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김영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단계적 변화론 모형을 청소년의 운동행동에 적용하여,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를 예측하고, 청소년의 운동행동의 변화 단계에 따른 의사결정 균형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규명하며, 운동행동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간의 관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6개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671명의 학생들 (남: 425명, 여: 246명; 평균연령: 15.3세)이 청소년들의 운동행동단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인지적, 동기적 변인들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한국판 운동행동단계 질문지, 의사결정균형 설문지 그리고 자기효능감 질문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671명 청소년 중, 운동단계별로 계획전단계는 117명(17.5%), 계획단계 112명(16.6%), 준비단계 137명(20.4%), 행동단계 189명(28.3%), 그리고 유지단계 116명(17.2%)으로 나타났으며, 54.5%에 해당되는 청소년들이 현재 전혀 운동을 하고 있지 않거나 불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남자청소년들은 여자청소년들에 비해 운동의 유지단계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여자청소년들은 계획단계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은 운동단계가 진보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향상되었으며, 그러한 자기효능감의 변이는 각 운동행동단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도 운동행동의 단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운동행동의 단계는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그리고 운동장해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선택한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요인 및 운동장해요인들은 청소년의 운동행동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적 이전에 얻지 못했던 한국 청소년들의 운동행동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학교나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을 위한 더욱 더 효과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및 운동행동 변화 전략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predict stages of change in adolescent exercise behavior,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by stages of change, and to present the possible relationship model between stages of change, decision balance and self-efficacy. A total of 671 adolescents randomly selected from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Nowon-gu district in Seoul were surveyed. Three Korean-version instruments were used to identify exercise stages of chang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ercise benefits/barriers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Stages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Decision Balance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of 671 adolescents 54.5% do not exercise or exercise irregularly (Precontemplation 17.5%, Contemplation 16.6% and Preparation 20.4%). Male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maintenance stage, wherea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contemplation stage. The Self-efficacy scores of adolescents increased with advancing of exercise stages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ercise stages. In decision balance adolescents' exercise benefits and barriers were also substantially differences by each exercise stages.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stages of exercis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exercise benefits and exercise barriers. On the basis of these correlation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lf-efficacy, exercise benefits and exercise barrier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to explain a possible relationship with exercise stages of adolescent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nd new information about relatively unstudied Korean adolescents and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better health promo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for Korean adolescents in a school and community level.

      • KCI등재

        청소년의 운동행동단계별 영향요인 분석: 운동행동변화과정과 의사결정균형요인을 중심으로

        신규리,손영미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운동행동단계에 따른 운동행동변화과정과 의사결정균형 요인 간 차이를 살펴보고, 운동행동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파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30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그 결과,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16.7%에 불과하였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운동에 대한 동기가 없거나(계획전단계),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단계(계획단계)에 포함된 비율이 더욱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음으로, ‘지속단계집단’으로 갈수록 운동행동변화(참여 및 유지)를 위한 내외적 행동을 더욱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의사결정 균형의 경우, ‘지속단계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운동이득에 대해 높게 지각하였으며, 운동손실에 대해서는 낮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운동행동의 각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행동변화과정과 의사결정 균형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각 단계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계획전단계’에서 ‘계획단계’로의 진입에는 운동이득이 주요 요인이었으며, ‘계획단계’에서 ‘준비단계’로의 진입에는 운동손실과 지지적 조력관계가 주요요인이었다. ‘준비단계’에서 ‘지속단계’로의 진입에는 자아재평가가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we examin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o the process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s (PEBC) and decision balances (DB). Second, we measure the magnitudes of these factors using empirical survey data collected from 306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Kyoung-ki areas. Our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r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regular exercise behaviors is only 1me7%.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have more tendency to lack the motivations for regular exercises (pre-planning stage) or not to participateummarxercise behaviors (planning stage). Second, students have more tendency to participateummaindoor and/or outdoor behaviors for PEBC when they belong to maintenance stage grouptagelso, for DB,tendename groupt membert more highly value the benefits and less depreciate the lise from exercises. Finally, we obtain statisticallyol gnifouptt resutes that the factors of PEBC and DB play different rolesummaror stage for rxercise behaviors. More ) ecifically, benefits from exercises is the mammainfluence at pre-planning and e(ply planning stages; lisees from exercise and having supportive relationships tica out to be the mammainfluences at planning and early preparation stages; and self-reevaluation is the main influence at preparation and early exercise maintenance stage.

      • KCI등재

        장애인의 생활환경과 운동행동변화과정의 관계

        오아라 ( Ah Ra Oh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운동행동 변화단계 에 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장애인을 운동행동 참여단계별로 각 100명씩 총 500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생활환경, 운동행동 변화단계, 운동행동 변화과정을 묻는 문항으로 총 28문항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교차분석, 독립-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분류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단계에서는 지체장애는 계획 전 단계, 시각장애는 준비단계, 청각장애는 행동 단계, 지적장애는 계획단계, 정서장애와 뇌병변은 유지단계, 기타장애는 계획 전 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환경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단계 차이에서는 지인 영역에서 지인이 있는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지인이 없는 집단에서는 계획 전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영역에서는 전문지도자와 일반지도자에 도움을 받는 집단은 유지단계, 지도자가 없는 경우에는 계획 전 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영역에서는 전용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유지단계, 통합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계획 전 단계, 근린 시설을 이용하는 집단은 준비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장애인스포츠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통합스포츠 참여 집단은 계획단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 운동하는 집단은 준비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수단 영역에서는 도보로 운동하는 장소에 가는 집단은 준비단계, 자가용으로 이동하는 집단은 행동단계, 대중교통과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집단은 유지단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영역에서는 부모의 영향을 받는 집단은 계획단계, 형제의 영향을 받는 집단과 가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은 유지단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원기관 영역에서는 복지관에게 지원을 받은 집단은 준비단계, 종목별체육회에서 지원을 받은 집단에서는 유지단계, 시·도체육회에서 지원을 받은 집단은 행동단계, 지원기관에서 지원을 받지 못한 집단에서는 계획 전 단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환경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과정차이 분석에서는 지인의 유무, 지도자 유형, 시설 유형, 프로그램유형, 이동수단 유형, 가족 유형, 지원기관 유형 모두는 운동행동 변화과정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행동 변화과정의 관계에서는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운동행동 변화과정의 모든 하위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o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Throughout all the physical activity stage, 500 people with a disability in total were divided in each 100 by purposive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8 questions with general characteristic, Life Environment,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below. First of all, In each type of disability in the change stage, precontemplation was the biggest part within th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 other type of disability. preparation was the biggest part within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e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has action as the biggest part. In intellectual disability, contemplation was the biggest part and emotional disability & brain lesions have maintenance as the biggest part. In the change process of physical activity by life environment, the group having acquaintance showed maintenance with the biggest distribution and the group that did not have acquaintance showed precontemplation with the biggest distribution. In the instructor segment, the group having aids from both professional instructor & ordinary instructor had maintenance and the group, on the other hand, that did not have aids from the instructor had precontemplation. In the facility, the group using exclusive facil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using inclusive facil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using community facil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e programme,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for people with a disabil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clusiv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with people without a disability had 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me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e transportation, the group using walks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using vehicles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ac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to the place of the physical activit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In the family, the group effected by the family had 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effected by the siblings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that was not effected by family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In the supporting organization, the group supported by the community relief had preparation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supported by the sports federations had maintenance in the biggest part, the group supported by the local sports community had action in the biggest part and the group that was not supported by any organization had precontemplation in the biggest part. In third as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by life environment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The last,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was effected by all the subordinate factors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in the relation of Exercise Behavior process of change by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 KCI등재

        성인들의 운동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관련성

        양재근 ( Jae Keun Yang ),이종훈 ( Jong Hun Lee ),김영호 ( Young Ho Kim ),현승권 ( Seung Kwon H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운동행동은 일련의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각 운동단계별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변인들의 영향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또한, 운동행동의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들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N구와 J구에 거주하는 성인 총 439명(남자성인: 310명, 여자성인: 129명, 평균연령: 35.9세)의 자료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성인들의 운동행동 단계와 이와 관련된 사회적, 심리적 변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운동행동단계 질문지, 자기효능감 질문지, 의사결정 질문지, 변화의 과정 질문지, 사회적 지지 질문지, 물리적 환경 질문지 등이 사용되었다. 운동행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된 각각의 심리적, 사회적 변인들은 각 운동단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리적 변인들 중, 행동적 과정, 자기효능감, 인지적 과정, 운동이득 등이 각 운동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 변인의 경우에는 친구의 지지, 가족의 지지, 정책적 환경, 그리고 물리적 환경 등 모든 변인들이 운동행동의 단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변인들이 운동행동의 변화단계와 사회적 변인간의 관련성을 중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2개의 사회적 변인 (친구의 지지, 물리적 환경)과 단계적변화모형의 3개의 심리적 하위변인(행동적 과정, 자기효능감, 운동이득)이 변화의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운동행동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tes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social variables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to better predicting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A total 439 adults (males: 310, females: 129, average age: 35.9 years)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 questionnaires were applied for evaluating individuals` social and psychological attributes relating to exercise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most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tructs, except for exercise barrier differentiated across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Furthermore, the sub-psychological variable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well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variables and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In particular, 3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behavioral processes,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 and 2 individual social variables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physical environment) showed 54% of the variance to explaining exercise behavior.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integration of the sub psychological construct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with social variables to predicting the transition of exercise behavior.

      • KCI등재

        여자 고등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제약요인 및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비교

        김주동 ( Ju Dong Kim ),정인경 ( In Kyung Jung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들의 운동행동변화단계 분포를 파악하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신체활동량 및 운동제약요인과 운동자기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을 비교·분석 하여 지속적으로 운동을 실천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체육교육 전략 및 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여자 고등학생 중 운동행동 단계가 유지단계인 경우는 8.4%에 불과하였으며 운동계획 전 단계가 24.0%나 되어 지속적 운동실천율이 매우 저조하였다. 운동행동단계에 따라 운동제약요인 및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신체활동에 소극적인 여자 청소년들의 경우 운동행동단계별로 운동제약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운동 프로그램 및 체육수업 등을 계획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운동제약요인을 스스로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운동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도록 중재 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education strategies and methods for continuously practicing and maintaining exercise by analyzing the physical activity, constraint limitation, and efficiency of exerci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a survey of 33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nly 8.4 percen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in the maintenance stage and 24.0 percent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resulting in a very low sustained exercise rate. Depending on the level of exercise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constraint factors and self-efficacy. Female teenagers who are passive in physical activities through the above results need to identify exercise constraints and plan exercise program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sidering them. In particular, they should seek arbitration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 KCI등재

        운동행동단계와 변화의 과정 변인의 관련성

        김영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운동행동 단계에 영향을 주는 변화과정 변인의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671명의 자료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측정도구는 운동행동단계질문지와 운동행동의 변화과정질문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변화과정 변인중 인지적 전략들은 부분적으로 운동행동의 단계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반면, 행동적 전략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운동단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운동행동이 변화단계에서 행동단계와 유지단계에 있는 청소년들은 운동행동을 준비하는 단계에 있는 청소년들과 비교할 때 더욱 더 습관적으로 행동적 전략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과정의 대부분의 하위변인들은 운동행동의 단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관성을 토대로 변화과정의 인지적 전략과 행동적 전략은 운동행동의 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운동행동과 그와 관련된 행동 변화의 과정에 관하여 의미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는 청소년들의 운동행동을 향상시키고 습관화하는데 있어 인지적, 행동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es of change construct and adolescents' stages of exercise behavior. A total of 671 adolescents randomly selected from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The revised Processes of Change questionnaire was used to predict the effect of processes of change construct on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Results indica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use of processes of change constructs through stages of exercise behavior. The use of cognitive and behavioral strategies increased from precontemplation through maintenanc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cesses of change constructs ha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adolescents' exercise behavior and the processes of behavior change relating to it. Especially,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provides some insights into the physical activity habits and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of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Korean adolescent populations.

      • KCI등재

        생활패턴을 고려한 단계일치 처치전략이 성인들의 신체활동 및 그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단계적변화모형을 기초로 한 단계일치 처치전략이 성인들의 신체활동 수준과 심리적 변인들을 촉진하는데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내에 소재한 S대학교 교직원 378명이 12주 동안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1차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현재 신체활동 수준에 따라 5단계로 분류되었으며, 그 다음 자신의 단계에 맞는 처치전략이 개별적으로 적용되었다. 12주의 처치기간이 끝난 후, 연구참여자들에게 1차 때와 동일한 질문지가 송부되었다. 신체활동 수준 및 단계 그리고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단계일치 처치전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화단계질문지, 자기효능감질문지, 의사결정균형질문지, 변화과정질문지, 운동수준질문지가 적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운동을 전혀 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연구참여자의 비율은 단계일치 처치전략을 적용한 후 67.2%에서 55.8%로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32.8%에서 44.2%로 증가하였으며, 실제적인 신체활동량도 처치전략 적용 전 19.05 METs에서 27.57 METs로 향상되었다. 단계일치 처치전략을 적용한 후, 행동적 변화과정을 제외한 단계적변화모형의 모든 구성변인 (예, 자기효능감, 운동이득, 운동장애, 인지적 변화과정)들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적용된 단계일치 처치전략은 신체활동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의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신체활동을 촉진시키고 이를 통해 건강증진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는 관련분야 연구자들에게 의미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lifestyle-based stage-matched intervention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378 administrative staff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geographically located in northern Seoul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over a period of 12 week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baseline questionnaire packet and classified into 5 stages of exercise behavior based on their response. The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nt the stage-matched intervent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ir current stage of change classification. After 12 weeks, all participants were e-mailed and asked to complete the same set of questionnaires completed at baseline. The measures of stage of change, processes of change, self-efficacy, decision balance, and physical activity level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tage-matched internvetion on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ate of the study participants reported being inactive or physical activity irregularly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7.2% to 55.8% after 12 weeks. In contrast, regular exercisers significnatly increased from 32.8% to 44.2%, and in physical activity levels METs scores clearly increased from 19.05 to 27.57 by using the stage-matched intervention. All sub variables of transtheoretical model such as self-efficacy, pros, cons, and cognitive processes of change, except behavioral processes of change, were positively changed after intervention. The stage-matched interventio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promoting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physical activity.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baseline information to professionals and researchers in a field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who want to design th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imed at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 KCI등재

        생활체육참여자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자기도식과 운동중단유혹의 관계

        송기현,임현묵,김승용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심리적 과정에 따른 운동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변화단계와 운동자기도식, 운동중단유혹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공공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총 297부의 최종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후 다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판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운동변화단계에 따라서 운동자기도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변화단계에 따라서 운동중단유혹은 지도자와 의욕상실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적 자기도식과 의욕상실은 운동변화단계를 판별하는데 주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운동자기도식은 의욕상실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정에는 인지-감정적 자기도식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 among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 exercise self-schema, and temptation of quitting exercise to figure out changes to the exercise behavior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otal 297 questionnaires from adults using a public sports center. Collected data was treated with the SPSS 18.0 program, being put to the te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 according to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emptation of quitting exercise between coache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 third, behavioral self-schema and burnout were major factors to distinguish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 and finally, exercise self-schema had negative effects on burnout, and cognitive-emotional self-schema had negative effects on affect.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 여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상과 스포츠 자신감

        표내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청소년기 여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상과 스포츠 자신감을 알아보고, 신체상이 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운동행동변화단계 질문지, 신체상 질문지, SSCQ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491명의 자료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문제 검정을 위한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Window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기 여학생은 운동행동변화단계에 있어 대부분이 계획전, 계획단계에 있었다. 둘째,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상은 건강체력평가와 외모전반평가에서 유지단계가 계획전 단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 자신감은 교사만족에서 행동단계가 유지단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상의 하위요인 중 몸치장, 건강체력평가, 외모전반평가는 스포츠 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격려와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신장불만은 부적영향을 미쳤다. 또한 건강체력평가와 외모전반평가는 교사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dy image and sports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of schoolgir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4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Busan. The means of measurement used were the body image scale, sports self-confidence scale and the exercise behavior change stag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girls'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Second, the girls' maintenance stage was higher than the precontemplation stages in health/fitness evaluation and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The action stage was higher than the maintenance stage of teacher satisfaction. Third, grooming, health/fitness evaluation,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ncouragement and accomplishment; height dissatisfaction had a negative effect. Also health/fitness evaluation, overall appearance evalu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teacher satisfaction.

      • KCI등재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

        이은경 ( Eun Kyung Lee ),홍양자 ( Yang Ja Hong ),정복자 ( Bok Ja J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을 분석하여 재활 및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4~7세의 발달장애유아 20명으로 사용된 측정도구는 이동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GMD II(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3회의 비디오 촬영과 특수체육전문가의 매회 관찰지이다.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12개월 간의 사전 연구활동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것으로 24주 동안 60분씩 24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근운동기술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종속 t-검증(paried t-test)을 실시했고,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단계별 특성분석은 Gallahue와 Ozmun(2002)이 제시한 운동발달단계를 기준으로 3회의 비디오 촬영과 3명의 특수체육전문가가 매회 지속적으로 체크한 관찰지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이동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이동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이동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기술인 물체조작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물체조작운동기술의 6개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치기(p<.01), 제자리 튀기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 던지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각 물체조작 운동기술 6개 영역의 운동발달 단계별 특성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ptual - 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provide effective data on the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through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by motor development stages. Participants included 2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t the age of 4-7 years,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instrumentation, 12 items of TGMD II (6 items from each locomotion and object manipulation domain)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video footage (3 times) by 3 special physical education professionals and observations records were utilized. The perpe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which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experiments for 12 months were performed 60 minutes, 24 times per week. To see the pre and post results of gross-motor skills, a series of paired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analyses, and a critical value of α = .05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motor development stages suggested by Gallahue and Ozmun(2002),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and video footage b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s.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e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locomotive movement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1).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as running(p<.001), galloping(p<.001), hopping (p<.001), leaping(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ing(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tor development stage were observed in 6 areas of locomotive movement skill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Second, participation in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had a positive effect on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a kind of gross motor skill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1) statistically.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h 6 sub-factor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 as two-hand strike(p<.01), stationary bounce(p<.05), catching(p<.001), kicking(p<.001), overhand throw(p<.001) and underhand roll(p<.001).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motor development stages were observed in 6 areas of object manipulation mo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