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외 물리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원심력 개념

        한인식,민보경,이신영 한국물리학회 2010 새물리 Vol.60 No.10

        Along with the centripetal force, the centrifugal force is a term widely used in high school physics, earth science textbooks and college textbooks to explain circular motions. However, many students and teachers can have misconceptions. The centrifugal force is not a real force, and historically the term “centrifugal force” has been used because of an in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ircular motion. Because it can create unnecessary misconceptions for students, we examine physics textbooks that are widely used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in Korea. Our study indicates that all the high school textbooks mention the centrifugal force whereas 75% of the college introductory physics textbooks either do not use the term or recommend not using the term. Because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centrifugal force, i.e. it can give wrong conceptual ideas to high school students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s, more careful introduction of the force is needed. 원심력은 고등학교 물리 및 지구과학 교과서와 대학교 물리교재에서물체의 원운동을 설명할 때 많이 사용되는 물리용어이다. 그러나 학생,교사와 대학교에서 일반물리를 가르치는 교수들도 이에 관련된 오개념을가지고 있을 수 있다. 원심력은 원운동에서 회전 좌표계에서 물체의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가상으로 도입한 힘이고,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힘이다. 가상의 힘인 원심력에 대해 다양한 오개념이 존재하는 만큼고등학교 및 대학교 물리책에서 원운동 설명시 원심력이 어떻게 사용되고있는지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국내외 물리,지구과학 교과서와 대학교재에 제시된 원심력 부분을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분석한 국내외 대학 일반물리 교재 20건의 경우 원심력을사용하여 원운동을 설명한 경우가 분석한 교재의 25 %이고 교재전체에서 원심력을 전혀 언급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제언하는 교재는 75 %이다. 반면 모든 국내 고등학교 물리, 지구과학 Ⅱ교과서에서는 원심력의 정의와 원심력과 관련된 물리현상을 2-4 페이지에걸쳐 설명하고 있다. 고등학교에서 배운 원심력 개념이 많은 대학일반물리 교재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인지갈등을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원운동을설명할 때 연계성 있는 올바른 지도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 구심력과 원심력에 대한 지구과학Ⅱ 교과서 분석

        안혜영 ( Hye-yeong An ),정덕호 ( Duk-ho Chu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1 No.1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2종의 지구과학Ⅱ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원운동과 관련된 자연 현상을 기술할 때 구심력과 원심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두 교과서에서는 원심력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은 채 원심력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원심력에 대한 잘못된 개념이 형성될 수 있다. 교과서의 설명과 그림은 고정된 계에서 자연현상을 관찰하는 시점이므로 구심력으로 설명해야 한다. 그러나 원심력으로 설명할 때 더 쉽게 설명되는 현상이 있다.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심력의 개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원심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명시해야 한다. Currently, Earth ScienceⅡ Textbooks describe natural phenomena associated with a circular motion in the various chapter. Textbooks explain a circular motion with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But two textbooks are not presented accurately the defini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Therefore, students can form misconception to centripetal force. Textbooks should depict a circular movement with centripetal force because explanation and pictures in textbooks are inertial system. However, in some situations, centrifugal force is a better explanation. Thus, Textbooks specify definition of centrifugal force for the students.

      • KCI등재

        순환골재의 사용성 확대를 위한 연구: 원심력콘크리트로의 적용

        심종성,박철우,박성재,김현중,김태광,이만석,Sim, Jong-Sung,Park, Cheol-Woo,Park, Sung-Jae,Kim, Hyun-Jung,Kim, Taeg-Wang,Lee, Man-Su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2 No.1

        순환골재의 생산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순환골재를 사용한 순환골재콘크리트의 품질은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순환골재를 구조부재에 사용하는 것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순환골재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등의 기초적인 연구에만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사용처 확대를 위하여,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의 다양한 혼입률(순환굵은골재: 0%, 20%, 40%, 60%, 100%; 순환잔골재 0%, 30%, 60%, 100%)에 따른 원심력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원심력콘크리트의 품질 및 성능향상을 기대하며 특수 가공된 셀룰로오스섬유의 다양한 혼입에 따른 강도특성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일반굵은골재와 순환잔골재을 혼입한 시험체(NR 시험체)의 강도는 72MPa로써 일반굵은골재와 일반잔골재를 사용한 기준시험체(NN 시험체)의 강도 74MPa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순환잔골재는 고강도 원심력콘크리트 제품에 100% 혼입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특수 가공 처리된 셀룰로오스섬유를 혼입한 모든 시험체의 강도는 약 70MPa로 측정되었으나, 섬유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시험체의 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수 가공 처리된 셀룰로오스섬유는 원심력콘크리트 제품에 충분히 적용 가능 한 것으로 판단된다. Along with recent improvement of recycling technique, the quality of th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have become very competitive to the natural concrete aggregate. Therefore, a practical use of th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may be possible for structural members. Majority studies about th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was emphasized a limitation of fundamental study concerned with a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there is use for the structural members. Therefore, for the extension of application of recycled concrete aggregate, this investigation verifies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recycled concrete aggregate of the spun-concrete products with various coarse and fine recycled aggregate replacement ratio(coarse recycled aggregate: 0%, 20%, 40%, 60%, 100%; fine recycled aggregate: 0%, 30%, 60%, 100%) and with addition of cellulose fibers(0%, 0.01%, 0.03%, 0.05%, 0.08%). From the test results, The strength of spun concrete used with recycled aggregate [NR specimen], was measured as 72MPa, was found to be very approximately to the strength of spun concrete used with the natural aggregate(NN specimen), was measured as 74MPa, when only fine aggregate was replaced with the recycled. Therefore, the fine recycled concrete aggregate can be successfully used in the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roduc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l specimens used the specialty cellulose fiber were measured as about 70M Pa, however, the increasement of the specialty cellulose fiber content is showed to decrease compressive strength of spun concrete.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pecialty cellulose fiber can be applied to the various spun concrete products.

      • KCI등재

        정방형 공기덕트 내부의 유동특성에 원심력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봉태근,조대환,Bong, Tae-Keun,Cho, Dae-Hwan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8 No.5

        이 연구에서는 정사각 단면을 갖는 덕트 내부에 원심력의 영향을 받는 유동의 천이특성을 실험 및 수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적 연구로서 레이저도플러 속도계를 이용하여 축방향속도를 측정하였고, 상용소프트웨어인 플루언트를 이용한 전산유체 시뮬레이션으로 천이특성을 고찰하였다. 유동의 발달은 딘수와 굽힘각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덕트의 중앙에서의 속도분포는 원심력 때문에 내외벽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transition characteristics in a square-sectional curved duct flow under Centrifugal force is presented. The experimental study is carried out to measure axial velocity profiles by using Laser Doppler Velocimeter (LDV) system. 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commercial CFD code FLUENT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characteristics. The flow development is found to depend upon Dean number and curvature ratio. The velocity profiles in center of the duct have lower value than those of the inner and outer walls because of the centrifugal forces.

      • KCI등재

        La poétique dialectique de l'univers littéraire de Rimbaud

        곽민석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랭보의 시 세계, 특히 그의 후기시집인 『일뤼미나시옹』은, 파괴적이자 동시에 창조적이고, 분산적이자 통합적인 상호 모순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시어들과 그 시어들로 형성된 시 세계는 이질적인 요소들과 특성들로 인해 끊임없이 서로 대립되면서도 역설적으로 역동적 힘에 의해 통합된 이미지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원심력force centrifuge과 구심력force centripète이라는 상호 대립된 두 힘에 의해 각 시어의 이미지들은 부딪히며 충돌하고 서로 파괴하는 양상을 띠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역동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미지, 새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사실, 『일뤼미나시옹』이 보여주는 시 이미지들은 처음에는 견고하고 안정된 것처럼 보이고,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다양한 시적 요소들로 구축된 시 세계는,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광경들, 결코 지금까지 목격하지 못한 다른 시적 실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것은 불꽃놀이처럼 순간적이고 불안전하며 동시에 역동적이고 강렬한 효과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비록 시의 모든 요소들이 일종의 구심력에 의해 집중되고 압축되어 한순간 경이로운 시적 광경을 형성하지만, 동시에 랭보 시 세계의 한 특징인 개개의 이질적 요소들 상호간의 원심력 에 의해 이 공간은 끊임없이 분해되고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집의 대부분 시의 경우 일시적이고 불안정하며 어느 한곳에 고착되지 않은 채 다양하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로 인해 우리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재창조되는 새로운 시 세계의 탄생을 목격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랭보의 시 세계는 부단한 생성의 과정 속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안정성, 변화 그리고 역동성은, 랭보가 자신의 시 세계를 그 자체로 궁극적 목표나 도달점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이행 passage’ 또는 과정의 단계로 간주하는 데에서 생겨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랭보 문학 세계의 변증법적 시학

        곽민석 ( Min Seok Kwak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랭보의 시 세계, 특히 그의 후기시집인 『일뤼미나시옹』은, 파괴적이자 동시에 창조적이고, 분산적이자 통합적인 상호 모순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시어들과 그 시어들로 형성된 시 세계는 이질적인 요소들과 특성들로 인해 끊임없이 서로 대립되면서도 역설적으로 역동적 힘에 의해 통합된 이미지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원심력 force centrifuge과 구심력force centripete이라는 상호 대립된 두 힘에 의해 각 시어의 이미지들은 부딪히며 충돌하고 서로 파괴하는 양상을 띠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역동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미지, 새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사실, 『일뤼미나시옹』이 보여주는 시 이미지들은 처음에는 견고하고 안정된 것처럼 보이고,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다양한 시적 요소들로 구축된 시 세계는,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광경들, 결코 지금까지 목격하지 못한 다른 시적 실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것은 불꽃놀이처럼 순간적이고 불안전하며 동시에 역동적이고 강렬한 효과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비록 시의 모든 요소들이 일종의 구심력에 의해 집중되고 압축되어 한순간 경이로운 시적 광경을 형성하지만, 동시에 랭보 시 세계의 한 특징인 개개의 이질적 요소들 상호간의 원심력 에 의해 이 공간은 끊임없이 분해되고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집의 대부분 시의 경우 일시적이고 불안정하며 어느 한곳에 고착되지 않은 채 다양하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로 인해 우리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재창조되는 새로운 시 세계의 탄생을 목격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랭보의 시 세계는 부단한 생성의 과정 속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안정성, 변화 그리고 역동성은, 랭보가 자신의 시 세계를 그 자체로 궁극적 목표나 도달점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이행 passage`` 또는 과정의 단계로 간주하는 데에서 생겨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원심력과 구심력의 이해

        손현경 한국비즈니스학회 2022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7 No.3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s one of the core tasks that the Korean classical music industry has steadily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However, the fruits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over the past 30 years have not been successful. Classical music has not become popular and the classical music industry is shrinking over time. The number of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number of audience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has decreased even more significantly. It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method of popularizing classical music in Korea that has been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Until now, the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in Korea has been mainly implemented by performers. Classical music performers played popular songs and sought to popularize them by breathing with the audience. As a result, the performer became popular, but classical music itself was not popular. Now we have to change the way. Only when classical music-centered popularization proceeds, not performer-centered popularization, can the base of classical music expand. This study proved the direction of popularization of classical music through experiments.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s that when approaching classical music with high familiarity to the public, the public can sing along and hum along, making it easy to accept classical music in daily life. Above all, in order to popularize classical music, centripetal force, not centrifugal force, should be used. It is not appropriate for classical music players to enter the realm of popular music.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for pop music performers to enter the realm of classical music.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계가 지난 30여 년 동안 꾸준히 실행해온 핵심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지난 30여 년 간의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결실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클래식 음악은 대중화되지 못했고, 클래식 음악계는 시간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클래식 음악 공연의 수는 이전에 비해 크게 줄었으며, 클래식 음악 공연의 관객 수는 더욱 현저히 감소하였다. 지난 30여 년 간 실행된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의 방법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우리나라 클래식 음악 대중화는 주로 연주자 중심으로 실행되었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성 높은 곡을 연주하며, 이들이 관객과 호흡하는 방법으로 대중화를 꾀하였다. 결과적으로 연주자는 대중화되었지만 클래식 음악 그 자체는 대중화되지 못했다. 이제 방법을 바꿔야 한다. 연주자 중심의 대중화가 아닌 클래식 음악 중심의 대중화가 진행되어야 클래식 음악에 대한 저변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어떻게 해야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가 가능한지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은 대중에게 친숙도가 높은 클래식 음악으로 접근할 때, 대중은 따라 부를 수 있고, 흥얼거릴 수 있어, 일상에서 클래식 음악을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무엇보다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원심력이 아닌 구심력을 활용해야 한다. 클래식 음악 연주자가 대중음악의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 대중음악 연주자가 클래식 음악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

        김환기(Hwanki Kim)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의 구심력과 원심력의 관점에서 재일 코리안의 전세대로 일컬어지는 다치하라 마사아키 문학과 김석범 문학, 중간세대인 이회성 문학과 이양지의 문학을 중심으로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의 실천적 행보를 검토해 보았다. 다치하라 마사아키 문학은 인간실존의 문제를 단순히 고향의식, 조국과 민족, 역사와 정치이념의 정서만으로 접근할 수 없는 근원적인 측면이 존재하며, 김석범의 문학은 작가 자신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근간으로 해방정국을 제주도(제주4.3사건) 중심으로 피력했다는 점에서 대별된다. 굴절된 일제강점기와 해방정국의 극심했던 혼란상을 체험했던 두 작가의 문학세계 는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경계의식이라는 관점에서 대별되지만 기본적으로 인간실존과 보편성을 천착했다는 점에서 상징적이다. 제국과 식민, 중심과 주변으로 변주되는 국가/민족주의적 시선과 디아스포라의 중층적 이미지를 실존과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서사화한 예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회성과 이양지 문학은 “가장 재일조선인 문학다운 문학”을 보여준 예로서 특히 유민의식과 월경을 천착하고 자기정체성과 연계된 삶의 공간/장소와 언어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회성은 [유역]을 통해 ‘37년사건’으로 상징되는 구소련권 고려인들의 혹독한 디아스포라 의식을 형상화 했으며 이양지는 [유희] 등을 통해 이방인의식과 자기 찾기의 여정을 통해 경계의식을 형상화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재일 디아스포라의 문학적 특징은 전지구촌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과도 공유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문예잡지인 [캐나다문학](캐나다), [미주문학](미국), [연변문학](중국), [깎뚜스](멕시코), [안데스문학](아르헨티나), [열대문화](브라질), [삼천리](일본)가 그러하고, 아동문예지인 [한사랑](페루), [파랑새](파라과이), 그리고 구소련권의 [레닌기치] 등이 그러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간고함을 문학적으로 담아낸 예이다. 말하자면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은 경계와 혼종, 월경과 트렌스네이션등으로 표상되는 디아스포라 의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지극히 교훈적/시사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actical trajectory of transnation and boundary awar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a centripetal force with the focus on the literature of Tachihara Masaaki and Seokbeom Kim who are called as the generation before Koreans residents in Japan, Heeseong Lee and Yangji Lee who are viewed as the middle generation. Tachihara Masaaki’s literature has some underlying aspect of human existence, which cannot be approached by any simple emotions such as hometown consciousness, homeland and people, and history and political ideology. Seokbeom Kim’s literature bases on the author’s own diaspora consciousness to express the post-liberation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focus on Jeju Island (April 3 massacre in Jeju). In these aspects, the two authors’ works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The two authors experienced the refracted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extremely political chaotic situation after national liberation. Their realms of literature are distinctive from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ified oundary awareness on diaspora. However, basically, they are symbolic in probing into human existence and universality because, from the viewpoint of existence and realism, they are the narrtivization examples of multi-level diaspora images and nationalistic views varied into empire and colonization, and center and circumference. The literature of Heeseong Lee and Yangji Lee is the example of showing the nature of literature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to the maximum extent. They are remarkable in probing into the consciousness of ruined people and crossing borders, in particular, and dealing with the issues of identity-related living space/place and language. Leeseong Lee, in his work [Yuyeok], gave shape to the severe diaspora consciousness of Korean residents in the former Soviet Union areas through the symbolic event of 37 year incident. Yangji Lee, in his work [Yuhee] and others, described the boundary awareness through the journey to find oneself and foreigners’ awareness. The characteristics of such literature by Korean diaspora in Japan are shared by all other Korean diasporas across the world. Examples are literary magazines such as [Canadian Literature] (Canada), [Korean Literature of America] (US), [Yanbian Literature] (China), [Cactu] (Mexico), [Tropical Culture] (Brazil), and [Sanzenri] (Japan); children’s literara magazines such as [Han Sarang] (Peru), [Parangsae] (Paraguay); and the former Soviet Union’s [Lenin Gichi], literaturally describing the severe situation of Korean diasporas. It is that, so to speak, Korean diaspora literature has deep lessons and implications in symbolically presenting diaspora consciousness represented by boundaries and hybridism, border crossing and transnation, etc.

      • KCI등재

        판소리에 나타난 구술성, 서사성, 연행성의 관련 양상

        최진형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5

        ‘Pansori(판소리)’ is a narrative performance within the oral literature genre that is performed by a ‘gwangdae(廣大)’ who has professional performance techniques. That is why it is suitable for finding how its narrativity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with orality as its central axis. The biggest feature of pannsori is that it has a ‘story’, and the main means to deliver that ‘story’ is through the narration of the intermediary narrator. The gwangdae who has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narrator causes the realization of the narration through chang(唱), aniri(아니리), neorumsae(너름새) and so on. The delivery of the story through intermediary narration is related to ‘narrativity’, and the emphasis on the vividity of delivery and unique realization is related to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narrativity’ works as a centripetal force,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as a centrifugal force on pansori. ‘Performance characteristics’ combine much strongly with ‘orality’ than ‘narrativity’ does. That’s because ‘orality’ that thoroughly actualizes the requirements of ‘me, here, now’, shares a bigger area with ‘vividity, sociality and circumstance-oriented side’ that is required by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composition of ‘pansori saseol’ has ‘narrativity’ as its main principle. ‘Narrativity’ works as a centripetal on the sharing of ‘danwi-saseol(單位辭說)’, the continuous arousal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e utilization of ‘jaedam(才談)’ and so on.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ork as a centrifugal when the utilization of ‘saseolchirae(사설치레)’, the narrative irony by the maximization of scenes, and the vividity of the performance are shown. This is usually when things are focused on ‘realization’ more than ‘narrativity’. But many are hard to divide in this way. That is because some might have ambivalence and some might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ose two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 So it can be said that the features Pansori possess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harmonious realization of orality, narrativity,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판소리는 구비문학의 여러 장르 중 전문적 연행능력을 가진 광대에 의해 공연되는 서사적 연행물이다. 따라서 구술성을 중심축으로 하여 서사성이 어떻게 작용되는가와 더불어 연행성이 어떻게 작용되는가를 살펴보는 데 적합하다. 판소리의 가장 큰 특징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그 ‘이야기’를 전달하는 주된 수단은 ‘중개화자’의 서술이라는 점이다. 중개화자 역할을 맡은 광대는 창과 아니리, 너름새 등을 통해 독연(獨演)으로 장르를 실현화 한다. 이야기를 중개서술을 통해 전달하는 것은 ‘서사성’과 관련되고, 광대에 의한 전달의 현장성과 개성적 실현이 강조되는 것은 ‘연행성’에 해당한다. 결국 판소리의 경우 ‘서사성’은 구심력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고, ‘연행성’은 원심력으로 작용한다고 생각된다. ‘연행성’은 ‘구술성’과 훨씬 강력하게 결합된다. ‘나, 여기, 지금’이라는 요건을 충실히 실현하는 ‘구술성’은 ‘연행성’이 요구하는 ‘현장성, 친교성 및 상황중심 지향적인 면’과 공유하는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판소리 사설은 ‘서사성’을 중심 구성 원리로 삼고 있다. 단위사설의 공유, 서사구조의 끊임없는 환기, 재담의 활용 등에 ‘서사성’이 구심력으로 작용하면서 단단한 ‘서사 구성력’을 보여준다. 한편, 사설치레의 활용, 부분의 독자성에 의한 통일성 결여, 공연 현장성이 드러나는 경우는 ‘연행성’이 원심력으로 작용한 경우이다. 서사성 보다는 ‘실현화’에 치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중성 또는 양가성(兩價性)을 지니고 있는 경우도 있고 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넘나드는 경우도 보이기 때문이다. 판소리가 지닌 특성은 구술성, 서사성, 연행성의 조화로운 실현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생각된다.

      • FEA를 이용한 V 벨트풀리의 피로수명해석에서 원심력의 영향

        김범근(Beomkeun Kim),김홍철(Hongchul Kim),김용수(Yongsu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1

        Fatigue life of a V-belt pulley, which is commonly used in automotive power train to transfer power to other parts, is predicted based on damage analysis by finite element analysis (FEA). Load conditions on pulley are analyzed by considering interactions among the pulley, V belt, bracket and bolts.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centrifugal load in FE analysis, two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t condition, one with centrifugal load and the other without. Durability test for the pulley used in the analysis was followed to verify the analysi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