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공항사인시스템에 관한 시인성 평가 연구

        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Universal Design' originated from America in 1950 has been activated in many countries such as Japan, Germany, Sweden, Denmark, and so on. In Korea, various activity was hold from 'Universal Design International Symposium' in 2000 to 'Universal Design Collection' in 2005. Necessity of searching seizing an external and internal situation whether applied situation approaches to universal design's principle. Intension sign system's factors of visual information in nine international airport including Japan Nagoya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estimated to the principle's universal design. With this searching, it is expected that we suggest standard and scheme which will be reflected in public facilities's sign system development in the future and we make a policy that make society designalize the public sign system universal. As a result of searching, tendency of universal of visual information's factors is imperfect contrast to a tremendous scale of international airport and there are some parts adequate to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But, there is no part adequate to every design factors. Accordingly, a direction that all sign system is grafted to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is needed entirely, and rational development direction needs to be settled. 1950년 미국에서 시작된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용어가 정착되면서 일본, 독일, 스웨덴, 덴마크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도입, 활성화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유니버설 디자인 국제심포지엄의 개최와 2004년 “이시대의 좋은 디자인유니버설 디자인전“의 시작으로 2005년에는 유니버설 디자인 공모전 개최 등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외형적인 면과 견주어 내면적인 면, 실질적으로 도입 및 적용되고 있는 현상을 파악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어느 정도 가까이 접근되어 있는지를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일본 나고야 중부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인천 국제공항 등 9곳의 국제공항을 대상으로 유도사인시스템의 시각정보 요소들을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연구를 통하여 향후 공공시설의 사인시스템 개발에 반영해야할 기준과 방안을 제시하고 고령화 시대에 진입한 우리나라도 개도국에서 탈피하여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국가로서 사회복지 시설이 일반인을 기준으로 제정되던 것에서 벗어나 노약자나 장애인 등 모든 계층이 불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공공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화 하는 정책을 펼쳐나가기를 기대한다. 연구 결과 국제공항으로서 외형적 규모에 비해 시각정보 요소들의 유니버설화는 미비하였고, 일부분에 한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칙에 적합한 영역도 있었다. 그러나 모든 요소에 적합한 디자인은 한곳도 적용되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노령화 시대에 맞추어 공공사인의 유니버설 디자인화가 부분적인 개선정도에 그칠 것이 아니라 통합적 관리 하에서 사인시스템 전체를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에 접목시키는 방향성을 가져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합리적인 개발방향이 정립되고 정착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사회변화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

        장혜진 ( Hae Jin Cha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효과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정책수립과 적용을 위해서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변화의 양상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들을 예측하고,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현황을 진단한 후 사회변화의 양상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한 사회변화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를 예측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연구논문, 정책보고서, 문헌, 법령 등을 통해 선행연구와 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국내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 등을 중심으로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변화를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했다. 연구결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회변화로 초고령화 사회 진입, 사회통합 추구,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신기술 출현 및 산업 다변화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을 사회변화 양상에 비추어 점검한 결과, 향후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사회 구성원 간 공존의 가치 추구, 지속 가능성의 추구, 공공영역에서 민간영역으로의 확장,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영역 다양화가 그것이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수립 및 디자인 분야의 유니버설디자인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For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application related to universal design, the comprehensive study on the aspect of social changes that influences on human lives must be performed in priorit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predict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ill change according to social change,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and suggest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Methods This study selected major social chang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predicts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ould be transformed by the social changes. Through the research papers, policy reports, literature, and law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previous studies and policy tren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focusing on current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ased on such,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s was suggested. Result The major social changes to be considered in deriving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include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pursuit of social integratio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es.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garding the current domestic universal desig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which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are derived into four directions; pursuance of coexistence value between social members, pursuance of sustainability, expansion from public areas to private areas, and diversific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are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foundation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in design areas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al changes.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을 위한 트리즈 40가지 원리 적용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김세희(Kim, Se Hee),고의석(Ko, Eui Suk),권오성(Kweon, O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유니버설디자인은 가장 넓은 범주의 사용자가 가장 넓은 범주의 상황에서 제품,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는 것으로 많은 제약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디자인보다 더 구현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무작위의 아이디어 발상보다 트리즈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에 트리즈 40가지 원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트리즈 40가지 원리에 해당하는 일반 또는 디자인 사례와 유니버설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 사례를 통해 디자인 관련 연구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에 적합한 트리즈 40가지 원리의 우선순위를 매기도록 한 후, 스피어만 순위 상관 계수를 통해 트리즈 40가지 원리와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에 수강 중인 디자인 학부생 26명을 대상으로 트리즈 40가지 원리에 해당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사례를 교육함으로써 트리즈 40가지 원리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에 트리즈 40가지 원리를 적용 해 보는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일반 문제 해결과는 다른 우선순위의 트리즈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와 나이, 상황에 따른 다양한 범위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넓은 신체적 범위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하는 이슈가 많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문제에서 트리즈 40가지 원리 중 유형의 요소, 만지고 볼 수 있는 요소로 해결할 수 있는 원리가 우선 적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Universal design is the most variety of people in wide range of circumstances that could use products and environments which is a difficult area due to restrictions more considerable than other design field. Therefore, applying for TRIZ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efficient rather than random concept ideation in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is study, the general or design case and universal design case has been examine which corresponds with TRIZ 40 principles that can be utilize on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rough these cases, appropriate prioritize on TRIZ 40 principles has been conducted by 8 design allied researchers for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And then Authors inqui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IZ 40 principles and the cases of universal design by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ls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RIZ 40 principles and universal design by educating universal design cases that corresponds with TRIZ 40 principles to desig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s in universal design course. An application of TRIZ 40 principles on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workshop has been conducted. As the result, different priorities of TRIZ principles applied by general problem solving in the process of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Due to universal design has a large number of issues that requires to afford diverse range of people with disability, age, circumstances and cover wide range of physical, a concrete element has applicate priority of TRIZ 40 principles on universal design problems.

      • 신체 동작별로 구분한 유니버설 디자인 패턴 연구

        박성준,홍석재,박재일 대한산업공학회 2010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6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은 사람의 연령이나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나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인구의 고령화 및 더 나은 생활의 수요 증가로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금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유니버설 설계자가 사용자의 세밀한 관찰읕 통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니버설 설계자가 없는 일반 기업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도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들의 정보화가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보화는 구체적인 대상을 일반화 (추상화) 하고 일반적인 해법을 연결하여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TRIZ의 방법론의 도입이 필요하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알지 못해도 일반적인 설계자가 유니버설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일반화하였다. 일반화는 신체부위별 특성 및 동작을 기준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공통 해법 패턴을 정의 및 분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서울시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에 관한 연구

        하정민,장영호,김주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30 No.1

        주민들이 도보권 내에서 일상에 필요한 공적 서비스를 방문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이 주민센터이다. 소규모 공공건축이자 근린생활시설로 설치되는 최소 단위의 행정시설로써 모든 지역에 균등하게 설치되어 공공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곳이며, 이는유니버설디자인에서 표방하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편리한 보편적 환경이 제공해야 하는 최소단위의 공공공간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사업이 진행된 곳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현황을 통해 평가지표로서 향후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범위 및 방향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 고찰을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영역,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의 동주민센터에 대한 적용을 이론적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와 연구자가 추가한체크리스트를 통해 현장의 적용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로는 주민센터의 현황분석을 통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사업을 시행한 곳임에도 불구하고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화에 발맞춰 지역특성에 맞는 외국어 병기 표기가 되어있지 않은 점과 리모델링에 적합한 공간개선에 대한 평가지표가 분명하지 않아 물리적 환경요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 기준을 좀더 상황에 맞게 세분화한다면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이 좀 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은 행정과 복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곳으로 변모하였다. 초고령사회, 국제화, 다문화가정의 증가 그리고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하는 다양한 주민센터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분화된 평가지표와 기준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배려받는 공간으로 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 점검을통해 실제 주민센터 유니버설디자인의 현황 조사를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주민센터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대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munity service cent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ces, where inhabitants visit in walking sphere for public services necessary for daily life. It is the small scale public building in neighborhood as minimum administration facility in all areas to realize publicness. It is also the minimum public unit providing safe, convenient and universal environment that universal design claims. There exist great efforts to realize to achieve the goal.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where space improvement project was progressed, to provide the base data for the application range and orientation of universal design to community service centers in the future. The concept and area of universal design, outreaching community service center service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 the community service center was reviewed theoretically through literatures. Then the checklist of the integrated guideline for universal design and also the checklist modified by us were used to research the applicability on site to yield the result. It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was insufficient in the community service centers where space improvement project was performed. Especially, even in globalization era, foreign language sign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didn’t exist and the standards to evaluate space improvement suitable for remodelling were not clear that physical environment factor was insufficient. The universal design would be applied more efficiently if the evaluation criteria are subdivided situationally. The universal design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developed to carry out the administration and welfare at the same time. It requires the various approach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for super aging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l citizens. And subdivided criteria and standars are necessary to complement. Community service centers would be evolved into the spaces where users are considered carefully through it.

      • KCI등재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DB 구축 및 활용방안

        김남훈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7

        현대사회에 있어서 상품의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의 도입은 글로벌 시대를 구현하는 효과적인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를 고려한 고부가가치 핵심요소가 됨으로서, 패키지디자인 분야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를 패키지디자인에 접목시키는 것은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향후 유니버설디자인의 도입은 향후 더욱 증가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 우수 사례와 평가척도 등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관련 우수 사례 및 전문가 평가 등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DB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위한 상품별 패키지디자인 이미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요소별로 객관적인 평가를 거친 DB를 구축하여 향후 신상품 디자인 개발 및 패키지디자인 교육을 위한 유용한 자료 및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색시스템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DB 시스템은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색 결과로 인해 유용한 디자인 컨셉을 제공할 것이며, 또한 패키지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에 대한 평가 자료는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roduced for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 in this society has been used as an effective medium to realize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s the point with added value in consideration of customers, changes in an area of package design are desperately needed. Thus, it is expected that grafting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into package design will be a new opportunity to companies and in such aspect,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will be facilitated and its good examples and evaluation measure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In particular, studies on development of effective universal package design DB which organizes and uses information on good examples and evaluation by experts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developed database of package design images of products which have objective evaluations for development of universal package design and a retrieval system through which useful data and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new products and education on package design can be obtained. The DB system proposed will provide useful design concepts based on various results retrieved on universal design, and evaluation data on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creation of new knowledge on universal package design.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제도 실효성 연구

        박선희,이주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로 인하여 인구구조가 초고령화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 잠재적인 장애 인구 증가가 예상되고 단독가구의 증가로 미래사회에 대한 대응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고령자, 이동 약자 등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이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는 생활환경 마련과 생산연령인구가 효율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 개소 이후 추진한 컨설팅 사업대상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분석하여 컨설팅 제도의 실효성을 연구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컨설팅의 제도 현황을 점검하고 더 나아가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다양한 분야로 정책이 확산을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고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여러 유형 중 사전컨설팅을 대상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한 컨설팅 사업대상지를 선정하여 결과 개선안의 회신 반영률과 회신기한을 분석한 후, 준공이 완료된 곳을 중점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현황을 분석하고 컨설팅 제도의 실효성을 파악한 후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분석을 통하여 사업대상지에 따른 편차가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지만, 컨설팅을 추진한 사업대상지의 유니버설디자인 개선안 반영 및 적용한 곳이 조금씩 많아지고 변화하는 것을 현장 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컨설팅 추진 건수가 증가할수록 컨설팅 제도 및 절차 등에 대한 체계가 점차적으로 구체화 및 안정화되었다. (결론)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제도는 짧은 시간 안에 가시적인 효과나 성과를 보여줄 수는 없지만 지속적으로 컨설팅 사업을 추진하여 제도를 유지하고 꾸준히 발전하여나간다면 조금씩 생활환경이 변화하고 그 작은 변화들이 쌓여 훗날에는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컨설팅 제도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개선 또는 미비한 사항이 있다면 발전시켜야한다.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컨설팅 절차 개선 방법 등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및 확산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고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문화시설에서의 안전취약계층을 배려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규리 ( Kim Gyuri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인구 급증에 따른 초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로 인해 국가와 시민들은 안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그리고 신체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배려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모두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정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법적 최소한의 기준으로 한 물리적 개선인 배리어프리 이상의 확장된 범위의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에 착목하여 우리 주변에 늘어나고 있는 다양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공공문화시설에서도 안전취약계층이 충분히 배려 받고 있는지, 유니버설디자인이 실효성 있게 잘 적용이 되었는지 현황을 살피고 부족함이 있다면 정책적 개선 요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향후 안전취약계층을 포함한 누구라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공문화시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 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참고문헌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첫째,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과 디자인 정책의 정의와 유형 및 공공문화시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둘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과 공공문화시설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을 이끌어가는 주요 국가인 네덜란드, 일본, 미국의 해외 참고 자료와 국내의 공공문화시설 현황과 정책 연구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토대로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외 주요국가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특장점을 살펴보았다. 넷째, 앞서 조사한 국내와 해외 공공문화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례와 정책사례 분석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실효성 있는 정책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이 공공문화시설에서의 배리어프리를 넘어선 확장된 범위의 유니버설디자인의 필요성과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현황의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를 위해선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이 각 분야에서 통합된 형태의 실행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에 시사점을 던졌다. (결론) 국내외 사례를 통해 알아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은 국가의 정치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특징을 알 수 있었고, 분석한 결과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한계점은 국가주도의 법적인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지자체의 관련 조례 안에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통합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개선으로, 공공문화시설 뿐만 아니라 모든 다중이용시설에의 안전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모두가 배려받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누구나 공공문화시설을 안전하게 방문하고 편리하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the arrival of an aging society due to the surg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unexpected safety accidents caused by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 nation and citizen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safety. And as we recognize the need for consideration for the safety vulnerable who are not physically free,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niversal Design policies for all.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need for a universal design beyond Barrier Free, which is a physical improvement based on legal minimum standards, and suggests the need for policy improvement if the safety vulnerable are fully considered and applied well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addition, the goal i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anyone, including the vulnerable class, to apply universal design to most multi-use facilities as well as public cultural facilities safely and conveniently in the future.(Research method) Based on reference and case studies, this study first considere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e definition and type of design policy, and the meaning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Seco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nd public cultural facilities, foreign references from the Netherlands, Japan, and the U.S., major countries that lead universal design, and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Korea were collected. Thir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based on prior research and data survey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Fourth, the effective policy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was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cases and policy cases of public cultural facilities in Korea and abroad. (Results) This study noted the need for universal design beyond the barrier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ate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in Korea, suggesting that domestic universal design policies should be integrated in each field. (Conclusion) Universal design policies were identified in various types and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tegrated universal design policies as there was no legal basis for the state.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improve the universal design policy in Korea so that not only the public cultural facilities but also all the multi-use facilities can be considered, which will be the foundation for anyone to visit public cultural facilities safely and enjoy culture.

      • KCI등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장영호 ( Jang Young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국가차원의 법적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제정,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수립, 유니버설디자인 시범사업 추진 등 지역적 상황에 맞추어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구성원 모두를 배려하기 위해 개발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기간에 이루어진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높아진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의 유효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사업의 효율적인 분석기준 제시와 지표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운용하고 있는 서울시의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재정립합으로써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를 수립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제2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유니버설디자인 조례가 정비된 23곳의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운용체계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그에 따른 지표 분석을 위해 공공보도부분의 공사가 완료된 사업 등 모니터링 대상지 20개소를 대상으로 심의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심의 상의 문제점과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한계점을 고찰하며, 셋째, 효율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구성체계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의 4개 평가 요소를 제안한다. (결과) 심의도서 리뷰를 통해 첫째, 보도 영역 중 심의에서 실제 문제화되는 지표의 추출과 비교가 필요하고, 둘째, 주요 시설물에 대한 문제 파악이 가능한 모니터링 지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위원회 권장 기준 및 심의 시 제시 기준을 정량값 기준으로 하여 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보도 모니터링을 통해서는 심의제도를 통해 ‘사전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준공 후에도 심의비교 자료를 갖춘 준공보고서 의무제출 등 강력한 대책을 연동시키는 등 기본적인 인식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제도 이행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현재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최소 평가 기준과 준수 내용을 체크리스트로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모니터링 대상 안건의 다수가 기본적으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화를 위해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보도와 시설물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there are no national legal standard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ut the situation is being oper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situation, such as enacting universal design ordinances, establishing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and promoting universal design pilot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 based on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universal design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ncreased standards for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which was developed to consider all members of Seoul.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efficient analysis standards and to re-establish the indicator system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addition, by re-establishing the analysis standards and indicator system for the Seoul City checklist, which operates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universal design checklist, it provides useful basic data to local governments who intend to establish and operat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in the future. It is the second purpose to do. (Method) First, it review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23 local governments in which the Universal Design Ordinance has been established. It analyzes the deliberation data for 20 monitoring target sites, such as the completed project, and considers the problems of deliber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guideline checklist. Finally, after analyzing the universal design checklist composition system, we propose the four evaluation elements of the checklist by synthesizing it. (Results) Through the review of the deliberation book, first,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compare the indicators that are actually problematic in the deliberation in the reporting area, and secondly,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nitoring indicator that can identify problems with major fac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n index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city presentation as a quantitative value standard. In addition, through press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re-computing' through a deliberative system, and link strong measures such as compulsory submission of a completed report with deliberation and comparison data even after completion. A conclusion was drawn. (Conclusions) The current Universal Design Guideline is a checklist based on minimum evaluation criteria and compliance details, and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agendas to be monitored in this study are basically evaluated based on the checklist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e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guideline checklist,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are presented, and evaluation elements for sidewalk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guideline checklist.

      • KCI등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본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핵심 전략에 관한 연구

        장영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Seoul Metropolitan City’s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is to establish a universal design policy direction for the urban level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creation of a universal design urban environment, and a vision plan and goal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detailed project tasks consist of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and details of the specific project tas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Design Basic Plan of Seoul City and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 Based on the diversity, the policy of securing quality and quantitative dimension for establishing continuous follow- It aims at recognizing universal design to various users to cope with the central policy change demands. Universal Design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create a universal design city needs to set direction and plan approach based on comprehensiv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isting policy and situation related to UD,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y is centered on the contents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includ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s, major policies and system improvements, Seoul Universal Design City model development and detailed project proposals. The research scope is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to be directed toward future. Universal design for the city of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 for the safe city, third, universal design of sharing and respect, and fourth, sympathy. It is classified as a universal design of innovation, and it suggests stepwise strategy operation plan and activation plan. In addition, the vision, goal, and ten principles of Seoul Universal Design City are extracted as core concepts, and innovative global, sustainable, coexistence, sympathy, sharing, fairness, inclusion, As key keywords. This is because the tendency of the problem of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to be emphasized only on the national economic level has been the trend of the past. However, recently, by introducing design and culture into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The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city was suggested when it became mega trend. Seoul Metropolitan City’s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provides the vision, goals, and strategi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clud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establishing the policy direction and universal design urban environment, and business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dir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ailed project includes the premise of research that universal design should cover various situations through individual detailed project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Universal Design Basic Plan of Seoul will spread to universal design policy in the future, as there is no universal design related legal plan.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은 도시차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 설정 및 이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종합적 정책 수립, 그리고 그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을 포괄하여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 등의 구조를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개별 세부 추진과제들은 배경및 필요성과 구체적 추진과제를 제시한 세부내용으로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의 진행경과 및 계획의 방향과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후속계획의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정량적 차원의 품질확보 정책에서 정성적 차원의 품격중심의정책변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자에게 유니버설디자인을 인식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정비함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은 종합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방향 설정 및 계획적 접근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UD 관련 기존 정책 및 현황분석, 기본목표⋅추진방향 설정, 종합적⋅체계적 추진계획 제시, 주요시책 및 제도개선 사항 제시, 서울형유니버설디자인 도시 모델 개발 및 세부추진과제 제안 등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방향성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할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 도시를 위한 전략별 실행방안을 4개의 범주로 정립하여, 첫째, 삶의 질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둘째, 안전한 도시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셋째, 공유와 존중의 유니버설디자인, 그리고 넷째, 공감과혁신의 유니버설디자인으로 분류하여 단계별 전략 운영방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의 비전, 목표, 10대 원칙을 가장 핵심적인 개념으로 추출하여, 공존, 공감, 공유, 공평, 포용, 생활안전, 더불어 사는 공동체, 도시 공간이 숨쉬는, 혁신적 글로벌, 지속가능한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의 균형발전의 문제가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만 중시되는 경향이 예전의 흐름인데 반하여 최근에는디자인과 문화를 도시 문제 해결에 도입하여 도시 공간정책 차원에서 ‘시민의 삶의 질’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메가트렌드가 되고 있는 시점에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서울시의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은 서울시의 정책방향 설정 및 이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종합적 정책 수립, 그리고 그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을 포괄하여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개별 세부 추진과제들을 통해유니버설디자인이 여러 가지 상황을 포괄하여야 한다는연구의 전제가 세부 추진과제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확인할 수 있었다.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정계획이 전무한 상황에서 지자체 최초의 종합계획이라는 의미가 큰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이 앞으로 어떻게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으로 확산될지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