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주발사체 3축 자세제어용 단일액체추진제 추력기

        김정수(Jeong Soo Kim),배대석(Dae Seok Bae),정훈(Hun Jung),서항석(Hang Seok Seo),김인태(In-tae Kim)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비행축/자세제어용 단일추진제 추력기의 우주발사체 적용과 국내 설계개발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탑재체의 정확한 궤도투입을 위하여 정밀한 자세제어가 요구되는 발사체 최종 단은 대부분 비추력 성능이 우수하고 높은 신뢰도 확보가 가능한 단일추진제 하이드라진 추력기시스템을 장착한다. A practical application of flight-axes/attitude control thrusters to the space launch vehicle and their design development localization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Hydrazine thrusters are mostly used in a final stage of space launch vehicles on account of its higher specific impulse and reliability necessary for the precise attitude control attaining the orbit insertion with higher accuracy.

      • KCI등재

        루마니아의 유형 자산 ‘트로이차(Troiţa)’에 나타난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김정환(Kim, Jeong 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Troytsa(Troiţa)’ as the tradition of folk belief which reflects the Shamanism accepted in the Korean culture and related to the totem pole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based on the Menhir and the Pillar showing its figure as the Sky Column and the Tree of World. The almost ‘Troytsa(Troiţa)s’ which we can see today, are the types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nd decorated by the pattern of the Cross, icons or various sacred images. This is widely known as ‘a big Cross’ or 'a Christian wooden or stone monument stood at crossroad' among the people. ‘Troytsa(Troiţa)s’ is considered as a comprehensive name originated from the ‘Trinity’. If the ‘Sky Columns’ is a representative monument of pre-Christian structure, the sacred monuments of Christian structure being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roytsa(Troiţa)s’: the ‘Cruciform Troytsa(Troiţa)’, the ‘Icon-form Troytsa(Troiţa)’ and the ‘Shelter(Church Porch, Pergola, Fountain, Gate, Catacomb etc.) Troytsa(Troiţa)’. Among them, ‘Cruciform Troytsa(Troiţa)’ which is made by wood and stone, is easy to be found, being a widely distributed type of ‘Troytsa(Troiţa)’ in Romania. The ‘Troytsa(Troiţa)’ is well preserved generally in the mountainous and hill areas. The highland where meet the two areas, has the role to reconcile the various and different features of life, to unite into one and it is also a symbolic place which prevents the inherent traditional conventions from the aggressive and industrial civilizations. The essential national structures of ‘Troytsa(Troiţa)’ are the ‘solar sign’, the ‘tree’ as the axis mundi and the ‘anthropomorphic pattern’as the instances of ‘humanoid pattern’ or ‘torso’. It is clear that the ancient sacred monuments which have the role of medium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ity of Sky are the symbols of ‘Tree of Cosmos’ or ‘Tree of World’. Being as the axis mundi, these become the unique place which realizes the communication with God. As the every holy place will be a Cosmos by oneself, ‘Tree of Cosmos’ and its descendant figure ‘Troytsa(Troiţa)’ also will be a divine substance by oneself. In the myth-religious viewpoints, ‘Troytsa(Troiţa)’ was deduced from ‘the Sky Columns’ and was originated at the beginning including the divine sense of ‘the Tree of World’ or ‘the Tree of Cosmos’. The Sky Column and ‘Troytsa(Troiţa)’ combined by the three essential substances, the human, the tree and the sun(divinity), represent the humans’interests for the continuing to exist, but on the other side, show to humans the aspiration of deity and sacredness. The Romanians’ relief, mentality and life are matured since long before by the Sky Column and its simulacrum, ‘Troytsa(Troiţa)’, which preserved the esthetic structure of myth, religion and magic.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cultural heritage as ‘Troytsas (Troiţa)’ inherent in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Romania. ‘Troytsa(Troiţa)’ united in the Totem of Tree and Christianity, has influences on the other cultural spheres each other as a tide and becomes the prototype which reflects and forms the cultural mentality of a nation. 우리 문화 속에 내재된 샤머니즘이나 민간의 입간 습속과 유사한 트로이차는 하늘의 원주와 같이 신격화된 조형물과 세계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선돌과 지주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트로이차는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유형들로서 십자가 문양이나 성화나 성상이 조각되거나 장식되어 있다. 흔히 민간에서는 ‘길가 교차로 등에 세워진 석조나 목조의 크리스트교 조형물’이나 커다란 십자가 정도로 통용되기도 한다. 트로이차는 ‘삼위일체’에서 기원된 포괄적 명칭으로 인식된다. 하늘의 기둥과 원주가 크리스트교 이전의 성스러운 조형물을 대표한다면,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성스러운 조형물은 크게 ‘십자가형’, ‘성화상형’, ‘처소형’ 트로이차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그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는 루마니아에 가장 많고 또 넓게 분포하는 유형으로 +자 또는 T자 등 다양한 이형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트로이차는 급변하는 산업문명의 영향으로부터 고립되어 전통성을 보다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릉지에 잘 보존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로이차의 공적 양식은 ‘태양의 기호’, 세계축(axis mundi)을 연상시키는 ‘수목(樹木)’ 그리고 ‘의인관’이다. 고대 하늘의 종교에 의해 영속되어 온 조형물들이 인간과 하늘의 신성 사이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우주목 또는 세계수의 상징들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 조형물은 궁극적으로 세계의 중심 또는 세계축이 되며, 신과의 의사소통이 실현되는 유일한 장소가 된다. 각각의 성소가 고대적 관점에서 스스로 하나의 우주가 되는 것처럼 공동체 거주지의 중심에 식수된 우주목 또는 그와 유사한 이형인 트로이차 역시 스스로 그 자신의 신성화와 동일시된다. 우주목, 하늘의 원주, 트로이차는 스스로 신성을 받아들이며 동시에 나쁜 기운을 거부하는 액막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간, 수목, 태양(신성)의 세 가지 핵심적인 영역이 결합된 하늘의 원주와 트로이차는 사적 존속을 위한 인간의 이해를 대변하지만, 다른 한편 자연과 우주에 대한 강한 친화력 그리고 신성과 성스러움을 향한 동경을 보여준다. 신화 종교적, 주술적 미의 구조를 간직한 하늘의 원주와 그 이형 그리고 트로이차는 과거로부터 루마니아인의 신앙과 정신세계 그리고 삶을 성숙시켜왔다. 성과 속의 측면에서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만큼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는 유형 문화유산의 이형이나 변형은 드물다. 수목의 토테미즘과 크리스트교가 접목된 트로이차는 조수(潮水)처럼 루마니아 문화의 또 다른 영역들과 끝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반영하는 원형(原型)이 되고 있다.

      • KCI등재

        루마니아의 유형 자산 ‘트로이차(Troiţa)’에 나타난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김정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Troytsa(Troiţa)’ as the tradition of folk belief which reflects the Shamanism accepted in the Korean culture and related to the totem pole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based on the Menhir and the Pillar showing its figure as the Sky Column and the Tree of World. The almost ‘Troytsa(Troiţa)s’ which we can see today, are the types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nd decorated by the pattern of the Cross, icons or various sacred images. This is widely known as ‘a big Cross’ or 'a Christian wooden or stone monument stood at crossroad' among the people. ‘Troytsa(Troiţa)s’ is considered as a comprehensive name originated from the ‘Trinity’. If the ‘Sky Columns’ is a representative monument of pre-Christian structure, the sacred monuments of Christian structure being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roytsa(Troiţa)s’: the ‘Cruciform Troytsa(Troiţa)’, the ‘Icon-form Troytsa(Troiţa)’ and the ‘Shelter(Church Porch, Pergola, Fountain, Gate, Catacomb etc.) Troytsa(Troiţa)’. Among them, ‘Cruciform Troytsa(Troiţa)’ which is made by wood and stone, is easy to be found, being a widely distributed type of ‘Troytsa(Troiţa)’ in Romania. The ‘Troytsa(Troiţa)’ is well preserved generally in the mountainous and hill areas. The highland where meet the two areas, has the role to reconcile the various and different features of life, to unite into one and it is also a symbolic place which prevents the inherent traditional conventions from the aggressive and industrial civilizations. The essential national structures of ‘Troytsa(Troiţa)’ are the ‘solar sign’, the ‘tree’ as the axis mundi and the ‘anthropomorphic pattern’as the instances of ‘humanoid pattern’ or ‘torso’. It is clear that the ancient sacred monuments which have the role of medium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ity of Sky are the symbols of ‘Tree of Cosmos’ or ‘Tree of World’. Being as the axis mundi, these become the unique place which realizes the communication with God. As the every holy place will be a Cosmos by oneself, ‘Tree of Cosmos’ and its descendant figure ‘Troytsa(Troiţa)’ also will be a divine substance by oneself. In the myth-religious viewpoints, ‘Troytsa(Troiţa)’ was deduced from ‘the Sky Columns’ and was originated at the beginning including the divine sense of ‘the Tree of World’ or ‘the Tree of Cosmos’. The Sky Column and ‘Troytsa(Troiţa)’ combined by the three essential substances, the human, the tree and the sun(divinity), represent the humans’interests for the continuing to exist, but on the other side, show to humans the aspiration of deity and sacredness. The Romanians’ relief, mentality and life are matured since long before by the Sky Column and its simulacrum, ‘Troytsa(Troiţa)’, which preserved the esthetic structure of myth, religion and magic.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cultural heritage as ‘Troytsas (Troiţa)’ inherent in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Romania. ‘Troytsa(Troiţa)’ united in the Totem of Tree and Christianity, has influences on the other cultural spheres each other as a tide and becomes the prototype which reflects and forms the cultural mentality of a nation. 우리 문화 속에 내재된 샤머니즘이나 민간의 입간 습속과 유사한 트로이차는 하늘의 원주와 같이 신격화된 조형물과 세계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선돌과 지주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트로이차는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유형들로서 십자가 문양이나 성화나 성상이 조각되거나 장식되어 있다. 흔히 민간에서는 ‘길가 교차로 등에 세워진 석조나 목조의 크리스트교 조형물’이나 커다란 십자가 정도로 통용되기도 한다. 트로이차는 ‘삼위일체’에서 기원된 포괄적 명칭으로 인식된다. 하늘의 기둥과 원주가 크리스트교 이전의 성스러운 조형물을 대표한다면,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성스러운 조형물은 크게 ‘십자가형’, ‘성화상형’, ‘처소형’ 트로이차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그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는 루마니아에 가장 많고 또 넓게 분포하는 유형으로 +자 또는 T자 등 다양한 이형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트로이차는 급변하는 산업문명의 영향으로부터 고립되어 전통성을 보다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릉지에 잘 보존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로이차의 공적 양식은 ‘태양의 기호’, 세계축(axis mundi)을 연상시키는 ‘수목(樹木)’ 그리고 ‘의인관’이다. 고대 하늘의 종교에 의해 영속되어 온 조형물들이 인간과 하늘의 신성 사이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우주목 또는 세계수의 상징들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 조형물은 궁극적으로 세계의 중심 또는 세계축이 되며, 신과의 의사소통이 실현되는 유일한 장소가 된다. 각각의 성소가 고대적 관점에서 스스로 하나의 우주가 되는 것처럼 공동체 거주지의 중심에 식수된 우주목 또는 그와 유사한 이형인 트로이차 역시 스스로 그 자신의 신성화와 동일시된다. 우주목, 하늘의 원주, 트로이차는 스스로 신성을 받아들이며 동시에 나쁜 기운을 거부하는 액막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간, 수목, 태양(신성)의 세 가지 핵심적인 영역이 결합된 하늘의 원주와 트로이차는 사적 존속을 위한 인간의 이해를 대변하지만, 다른 한편 자연과 우주에 대한 강한 친화력 그리고 신성과 성스러움을 향한 동경을 보여준다. 신화 종교적, 주술적 미의 구조를 간직한 하늘의 원주와 그 이형 그리고 트로이차는 과거로부터 루마니아인의 신앙과 정신세계 그리고 삶을 성숙시켜왔다. 성과 속의 측면에서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만큼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는 유형 문화유산의 이형이나 변형은 드물다. 수목의 토테미즘과 크리스트교가 접목된 트로이차는 조수(潮水)처럼 루마니아 문화의 또 다른 영역들과 끝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반영하는 원형(原型)이 되고 있다.

      • KCI등재

        『三國遺事』의 龍王과 龍宮 形象

        신태수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In Samgukyusa, the Dragon King is depicted as a man-god or beast. The Dragon King is called a beast to emphasize the authority of Buddha or high priest and include the Dragon King in the order of Buddhist world.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is no exception to the order of Buddhist world, either, and the grounds can be found in the roles of high priests. It is said that only high priests can enter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bring the palace in the order of universe as the leading figure to establish the Buddhist cosmic network, in which the Dragon King has no independence and has to depend on a high priest to escape his current situation. Given those circumstances, it feels natural that the landscape of the palace should be revealed by a high priest, but it is not the case. The landscape of the palace cannot be shown because the dignity of the palace should be hidden. There are two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agon King and his underwater palace in terms of form: the symmetrical world view is used as a means of Buddhist faith, and the virtue of "people-Buddha" structure is expanded in a cosmic fashion. 『三國遺事』에서는 용왕을 神人이라고 하기도 하고 畜生이라고 하기도 한다. 용왕을 축생이라고 하는 까닭은 부처나 高僧의 권능을 강조하고 용왕을 불교세계의 질서에 편입시키기 위함이다. 용왕의 거주지인 용궁 또한 불교세계의 질서에서 예외가 아니다. 그 근거를 고승의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고승만이 용궁 출입을 하고 고승만이 용궁을 우주 질서에 편입시킨다고 하면서, 고승이야말로 불교적 우주 그물망을 형성하는 주역이라고 한다. 불교적 우주 그물망 속에 들어간 용왕은 독자성이 없으며, 오로지 고승에게 기대어야 野蠻 狀態를 벗어날 수 있다. 정황이 이렇다면 고승에 의해 龍宮 風情이 나타나야 하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용궁의 위용을 숨기느라고 용궁 풍정을 드러낼 수가 없었다. 용왕과 용궁 형상을 총괄해보면, 두 가지의 사상적 특징이 포착된다. 對稱的 世界觀이 불교신앙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과 ‘중생-부처’ 구도의 공효가 우주적으로 확장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용왕(龍王)과 용궁(龍宮) 형상(形象)

        신태수 ( Shin Tae-soo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三國遺事』에서는 용왕을 神人이라고 하기도 하고 畜生이라고 하기도 한다. 용왕을 축생이라고 하는 까닭은 부처나 高僧의 권능을 강조하고 용왕을 불교세계의 질서에 편입 시키기 위함이다. 용왕의 거주지인 용궁 또한 불교세계의 질서에서 예외가 아니다. 그 근거를 고승의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고승만이 용궁 출입을 하고 고승만이 용궁을 우주 질서에 편입시킨다고 하면서, 고승이야말로 불교적 우주 그물망을 형성하는 주역이라고 한다. 불교적 우주 그물망 속에 들어간 용왕은 독자성이 없으며, 오로지 고승에게 기대어야 野蠻 狀態를 벗어날 수 있다. 정황이 이렇다면 고승에 의해 龍宮 風情이 나타나야 하겠지만, 그렇지는 않다. 용궁의 위용을 숨기느라고 용궁 풍정을 드러낼 수가 없었다. 용왕과 용궁 형상을 총괄해보면, 두 가지의 사상적 특징이 포착된다. 對稱的 世界觀이 불교신앙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과 `중생-부처` 구도의 공효가 우주적으로 확장된다는 점이 그것이다. In Samgukyusa, the Dragon King is depicted as a man-god or beast. The Dragon King is called a beast to emphasize the authority of Buddha or high priest and include the Dragon King in the order of Buddhist world.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is no exception to the order of Buddhist world, either, and the grounds can be found in the roles of high priests. It is said that only high priests can enter the underwater palace of Dragon King and bring the palace in the order of universe as the leading figure to establish the Buddhist cosmic network, in which the Dragon King has no independence and has to depend on a high priest to escape his current situation. Given those circumstances, it feels natural that the landscape of the palace should be revealed by a high priest, but it is not the case. The landscape of the palace cannot be shown because the dignity of the palace should be hidden. There are two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ragon King and his underwater palace in terms of form: the symmetrical world view is used as a means of Buddhist faith, and the virtue of "people-Buddha" structure is expanded in a cosmic fashion.

      • KCI등재SCOPUS
      • 우주발사체 3축 자세제어용 단일액체추진제 추력기

        김정수(Jeong Soo Kim),박정(Jeong Park),정훈(Hun Jung),감호동(Ho Dong Kam),이재원(Jae-won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본 논문에서는 자세제어용 추력기에 사용되는 단일액체추진제의 성능특성 및 활용현황을 조사한다. 과산화수소는 단일추진제로서 1960년대 중반까지 활발히 사용되었으나, 비추력 성능과 저장성이 탁월한 하이드라진으로 급속히 대체되었다. 하이드라진은 양호한 성능특성을 배경으로 인공위성, 행성간 탐사선, 우주발사체 등의 단일추진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A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status of liquid-monopropellants used for 3-axis control thrusters are surveyed, in this paper. Hydrogen peroxide was widely used as monopropellant until mid-1960s, but it is rapidly replaced with hydrazine which has better performance of specific impulse, storability, and so on. Hydrazine is mostly employed as a liquid-monopropellant of satellite, interplanetary spacecraft, and space launch vehicle owing to its moderate performance features.

      • KCI등재

        고유축 회전에 근거한 우주비행체 강인 자세제어 기법

        남헌성,유준,Nam, Heon-Seong,Lyou, Joon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1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4 No.2

        In this paper, a robust attitude control scheme based on Eigenaxis rotation for the spacecraft is proposed. Eigenaxis rotation transforms the attitude of spacecraft to the shortest path and is represented by quaternion. The control law consists of PD-type control part for the nominal system and the robust control part for compensating inertia uncertainty. For the proposed controller, stability analysis is performed and the performance is shown via computer simulation.

      • KCI등재

        루마니아의 ‘트로이차’와 장승·솟대 비교연구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한 마디로 우리 문화의 ‘장승’이나 ‘벅수’또는 ‘솟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입간 습속의 대표적인 민속 조형물인 장승(벅수)과 솟대는 하위신으로서 민간과 밀착되어 부락이나 방위 수호, 산천비보, 읍락 비보, 호법, 경계표, 노표, 금표, 기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신격화된 조형물을 의미하며, 장대나 돌기둥 위에 새를 앉힌 모양을 한 솟대는 북아시아 샤머니즘의 문화권 안에서 ‘세계수’와‘새’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매우 오랜 역사성을 지닌 신앙 대상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변별성을 부여하여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는 원시 민속학적 기원(수목의 토테미즘)에 뿌리를 둔 크리스트교 사상의 성스러운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트로이차는 마을의 입구나 출구 또는 길가 교차로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때때로 마을의 중심부에 세워져 트로이차 스스로 현실과 상상의 모든 길이 만나는 교차로서의 상징성을 내포하기도 하고, 마을과 마을의 경계에 세워져 노표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과거 공동체의 삶은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와 같은 성스러운 수목을 구심점으로 하여 확립되었으나, 근래로 넘어오면서 트로이차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형성으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는데, 하늘, 즉 신성과의 교감 또는 사다리나 계단 같은 ‘세계수’의 의미를 상징하게 되었다. 종교 신화적 테두리 안에서 ‘땅 밑’과 ‘땅 위’ 그리고 ‘하늘’을 이어주는 세계수의 상징을 가진 트로이차는 공간의 신성화는 물론 악령, 어둠, 지하세계와 같은 자연의 모든 사악한 기운에 대한 방어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토로이차는 한 민족의 다양한 공동체 속에서 과거와 현재, 성과 속,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하나로 결속시켜주는 종교 문화적 기호이자 상징이 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장승(벅수)과 솟대 역시 마을의 입구, 교차로, 마을 경계, 사원이나 대문 등 초자연적 존재들이 드나들거나 내·외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농, 액막이, 벽사, 노표 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트로이차’나 솟대, 장승 또는 그 복합형을 아우르는 ‘장승류’역시 유사한 점을 보이지만, 그 모습과 유형은 사뭇 다른 것이 특징이다. 장승이 잡귀나 질병을 내칠 듯이 입을 크게 벌려 몹시 노한 표정을 지으며 의인화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솟대는 ‘장대’와 ‘새’로 구성되어 샤머니즘의 범주 안에서 세계수의 상징성을 지향한다. 즉, 트로이차와 솟대가 입간민속의 하나로 지주나 선돌형을 보편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면, 장승은 기둥형이나 비석형에 바탕을 두되 우상형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장승은 돌과 나무로 만들어진 석장승과 목장승이, 그리고 솟대 역시 나무와 당간 지주 형태의 돌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만물에 신령이 깃들어 있다는 다신적 만상이 시대를 거쳐 나무와 돌 등이 신의 처소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수용된 것으로 인식된다. 트로이차의 재질 역시 주로 돌과 나무로 만들어지는데, 크리스트교 도입 이전의 트로이차는 하늘의 기둥이나 원주처럼 성스러운 구조물의 형태를 뗬으나, 크리스트교 도입 이후 십자가형이 주류를 이루며 성상(이콘)이나 교회의 포치 이형들도 등장하게 된다. 또한 트로이차나 솟대와 달리 장승은 성이 구분되는데, 남장승은 홍색, 여장승은 황색으로 채색되는 것이 특징이다. 루마니아의 일부 지역에서는 트로이차의 유형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와 ‘성상(이콘)형 트로이차’가 복합적으로 앙상블을 이루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의 시골에서 자주 접하는 장승과 솟대의 앙상블과 매우 유사하다. ‘트로이차’와 ‘장승(벅수)·솟대’는 양국의 기층문화 속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마을 또는 공동체의 신앙으로서 수호와 비보, 골막이와 액막이, 노표로서의 주된 기능 외에도 솟대가 보여주듯‘우주목(세계수)’과 ‘하늘 새(물새)’의 결합처럼 예사롭지 않은 신앙의구심 축을 이루는 입간 민속이 되고 있다. An artistic creation expressed as a cultural phenomenon symbolize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s soul and mental life. The house or the church among the various formative arts reflects, in many cases, not only the proper and philosophical art, but also the religious belief and permanent national identity. The cultural heritage of a nation which shows us the religious symbol and signal in the great nature harmonized with the profane and the sacred, is also found easily in Romania. 'Troytsa (Troiţa)' and 'Jangseung·Sotdae' among them are representative. The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 (Troiţa)' conforms very similarly, in a word,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Jangseung·Sotdae'. 'Jangseung' and 'Sotdae', the representative popular sculptured creation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are close to villagers' life, being a low-ranking god among the village's gods. These deific creations have the functions of divine protection of village's peace, the signpost, the boundary,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the good harvest, the preventing misfortune, the prayer for children etc. The Sotdae which puts the birds on the pole or the stone column, is recognized as an object of belief mixed between the 'Tree of World' and the 'Bird of Soul' in the cultural area of North Asia shamanism. Unlike them, the Romanian 'Troytsa (Troiţa)', taken root in the ancient faith (the Totem of Tree), is a divine sculptured creation mixed with Christianity. The 'Troytsa (Troiţa)' is located generally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or the intersection of the roads. Moreover, the one constructed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contains the symbol of the intersection which meets the whole imaginative roads and the other set on the border between neighboring villages having the function of the signpost. The sacred tree of pre-Christian as 'the Sky Columns' is the center of the life of the community in the ancient times, and nowadays the 'Troytsa (Troiţa)' is recognized as the center of community. The 'Troytsa (Troiţa)' has the significance as the Tree of World which links the land with the sky and the underground in the conception of the religious mythology. Having not only the consecration of the space, but also the prevention of whole misfortune and evils, the 'Troytsa (Troiţa)' means the religious signs and cultural symbols which unite the ground and the underground, the profane and the sacred, the continuance and the discontinuity. From this point of view, 'Jangseung' and 'Sotdae' are constructed on places such as the entrance of village, the intersection, the boundary, the monastery, the gate in which supernatural beings or villagers come in and go out and the contact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gets accomplished. The 'Troytsa (Troiţa)', the 'Jangseung', the 'Sotdae' and their complexes have the same standpoint for the functions and characters, but their features and patterns are different. The 'Jangseung' keeps the angry and fearful countenance as much as to throw away the diseases and the evil spirits, but "Sotdae', consisted of the totem pole and the bird of soul, intends to be the symbol of the Tree of World. If the 'Troytsa (Troiţa)' and the 'Sotdae' maintain the style of the 'Menhir' or the 'Column' as one of the folk beliefs related to the totem pole, the 'Jangseung' preserves the 'Iconolatry', the 'Column' and the 'Tombstone'. The 'Jangseung' is made generally by wood and stone, and the 'Sotdae' is also constructed by the same materials. These materials are accepted through the outlook on the world which the divine spirits close in all things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wood and the stone become the living place of gods. The 'Troytsa (Troiţa)' is also made by wood and stone. The pre-Christian 'Troytsa (Troiţa)' keeps a type of the 'Column', but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this adopts the pattern of the crosses. Different to the 'Tr

      • KCI등재

        우물신앙의 본질과 전개 양상 -민속학 자료를 중심으로-

        이필영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0 No.26

        Digging a we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a village it is regarded as the creation of a microcosmos. In religious symbolism, a well transforms ‘natural water’ into ‘water for man’. To create and maintain the quality of water, the intervention of gods is often required. A well connects and penetrates the underground and the aboveground by its vertical structure. A well also stands for ‘the symbol of center,’ between above and below ground. The underground is considered as ‘Su-gye (world of water).’ Furthermore, the underground is also recognized as another related world, ‘Jeo-seung (world of the dead).’ The symbolic meanings of a well include life, purification, rebirth, incarnation, and creation. A well has its own god which is usually incarnated as a life that stays in the well. Thus, a wel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ymbols of a village, parallel to the god’s mountain as a cosmic axis. A well contains spiritual power. Often, spirit makes a well by himself or reveals a clue about a place with water underneath for a well. A well has a tendency to keep itself pure. However, sometimes a well can display abnormality when it contains something impure or when a taboo is broken. On the other hand, it can be interpreted as a foretelling of the future which can be good or bad depending on the kind of abnormality shown in a well: level of purity, color, shape of the water spring, dryness The well’s power to create life is utilized in woman’s pregnancy, birth and nurturing: A well has the spiritual power to transform infertility into fertility, difficulties of delivery into easy delivery or dry breast milk into abundance. Further, a well creates a heroic man with its god’s power. Life-death-rebirth is another important symbol of a well’s water. The power of a well can create completely new existence outside of the life-death-rebirth cycle. ‘Jeong-Hwa Soo (first water of the day)’ is the essence of the purifying power of a well. The supreme purity and cleanness of Jeong-Hwa Soo enables man to communicate with the gods and clean the mundane. Thus, well water can cleanse all kinds of impurity. The vertical structure of a well enables its water to flow underground, to rivers, and to the seas of the world. Thus, the god of a well, a dragon, can freely travel underground to the sea, and aboveground. To maintain the function of a well, flourishing water requires belief in the well and rituals. The following examples have the same purpose: the well ceremony in houses or a village, ritual for a well, ritual for the god of the sea. In fact, a well in a house or a village doesn’t show its holiness in everyday life. However, a well can be transformed into a holy place when important passages of time occur, such as the change of a season or year or the beginning or the ends of agriculture. 우물 파기는 마을이란 小宇宙의 창조에서 가장 중요한 하나의 과제이다. 우물은 종교적 상징성에 서 본다면 ‘자연의 물’을 ‘인간의 물’로 일정 부분 변환시킨 것이다. 우물에 신령들이 개입되어야 하 나의 우물이 제대로 탄생하고 유지된다. 우물의 건축 구조는 地上과 地下를 수직적으로 연결하고 소통하게 하는 ‘中心의 상징’을 지닌다. 지하는 지하의 水界와도 동일시된다. 이는 더 나아가 또 하나의 他界, 저승으로도 인식된다. 우물물은 生命, 豊饒, 淨化, 再生 및 還生, 創造란 상징을 지닌다. 우물에는 대체로 龍으로 형상화 된 우물신[井神]이 坐定한다. 또한 우물은 마을의 堂山과 더불어 또 하나의 宇宙軸이 된다. 우물은 여러 靈驗과 神通力을 드러낸다. 神靈은 우물을 직접 만들어 주거나 우물자리를 啓示해 준다. 우물은 항상 스스로 ‘깨끗함’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만일 不淨이 발생하면 우물은 變故를 나타낸다. 그러나 不淨과는 관계없이 어떤 吉凶을 예고할 경우에도 變故를 나타낸다. 變故는 대개 우물물의 淸濁, 색깔, 물이 솟는 모양새, 마르거나 넘치는 것, 그리고 結氷 등으로 표현된다. 우물의 생명력은 인간의 임신ㆍ출산ㆍ육아에 널리 응용된다. 우물은 不姙을 受胎로, 難産을 順産 으로, ‘젖 부족’을 ‘젖 풍부’로 전환시키는 靈驗을 지닌다. 또한 우물은 위대한 인간을 탄생시키는 신 통력이 있다. 우물물은 ‘생명-죽음-재생 및 환생’이란 상징을 갖는다. 우물은 더 나아가 재생과 환생을 초월 하는 ‘새로운 존재의 탄생’도 실현하는 聖所이다. 우물이 지닌 淨化性의 핵심은 井華水이다. 至高의 깨끗함과 맑음은 인간과 神을 소통하게 한다. 또한 정화수는 俗世를 淨化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모든 不淨을 없애는 ‘不淨물’이 派生한다. 땅을 수직으로 파서 만든 우물은 지하를 통하여 모든 바다와 강들과 잇닿아 있다. 우물신인 龍은 우물을 통하여 지하, 곧 물의 세계로 들어가 四海를 넘나들거나 다시 지상으로 출현할 수 있다. 우물물이 항상 제대로 솟게 하려면 우물신에 대한 신앙과 그에 따른 제사가 필요하다. 마을이나 가정의 우물고사, 井祭, 용왕제 등이 그러한 목적을 지닌다. 마을이나 가정의 우물은 평소에는 별로 그 신성함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해나 계절이 바뀌거 나, 농사의 始終 등 몇몇의 境界性 시간에서는 俗의 우물이 聖의 우물로 변환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