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ㆍ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관한 연구

        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한․중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에 대한 연구로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의미와 한국과 중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싼 이해관계와 해법 등 한국의 무형문화재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제도의 선정 및 등재 기준,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제도 및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세계문화 유산 헌장 및 선언문, 잡지, 신문, 세계유산위원회 운영지침에 관한 각종 문서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유네스코는 최초의 국제연합전문기관으로서, 2001년부터 격년제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제도를 통해 세계 각국의 뛰어난 가치를 지닌 구전 및 무형유산의 등재신청을 받아 지정해왔다.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기 위한 각국의 전략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으며,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국과 교류가 많았던 중국과 전통문화의 종주권 문제를 둘러싼 국가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를 둘러싼 한․중 문화갈등 종목을 살펴보면, 첫째, 고구려 고분을 2004년 중국과 북한에서 각각 등재, 둘째, 단오제 관련해서 2005년 한국의 강릉단오제 등재, 2009년 중국에서 단오제를 용선축제로 등재, 셋째, 농악관련해서 중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농무 2006년 등재, 넷째, 전통의학 관련해서 2009년 한국의 동의보감 등재, 2011년 중국의 침구 등재, 2012년 한국의 아리랑 등재 등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총 5종목의 문화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이런 경쟁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양국 간 문화 충돌로 발전하지 않도록 합당한 규범을 수립하는 한편, 한국의 전통문화예술을 전 세계에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무형문화유산을 유네스코에 등재하기위한 적극적 외교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 the registration of Korea‐China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gistration, and how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Korea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resolving conflicts with China. To identify the standards and criteria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management systems of Korea and China, and the status of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stitution, declarations, magazine, newspapers and worldwide heritage committee operational guidelines were analyzed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UNESCO is the first UN specialized institution and has been appoint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request of registration of orally transmitted 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 high values through Oral or Intangible Masterpiece System every other year from 2001. Competition of the countries to be registered as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getting fiercer and conflicts around the ownership of intangible culture have arisen. In particular,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Suzerainty are getting fiercer because of long history of interchanges. When looking into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ound the registration of UNESCO worldwid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followings are found; first, Goguryo tombs were registered by China and by North Korea respectively in 2004. Second, relating Danoje, Korea registered Gangreung Danoje in 2005 and China registered it as Yongseon Festival in 2009. Third, relating Nongak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d by farmers) Nongmu by Chosun people living in China was registered in 2006. Fourth, relating with traditional medicine, Donguibogam in Korea was registered in 2009, while China registered acupuncture in 2011. From 2004 to 2012, there were cultural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in 5 items including the registration of Arirang by Korea in 2012. In the future such competitions will be fiercer. Therefore, we need to establish fair and reasonable norms so that it would not be developed into the conflicts between two nations, to promot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o the rest of the world and to perform active diplomatic activities to registe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UNESCO as the culture of Korea.

      • 무형문화유산과 인류 보편의 공공성 :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이수나 ( Suna Lee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문명(文明)이란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 노동으로 창출된 결과물의 총체이며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으로 대별된다. 인류문명의 더 나은 세상을 구현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무형문화유산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대문명과 진보는 세계의 문화전통과 창조력, 사회 경제적 발전에 의한 것이라고 정의 내린다. 또한 세계문명은 산업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며 발전과 정신적·민족적 완수에 담당하는 역할을 인식하여 인류문화유산의 보호 및 보존의 확보를 제안함으로써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문화유산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서로를 지탱해주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문화적 편견을 허물고 보편과 특수의 균형을 회복하는 일은 중요하다. ‘우리 안의 세계’의 당위성을 형성하는 것은 외부로 향했던 시선에서 넘어서 균형있는 해석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배타적인 민족주의와 자국의 고유성, 극단적인 문화 절대주의 관점으로 해석한 국사형 미술사 연구방법론에 문제제기를 하는 바이며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연구방법론으로써 다문화주의 관점으로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자는 유네스코의 무형문화유산 협약과 무형문화유산이 보호되어야 할 규범적 근거인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고 민족적 정체성과 이를 보존하고자 하는 소수집단과 비(非) 서구 사회의 특수성을 수용하되 나아가 인류 전체의 보편적 성질인 공공성 관점으로 무형문화유산을 논의하였다. 인류 공공의 선을 위한 후대계승과 재창조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 무형문화유산의 역사적 흐름은 보편적 과학기술문화적 특질과 그 기술의 진보가 드러나며, 사회적 응집력과 정체성이 무형유산의 공적 성질로 특징지울 수 있겠다. 나아가 우리나라 무형문화유산이 개인, 장인을 중심에 두고 정책을 펼치는데 반해서, 유네스코의 주요 정책 핵심은 커뮤니티인 점을 통해서도 인류 보편의 공공성과 그 가치를 향해 자국의 고유성을 넘어 시야를 확장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우리의 삶의 여정은 무형문화유산과 자연스럽게 융합되고 사람이 실제로 무형유산을 향유하는 수행주체가 되어 지속적으로 쓰여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이 후대에 전해지기 위해서는 당대의 선택은 물론 달라진 시대의 취향을 이겨내고 시공간을 거듭 넘어 제 소임을 다할 때라야 비로소 유물로 남게 되는 법이다. 이것이 무형문화유산의 본질이다. 공예기술을 중심으로 한 무형문화유산의 공공성과 나아가야 할 방향, 비전을 모색하는데 일부분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Civilization(文明) is the wholeness of outcomes created by humane spirit and physical labors and is classified by spiritual civiliz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What is the reason why we concentrat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n alternative to embodying a better world of human civilization? According to UNESCO, it defines that modern civilization and progress result from global cultural tradition, creativity, and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world civilization headed toward industrialization, recognized the roles of development and spiritual·ethnic accomplishment, and suggested securement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human cultural heritage, so raised an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 for humane public goodness. For culture,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re indispensible factors supporting each other. It’s important to pull down cultural prejudice and recover the balance between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The formation of appropriateness of ‘our inner world’ means an improvement of the necessity of balanced interpretation beyond the sight heading the outside. This researcher brings up a problem to research methodology of national history typed art history, interpreted from angles of exclusive nationalism, native land’s peculiarity, and extreme cultural absolutism and raises a necessity to aim for humane universal value from an angle of multiculturalism as a research methodology of li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iscussed from an angle of public concern that is a property appeared universally in humanity as considering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diversity, a normative ground to protec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accepting distinctiveness of ethnic identity as well as minority and non(非)-western society who intend to preserve it. It’s to make the history of future generation succession and recreation for humane public goodness. The historic stream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ws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e and progress of the technology and social cohesiveness and identity may be characterized by public property of intangible heritage. Furthermore, as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splays policies by focusing on individuals and master craftsmen, the point of UNESCO policies is community. Therefore it’s necessary to expand our visions for humane universal public concern and the value beyond native land’s peculiarity. The journey of our lives must be naturally combined 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eople must be the subject who enjoys intangible heritage actually for continual use. To transfe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next generations, it’s necessary to endure not only selection of the period but also the changed preference and fulfill one’s duties across time and space so as to leave relics. It’s the esse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research should be helpful even a little to seek public concer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irection to proceed, and the vision by focusing on craft skills.

      • KCI등재

        인류무형문화유산 분야 종교의례 등재 현황과 연등회 등재의 과제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본 논의는 연등회의 의의와 가치를 검토하여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논자는 먼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홈페이지에 공표된 인류무형문화유산 366건의 목록을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종교의례의 성격을 지니는 목록을 아시아 18, 유럽 13, 아메리카 10, 아프리카 4건 총 45건을 검토하였다. 이 가운데 종교의례 유산 7건을 선정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부분 종교의례는 공연예술적 요소를 가지고 있고, 둘째, 각 의례의 예능 및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주체는 수행자 집단만은 아니라 다양한 계층이 함께 참여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셋째, 무형유산의 의미는 각각의 문화적 전통과 사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문화다양성의 입장에서 모두 존중되어야 하고, 넷째, 대부분의 종교의례가 전통의 단절없는 계승보다는 다양한 활용과 확산을 위한 교육과 대중적 소통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부분의 종교의례는 축제적 요소를 지니고 있고, 여섯째, 각각의 종교의례에 사용되는 도구나 공예품은 특색있는 상징과 문화상품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며, 일곱째, 종교의례의 전승과 확산의 성패는 보존 주체의 조직적인 역량이 좌우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연등회는 등불을 밝혀 내면의 무명을 깨고 지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며, 내면의 밝은 환희심으로 세계를 향해 소통하고 온 생명이 함께하는 열린 축제이다. 지금까지도 대중적인 인기와 관심 속에서 연등회의 가치와 의의가 구현되고 있다. 연등회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충분한 가치와 의의를 가지고 있다. 논자는 유네스코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등재 절차를 검토하고, 인류무형문화유산의 대표목록 등재기준에 연등회는 부합되는가를 살펴보았다. 총 5가지의 기준 가운데 4가지 기준은 현재 충분히 부합된다. 기준 4인 등재의 광범위한 신청의 참여는 등재 추진의 과정에서 충족될 수 있다. 연등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를 첫째, 연등회 등재를 추진할 주체 설정, 둘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 수립, 셋째, 연등회의 복합적인 문화적 가치를 정리해 실질적인 신청작업을 위한 체계적 준비, 넷째, 등재를 위해 관련 기관들과 유기적인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지속적인 미디어 활동, 다섯째, 연등회보존회를 중심으로 다양한 조직들과 연계하여 등재를 위한 자발적인 참여방안 모색 등으로 제안하였다. 아울러 장기적으로 수행해야 할 과제를 교육문제, 미디어 기록화 문제와 아카이빙 및 복합적 활용 등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연등회의 참다운 가치를 확산하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길에 함께 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review the meaning and value of Yeon Deung Hoe (Lotus Lantern Festival) to suggest its inscription on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This paper begins by reviewing the 366 ICH elements listed on the website of the Korea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Among the list, a total of 45 elements bea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rituals were reviewed, with 18 from Asia, 13 from Europe, 10 from the Americas, and 4 from Africa. This paper then selects seven types of the religious rituals for further detailed analysis to identif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most of these religious rituals have an element of performance art. Second, this paper highlights the fact the rituals’ practitioners do not function as the exclusive principal agents for the artistic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rituals, but, rather, that people from a variety of social classes engage in these rituals. Third, because the meaning of intangible heritage can vary across cultural traditions and cases, all rituals must be respect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Fourth, most religious rituals are shown to be exerting efforts to propagate engagement with the community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and educational promotion, rather than insisting on the continuation of the strictly traditional ritual alone. Fifth, most of these religious rituals have a festive element. Sixth, the tools and handicraft used in each ritual act as unique symbols and cultural goods. And lastly seventh, the transmission and propagation of religious rituals depend largely on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of the party safeguarding each ritual. The purpose The purpose of Yeon Deung Hoe is to break the Avidyā within and shed light on wisdom by physically lighting lanterns. The lanterns also represent the internal delight with which the participants seek to commune with the world and all life in this open festival. Such value and meaning of Yeon Deung Hoe continue to this day while garnering popular support and interest. Yeon Deung Hoe bears sufficient value and meaning to be considered as an ICH. This paper reviews the procedures of the inscription on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xamines whether Yeon Deung Hoe meets the criteria for the inscription. Among the five requirements, Yeon Deung Hoe currently meets four. The fourth requirement that calls for nomination “following the widest possibl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group or... individuals” can be fulfilled throughout the inscription registration process. This paper identifies tasks that need to be urgently met to enable the inscription of Yeon Deung Hoe. First, establish the primary agent for pursuing the inscription. Second, establish a specific action plan for the inscription. Third, make systematic preparations for the actual nomination by organizing the composite cultural value of the element. Fourth, engage in continuous media activity to encourage organic cooperation from relevant agencies to support the inscription. And lastly fifth, network with various organizations with the Yeon Deung Hoe Preservation Society at the center to explore way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parties in support of the inscription. This paper also presents educational issues, media documentation and archiving,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the inscription as long-term tasks for the effort. This discussion seek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true value of Yeon Deung Hoe and, thereby, help pave the path toward its inscription on the UNESCO list of ICH.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송미경(Mi kyoung Song)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 주관 기관별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개관하고,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기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유형, 특징 등을 토대로 향후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문화재청 산하의 ‘무형유산 복합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립무형유산원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을 주관했으며, 2021년 해당 사업을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이관했다. 판소리의 경우 단독으로 사업에 선정된 것은 2019년 경서도소리포럼의 ‘서도명창 박월정의 판소리 재현’뿐이며, 그 외에는 합동 공연의 한 프로그램 또는 구성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은 2021년부터 그 운영 주체가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전환되면서, 명칭도 ‘인류무형문화유산 민간 지원 사업 공모’,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 공모’ 등으로 바뀌었다. 문화재청 산하 공공기관이자, 문화유산의 전승·보급·활용을 위한 전문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아울러 지니는 한국문화재재단은 2022년부터 지원 분야를 ‘1. 공연/전시/체험, 2. 축제/의례, 3. 평생교육, 4. 연구과제/도서출판/학술대회, 5. ICT 및 영상 등 홍보콘텐츠, 6. 상품 디자인 및 제작’으로 확장하고 심사 배점을 수정하는 등 기존 내용과 방향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 이 공모에서는 판소리 종목 사업이 꾸준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경서도소리포럼, (아트플랫폼) 동화, 한국판소리보존회, 동리문화사업회의 경우 지난 3년 간 2회 그 수혜 대상이 되었을 정도이다. 주제로는 김초향, 100년 전 판소리 <춘향가>, 판소리 갈라쇼, 판소리유파대제전, 대한민국 판소리 한마당, 동리 신재효 등이 활용되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재단설립허가를 받아 전통공연예술 민간부문 활성화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사업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세계무형유산활용 관광자원화 사업’, 그리고 2019년부터 지속되어오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활용 공연사업’ 등이다. 명칭에서 보듯, 공연 콘텐츠 활성화에 집중하는 사업, 등재 종목 기반 우수 공연콘텐츠를 확산하는 사업 등으로 방향 전환이 있었으며, 이들 사업에서 판소리 종목 활용 사업은 전 시기 상당한 비중으로 선정에 포함되었다. ‘판소리 유파대제전’, ‘구례동편제소리축제’,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창작국악극 ‘춘향난봉가’, ‘판소리동화시리즈_안데르센’, ‘완창판소리프로젝트2_강산제 수궁가’, ‘3색 소리극 ‘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바로크 판소리 심청’ 등이 그 예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을 활용한 최소 35개 이상 사업 또는 콘텐츠가 3개 기관이 주관한 지원 사업에 선정·발표되어 온 만큼, 이들 지원 사업의 기여도는 분명히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동안 선정된 판소리 관련 지원 사업을 살펴보면 그 유형이 공연과 축제에 대체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향후 이를 전승공동체 활성화 또는 교육 등과 관련짓는 것도 하나의 전략적이고 의미 있는 움직임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pport projects that have been ongoing since 2014. These projects are undertaken by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jects and discusses their direction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pansori support project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stitute, identified as an “intangible heritage complex”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ganized the Human Intangible Heritage State Subsidy Project from 2017 to 2020. In 2021, the project was transferred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In the case of Pansori, the only item selected for the project was the “Reproduction of Pansori of Seodo Myungchang Park Wol-jeong” by the Gyeongseodo Sori Forum. Other items were included as parts of joint performances or programs. Since 2021, the Competition for State Subsidized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named the Competition for Private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etition for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change was prompted by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ng entity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s a public instituti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transmissio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as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direction by expanding its support areas to include: 1. performances/exhibitions/experiences; 2. festivals/ceremonies; 3. continuing education; 4. research projects/book publishing/conferences; 5. promotional content such as ICT and videos, and 6.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and by revising the scoring system. In this competition, Pansori projects have been consistently received support, with organizations like the Gyeongseodo Sori Forum, (Art Platform) Donghwa, Korean Pansori Preservation Society, and Dongri Culture Business Association being selected twice in the past three years. The topics included Kim Cho-hyang, the 100-year-old Pansori ‘Chunhyangga’, Pansori Gala Shows, the Pansori Yupa Grand Festival, Korea Pansori Hanmadang, and Dong-ri Shin Jae-hyo.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is licen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function as a base for revitalizing the private sect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its officially verifiable UNESCO ICH projects include the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for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an from 2014 to 2018, and the Performance Project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 ongoing initiative since 2019. The new project names signify a shift in focus towards revitalizing performance content and promoting exceptional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registered item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jects in the selection have utilized pansori items or offered pansori events. Examples include “Pansori Yupa Daeje Festival,” “Gurye Dongpyeonje Sori Festival,” “Seopyeonje Bosung Sori Festival,”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Chunhyang Nanbongga,” “Pansori Fairy Tale Andersen,” “Wanchang Pansori Project 2 Gangsanje Sugungga,” “Heungboga Behind Story,” and “Baroque Pansori Simcheong.” As at least 35 projects or contents involving pansori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selected and announced for support projects organized by these three organizations, the contribution of these support projects needs to be clearly recognized.

      • KCI등재후보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가무형문화재 가치의 재인식과 쟁점 모색

        김윤지(Kim Yun J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2000년대 이후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중·일 삼국은 국가적 자존심을 걸고 자국 무형문화의 소유권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과 경합을 하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문화적 정경(情景)의 원인을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본질에 주목하였고, 문화재 보호법의 주요변경 내용을 통해서 국가무형문화재 제도의 흐름과 변화의 의미를 파악 한 뒤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본질적인 가치 및 쟁점안을 모색한 것이다. 그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5년 3월에 개정된 문화재 보호법은 무형유산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가치 제고에 따른 법적 보호 및 인류무형문화재 등재의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지로부터 시작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협약」을 근간으로 한 국내 무형문화재 범위의 확대와 함께 그 전승과 보전의 방향을 국제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를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이 개정에서는 ‘원형’의 보존이 아닌 ‘전형’의 보전을 가장 중요한 선정 기준으로 두었다. ‘전형’은 원형의 경직성을 탈피하여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구성하는 가장 본질적인 특징으로 보고 있으며,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무형문화유산의 정의로 본다면 여러 세대에 걸쳐서 전승되고 구현되어야 하는 고유한 기법 또는 변하지 말아야 하는 근본적인 본(本)은 유지하고 그 전승과 발전의 과정 속에서 변용되는 것까지 보전하는 전형을 무형문화재 가치의 본질로 본 것이다. 셋째,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는 ‘재생산’ 될 수 있는 무형유산의 맹목적인 경쟁이 아닌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진정한 가치에 부합되는 자국의 무형유산들을 등재하는 것이다. 그 등재의 쟁점을 도출해보면, 전통사회로부터의 전승의 지속성·발전의 과정·학술적 근거·계보의 정체(正體)·예술적 특성들의 역사적 고증이 가장 중요한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글은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가장 본질적인 가치와 자격을 규명함으로서 ‘재생산’의 노출과 ‘역사성’ 규명에 취약한 삼국 무형문화재의 등재 갈등을 해소하고, 등재의 실천적인 척도로 반영되기를 기대 해 본다. Korea, China and Japan, together accounted for over 70% of the intangible culture heritage of humanity which has been newly listed since 2000s, have been involved in fierce disputes and competitions over the ownership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e heritage to maintain their national self-esteem. In this essay, we focus on the essence of the intangible heritage which can “reproduce” the cause of cultural scene, try to find out the meaning of flows and changes i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system by menas of changes in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and then seek essentoial values of and issues about, being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 have mad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Revision of the Cultural Assets Protection Act in Mar 2015 has started from recognition that legal protection of intangible heritage and building-up of a ground for it to be listed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ere required because of growing global concern on intangible assets and rise of its value. And eventually, we could grasp that Government had a strong will to globally develop its direction for traditions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well as local expansion of its scope, based on the International Treaty for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NESCO. Second, in this revision, key criteria for selection was not conservation of the original, but preservation of the paragon. The paragon itself is deemed the most essential feature in the value of a corresponding cultural asset, getting out of rigidity of the original. And,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riented by UNESCO, the paragon in which unique technique handed down and realized over generations and an unchangeable fundamental model shall be maintained and transfiguration made in the process of traditions and development is also preserved is deemed essence of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rd,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not reckless competition by reproducible intangible assets, but listing of rach nation s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correspond to real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pursued by UNESCO. Issues involved in such listing are continuity of inheritance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development processes, academic backgrounds, genealogical identity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of artistic features, which prove its significance. Therefore, we expect that this essay will resolve three party conflicts in which they are intoxicated by exposure of reproduction and investigation of historicity and make a viable criterion for listing, by investigating the most essential vale and qualification for list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KCI등재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최동현(Tong hyon Choe)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판소리가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에 선정된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에 대해 정리하고자 집필되었다. 2008년 6월 무형문화유산 당사국 총회에서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협약 운영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 지침은 총 3장으로 되어 있는바, 긴급보호목록(Urgent Safeguarding List)과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등재 절차, 기금과 국제기금, 협약에 참가한 기관 및 단체 등을 자세하게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사업이 시작되었다. 그 경위는 다음과 같다. 2000년 10월 17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정식 신청 종목 한 종목과 잠정목록 5종’을 선정하였다. 이에 앞서 ‘사단법인 유네스코 순천협회’ 이태호 회장은 2000년 7월 <건의서 - 무형문화재 구전문화(판소리), UNESCO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위한 사업계획(안)>을 만들었다. ‘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회장 윤석길)에서도 2000년 9월 14일 ‘걸작 등록 추진에 따른 정책간담회’를 개최했다. 2000년 10월에는 남원에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보존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문화재청이 판소리를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신청하기로 결정한 다음 전라북도는 판소리학회와 손을 잡고 사업을 진행했다. 신청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판소리학회 회장 대행을 맡고 있던 김진영 교수가 집필위원을 구성하였다. 집필위원은 김진영 교수, 최동현 교수, 김종철 교수, 김현주 교수, 박일용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되었고, 이보형 선생이 자문을 했다. 영어 번역은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생이었던 나수호(본명 Charles La Shure. 현 서울대학교 국문과 교수)에게 맡겼다. ‘관리’와 ‘실천 계획’은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에 요청해서 받은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보존관리와 활용에 관한 문화재 기본 계획’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전라북도와 문화재청은 2002년 2월 6일 ‘걸작 등록신청서 작성 관련 회의’를 갖고, 신청서 및 사진첩 제작은 전라북도가 담당하고, 영상물 제작은 전라남도와 문화재청이 담당하는 것으로 결정을 했다. 사진첩 제작은 ‘한국유네스코연맹 전북협회’가 맡았다. 영상물 제작은 KBS의 최공섭 PD가 담당했다. 문화재청과 외교통상부는 2002년 6월 14일 판소리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후보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본래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은 2003년 6월 30일에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 지체되어 11월 7일에야 이루어졌다. 판소리가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언된 것을 언론이나 판소리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창조적인 인간 천재의 걸작으로서의 뛰어난 가치”에 주목한다. 그 결과 마치 걸작 선언이 자국문화의 상대적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조치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물론 그런 뛰어난 가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성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님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ummarizes how pansori was proclaimed a “Masterpiece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and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In June 2008, UNESCO’s General Assembly of the Parties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nacted th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se guidelines consist of three chapters: the first stipulates in detail the procedures for registration, an urgent safeguarding list, and representative list; the second concerns funds and international funds; and the third chapter list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agreement. Accordingly,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oject was launched. The process for pansori was as follows. On October 17, 2000, one officially applied list and five provisional lists of Masterpieces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were selected. Prior to this, in July 2000, Lee Tae-ho, the Chairman of the UNESCO Suncheon Association, created a plan for registration of pansori as UNESCO World Heritage. On September 14, 2000, the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Chairman Yoon Seok-gil) held a “policy meeting according to the promotion of masterpiece registration.” In October 2000, a workshop hosted by the UNESCO Korean Committee was held to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ft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cided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of pansori as a Masterpiece of Human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Jeollabuk-do teamed up with the Pansori Society to implement the project. In order to complete the application, Professor Kim Jin-young, who was acting chairman of the Pansori Society, formed a writing committee consisting of five members: Professors Kim Jin-young, Choi Dong-hyun, Kim Jong-chul, Kim Hyun-joo, and Park Il-yong, with Lee Bo-hyung consulting. The English translation was entrusted to Na Soo-ho (real name Charles La Shure), currently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at that time a graduate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management and action plans were prepared based on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and “Basic Cultural Heritage Plan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received upon request fro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vis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Jeollabuk-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eld a meeting on February 6, 2002, where it was decided that Jeollabuk-do would be in charge of the applications and photo albums, while Jeollanam-do and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ould produce the videos. The photoalbums were produced by the Korean UNESCO Federation Jeonbuk Association. KBS producer Choi Gong-seop was responsible for producing the video. On June 14, 2002,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pansori to be included in the Proclamation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proclamation was originally scheduled to take place on June 30, 2003, but it was delayed and only took place on November 7. When pansori was declared a “Masterpiece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he media and pansori lovers noted the statement of its “outstanding value as a masterpiece of creative human genius.”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for a masterpiece declaration to be taken as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measure of the relative excellence of its culture. Of course, while it is true that this recognition indicates great worth,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at this does not presuppose superiority over other cultures.

      • KCI등재

        무형문화유산의 가치 재인식과 계승 방향

        이경엽 ( Kyung Yup Lee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유네스코 관련 이슈들이 부각되면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국제적인 위상 정립이라고 여기고 과도한 경쟁이나 대결 구도를 조성하는 경우가 있다. 국가가 그것을 주도하고 지자체나 관련 단체 및 학자들이 적극 호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지위나 위상의 문제에만 집중할 뿐 무형유산 계승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을 하지는 않는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는 것을 영예로 여기지만, 유네스코 무형유산의 보호 방향이 ‘원형으로 고착화시키는’ 것이 아닌 ‘살아 있는’ 문화유산으로 전승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지 않는다. 우리의 무형문화재 제도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협약은 제정 목적이나 기능이 다르므로 구분돼야 하지만 연계적인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무형문화유산은 다양하고 풍부하며 남다른 가치가 있다고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무형문화유산이 과거적 의미가 아닌 당대의 가치와 미래적 가치가 될 수 있게 하는 계승 방향을 지향하고 있지는 않다. 불확실하고 애매한 ‘원형 유지’를 표방하면서 창조적인 변형을 용납하지 않고 있어서 문제다. 종목 수나 외형적인 성대함을 자랑하기보다는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현실을 진단하고, 창조적인 계승 방향을 마련해서 그것을 실천해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전승 현실 진단과 계승 방향 모색, 기록화와 교육 및 확산, 새로운 전승환경 조성과 재맥락화, 계승론에 토대를 둔 재창조와 활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nterest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the emersion of UNESCO-related issues.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seen as an international prestige. Unfortunately, it causes overheated competition and rivalry. However, in most cases, the focus is on acquiring the status and prestige, very little on substantial efforts to inherit the intangible heritage. The designation as world intangible heritage is regarded as a great honor, but there is no attention on the fact that the preservation aim of UNESCO intangible heritage is not to ``fix the archetype‘ but to renew it.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the UNESCO world intangible heritage agreement differ in their purpose and function, but they must share related objectives. Korean intangible heritage is praised for its variety and richness, possessing unique values. However, intangible heritage with great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value does not aim to be the contemporary value and the future value. The problem is that the obsession to the uncertain and vague ‘archetype preservation’ does not allow creative changes. Rather than boasting about the number of designated heritages and outward splendor, there must be efforts to appraise the current transmission reality of intangible heritage and look for creative transmission methods.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ansmission situation, the ways for transmission, documentation, education, and spread, and establishment of new transmission environment and recontextualization, and finally, renewal and application based on transmission theory.

      • KCI등재

        유네스코 2003 협약 체제하의 일본의 무형 문화유산 국제적 보호 이행을 위한 방안과 대응-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중심으로-

        박원모 국립무형유산원 2022 무형유산 Vol.- No.12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dopted by the thirty-second UNESCO General Assembly in October 2003, implements a procedure for inscriptions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of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is in charge of deciding nominations, began to inscribe elements on the lists from 2009 after drafting the Operational Directives for implementing the Convention. Meanwhile, in December 2007, Japan established a special committee at the Cultural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Council under the Cultural Affairs Agency and adopted strategic plans related to inscribing on the lists.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dure of inscribing on the lists of the Convention along with a review of the strategic responses in Japa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afeguarding system and changes in its policies. The summary of Japan’s strategic responses to implementing the Convention follows. First, the national lists submitted to the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ar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mportant Intangible Folk Cultural Properties, and Selected Conservation Techniques. Second, the nomination files for inscription are submitt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designation and selection of national lists. Third, for the time being, Japan has not submitted for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Need of Urgent Safeguarding, in which international assistance is needed. In the text, we will see that strategic responses have not changed much in principle, but the application process has evolved amid international variables such requested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nominations for examination and domestic social and political issues caused by the 2011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as well as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ve been three major trends in Japanese inscriptions to the Convention lists over the past decade. The first was to inscribe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designation or selection on national lists. However, the initial plans were disrupted due to the nomination file cap implemented at the Secretariat’s request. Therefore, opportunities for Japan, which has already secured many inscriptions, have been limited. Based on these limitations, a second inscription trend is needed, and Japan is currently promoting attempts to integrate similar elements and inscribe them on an expanded basis. The first inscription was washi, the craftsmanship of traditional Japanese handmade paper, which was inscribed in the 2014 cycle. Japan applied for the inscription by integrating three elements—honminoshi, which was previously inscribed; sekishu-banshi, which was suspended from inscription; and hosogawashi, which has not yet been nominated. Since then, Japan has continued to integrate similar elements. The third trend is the inscription of the elements in the life-culture category triggered by the inscription of washoku, traditional dietary cultures of the Japanese in 2013, which resulted in establishing new systems called “register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registered intangible folk cultural properties” in the Japanes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Japan, which diagnosed that the exis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was limited to performance and craft techniques and did not show the diversity of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add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elated to living culture as a new category but applied the registration system instead of the designation system. 2003년 10월 제32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채택된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2009년부터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국제적 이행의 하나로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및 ‘무형문화유산 긴급보호목록’ 등의 등재 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한편 일본은 2007년 12월에 문화청 문화심의회 문화재분과회에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협약 목록 등재와 관련한 전략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해당 전략 방안에 대한 고찰과 함께 이후 전개되는 일본의 협약 목록 등재 과정들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본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체제의 특성과 무형문화재 보호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본의 2003 협약 등재와 관련한 전략 방안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은 자국 내 국가지정 및 선정의 중요무형문화재, 중요무형민속 문화재, 그리고 선정보존기술 목록 내 종목 을 유네스코에 등재 신청한다. 둘째, 협약 목록 등재 신청은 일본 국가 목록의 지정 및 선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모두 신청한다. 그리고 셋째, 일본은 당분간 국제원조를 필요로 하는 국가가 신청하는 긴급보호목록에는 등재 신청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협약 목록 등재 심사 건수 제한 및 일본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 속에서 전략 방안의 원칙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적용 과정에서 몇몇 변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지난 10여 년간의 등재 양상은 크게 3가지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등재 초기로 2007년 12월에 결의된 등재 방침에 따라 일본은 무형문화유산 목록의 지정 및 선정 순으로 순차적으로 등재 신청서를 제출하였다. 그러나 협약 사무국의 요청에 따라 심사 총량제가 시행되면서 이미 다수의 등재 종목을 확보한 일본의 등재 심사 기회는 지극히 제한되었다. 두 번째 등재 양상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는 방안으로 현재 일본은 유사종목을 통합하여 확장 등재하는 방법을 추진하고 있다. 그 첫 번째가 2014년 주기에 등재한 ‘손 뜨기 전통 일본종이’로, 기존에 등재되어 있던 ‘세키슈 반시’에, 보류 판정을 받은 ‘혼미노시’와 아직 신청하지 않은 ‘호소가와시’를 포함하여 총 3개 종목을 통합하여 신청한 이래, 일본은 계속해서 유사종목들을 통합하여 확장 등재하고 있다. 세 번째 양상은 2013년 ‘와쇼쿠’의 등재로 촉발된 생활문화 관련 종목의 등재이다. 와쇼쿠의 등재는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호 제도상에 ‘등록무형문화재’ 및 ‘등록무형민속문화재’라는 새로운 영역을 신설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동안 무형문화재 보호제도가 ‘예능’ 및 ‘공예기술’에 한정되어 전통문화의 다양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한 일본은 ‘생활문화’와 관련된 무형의 문화적 소산을 새로운 범주로 추가하되, 여기에 지정 제도를 대신하여 등록 제도를 적용하였다.

      •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와 다국적유산의 과제

        김동현 국립무형유산원 2017 무형유산 Vol.- No.3

        유네스코는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체결하여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협약을 바탕으로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나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하나의 국가가 등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동일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여럿 존재하는 경우 국가 간 합의를 통하여공동의 유산으로 등재 신청하도록 지침을 마련해놓고 있다. 이를 ‘공동등재’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에 대해 이론적 배경과 제도의 운영·의의를 살펴보고,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등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무형유산의 공유성(共有性)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무형유산은 공동체, 집단, 개인이 문화유산의 일부로 인지하는 관습, 표상, 표현, 지식, 기술은 물론 그와 관련된 도구와 사물,가공물 그리고 문화공간을 의미하는데, 대대로 전승되어 온 무형유산은 문화의 경계에 따라 구분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간 경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문화전파나 사람들의 이동에 의해 퍼져가기 때문에 여러 국가에 걸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여러 국가가 존재하게되는 것이다. 둘째,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의 공동등재 제도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체결 이후 운영지침의 초안에서 부터규정을 두고 있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의 상황에 맞게 수정이 이루어져 왔다. 협약당사국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유산의 등록을 위해서는 등재를 희망하는 국가들 간 등재신청서 작성을위한 비공식적 절차와 등재신청서 제출 이후 정부간위원회까지의 신청서 평가 과정인 공식적 절차로나누어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공동등재는 유산 보호에 대한 책임을 균등하고, 신청서 작성에서부터 문화를매개로한 국가간 대화를 실현하여 유산의 창조적인 전승과 새로운 문화 융합 및 발전단계로 나아가는 발판이 된다. 셋째, 다국적유산의 등재경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국적유산의 등재를 연도별·목록별·지역별, 그리고공동체 유형별로 나누어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공동등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현재 공동등재 제도는 대표목록의 편중 현상이 심한데, 국가 간 협력을 통하여 보호모범사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하며, 그 기반에는 무형유산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인적·물적 자원의 이동과 정보 교류라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In 2003, UNESCO conclude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Heritage to safeguard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ICH). Based on this Convention, ‘the Intangible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s operated. Although one heritage can be listed as a one country's inprinciple, if there are many countries with the same elements, that ICH can be listed as a multinationalheritage. This is called Multi-national nomination. In this article, we tried to discuss the pros and consof multi-national registr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single listing, anddiscuss the development plan.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shared nature of intangible heritage,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a joint registration. ICH refers to the customs, representations, expressions, knowledge, and skills, aswell as tools, objects, artifacts, and cultural spaces that communities, groups and individuals perceive. It is divided according to the boundary of cultural heritage. Therefore, it does not necessarilycorrespond to the boundary betwee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likely to be distributed in variouscountries because it spreads by cultural propagation and movement of people. That is why there aremany countries with the same heritage. Secondly, we examined the system of multinational nomi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based on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ince the conclusionof the Convention on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rafting of theOperational Directives has been in place since the conclusion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time goes by, the regulations have been amended accordingto the situ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order to list heritage jointlyowned by the States parties to the Convention, we divided the informal process for preparing anentry application for the countries that wish to be listed and the formal procedure for evaluatingthe application to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after submitting the entry application. As aresult, the joint listing is a stepping ston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 heritageand realize the dialogue between the countries through the culture from the application form to thecreative tradition of heritage and the new cultural fusion and development stage.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제도의 이상과 현실

        황경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8 嶺南學 Vol.0 No.67

        The UNESCO recommends that countries take part in the joint registration of their cultural assets within the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2003) System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ulture of peace. Recently, the number of jointly registered objects has been increasing. This paper attempts to check the basis of said system and the status of its operation and propose ways of improving said system, with Korea also taking interest in the joint registration. This paper found that joint registration functions positively as an alternative to excessive competition in the individual registration of representative items of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to conflicts among countries over their shared cultural heritage objects. It also found that countries use joint registration as part of their strategy of registering theirs as representative items of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which appears to be significant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paper cites the need for a guideline that can serve as a real manual for countries taking part in joint registration to strengthen the positive functions of said system and to put the philosophy of said convention into practice. The execution guidelines of said convention have clauses concerning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joint registration, but there is no system that can convert individually register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to joint registration. Not only is the cooperation of the State Party (Parties) necessary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Heritage and the meaning of Safeguarding The ultimate purpose of said system of the UNESCO, i.e., invigoration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through shared cultural heritage, is expected to be served better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said system. 유네스코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2003)> 체재 내에서 국제 협력과 문화를 통한 평화 증진을 위하여 다 국가 간 ‘공동등재’를 권장하고 있다. 최근 공동등재 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도 공동등재 추진에 관심을 두고 있는 가운데 이 글에서는 공동등재제도의 배경과 운영양상을 살핌으로써 제도적 특성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단독등재 신청의 과열과 국가 간 공유유산에 대한 갈등의 대안으로써 공동등재가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당사국 입장에서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올리기 위한 전략의 목적으로 공동등재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또한 국제협력이라는 측면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한편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제도의 긍정적 기능을 강화하고 협약 이념의 실천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공동등재 추진 당사국들에 실질적인 설명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협약의 이행지침에는 공동등재의 확대와 축소 조항은 마련되어 있으나 이미 단독등재 된 무형문화유산의 국가 간 공동등재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한 점을 한계로 제시하였다. 공동 등재 이후의 보호조치를 위한 당사국의 협력은 물론 무형유산보호협약의 목적과 보호의 의미에 대한 이해도 필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제도의 한계가 보완된다면 공유유산을 매개로 한 당사국의 협력과 소통 활성화라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공동등재제도의 궁극적 목적에 더욱 부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