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달러선물환율과 엔달러선물환율간의 정보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문규현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5 經營經濟 Vol.48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엔·달러선물환율과 원·달러선물환율 및 원·달러역외선물환율 간의 대칭적 및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엔·달러와 원·달러선물간의 환율예측은대일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업에 환율변동성에 따른 위험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 분석기간은 2008년 11월 1일부터 2014년 1월 8일까지 총 1,354개의 일별 종가 선물환율을 사용하여 GARCH(1,1)-M모형과 GJR-GARCH(1,1)-M모형을 통해 실증분석한다. 주요 결과 - 대칭적 분석결과, 원·달러역내선물환율 및 원·달러역외선물환율과 엔·달러선물환율 사이에는 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원·달러역외선물환율과엔·달러선물환율간의 수익률과 변동성에서 일관성 있는 상호피드백적인 결과를 보였다. 비대칭적 분석결과, 원·달러선물환율에 대한 엔·달러선물환율의 정보이전효과는 환율변화량과 변동성에서 정보비대칭성에 기인함 추론할 수 있는 반면, 엔·달러선물환율에 대한 원·달러선물환율의 정보이전효과에서는 정보비대칭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원·달러역외선물환율과 엔· 달러선물환율 사이에는 환율변화량과 변동성에서 상호 피드백적인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런 효과는 과거 악재정보(bad news)보다는 호재정보(good news) 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거의 주식자료를 이용한 결과와는 달랐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원달러역내·외선물환율과 엔달러선물환율 간에는 대칭적 및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함을 보였으나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 분석에서는 과거 분석과는 다소다른 결과를 보였다.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통한 원/달러환율과 엔/달러환율시장간의 정보이전효과에 관한 연구

        문규현 ( Gyu-hyen Moon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4 지역산업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원/달러환율과 엔/달러환율간의 정보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있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달리 구조변화방정식을 이용하여 전체표본을 세분화함으로써 보편타당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랜즈 인과관계 검정으로부터 원·달러현물환율과 엔·달러현물환율 사이에는 전체표본기간, 구조변화시점이전기간 및 구조변화시점이후기간에서 환율변화량과 변동성에서 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규현(2013)의 연구와 동일함을 보였다. 둘째, GARCH(1,1)모형을 통한 분석에서 전체기간동안에는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은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대칭적 정보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구조변화 이전표본에서는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과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 사이에는 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부터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였으나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부터 원·달러현물환율 변화량으로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구조변화 이후표본에서는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과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 사이에는 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부터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부터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조건부 분산방정식으로부터 엔·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부터 원·달러현물환율변화량으로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verifies whether there is the persistence of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rates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through full sample, two sub-samples divid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the granger-causality test shows the feedback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rates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through full sample, before structural change periods, and after structural change periods suggesting the consistent results of G. H. Moon(2013). Second, there are 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rates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through full sample, and two sub-samples by GARCH(1,1)model. Third, the asymmetric information of won/dollar exchange rates influence yen/dollar exchange rates during before structural change periods by GJR-GARCH(1,1)model. Reversely the asymmetric information of yen/dollar exchange rates influence won/dollar exchange rates during after structural change period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consistent and persistent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rates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원화환율과 엔화환율의 관계 분석

        김봉한 한국은행 2003 經濟分析 Vol.9 No.3

        본 논문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원화환율과 엔화환율의 관계를 일별 데이터를 사용해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화환율의 결정에 대해서 두 가지 실증분석결과를 얻었다. 첫째, Frankel and Wei(1994)의 방법을 이용한 결과, 외환위기 이후 원화가치의 결정에서 달러화 가치의 중요성이 점차 감소하고 엔화가치의 중요성이 급증했다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2000년과 2002년에는 원/엔 환율이 3-regimes의 TAR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달러 환율 및 엔/달러 환율을 Threshold ECM으로 추정했는데 2000년과 2002년에는 원/엔 환율이 일정한 범위가 유지되도록 원/달러 환율이 비선형적으로 조정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2000년에는 원/엔 환율이 10.3715을 하한으로, 10.7137을 상한으로 하는 범위가 유지되도록 원/달러 환율이 비선형적으로 조정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2002년에는 원/엔 환율이 9.9046과 10.0212의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원/달러 환율이 조정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외환위기 이후 이러한 원화 환율결정의 특성은 외환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에 의해 발생되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외환시장 규모와 외환․자본시장의 자유화정도로 판단해 볼 때 그 타당성이 낮다고 하겠다. 따라서 자유변동환율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외환위기 이후의 상황으로 볼 때, 시장참가자들의 자율적인 거래결과 원/달러 환율과 엔/달러 환율의 동조화가 심화되어 원/엔 환율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비선형적으로 조정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Two empirical resul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n-dollar and yen-dollar exchange rates are presented. First, estimation results from a regression equation modeled on the work of Frankel and Wei (1994) reveal that the importance of the Japanese yen as a determinant of the value of the Korean won is increasing, while that of the U.S. dollar is decreasing. Second, it is found that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djusted non-linearly subsequent to the crisis, so that the won-yen exchange rate hovered within a certain range. Specifically, when estimated using the threshold ECM,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djusted non-linearly, in order that the won-yen exchange rate might fluctuate in the ranges from 10.3715 to 10.7137 in 2000 and from 9.9046 to 10.0212 in 2002. The non-linear adjustment of the won-dollar rat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eviation from the desired won-yen exchange rate range can be regarded as the outcome of both policy responses and the autonomous reactions of market participants; this implies that the won was no longer pegged to the U.S dollar under the free floating regime that was instituted after the crisis.

      • KCI등재

        엔,달러선물시장의 원,달러현물시장으로의 대칭적 및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

        문규현 ( Gyu Hyen Moon ) 한국금융공학회 2014 금융공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엔·달러선물환율과 원·달러현물환율 사이의 정보전달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분석기간은 1999년 4월 23일부터 2013년 4월 11일까지이며 총 3,645개의 일별 종가 환율을 각각 사용하였다. 만약 한국의 국경일 등으로 인해 서울외환시장이 폐장되어 원·달러현물환율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일자의 엔·달러선물환율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한다. 분석모형은 대칭적 정보이전효과 규명을 위해 그랜즈 인과관계검정과 GARCH(1,1)모형을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 규명을 위해 GJR-GARCH(1,1)모형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랜즈 인과관계 검정결과 엔·달러선물환율과 원·달러현물환율 사이에는 상호 쌍방향적으로 정보의 선도/지연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로에게 정보의 예측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분산성모형인 GARCH(1,1)모형에서는 엔·달러선물환율 변화량은 원·달러현물환율 변화량에 영향을 미쳤으나 원·달러현물환율 변화량은 엔·달러선물환율 변화량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달러선물환율 변동성과 원·달러현물환율 변동성 사이에는 쌍방향적으로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의 검정결과, 엔·달러선물환율 변화량에서 원·달러현물환율 변화량으로의 정보이전효과는 엔·달러선물환율 변화량의 악재정보(bad news)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성에 대한 정보이전효과는 엔·달러선물환율 변동성에서 원·달러현물환율 변동성으로의 정보이전효과는 악재정보에 의한 정보이전효과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달러현물환율 변동성에서 엔·달러선물환율 변동성으로의 정보이전효과는 호재정보(good news)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The paper analyzes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and won-dollar exchange rat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nger causality test shows there are feedback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and won-dollar exchange rates. Second, the test of GARCH(1,1) results in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only from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to won-dollar exchange rates by the conditional mean equation. But there are bi-direction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and won-dollar exchange rates by the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Third, from the GJR-GARCH(1,1), the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from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to won-dollar exchange rates by both the conditional mean equation and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are due to bad news. However, the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from won-dollar exchange rates to yen-dollar exchange futures rates by both the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are due to good news.

      • KCI등재후보

        유럽 경제 위기를 고려한 원/달러 환율 모형 연구

        안혜지,전우천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7 과학영재교육 Vol.9 No.3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ed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considering the economic crisis in Europe. In this study, 10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were made using various economic indicators such as the euro-dollar exchange rate, etc. and each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was established by calculating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ach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 using economic indicator data for the period from January 2, 2015 to July 31, 2015, when Grexit risk was high.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ed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we simulated the models using economic indicator data for the period from June 20, 2016 to December 20, 2016, when Brexit was serious. As a result, the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formula: ) which includes ‘won-dollar exchange rate 1 day before()’ and ’euro-dollar exchange rate 1 day before()’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revealed to have the best prediction ability among the 10 won-dollar exchange rate models. 본 연구는 유럽 경제 위기를 고려하여 원/달러 환율 모형을 수립하고, 수립된 원/달러 환율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유로/달러 환율 등 여러 경제 지표 변수를 이용하여 10개의 원/달러 환율 모형을 만들고, 그렉시트 사태가 최대로 고조되었던 기간인 ‘2015년 1월 2일부터 2015년 7월 31일까지’의 경제 지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원/달러 환율 모형의 회귀 계수를 계산함으로써, 각 원/달러 환율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립된 원/달러 환율 모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브렉시트가 최대로 고조되었던 기간인 ‘2016년 6월 20일부터 2016년 12월 20일까지’의 경제 지표 데이터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수립된 10개의 원/달러 환율 모형 중 독립변수로 ‘1일 전의 원/달러 환율()’과 ‘1일 전의 유로/달러 환율()’을 포함하는 원/달러 환율 모형(수식: )이 가장 예측력이 뛰어났다.

      • KCI등재

        코스피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간의 구조적 변동

        이한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와 세계 경제위기에 다른 코스피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의 일별자료를 수준변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환율 간에 구조적 변동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Chow 단절점 검증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환율 간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VAR모형에 기초한 Granger 인과관계의 분석과 시계열회귀분석 및 충격반응함수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경상수지가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외환위기와 세계 경제위기에 따라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80년 1월 5일부터 2011년 12월 29일까지의 기간을 표본기간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연구에서는 Chow 단절점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간에 구조적 변동이 외환위기의 이후와 세계 경제위기의 이후에 존재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둘째로 본 연구에서는 Granger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로부터 원/달러 환율로의 Granger 인관관계가 반대방향의 인과관계보다 더 강하게 나타난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특히 외환위기 이후부터는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로부터 원/달러 환율로의 Granger 인관관계가 단일방향으로 보다 강하게 나타난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로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회귀분석과 충격반응함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환위기 이전에는 경상수지가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으나 세계 경제위기 이후에는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가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외환위기와 세계 경제위기에 따라 한국의 코스피 주가지수와 원/달러 환율 간에 구조적 변동이 발생하였으며,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미치는 요인이 경상수지에서 코스피 주가지수로 변화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식투자자들의 향후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에 유익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s of financial industry stock return on macroeconomic variables und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re exist the impacts among financial industries such as the bank, the security, and the insurance. We examine hypothes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dustry stock price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f any, are reinforced right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of 2008. Our study conducts the unit root test, the Chow test, the Granger causa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mpulse-response function analysis. We select sample period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10, and uses daily data of exchange rates and interest rate from the three financial industri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paper finds that the exchange rates and the interest rates of the Korea financial marke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financial industry index retu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Second, the impacts on the financial industry index returns of the exchange rates and the interest rates are quite different between the industries of the bank, the security, and the insurance. Third, this paper finds the fact that the impacts are reinforced during the post-crisis sample period. This results seem to make trading decisions based on the already known the Korean stock market returns data more frequently than the individual investors or institutional investors.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코스피와 원/달러환율 사이의 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문규현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3 지역산업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의 발생이후 급격하게 변화한 자본시장에서 코스피수익률과 원/달러환율변화량 및 코스닥변화량과 원/달러환율변화량 사이의 대칭적 및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검정하는 데 있다. 기존의 정상적 시장흐름에서도 두 시장사이의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시해 주지는 못했다. 기존연구의 연장선에서 비정상시기의 주가지수와 환율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랜저 인과관계검정으로부터 모든 구간에서 주가지수수익률은 원/달러환율변화량에 영향을 미쳤으나 원/달러환율변화량은 상승구간에서만 주자지수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분산성모형으로부터 급격한 하락구간과 하락구간에서는 코스피수익률의 변동성은 원/달러환율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상승구간에서는 원/달러환율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달러환율수익률의 변동성은 급격한 하락구간, 상승구간 및 하락구간에서 전혀 코스피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코스닥수익률의 변동성은 모든 구간에서 원/달러환율수익률에 영향을 미쳤다. 원/달러환율의 변동성은 급격한 하락구간을 제외하고 상승구간과 하락구간에서 코스닥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의 분석으로부터 코스닥수익률의 변동성으로부터 발생한 상승기 악재정보만이 원/달러환율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현재 코로나-19 사태는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표본을 확장하여 실증 분석하는 경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대칭적 및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의 원인에 대한 경제적 함의를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The paper investigates the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KOSPI and W/$ exchange rates and KOSDAQ and W/$ exchange rates during the sample periods covering from January 22, 2020 to July 25, 2022 employing heteroskedastic models such as GARCH(1,1)model and GJR-GARCH(1,1) model.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test of Granger-Causality tests, the changes of KOSPI returns and KOSDAQ returns effect the changes of W/$ exchange rate returns in all cases but the changes of W/$ exchange rate returns influence the changes of KOSPI returns and KOSDAQ returns in the case of bull markets of the KOSPI. Secondly, according to the test of GARCH(1,1)model, there are strong influences from the volatilities of KOSPI returns to the W/$ exchange rate returns in the case of bull markets of the KOSPI. But the volatilities of W/$ exchange rate returns does not influence the KOSPI returns in the all subsample periods. Thirdly, there are strong influences from the volatilities of KOSDAQ returns to the W/$ exchange rate returns in the all subsample periods. But the volatilities of W/$ exchange rate returns does not influence the KOSDAQ returns except shape decline period of KOSPI. Fourthly, from the GJR-GARCH(1,1)model, the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from the volatilities of KOSDAQ returns to the W/$ exchange rate returns in the bull market of KOSPI occur.

      • KCI등재

        원/달러의 위안/달러에 대한 동조화 현상 연구

        장한익 한국국제경제학회 2024 국제경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월별자료와 TVP-VARX 모형을 이용해 외생변수로 고려된 위안/달러환율이 원/달러환율, 국채(5년)금리, KOSPI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동태적으로 어떻게 반응하고 그 반응이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위안/달러환율 상승충격에 대한 원/달러환율, 국채(5년)금리, KOSPI의 반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한편, 위안/달러환율이 국내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크게 좌우하는 요소로 미국 고금리 장기화, 달러 강세, 원/달러환율과 엔/달러환율 간의 상관관계 등 국제금융시장의 추세와 변화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위안/달러환율이 원/달러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위안/달러환율이 KOSPI에 미치는 영향이 음(-)에서 양(+)으로 전환되면서 해외자금 유출․입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시점이다. In this study, using monthly data and the TVP-VARX model, the impact of the Yuan/Dollar exchange rate, which is an exogenous variabl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government bond(5-year) interest rate, KOSPI, is dynamically estimated time-varying response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responses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government bond(5-year) interest rate, and KOSPI to the shock of the Yuan/Dollar exchange rate increase change over time. Meanwhile, factors that greatly determine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Yuan/Dollar exchange rate on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are trends and changes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 such as the prolonged high-interest rates in the United States, the strengthening of the US dolla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Yen/Dollar exchange rate. Recently, the impact of the Chinese yuan/USD exchange rate on the KOSPI has shifted from negative (-) to positive (+) when accounting for the influence of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monitoring about overseas fund flows at this juncture.

      • KCI등재

        원/달러환율이 수출물가와 수입물가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일,김성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17 專門經營人硏究 Vol.20 No.1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1990년 3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6년 8개월 동안 320개월별 표본에 대한 원/달러환율, 수출물가지수와 수입물가지수에 대한 수준변수와 차분변수를 각각 사용하여 원/달러환율이 수출물가와 수입물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분석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은 VAR모형을 이용한 그랜저 인과관계분석, 충격반응함수분석과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원/달러환율이 수출물가와 수입 물가에대한 예측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원/달러환율이 수출물가와 수입물가에 대하여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달러환율이 수출물가 및 수입물가에 일정시차까지 영향을 미치다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출물가 및 수입물가가 원/달러환율의 변화량에 의하여 일정부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원/달러환율이 무역업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지수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수출과 수입을 주업무로 하고 있는 전문경영인들은 원/달러환율의 움직임을 예측하고분석하여야 하며, 무역대금의 안전한 결제뿐만 아니라 가격움직임에 대한 헤지수단으로원/달러선물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선물환율간의 비대칭적 정보메커니즘 -원, 달러선물과 역외선물환을 중심으로 -

        주태현 ( Tae Hyun Joo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3 國際經營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2004년 12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원?달러선물환율과 역외선물환율을 이용하여 서로간의 정보이전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VEC모형의 그랜즈 인과관계검정,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를 이용하였다. 또한 변동성에 대한 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GARCH(1,1)-M모형을 변동성에 대한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GJR-GARCH(1,1)-M모형을 사용하였다. 주요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랜즈 인과관계검정에서 원?달러선물시장과 역외선물시장 사이에는 서로간의 피드백(feedback)적인 선도-지연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충격반응함수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5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의 크기를 추정하기 위한 분산분해의 결과에서는 원?달러선물환율의 분산 중에 약 62%에서 76%는 자기 자신의 것이며 38%에서 24%는 역외선물환율의 분산변화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외선물환율의 분산은 약 82% 이상이 자기 자신의 분산변화에 의한 것이며 18% 정도는 선물환율변화의 분산에 의해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변동성에 대한 대칭적 정보이전효과와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GARCH(1,1)-M모형과 GJR-GARCH(1,1)-M모형을 도입하였다. 조건부 평균방정식을 통해 원?달러선물시장과 역외선물시장간에는 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함을 보였으며, 조건부 분산방정식에서도 양 선물환율 사이에 대칭적 정보이 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GJR-GARCH(1,1)-M모형의 검정결과에서도 원?달러선물환 율과 역외선물환율 사이에는 악재정보(bad news)뿐만 아니라 호재정보(good news)에 의한 비대칭적 정보이전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symmetric and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futures and NDF with VECM, GARCH(1,1)-M, GJR-GARCH(1,1)-M. The samples covered from December 1, 2004 to August 31, 201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test and variance decomposition test consistently show there are feedback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wondollar exchange futures and NDF. Second, the test of GARCH(1,1)-M results in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between the won-dollar exchange futures and NDF from both conditional mean equation and conditional variance equation. Third, from the GJR-GARCH (1,1)-M, the asymmetric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are found between the won-dollar exchange futures and NDF. This result verifies that both previous bad news and good news of one exchange futures influence the other current exchange futures. In spit of above researches, the study from won-dollar exchange futures to NDF through sub-samples may not provide consistent results. In addition, the paper does`t verify why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exist between won-dollar exchange futures and ND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