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2.0과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의 전망

        박재현 ( Jae Hyun Park ),이아름 ( Ah Reum Lee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를 제2언어 수업에 활용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웹 2.0이 학습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시적 관점에서 교육 환경의 변화와 제2언어 교육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한국어 학습 사이트를 통해 웹 환경의 발달이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을 전망하고자 한다. 1990년대까지 컴퓨터는 제2언어 교육에서 보조 도구로 활용되다가 웹이 개발되면서 학습자와 웹을 연결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컴퓨터가 담당했던 언어 학습의 보조적 역할은 웹이 이어받게 되었는데,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장을 마련하여 실제적인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컴퓨터가 수행했던 보조적 역할과 현재 웹이 담당하는 보조적 역할은 차이가 있다. 초기 한국어 학습 사이트들은 웹 1.0 도구들을 활용하였으며, 점차 웹 1.0 환경을 기반으로 하되 웹 2.0 기술을 일부 활용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다. 최근의 학습 사이트는 웹 2.0 기술을 언어 학습의 도구로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목표 언어사용과 활발한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있다. 이처럼 웹 2.0 환경은 실제적인 언어 사용과 상호작용적인 측면에서 제2언어 교육에도 큰 의미가 있는데, 웹 기반 환경을 제2언어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본고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실제적 사용 단계 이전에 형태적·의미적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웹 1.0 환경에서 제공하였던 전통적인 학습 콘텐츠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2)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이 단순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그치지 않고, 교육적 가치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 (3) 학습 사이트는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이 기술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이는 사이트 설계 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the diachronic perspective, since the time began using a computer in second language teaching until now that Web 2.0 is being used as a learning tool and examine how the development of the web environment came in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rough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sites. And based on this, we present a view of a web-bas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e computer was used as a secondary tool for second language learning until the 1990s, while web has been developed it served a mediating role linking learners and the web. And the role of language learning assistant who is in charge of the existing computer has been taken over the web. However, by providing the pla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was to enable the actual language used is that, where a computer to perform an auxiliary role and the role of the current web in charge adjuvant is different. Early Korean learning sites have been utilizing Web 1.0 tools, were gradually transformed into taking advantage of Web 2.0 technologies partially, but is based on the Web 1.0 environment. Recent learning sites facilitate target language use and active interaction of learners by utilizing web 2.0 technology as a tool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Web 2.0 environment in the aspects of practical language use and interaction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1) step prior to the practical use morphology, so semantic practice may be made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traditional learning content provided by the Web 1.0 environment. (2) not only with a simple social interaction is made on the web, to be to have the educational value.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web. (3) Learning sites shall be based on a platform that the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can be implemented in a technically, this is to be considered from the site design.

      • KCI등재

        웹 2.0 특성에 따른 정부부처 웹페이지 평가

        정동훈(Donghun Ch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4

        웹 2.0 개념이 사회 곳곳에서 사용되며 변화와 혁신을 나타내는 키워드로 대표되고 있다. 개방, 공유, 소통, 참여로 대표되는 웹 2.0은 차세대 전자정부서비스에도 적용되며, 국민과 기업들에게 현재보다 한 단계 높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 각 부문의 비효율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거버먼트 2.0(Government 2.0)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가운데 정부기관 홈페이지는 국민이 가장 가까이 접근할 수 있는 정부 서비스인데, 실제로 정부부처 홈페이지가 웹2.0의 정신을 구현하며 국민과 소통하려 하고, 국민의 참여를 북돋으며, 이를 위해 정보와 시스템을 개방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토된 사례를 찾기 힘들다. 본 연구는 웹 2.0을 하나의 측정도구로 활용하여 정부부처 홈페이지를 측정하고자 했다. 다양한 웹 2.0 정의를 바탕으로 행정부처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웹 2.0의 정의를 만들고, 이를 행정부처 홈페이지에 적용 함으로써 웹 2.0이라는 관점으로 정부부처 웹페이지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결과 환경부와 행정안전부의 홈페이지가 웹 2.0을 가장 잘 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획재정부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적으로 공유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참여, 개방, 그리고 소통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와 국민간의 거리를 줄이는 ‘소통형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정부가 더 노력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 효율적인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국민 참여 증대를 통해 거버먼트 2.0 구현에 더욱 노력해야함을 함의하고 있다. Web 2.0 became a keyword representing change and innovation in the society. Web 2.0 which generally is called being consist of three key points which are open, participation, and share of course is conceptually applied to Government 2.0, next generation government. Government 2.0 provides more qualified services to the citizens and the businesses, discards inefficient processes, etc. The government web page is one of the most closed communications to the citizens, and it can be represented as a model how government 2.0 be realized as a service. Indeed, web pages are good places how government realizes the spirit of the Web 2.0 and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what government want to interact and encourages the public to do, etc. From this idea,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government web pages based on web 2.0. This research tried to make academically new definitions for government web 2.0, applied them to 15 web pages, and found which government web site is better and which Web 2.0 factor is superior. The results showed that Ministry of Environment was top ranked whil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s last ranked. Also share was well embodied to the most web sites while communication was not well supported. This implies the government web sites have to more focus on communication with the citizen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open to and share with the public, and encourage citizens’ participation with various tries

      • KCI등재

        웹 2.0 환경의 구성주의 교육적 함의화 미술교육에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고홍규(Koh, Hongkyu)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Web 2.0 is a term that designates the online environment which has been changed during last several years. Web 2.0, well known for its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UCC (User created contents). 'tagging.' and 'replying.' is today considered as a new way of social networks or communication in modern era as well as a new web-based technolog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it relates to constructivists' pedagogy in these ways: 0) User-based online communication of web 2.0 and lerner-oriented education of constructivism, (2) directive person to person communication of web 2.0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of constructivism, and (3) limited role of provider in web 2.0 and the role of teacher as facilitator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how art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can relate to the web 2.0 environment, and presents the basic discourses for the implications of web 2.0 pedagogy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웹 2.0은 최근 몇 년 동안 변화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소통구조를 이해함에 있어 웹 2.0은 단지 웹 테크놀로지를 일컫는 기술적 용어라기보다는 웹 이용자에 의한 콘텐츠 (UCC), ‘태그’ 혹은 댓글 등을 통한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상호소통, 그리고 모든 웹 이용자들에게 열린 개방성 등 현대사회의 중요한 소통 구조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하나의 사회 현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웹 2.0 환경은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 교사의 조언자적 역할, 협동학습을 통한 상호소통 등을 강조하는 구성주의 교육관과 연관성을 가지는데,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미술교육 관점과 웹 2.0 환경이 어떠한 측면에서 연관되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미술교육에 있어 웹 2.0 환경의 활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보는 기초적 논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는 방안 모색

        이종수 ( Chong Soo Lee ),이우균 ( Woo Kyun Lee ),전성우 ( Seong Woo Jeon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환경정책연구 Vol.7 No.1

        최근 웹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고 있는 웹 2.0에 관한 주요 논의 요소를 도출하고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웹 2.0이란 서버-클라이언트 중심의 정적인 기존 웹 환경에 대비해 개방과 참여, 공유 등 사용자 중심의 웹 플랫폼을 제공하는 차세대 웹 환경을 뜻한다. 웹 2.0을 구현한 지리정보 서비스 사례들은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웹 2.0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뿐만 아니라 정보와 서비스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정보를 관리하는 관점이 소유나 독점이 아니라 공유와 개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은 정보시스템을 포털화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웹 2.0 시대에서 포털서비스는 하나의 정보허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에 사용자가 파일 탐색기와 같은 손쉬운 방법으로 원하는 정보와 기능을 모아서 개인 블로그 형태로 만들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웹 2.0을 국토지리정보체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있다. 우선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토지리정보 시스템들의 폐쇄성 극복과 표준화된 자료구축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외형적으로만 웹 2.0을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기존 시스템의 형태만 바꿔 정보를 나열하는 식의 획일화 된 서비스는 지양해야 한다. This paper review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Web 2.0 and discussed the possible applications related 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general, Web 2.0 refers to a next generation World Wide Web environment that let people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 and data. The recent examples using Web 2.0 with geo-spatial information are convincing us ap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imply Web 2.0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echnological advancements related to providing the services but also shif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ovider(government agencies) and end-users. In other words, new platform should be provided to users so that users can easily create, share, and mash-up data, which was previously managed and owned only by government agencies. Successful integration Web 2.0 platform into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quire some important points such that; 1) the consideration for the data should be changed from closed and agency owned data to opened and shared data. 2) data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o integrate al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3) real change need to be happened rather than different naming on the same system.

      • KCI등재

        소프트웨어공학을 위한 웹 2.0 기술 활동 동향 및 사례분석

        한대희,구형민,고인영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9

        소프트웨어의 규모 및 복잡도의 증가로 인해 전통적 소프트웨어공학 방법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이 발생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클인 요구사항분석, 디자인,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 단계에서 제작되는 산출물 관리의 비효율성, 개발자 또는 이해당사자간의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주된 한계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웹 2.0 패러다임을 소프트웨어공학에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웹 2.0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개발 사이클에서 발생한 산출물들을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이해당사자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로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웹2.0기반의 소프트웨어 공학 관련 연구들을 조사 및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전통적인 소프트웨어공학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웹 2.0기술들을 살펴보고, 웹 2.0기반 소프트웨어공학 연구의 특징과 이와 관련된 기술적인 도전과제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연구된 웹 2.0기반 소프트웨어공학 연구들을 검토하여 장단점을 분석, 비교하고 추후 나아가야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Software development using the traditional 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ies has revealed several limitations as the scale and complexity of software are growing rapidly. These limitations vary from communication difficulties among the developers and stakeholders to inefficient management of artifacts produced in software life cycles that are software requirement, design, implementation, test, and maintenance.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the research field exploiting Web 2.0 paradigm in software engineering is under active discussion. These researches aim for managing software artifacts that are generated in software life cycles in organization level and improving software process through inducements of stakeholders' participation using Web 2.0 paradigm. In this paper, we examine and analyze current issues of Web 2.0-based software engineering. Hence, we investigate Web 2.0 technologi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ies; and then find characteristics of Web 2.0-based software engineering and their technical challenges. Moreover, we also provide a research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reviews of Web 2.0-based software engineering researche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 KCI등재

        독일어수업에서 보이스스레드의 활용과 잠재성

        김옥선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6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9 No.-

        Web 2.0 wird in Korea im DaF-Unterricht bereits vielseitig genutzt, jedoch herrscht eine gewisse Unklarheit darüber, für welche Unterrichtsformen die Anwendung am sinnvollsten ist und welche Lerneffekte damit zu erzielen sind. Dieser Betrag soll daher die Frage behandeln, welches Lehr- und Lernpotential Web 2.0 dem DaF-Unterricht bietet und wie dessen positive Charakteristika z.B. Schlüsselqualifikationen, wie kooperatives Lernen, Kreativität, autonomes Lernen etc. optimieren kann. Eigentlich für alle Fächer anzuwenden, bietet Web 2.0 gerade dem Fremdsprachenunterricht Möglichkeiten, den gemeinsamen Austausch auf visueller, auditiver und textueller Basis zu optimieren. Im Fokus steht das Web 2.0 Tool 'VoiceThread', das als Plattform fungiert, mit deren Hilfe die Interaktion zwischen der Lehrkraft und den Studierenden als auch unter den Studierenden selber gefördert wird. Dadurch lassen sich Lehrinhalte aktiver und ansprechender präsentieren und so die Ansprache der Beteiligten erhöht. Dieser Beitrag veranschaulicht anhand von ein paar Unterrichtsideen, wie VoiceThread zum kreativen Deutsch lernen angewendet werden kann, und legt dar, welche didaktischen Potentiale das Web 2.0 Tool 'VoiceThread' für den DaF-Unterricht hat. 디지털 내이티브라고 불리는 젊은 세대들은 뛰어난 인터넷 활용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웹기반 자원을 다루는데 익숙하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청소년(10~20대)들은 일주일에 14.5시간, 20대는 21.0시간 인터넷을 이용한다. 이들은 거의 모두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자료 및 정보 획득’, ‘여가활동’ 등을 목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6: 30-31). 이러한 최근 통계에 비추어 볼 때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일상생활 및 학업에서 규칙적으로 웹자원을 활용할 것이라고 추측되며 학습관련활동도 상당 부분 인터넷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리라고 추측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홈페이지나 웹사이트를 통해 공급자 측에서 사용자 측으로 흐르던 일방향적 의사전달은 웹 2.0 버전으로 진화하였다. 사람들은 인터넷 매체를 통해 공급자이자 사용자로서 스스로를 표현하고, 표현한 내용을 서로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는 과정 속에서 학습 또한 이루어진다. 웹 2.0은 웹서비스의 진화와 더불어 ICT 사용방법, 사람들의 생활방식, 사회의 모든 부분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교육 분야도 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바, 수업에 웹 2.0 기술을 접목하여 이것이 가진 교육적 장점을 최대화하려는 시도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언어교육에서도 Web 2.0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새로운 프로그램의 소개 및 수업 적용도 매우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웹기반 프로그램들이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 한두 가지 기능만을 계발하는데 적합하거나컴퓨터 프로그램의 조작이 어려워그것을 익히는 데 시간과 노력을 많이 기울여야만 한다. 또는 수업내, 외적 활동에 두루 활용가능하거나 다방향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하는 기능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에서 보다 자유로운 웹 2.0 도구 ‘보이스스레드’를 소개하고 독일어 교육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한다. 특히 음성언어와 외국어 표현(말하기와 쓰기)이 의사소통에서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추어 이 영역에서 보이스스레드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교육 분야가 왜 웹 2.0에 주목하는지그리고 이것이 언어교육과 어떻게 연관되며 언어교육에 어떤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고찰하겠다. 논문의 본론에서는 우리에게 다소 낯선 보이스스레드를 소개하고 이것을 활용한 수업을 예시하면서 보이스스레드를 독일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겠다. 마지막으로 이에대한 향후 전망을 예견하면서 논문을 마무리하겠다.

      • KCI등재

        웹 2.0 기반의 문제중심학습의 효과

        김홍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초등교사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고 대학 강의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 교과교육에서 웹 2.0 기반의 문제중심학습을 통합․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4회에 걸쳐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였다. 그 학습 과정은 클라우드 환경의 구글 오피스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PBL 과정 및 결과에 관한 경험을 반성 저널에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의 문제 해결 과정과 반성저널은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웹 2.0 기반의 문제중심학습은 컴퓨터교과교육에 대한 이해의 증진, ICT 활용 능력의 향상, 웹 2.0 기반의 교수‧학습 전략의 습득, 그리고 수행평가로서 e-포트폴리오를 경험하는 등 21세기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effectiveness of integrating Problem-Based Learning with Web 2.0 technologies in Computer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essons and adapting of social needs for pre-service teachers. Students have studied about computer subject matter for 4 times. The process of leaning have recorded by Web 2.0 tools that is one of the cloud services. Also the students have written reflection journals about experiences of PBL process and results. The PBL process and reflection journals have been analyzed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clusions are drawn as to potential for the use of Web 2.0 tools for PBL in computer subject matter.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e following: 1)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uter subject matter education, 2) enhancing students' competence in using ICT potentially, 3) cultivat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on Web 2.0 environment and 4) enhancing competence of future teaching activities through experiencing e-portfolio as a performance-assessment tool.

      • KCI등재

        효과적인 웹 네비게이션(Web navigation)을 위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활용 방안 연구 - 국내 웹사이트에 적용된 글로벌 네비게이션을 중심으로 -

        임헌혁,김대용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8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

        일반적으로 2003년대 이후의 인터넷 환경을 웹2.0이 라 부르며 웹2.0시대에서의 대표적 특성은 “사용자 중 심의 웹” 이라고 할 수 있으며 1인 리더가 아닌 사용자 다수가 문화컨텐츠를 만들어 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웹 네비게이션(Web navigation)은 사용자를 더욱 더 편리하게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기존의 웹 네비게이션은 웹 1.0 환경에서의 인프라에 대한 제약으로 HTML 기반의 텍스트나 JABA란 프로그래밍 언어로 비쥬얼 효과가 매우 적었다. 하지만 인프라의 완성과 웹 2.0의 안정기에 들어선 현재, 다양한 비주얼이 강화 된 네비게이션의 제작은 사용자로부터 더 많은 호응을 얻기에 충분하다.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많은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단순 텍스트와 레이아웃과의 부조화를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을 통해 충분히 보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이 무조건적으로 적절하지는 않기 때문에 각 사이트들의 특성, 방문자계층, 목적에 따라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를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In general, the Internet environment as of 2003 has been called 'Web 2.0.' One of the most striking traits in the age of Web 2.0 is the concept of "user-friendly web.” It is a phenomenon, in which a large number of users, not a single leader, are creating cultural contents. In such an environment, web navigation allows users to use the web far more conveniently than ever efore. The existing web navigations had some limitations on the infra in the Web 1.0 environment so that their HTML-based texts or JAVA programming language had less efficient in creating visual effects. However, along with the completion of infra and stability of Web 2.0, the production of various visual navigations has been recently appealing more to the users than before. The use of digital illustration has created particular effects. First of all, it could supplement the shortcomings such as the disharmony of simple texts and layout. However, its use would not be always appropriate. It should be us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each website, types of visitors and purposes. In particular, it is highly desirable to let people use the web navigation during the peak time and not lose their directions. Digital illustration should be utilized to express the roles of web navigation in a more efficient way. To this end,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websites where digital illustration has been used and to lead the users to apply the illustration that could be utilized in web navigation more efficiently.

      • KCI등재

        웹 2.0 기반 RSS 데이터 수집 엔진의 설계 및 구현

        강필구(Pilgu Kang),김재환(Jaehwan Kim),채진석(Jinseok Chae),이상준(Sangjun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0 No.11

        기존의 웹 서비스가 정적이고 수동적인데 반해 최근의 웹 서비스는 점차 동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웹 서비스 변화의 흐름을 잘 반영하는 것이 웹 2.0이다. 웹 2.0의 특징은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정보를 생산하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생산되는 정보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더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기술이 웹 2.0의 웹 신디케이션 기술과 태그 기술이다. 웹 신디케이션은 웹 사이트의 내용을 다른 사이트나 사용자가 받아볼 수 있도록 피드를 만든다. 태그는 정보의 핵심이 되는 단어로, 여러 인터넷 사용자들이 태그를 통한 검색으로 좀 더 빠른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웹 2.0의 핵심 기술인 웹 신디케이션과 태그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 수집 엔진을 만들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데이터 수집 엔진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웹 사이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데이터 수집 엔진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기법에 비해 검색 속도가 최대 3.14배 향상되었고, 연관 태그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건수가 최대 66%까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nvironment of web service has changed a great deal due to the progress of internet technology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users. The established web service is static and passive, but the recent web service is becoming dynamic and active. Web 2.0 reflects current web service change well. The primary feature of web 2.0 is positive participation of users. Since the size of generated information is becoming larger, it is highly required to share the information fast and correctly. The technology to satisfy this need is web syndication and tagging in web 2.0. The web syndication makes feeds for another site or users to receive the content of web site. In addition, the tagging is the kernel of a information Many internet users share rapidly the information through tag search.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fficient technique to improve the web 2.0 technology such as web syndication and tagging by using the data collection engine. Data collection engine has stored in a database, a user's Web site to use the information. and it has a user's Web site with access to updated data to collec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can improve the search speed up to 3.14 times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 and reduce the size of data up to 66% for building associated tags.

      • KCI등재

        웹2.0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활용방안

        조동환(Dong-Hwa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4

        최근 경영환경 변화의 중대한 흐름인 웹2.0 시대의 도래는 이용자의 적극적 참여와 공유, 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의 생활화’를 진전시키며 사회 전반의 다양한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웹2.0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1) 다품종 소량생산 경제 체제로의 전환 가속 2) 온라인 채널/정보의 소비자에 대한 영향력 증대 3) 경제사회 분야에서 다양한 소수의 힘 확대. 웹2.0은 기업 경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1) 조직 내부가 아닌 외부로부터의 개방형 혁신 추구 2) 인터넷을 경유한 입소문 마케팅의 적극 활용 3) 기존 사업의 변신 추구 4) 개방적인 의사교환을 통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강화. 기업들은 웹2.0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직시하고, 기업 경영에 웹2.0을 적극 활용하여 사업 기회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advent of web 2.0 era is an important trend in the business environmental change. Web 2.0 era means users' active participation, share, and openness, develop 'Internet penetration into everyday life,' and change many aspects of our society. web 2.0 has been making these following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spects: 1) acceleration of system shift to a small quantity of multi-species production system 2) growing influence of on-line channel/information to consumers 3) various minorities' power increase in the socioeconomic sector. web 2.0 has been making these following changes in the enterprise management: 1) the pursuit of open innovation from outside 2) active employment of viral marketing through Internet 3) the pursuit of present business transformation 4) strengthening of customer communication through open dialogue. Firms must squarely look at socioeconomic changes owing to web 2.0, and utilize them as business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