으로서 언어의 문제, 정체성 구성, 한국 가족 안에서의 자리 찾기, 상징적이거나 실제적인 죽음의 메시지 등, 여러 문제들에 복잡하게 얽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우리 사회에서도 소설에서도 단일하고 전형적인 재현체계 안에 갇혀 있을 뿐 이들의 다양한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특별히 스피박의 하위주체 연구를 통해 이 작품들을 분석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 여성들의 복합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데에 스피박의 하위주체 개념이 매우 적절하기 때문이다. 스피박이 ‘하위주체는 말할 수 없다’고 한 맥락을 살피면서, ‘하위주체의 말없음/말할 수 없음’에서 하위주체의 말을 ‘듣지 않음/들을 수 없음’의 층위로의 이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더불어 하위주체 연구는 ‘그들’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우리/의 위치’를 어떻게 재설정해야 하는지의 질문이어야 한다. ‘하위주체는 누구인가’가 아니라, 우리가 하위주체라 규정하는 이들과 함께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인가. 이런 질문은 우리가 여전히 ‘이방인’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들이 ‘우리’에게 요청하고 있는 것이고, 하위주체에게 목소리를 돌려준다거나 하위주체의 목소리를 듣겠다는 행위에 선행해야 하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주와 이산의 주체들에 대한 논의에서 흔히 거론되는 ‘유목적 주체’는 이동하는 ‘그들’이 아니라 ‘정주민’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이주민 여성들과 유목적 주체로의 신학적 형상화

        최순양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This paper theorizes the reality and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who live in Korea with a focus on immigrant women who came for marriage. The suffering and negative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are not the only concern but also their struggle and self-actualization. The theory of Rosi Braidotti, and the concept of Nomadic Self is presented as a way to understand immigrant women’s self-actualization. Using this approach, the author renames immigrant women in Korea and suggests that they are unique and creative beings who meaningfully contribute to and help to creat Korean culture and reality. In this way, this paper offers a new way to interpret immigrant women as subjects not simply as the Other in Korean society but as Nomadic Selves who have their own territory and particularity. This paper also suggests how we consider Immigrant women as equal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s Mystery. In this , this work draws on the insights of feminist theologians such as Elizabeth Johnson and Catherine Keller who talks about God as mystery. Through this feminist and theological application, this paper finally suggests that immigrant women are mysterious and nomadic subjects with their own uniqueness and diversity.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살고 있는 이주민 여성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경험과 현실들이 ― 부정적인 측면들을 포함해서 ― 무엇인 지에 대해서 분석하면서 동시에 이들이 독창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주체적 현실은 어떤 것인 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주민 여성 중에서도 결혼 이주 여성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전반적인 이주 여성의 문제를 광범위하게 다루지 못하지만 결혼한 이주 여성의 문제를 여성의 문제로 분석하면서, 타자나 희생자로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도 다양하면서 차이를 가진 ‘여성’의 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주 여성들을 희생자와 보호의 대상으로 바라봤던 글들도 많이 나왔지만, 이 글에서는 이들의 현실과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주민 여성, 특별히 결혼 이주민 여성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주체로 형상화할 수 있는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 개념을 통해 해석해 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목적 주체”로서의 여성 정체성 확립이 이주 여성들을 어떻게 여성을 이루고 있는 다양한 고원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이에 더하여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로부터 고민해 볼 수 있는 신학적 개념 ― 신비와 다양성의 하나님 형상을 닮은 사람들 ― 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하갈을 성경적 여성의 주인공으로 해석한 들로레스의 관점 또한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주 여성들을 한국 여성의 타자로 희생자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주체로, 따라서 신비한 하나님 형상을 지닌 동등한 존재로 이해하는 인식의 전환과 새로운 명명의 방식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장덕조 소설의 <젠더의식> 고찰 - 地下女子大學을 중심으로

        김윤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characters of various agents in Jang Deok-jo’s novel Underground Women’s University reproduce social and cultural conventions and the way gender is bent and bursts out as desiring, ethical, and nomadic agents. This study looks into the female gender of Yun-mi, So-yeon, and Gyung-hwa in Underground Women’s University, three characters who move beyond the past that has accepted male-dominated politics and demonstrate new awareness as an agent, and male gender additionally.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s analysis: First, while the novel is conscious of how others see and shows one’s physical body through Yun-mi, it presents a possibility of a new discourse on the body as one’s desire is expressed and physical senses for the importance of one’s being are confirmed socially. Second, the novel shows preferred female awareness through So-yeon, which conforms to dominant discourse and further solidifies self- discipline. Third, the novel also demonstrates resistance and change with the realization of Gyeong-hwa, who attempts to restore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in the issues of violence by male power that mainly ‘oppresses women,’ pregnancy, abortion and oppression. These characters expand their outreach and horizon as in revolt against conventions and achievements in work and highlight an orientation towards the female agent’s new narrative. Jang describes the world of capitalism in underground style, maximizes the reader’s interest with the background of the luxury traditional restaurant ‘Cheongjeongjang’ where sex is bought and sold, expands and deepens the dynamic relations of feminist solidarity, and represents gender awarenes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he makes the issue of awareness about reality covert, coexistent and categorized when a gender discourse is shaped. From the double- standard aspects of the social environment derived behind the scenes from industrial capitalism, its limitation may also be pointed out that female awareness is included or excluded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s the agent on ‘boundaries.’ 이 연구는 장덕조의 장편소설 地下女子大學 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체의 인물 들이 사회․문화적 관습을 재생산하며 욕망하는 주체, 윤리적 주체, 유목적 주체로서 굴절되고 분출되는 젠더 양상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地下女子大學 에서 남성 우위의 정치학을 수렴해 온 과거를 탈피하고 새로운 주체 인식을 보여주는 온 윤미, 소연, 경화 등 세 명의 여성 젠더가 중심이며, 부수적으로 남성 젠더를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미를 통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신의 육체를 보여주지만,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며 존재의 중요성에 대한 감각을 사회적으로 확인받는 등 육체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내재하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소연을 통해 지배 담론에 순응하고, 자기 규율을 더욱 공고히 하는 바람직한 여성의식을 제시한다. 셋째, ‘여성 억압’의 주된 대상인 남성 권력의 폭력, 임신과 낙태, 억압 등의 문제에서 여성의 성적․재생산적 권리의 시도를 재기하는 경화의 자각으로 저항과 변화를 보인다. 이들은 관습에 대한 반란과 일에 대한 성취 등 외연과 지평을 확장하며 여성주체의 새로운 서사를 지향하는 모습을 부각하고 있다. 장덕조는 자본주의의 세태를 음성적으로 발화하며 성의 거래가 이루어지는 ‘청청장’ 요정을 배경으로 독자의 흥미를 극대화하며, 여성주의적 연대의 역학관계를 확대․심화하였으며 젠더의식을 다양하게 표상하였다. 또한, 젠더담론의 형상화 과정에서 현실의식의 문제를 내밀화․공존화․범주화하였다. 새로운 서사를 구축하는 이면으로는 산업 자본주의에서 파생된 사회적 환경의 이중적 양상 속에 여성 인식이 ‘경계’의 주체로서 사회․역사적 맥락의 과정에서 포섭/배제되는 한계 또한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소설의 유목적 주체성 연구

        심영의(Shim young-eui)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이 글에서는 천운영의 소설 『잘 가라, 서커스』와 송은일의 소설 사랑을 묻다를 중심으로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감정자본주의와 유목적 주체의 문제를 살펴본다. 이 두 소설은 사랑과 경제의 관계를 통해서 조선족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꿈과 삶, 사랑과 상처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국제결혼은 가난한 나라 여성의 경제적 동기와 한국 남성의 가부장적 전략의 협상 결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신부들의 결혼 동기를 단지 경제적인 차원으로 환원시키기보다는 ‘결혼’과 ‘이주’를 통해 이들이 배우자와의 관계를 포함한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만들어 가고자 하는지에 대한 물음이 제기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새로운 사람들과 낯선 생활 풍습 속에서, 익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며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여성인물의 정체성을 ‘유목적 주체성’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유목적이며 들뢰즈-니체적 관점에서 볼 때 윤리학은 본질적으로 부정성을 긍정적 열정으로 변신시키는, 이를테면 고통 너머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고통을 부정한다기보다 오히려 이를 활성화하고 고통을 통해 작동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참담한 고통 속에서 생겨난 지표만이 인간 전체를 의미 있는 방향으로 이끌어간다는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motional Capitalism and the issue of nomadic subjectivity in multicultural novels especially on 『Good bye, circus』 written by Cheon Un-young, and 『Ask about love』 written by Song Eun-il. These two novels reveal Korean immigrant women"s dreams, lives, love and wound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love and the economy. The international marriage which increases rapidly in our society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negotiations between the economic motive of Korean immigrant women from poor countries and the patriarchal strategy of Korean men. However it"d rather raising the question about how to make their lives including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through ‘marriage" and ’immigration" than understanding the motive for foreign marriages to be related with economic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dentities of female characters in these novels which are acquired in process of abandoning the old life style and making with the strangers in unfamiliar surroundings and focused on their nomadic subjectivity. From the nomadic and Deleuze-Nietzsche point of view, the ehtics is essentially changing negativity to positive passion which is like moving on beyond agony. It"d rather invigorating and activating through agony than denying the agony.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only the indicator made in destress leads mankind to the significant direction.

      • KCI등재후보

        십대와 그 영화적 재현의 가능성과 난제들 : <세친구>, <고양이를 부탁해>,<나쁜 영화>,<눈물>을 중심으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08 영상예술연구 Vol.12 No.-

        이 글은 소수자 집단과 대표적인 소비주의 주체, 문제 집단과 희생자 집단이라는 모순된 정체성과 지위 속에 놓여 있는 십대와 그들의 하위문화를 묘사하고 있는 네 편의 한국 영화들을 통해서 십대가 지닌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어떤 방식을 통해 재현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십대에 대한 진정성을 지닌 재현이란 과연 어떤 것인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세 친구>(임순례, 1996)는 십대 남성의 정체성과 육체가 우리 사회에 만연된 제도 적이거나 일상적인 폭력을 통해서 어떻게 규정되고 또 상처받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그 결과 이 영화는 한편으로는 사회 전체를 나타내는 은유이자 징후로서의 육체의 의 미를, 다른 한편으로는 젠더 정체성이 심리적 차원만이 아니라 육체적인 차원과 맺고 있는 관계를 비판적으로 드러낸다. 한국 영화 중에서 보기 드물게 십대 여성에 대한 사실주의적 재현을 보여주는 <고 양이를 부탁해>(정재은, 2001)는 인천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해서 우리 사회의 주변 성을 포착하는 동시에 십대 여성의 유목적 주체성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페미니즘적 시각을 통해서 남근중심적인 시각 경제를 벗어나는‘여성에 대한 대안적 형상화’라는 성취를 이루어낸다. <나쁜 영화>(장선우, 1997)는‘나쁜 아이들’과‘행려들’을 영화에 직접 출연시키 고 또 그들의 실제 경험을 재연함으로써 현실과 재현 간의 경계를 질문하고 해체하고 자 하지만, 비효율적인 형식과 비성찰적인 시각으로 인해서 그 대상을 타자화하고 그 들의 이미지를 식민화한 결과‘십대 선정주의’라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십대를 성적 주체로서 긍정하고 십대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제도적 힘들을 담아내고 있는 <눈물>(임상수, 2000)은 한국 사회의 가족 제도와 성 담론이 갖고 있는 모순과 억압성을 폭로하지만, 십대 주체를 결국 파괴와 순응이라는 이분법 적 도식 안에 가둠으로써 스테레오타입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한국영화사에서 네 번째로 이루어진 집단적인 청년영화의 등장이라는 맥락 속에 놓인 네 편의 영화들은 십대 주체들이 처한 모순적 현실을 드물게 직시하는 동시에 전반적으로 반(反)환영주의에 가까운 미학적 결과를 보여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 만, 두 편의 여성 감독의 영화들과 두 편의 남성 감독의 영화들은 그 영화적 스타일은 물론이고 십대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소수자 집단 을 묘사하는 영화에서의 재현의 정치학이라는 문제와 여성주의 영화 미학의 가능성 을 과제로 남겨준다. This essay reviews four films that describe the subculture of teens who are situated among conflicting identities between minorities and subjects of consumerism or trouble makers and victims. These films show how the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meaning of teens can be represented, raising questions about what are the authentic representation of teens. Three Friends (Im, Soon-rye, 1996) shows how the bodies and identities of boys in their teens are defined and hurt through institutional or ordinary violence permeated in Korean society. So the movie shows the meaning of body as metaphor and symptom of the whole society on the one hand, and it also critically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identity and physical as well as psychological disposition. Take Care of My Cat (Jeong, Jae-eun, 2002) is a rare case of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eenage girls in Korea. The film captures the marginality of society centering on the space of port city, Inchon. The film also accomplishes 'alternative representation of women’ that breaks the phallocentric economy of vision through feminist perspective on the nomadic subjectivities of teenage girls and their relationship. Timeless, Bottomless (Jang, Sun-woo, 1997) featured ‘bad teens’ and ‘the homeless’ in the movie and represented their real experiences, which was intended to question and disintegrate the border between reality and representation and documentary and fiction. However its intention fails and the film is ended as a case of ‘teenage sensationalism’ by othering them and colonializing their images through unreflective perspective on teens and inefficient forms. Tears (Im, Sang-soo, 2000) affirms the teens as sexual subjects and describes diverse socio-cultural contexts and institutional influences surrounding teenagers. Though it discloses the contradiction and repression inherent in family system and sexual discourse in Korean society, it makes stereotypes of the teenage subjects by confining them in the dichotomous frame of deviation and conformity, These four films are located in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the fourth collective appearance of youth films in Korean film history. They face up to the contradictory circumstances where Korean teenage subjects are placed and achieves anti-illusionistic effects in their aesthetics. However, the two films made by women directors and the other two made by men directors clearly show the differences in their perspectives towards teenagers as well as in their filmic styles. This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about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minority and possibilities of feminist film aesthetics.

      • KCI등재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3

        본 논문은 지구화와 이주의 여성화 시대에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을 이론화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이론적 자원을 검토하고 이를 페미니스트 이주연구 및 한국사례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이주란 국경을 비롯한 다양한 경계를 넘나들며 새로운 상황과 관계 속에서 자신의 사회적, 물리적 위치를 끊임없이 협상해 나가는 과정이다. 특히 여성 이주자들은 남성 이주자들에 비해 더욱 다면적인 억압과 정체성 변환의 요구에 직면하며 따라서 그 누구보다 위치의 정치학을 체현하는 존재들이다.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이론적 자원은 이러한 주변화된 존재들이 다양한 정체성 협상을 통해 페미니즘적 주체로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인식론적 통찰과 개념 및 언어적 도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근 페미니즘 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이론들이다. 그것은 글로리아 안잘두아 등이 제안한 경계지대와 메스티자 주체론, 억압의 교차성 이론, 들뢰즈와 과타리의 이론을 페미니즘적으로 전유한 로지 브라이도티의 변위와 유목적 주체론이다. 권력의 교차와 주체의 변화를 공간적 은유로 개념화한 이들 이론의 검토를 통해 상호 맞물려 있는 공간과 젠더, 이주에 대한 인식론적 통찰은 물론 한국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적 도구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research to theorize women migrants’ positional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It particularly examines three recent theoretical approaches within feminist studie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feminist migration study. Migration means a process of continuous negotiations of one’s social and material positions within ever changing relations and situations through crossing various borders including national boundaries. Women migrants face multifaceted oppressions due to gendered relation and greater challenges to transform their identities. They embody politics of location through migration. The paper revolves around theories that explore a potential of feminist subjectivation of marginalized women such as female migrants through their identity negotiation and transformation. The theories in questions are Borderlands and the New Mestiza introduced by Gloria Anzaldua, Intersectionality of oppressions, and Transpositions and the Nomadic Subjects by Rosi Braidotti who borrowed the theories of Deleuze and Guattari through feminist critiques. These theories all represent power relations and subject transformations through spatial metaphors. rough spatialized understandings, the paper proposes interlocking relations among space, gender and migration, and explores conceptual tools as well as epistemological insights for Korean migration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