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현대시의 시적 «다시쓰기 réécriture» : 팔랭프세스트 Palimpseste 개념을 중심으로

        곽민석 국제언어인문학회 2013 인문언어 Vol.15 No.2

        Poetic “Re-writing” in the Modern French Poetry:the concept of “Palimpsest” Min-Seok KWAK (Yonsei University) A palimpsest is a manuscript page from a scroll or a book from which the text has been scraped or washed off to be reused. The word “palimpsest” is derived from Latin ‘palimpsēstus’ and from Ancient Greek ‘palímpsestos’, (scratched or scraped again). In Ancient times, literary works were written on wax-coated tablets that could be smoothed and reused. The term has come to be used in similar context in a variety of disciplines and notably in literature. Parody is a rhetorical intention that imitates the style of another work. This study aims to denote the elements of parody in modern french poems, and especially in Rimbaud’s poem: “Vénus andyomène.” Venus Anadyomen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ost famous iconic representations of Aphrodite. Rimbaud recreates the Parnassian poetry using derision and sarcasm and replaces the initial beautiful rhythm in order to parody the work. Rimbaud, in his poem, used traditional poetic structure to engage in a fierce caricature of Venus rising. which resulted in a portrait with heavily derogatory vocabularies.

      • KCI등재

        La poétique dialectique de l'univers littéraire de Rimbaud

        곽민석 한국불어불문학회 2011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5

        랭보의 시 세계, 특히 그의 후기시집인 『일뤼미나시옹』은, 파괴적이자 동시에 창조적이고, 분산적이자 통합적인 상호 모순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시어들과 그 시어들로 형성된 시 세계는 이질적인 요소들과 특성들로 인해 끊임없이 서로 대립되면서도 역설적으로 역동적 힘에 의해 통합된 이미지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원심력force centrifuge과 구심력force centripète이라는 상호 대립된 두 힘에 의해 각 시어의 이미지들은 부딪히며 충돌하고 서로 파괴하는 양상을 띠면서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역동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미지, 새로운 시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사실, 『일뤼미나시옹』이 보여주는 시 이미지들은 처음에는 견고하고 안정된 것처럼 보이고,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다양한 시적 요소들로 구축된 시 세계는,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광경들, 결코 지금까지 목격하지 못한 다른 시적 실체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것은 불꽃놀이처럼 순간적이고 불안전하며 동시에 역동적이고 강렬한 효과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비록 시의 모든 요소들이 일종의 구심력에 의해 집중되고 압축되어 한순간 경이로운 시적 광경을 형성하지만, 동시에 랭보 시 세계의 한 특징인 개개의 이질적 요소들 상호간의 원심력 에 의해 이 공간은 끊임없이 분해되고 해체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집의 대부분 시의 경우 일시적이고 불안정하며 어느 한곳에 고착되지 않은 채 다양하게 변형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이로 인해 우리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며 재창조되는 새로운 시 세계의 탄생을 목격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랭보의 시 세계는 부단한 생성의 과정 속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안정성, 변화 그리고 역동성은, 랭보가 자신의 시 세계를 그 자체로 궁극적 목표나 도달점으로 생각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이행 passage’ 또는 과정의 단계로 간주하는 데에서 생겨난 것이라 볼 수 있다.

      • KCI등재

        랭보의 시 세계에 나타난 광기의 양상들 : [지옥에서의 한철] 시집의 착란 1, 착란 2를 중심으로 autour de Delires 1 et Delires 2 d'Une Saison en enfer

        곽민석 한국불어불문학회 1999 불어불문학연구 Vol.39 No.1

        본 글은 '광기(folie)'라는 개념이 랭보의 시 세계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며 나타나는지를 주된 랭보의 시집인 『지옥에서의 한철』에서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광기는 정신병의 일종으로 간주해서 그 현상을 주로 정신 분석학이나 심리학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곤 했는데, 이런 일반적인 접근 방식과는 달리 일단의 작가들에게 있어서 광기는 정신병이나 심리적 이상 현상만이 아닌, 의식적인 광기의 양상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예술 세계의 창조적 원천이 된다. 다시 말하자면, 자신들의 예술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일반적 가치관이나 이성(raison)으로는 성취할 수 없을 때, 오히려 이성의 의도적인 반작용으로 다양한 광기의 모습을 작품 속에 드러냄으로써 작가 고유의 정신 세계와 예술 세계를 보여준다. 이런 의미에서 광기는 바로 이성과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플라톤은 크게 네 가지로 광기 또는 착란의 형태를 나누고 있다. ≪선견적 광기≫, ≪신비적 광기≫, ≪시적 광기≫ 그리고 ≪사랑적 광기≫가 그것인데, 랭보에게서는 이 네 가지 중 뒤의 두 가지가 그의 작품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지옥에서의 한철』 시집에서 랭보는 '광기', '죽음', '착란', '파괴' 등의 시어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그때까지 자신이 추구해온 시적 경향을 다시 고찰하고 반성하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랭보의 정신적 그리고 예술적 상태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주된 시어들이다.「견자의 편지」,에 나오는 '나는 타자이다(Je est un Autre)'라는 명구를 통해 랭보는 데카르트적 사유 체계를 부정하며 주체의 다양성과 상대성을 강조한다. 이런 랭보적 코기토(Cogito)를 바탕으로 「착란 I,「착란 II」등의 시에서는 기존의 시적 경향을 부정하고 랭보 고유의 환상적이고 착란적인 시 세계를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런 과정에서 랭보는 자신의 존재 자체에 대한 분열적 경향과 고찰을 드러낸다. 이런 내적 갈등의 양상이 바로 광기나 착란적 이미지로 빈번히 그의 시 세계에 등장하고, 또 새로운 시 세계를 끊임없이 추구하려는 시인의 예술적 갈등과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기도 한다. 따라서, 랭보에게 있어 광기는 단순한 심리적 이상이 아니라, 시적 창조를 위한 존재 자체의 위기 의식을 보여주는 시적 방편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랭보의 시 세계에서 광기라는 개념은 정신병이나 심리적 이상 형상이 아닌, 의도적이고 의식적인 시적 과정이며, 이를 하나의 '의사 광기(folie simule′e)'또는 '놀이적 광기(folie-jeu)'로 보면서, 랭보가 부단히 추구하는 새로운 시적 세계에 대한 열망의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La règle et l'espace esthétique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moderne du XXe siècle - à travers l’Avant-garde et l'OuLiPo -

        곽민석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9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8 No.-

        L'OuLiPo, notamment y compris Raymond Queneau qui est véritable esprit encyclopédique, s’intéresse à toutes les formes de savoir, en particulier les mathématiques et le langage, qu’il soit littéraire ou écrit, oral ou parlé. À travers les explorations du langage et du nombre, les activités d'écriture inventent tout d'abord de nouvelles structures, formes ou «contraintes», capables de permettre la production d'oeuvres originales. Dans cette recherche, l’importation de concepts mathématiques et l’utilisation de ressources combinatoires sont les principaux instruments. À partir de là, Queneau aussi expérimente de nouvelles structures littéraires et élabore de nombreuses contraintes formelles, considérées comme de nouvelles façons de créer de la littérature. Chez les oulipiens, leur idée est de montrer que l’on peut écrire des textes magnifiques en respectant des contraintes très fortes, contraintes qui ressemblent à de nombreuses structures mathématiques. Par exemple, la méthode <S+7> consistant à remplacer chaque mot d'un texte par le septième suivant dans un dictionnaire donné. De plus, la passion et la quête des jeux de langage nous font voir la conviction sincère de la nécessité d'une nouvelle expression verbale basée sur le langage parlé populaire le plus contemporain qui soit. C'est ce que Queneau appelle «le néo-français», caractérisé par une syntaxe et un vocabulaire typiques du langage parlé et une orthographe plus ou moins phonétique. Toutes ces tentatives oulipiennes visent principalement à créer dans la littérature d'aujourd'hui la nouvelle écriture par la nouvelle langue, puis à éliminer l'espace de la littérature.

      • KCI등재

        랭보(Rimbaud) 시 세계의 시적 경계

        곽민석 국제언어인문학회 2011 인문언어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poetic ideal and the reality of Rimbaud's poetry, particularly in the poem “The Drunken boat” and in the poetic collection Illuminations. The first impression on Rimbaud is a poet against all conventions and traditions that surrounded him both in daily and in literary life. By wanting to become a <seer(voyant)>, the poet was trying to discover the unknown world through poetry. First, this world began to be realized by the denial of the reality where the poet reside. A few years later, he suddenly said goodbye to literature and he returned to the reality that he left behind and abandoned. We may say that the ideal and the reality coexist simultaneously in Rimbaud's world, two aspects that are contradictory and complementary. In his early poems, he expresses the denial of reality that limits the poet's creative imagination, and the denial of literary conventions and traditions. In his letters called <of seer (du voyant)> Rimbaud tells us of his studies of future poetry and explains how to become a true poet; 'modern poet'. In his later poems, the poet tries to erase the frontiers that divide the real and the unreal: the universe of the Illuminations, recreated universe with new structures and harmonies composed of new elements. In Rimbaud's poetic universe, the unknown that the poet wants to reach is not solid; in other words, not eternal. After creating it, Rimbaud destroyed it Through this we may deduce that 'destruction' is the important driving force of poetic creation in the Rimbaud's literary universe. The poet understands that the world is not eternal, he reached this unknown through poetry and by remaining silent he went to seek the unknown elsewhere, but this time in real life. It is this, the passage, a constant movement, which is one of Rimbaud's poetic features that attract us.

      • KCI등재

        La présence poétique dans les oeuvres de Rimbaud

        곽민석 한국불어불문학회 2010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81

        시인 랭보는 항상 한 곳에 정체하거나 멈추지 않고 부단히 미래(l'avenir)와 미지(l'inconnu)를 향해 움직이는데, 바로 이런 랭보 특유의 경향을 잘 표현할 수 있는 시적 시간이 바로 그의 시 세계에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현재(présent)’다. 왜냐면 시인에게 있어 ‘현재’는 다른 어떤 시간보다 생성(devenir)의 순간을 가장 잘 표현하는 역동적이고 활기찬 시간이기 때문이다. 『지옥에서의 한 철 Une Saison en enfer』에서 보여준 정신적·예술적 위기를 뒤로한 채, 새로운 시 세계를 창조하려는 랭보의 시적 의도와 경향을 바로 ‘현재’라는 시간이 가장 잘 드러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일뤼미나시옹 Illuminations』시집에서의 시적 배경과 진행의 주된 시간은 현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랭보 시 세계의 주된 시간은 다른 어떤 시간 영역보다 현재에 대한 선호와 함께 시인의 시 세계가 전개하듯 시간의 '경계(seuil)'에 위치하면서 그 시적 시간의 이미지들이 형성하는 '즉각성(또는 순간성instantanéité)'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런 관점에서『일류미나시옹 Illuminations』시집은 랭보가 그의 새로운 시 세계를 창조하기 위해 어느 정도로 시간 개념을 중시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어느 이성(理性)에게 A une Raison」라는 시에서는 랭보의 시 세계가 새로이 추구하는 지향점이 제시되는데, 그것은 바로 ‘새로운 조화(nouvelle harmonie)', '새로운 사랑(nouvel amour)'이다. 그리고 그것에 도달하기 위해서 시인은 “우리들의 운명을 바꿔라. 재앙들을 거르라. 시간으로부터 시작해서(«Change nos lots, crible les fléaux, à commencer par le temps»)" 라고 외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지옥에서의 한철』이 보여주는 미혹적이고 몽상적인 시 세계와 시인 자신의 자기 파괴적인 내적 고찰을 통해, 이전의 시 세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 세계를 추구하려는 랭보에게 있어, 모든 시적 시도는 먼저 시간(temps)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 특히 『일뤼미나시옹』이 잘 보여주듯 시적 시간은 다양한 다른 시적 요소들과 서로 상호 작용을 아주 짧은 시간에 신속하면서도 그러나 강렬하게 이뤄진다. 현실의 모든 것을 파괴 또는 해체하며, ‘장소와 사람들을 변형하기’라는 방법을 통해 “모든 모습들 사이에서 온갖 특성을 지니는 존재들과 함께 여러 감정적 집단의 강렬하면서도 신속한 꿈꾸기”로 새로운 시 세계를 창조하게 되는 기본적인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강렬하지만 순간적인 이러한 직접적이고 순간적인 시 세계는 문학에서 그를 침묵으로 이끌고, 문학에서 시인으로서의 자신을 해체하고 현실에서 일상인으로서의 랭보를 재창조하게 되는 것이다. 시인 자신을 포함한 기존의 모든 것에 대한 끝없는 파괴, 해체 그리고 재창조의 여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Les Aspects du sujet d'écriture dans le monde moderne - autour de l'univers poétique de Baudelaire

        곽민석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유럽사회문화 Vol.0 No.22

        In this article, we aim to highlight the identity and attitude of the modern subject in the face of the modern society - the big cities and the various inhabitants - in the ‘so-called’ modern poet, Baudelaire. In the Baudelairian poetic universe, particularly in Les Fleurs du Mal, we can see the instability and revolt of the poet-subject in the face of the progress of modernity and the replacement of spiritualism by materialism, which has led modern man to the fragmentation of the subject; in other words, crisis of his own identity. To understand well what causes the unstable and troubled state of mind in a man like Baudelaire, we analyze the poems by accessing the essential notions: modern subject and modernity, as contemporary and essential terms used by the poet. Thus, it is clear that in his poetic universe, Baudelaire describes the various aspects, sometimes coherent, sometimes contradictory, of the modern man lost in the middle of his time, having different identities in order to overcome the existential crisis of his be. Today this modern subject is just a wanderer in the life of uncertainty. He is situated in the midst of unstable society in an increasingly vast and ambiguous circle of modern life; not only at the level of everyday life, but also of human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