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영화 도시 부산, 아시아 영화의 심장과 영화 창조 도시로

        주유신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13 부산연구 Vol.11 No.1

        부산이 진정한 '영화도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해서는 첫째, 지역성과 역사성 그리고 시민들의 일상적인 삶에 기초한 로케이션지로서의 브랜드 자원을 발전시켜나감으로써 로케이션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둘째, 기존의 '영화촬영하기 좋은 도시'와 '영화만들기 좋은 도시'를 넘어서서 '메이드인 부산' 영화의 제작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아시아 영화의 심장'으로서의 부산은 아시아영화문화의 중심이자 정보발신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아시아의 도시들과의 영화 산업 정보 공유와 정책 협력, 공적 개발 원조 등을 통해서 아시아 영화산업 진흥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부산이 향후에 UCCN의 영화분야에 가입할 수 있다면 창조산업 육성을 통해 도시의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영화영상 클러스터와 BIFF에다가 다양한 해양과 관광자원을 결합한 독특하고 다양한 창조 관광을 실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들 위에서 부산은 영화 문화와 산업 발전의 성과가 도시 전체로 확상되는 '영화도시'로, 아시아 영화 발전의 진정한 원동력이자 중심이 되는 '아시아 영화의 심장'으로 그리고 영화가 진정으로 도시의 창조적 원동력이 되는 '영화 창조도시'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주유신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structure of Korean film industry and the statuses of women working behind and in front of the camera in terms of the gender equality policy in its starting phase. Then it tries to find a way to fomulate the gender equality policy that is possibly most beneficial and realistic. The 'sloping playground' shown by the Korean film industry is the fundamental foundation of gender inequality which is depicted in Korean cinema as wll as women in Korean film industry have endured. One could pinpoint two aspects of Korean film industry that have been creating environments hostile to women's entry into the film industry and their survival in the field. Those aspects are ‘vertical integration and screen monopoly' and 'polarization of box office and thereby weakening of middle-budget film.' They tend not only to cultivate and maintain the male-centered industrial culture but also to accelerate the breakaway of the outstanding creative workforce from the industry. Recent Korean films show serious gender imbalance in their ways to tell and portray narratives. They are filled with male actions, crimes, and adventures while they seldom deal with stories of women. However, some cracks and new movements have been detected in the topography of recent Korean films. Some films focus either on attractive female characters or on relationships between women. Another films try either to writ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women or to display the social reality in which women of various generations are. In addition, it is absolutely not easy for female filmmakers to enter the industry but sadly natural for them to leave there. It is because female filmmakers are rarely provided with stable working conditions and their works are often undervalued. They have been forced to put up with working environments like poor terms of employment, threats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violence, etc. I would like to submit two proposals regarding the gender equality policy, giving enough thoughts to the reality of Korean film industry. One is to draw up short and long term plans in order to achieve the 50:50 target employment rate within three years from 2019 by 2021. It is to actualize the gender equality in the domain of public funds. The other is to promote active and efficient collaboration among three important organizations in this matter such as Korean Film Council, Seoul International Women's Film Festival and Women in Film Korea. 본 논문은 이제 겨우 출발 단계에 놓여 있는 한국 영화 성평등 정책과관련하여, 이를 규정하는 영화 산업적 구조 그리고 카메라의 안과 밖에서여성들이 처해 있는 위치 등을 살펴본 후에 바로 이런 현실 위에서 수립가능한 성평등 정책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 영화산업이 보여주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모습은 바로 영화계에서 여성 인력이 처한 열악한 현실이나 한국 영화 속 여성 재현이보여주는 젠더 불평등의 토대이자 출발점이다. ‘수직계열화와 스크린 독과점’ 그리고 ‘흥행 양극화와 중예산 영화의 약화’라는 두 가지 양상은 남성중심적 산업문화의 지속, 우수한 창작 인력의 영화계 이탈을 가속화시킨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화계 진입과 영화계에서의 생존 모두를 위협하는 환경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 영화는 남성 중심의 액션, 범죄, 모험 등으로 채워져 가는반면에 여성적 서사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지면서 영화 속 이야기와 시각에 있어서 젠더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 영화의 지형도에도 약간의 균열이나 새로운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 일부 영화들은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 여성 간의 관계와 에로티시즘에 집중하거나, 여성의 시각을 통한 역사쓰기를 시도하거나, 다양한 세대의 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현실을 힘있게 묘파하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 영화인들은 낮은 고용의 질, 경력 단절, 성희롱과 성폭력의위협 등으로 인해서 그 노동을 정당하게 평가받지 못하거나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갖지 못함으로써, 진입은 쉽지 않은 반면 이탈은 손 쉬운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러한 한국적 현실에 걸맞은 성평등 영화 정책을 여기에서는 두 가지측면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하나는 2019년∼21년에 이르는 3년 안에 공적기금의 남녀 동수 지원이라는 50:50 타깃제를 달성하기 위한 장단기 계획이라면, 다른 하나는 영화진흥위원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그리고 여성영화인모임이라는 세 주체의 적극적인 협력과 효율적인 역할 분담에 대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퀴어 정치학과 영화적 재현의 문제 : <지상만가>(김희철, 1997)를 중심으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10 영상예술연구 Vol.16 No.-

        한국 사회는 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는 물론이고 특히 극도로 보수적인 다양한 성이데올로기들조차 제대로 비판의 도마에 올라본 적이 없는 사회이다. 더구나 한국 영화의 성적 재현 속에서 동성애자나 동성애 성애 자체는 이성애중심주의로 인해 단지 모호한 상징이나 희화화된 스테레오타입으로 주변화되거나 제한되어 왔다. 이러한 현실은 페미니즘 정치학과 퀴어 정치학의 상호 관계를 새롭게 고민하면서, 양자의 문제틀과 논쟁점들을 현재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재현물들과 그 안의 이데올로기들에 비판적으로 적용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다소 섣부르거나 그 결과 관념론적인 한계를 띠게 될 가능성도 있지만, 퀴어 정치학을 전망으로 삼아서 이루어지는 분석과 비평은 페미니즘적 개입과 더불어, 한국 사회를 지배하는 보수적 이데올로기와 실천들이 지닌 불완전성과 허구성에 대한 도전과 폭로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근본적으로 동성애자 정체성은 ‘남성 안의 여성성’, ‘여성 안의 남성성’과 같은 전도된 젠더 정체성을 통해서 양극화된 젠더 이분법을 동요시키는 의미를 갖는다면, 동성애 성애는 성 행위가 젠더 정체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통념에 도전하게 된다. 또한 여성의 성적 자율성이 고양된 것과 더불어 여성과 남성 동성애 모두는 성적으로 정통적인 것 그리고 성적 보수주의에 대하여 새로운 성적 영역을 확보하고 개척해왔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섹슈얼리티 이론을 중심으로 퀴어 정치학을 둘러산 제반 쟁 점들을 살펴본 후에, 1990년대 이후 전개된 ‘뉴퀴어 시네마’의 역사적 등장 과정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보고 나서, 마지막으로는 전혀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에 위치한 한국 영화 한 편에 대한 퀴어 비평의 가능성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Patriarchal or conservative sexual ideology has never been profoundly and thoroughly criticized in South Korea. Moreover, homosexuals or homosexuality itself has been marginalized and restricted just as the ambiguous symbol and caricaturized stereotype by heterosexism in the sexual representation of South Korean cinema. With the formation of the new interrelationship between feminist politics and queer politics, we need to critically rethink and examine the diverse cultural representations and ideology inherent within them in terms with the problematic and debates of both politics. For along with feminist interventions, analysis and criticism with a perspective of queer politics reveal and challenge the defectiveness and falsehood that dominant conservative ideology and practices in the society have produced. As homosexual identity significantly unsettles the polarized gender binarism through the reverse gender identity-for example ‘the feminine in men’ and ‘the masculine in women’, the homosexual eroticism challenges the notion that sexual activity is closely related with gender identity. With an enhancement of women’s sexual autonomy, both female and male homosexuality pioneers and procures new sexual territories against the sexual conservatism and authenticism. In this essay, I will thus examine the theoretical premises of queer politics and their representational articulations in terms with a theory of sexuality and critically retrace the process of historical emergence of ‘New queer cinema’ since the 1990s. Lastly, I will try a queer criticism on a South Korean film loca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e dominant sexual 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