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서교육 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철환,이영만,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08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이 연구에서는 용서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가해아동에 대한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이해력을 높이도록 교육하여 보복 심리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용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훈련집단 아동(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의 보복심리 수준과 용서 수준이 개선되어 4주 후까지 효과가 지속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G시 소재 K초등학교 5학년 300명 가운데 집단따돌림 경험 학생 판별설문지와 용서 수준 검사를 통해 실험 대상 아동을 선발하여, 매회 40분씩 8회기에 걸쳐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후와 종료 4주 후에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복 심리와 용서 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용서교육 프로그램은 보복심리 수준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그 결과 가해아동에 대한 용서 수준도 의미 있게 증가되었고, 이 효과는 4주 후의 지속검사에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집단따돌림경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용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집단따돌림 아동의 보복 심리를 낮추어, 집단따돌림 경험아동이 다시 가해아동이 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용서교육을 통해 끊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forgiveness group counseling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encouraging school-bullying victims to understand and to forgive bull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5th grade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300 fifth graders in K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G.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school-bullying victims, the eleven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Enright's Forgiveness Inventory(1995), Jang's Group-Bullying Victim Scale (2001) and Park's Revenge Scale(200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reveng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sustained after four weeks lat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scores in the forgiveness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and this effect was remained after four weeks later. The meaning of this study could be described as below; First, the greatest meaning of this study was that unlike earlier studies, it attempted to use a forgiveness program geared toward school-bullying victims and to evaluate its effect. Second, a guidebook for teachers and a workbook for students were provided in the form of lesson plans in order to ensure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ird, the forgiveness program had an effect on easing the revenge of the abused children, and that would make it possible to cut off the vicious circle of turning abused hildren into bullies, as bullied children were likely to bully not only their bullies but also others.

      • KCI등재

        용서와 관용의 비교분석을 통한 차이 연구

        박준웅(Park, Jun Woo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4 No.-

        용서와 관용은 철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는 주제이다. 하지만, 이 둘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찾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이 둘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 가정하는 용서와 관용의 관계는 다음의 네 가지 가짓수로 요약된다. 첫째, 용서와 관용은 같은 행위이다. 둘째, 관용은 용서의 인과적 원인이다. 셋째, 용서는 관용의 인과적 원인이다. 넷째, 용서와 관용은 독립적인 가치이다. 본 연구가 옹호하고자 하는 관점은 마지막 해석이다. 논자는 용서와 관용은 독립적인 행위이며, 같은 대상에 대해 동시에 실천될 수 없는 갈등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논자는 무엇인가를 용서하는 것은 그 대상을 관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무엇인가를 관용한다는 것은 그 대상을 용서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주장한다. Forgiveness and toleration are actively studied topics in various fields of study.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oncepts of forgiveness and toleration an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author examines the relationship by assuming four cases. First, forgiveness and toleration are identical. Second, toleration is the causal cause of forgiveness. Third, forgiveness is the causal cause of toleration. Fourth, forgiveness and toleration are independent values. The perspective that this study seeks to defend is the last assumption. The author asserts that forgiveness and toleration are independent actions. Furthermore, the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re incompatible. In other words, to forgive something means not tolerating the object, and conversely, tolerating something means not tolerating the object.

      • KCI등재

        『모든 용서는 아름다운가』에 나타난 용서의 함의

        유상희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논문은 유대인 홀로코스트 생존자이자 유대역사기록센터 설립자인 시몬 비젠탈 의 책 『모든 용서는 아름다운가』에 내포된 용서의 의미, 용서의 가능성, 용서의 권 리, 용서의 조건, 용서의 과정에 대한 함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용서는 아름다운가』의 제1부는 비젠탈이 경험한 홀로코스트의 체험이 수록되어 있으 며, 특히 그가 수감기간 중 만난 죽어가는 나치 대원이 비젠탈에게 용서를 구하는 일 화가 소개되며 ‘당신이라면 용서하겠는가’라는 질문을 끝으로 글을 마친다. 제2부는 비젠탈의 질문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53인의 답변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답변 은 용서에 대한 다각적 고찰을 이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모든 용서는 아름다운 가』에 나타난 용서의 함의를 통합적 관점에서 해석학적으로 고찰한다. 기존의 용서 에 대한 논의들이 종교적·신학적·윤리적 차원이나 철학적 차원에 치우쳐서 논의되어 온 반면, 본 논문은 기존의 관점들과 더불어 심리·상담 및 목회상담학적 관점을 통합 한 다학제적 관점에서 용서의 가능성, 권리, 조건, 과정에 대한 의미를 고찰한다. 『모 든 용서는 아름다운가』는 먼저 기존의 선행연구들처럼 용서의 당위성(무조건적 용 서)와 용서의 가능성(조건적 용서)을 고찰하게 한다. 무조건적 용서를 주장하는 관점 은 용서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용서가 불가능한 곳에도, 용서할 수 없는 자에게도 제공되어야 하는 의무라고 제시되며, 용서의 조건을 논의하는 관점은 용서는 피해자의 자발적 결정이어야 하며, 피해자에게 용서하도록 강요하는 것과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먼저 용서를 구하지 않고 신이나 제3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것의 위험성을 고찰하게 한다. 더 나아가 비젠탈의 나치 대원과 그의 어머니에 대한 침묵과 전쟁 이후의 삶은 침묵과 거리두기, 정의추구, 자기치유와 자기용서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 ‘과정으 로서의 용서’의 의미를 고찰하게 한다. 용서를 요청받았을 때의 비젠탈의 침묵은 빠른 용서가 아닌 거리두기로서의 용서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전쟁 이후 나치 대원의 어머 니를 찾아가는 것은 상처의 회상과 가해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시도로서의 용서 과정으로도 해석될 수 있었다. 그의 전쟁 이후의 행적은 정의 추구로서 가해자 에게 책임을 부과하고 가해자가 자신의 인간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용 서의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침묵했던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 하는 자기치유와 자기용서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음이 고찰되었다.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possibility, authority, requirement, and process of forgiveness, presented in 『The Sunflower: On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Forgiveness』 by Simon Wiesenthal who is a Jewish Holocaust survivor and cofounder of the Jewish Historical Documentation Center in Austria. This book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presents Wiesenthal's experiences in the concentration camps, especially a meeting with a mortally wounded Nazi asking to forgive him, and the ethical dilemma of whether or not he should have forgiven a Nazi. The second part of the book reveals 53 answers from a diverse group of individuals and leads to reflect on forgiveness. Therefore, this article articulates the implications of forgiveness presented in this book with the holistic and hermeneutical perspective. Since the discussion of forgiveness has been studied mainly from either philosophical perspectives or religious·theological·ethical perspectives, this article tries to reflect on the possibility, authority, requirement, and process of forgiveness with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including psychological and pastoral counseling aspects as well as philosophical, theological, ethical aspects. 『The Sunflower』 raises the issues regarding the justifiability(unconditional forgiveness) and the possibility(conditional forgiveness), as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forgiveness. The perspectives advocating unconditional forgiveness suggest that forgiveness has to be practiced as a human duty for the worst situations, impossible places, and unforgivable people while the perspectives suggesting conditional forgiveness argue that forgiveness has to be practiced based on victims’ voluntary decision and be carefully practiced neither in forcing the victims to forgive, nor in allowing the perpetrators to ask forgiveness to God or a third party prior to their victims. In addition, Wiesenthal's silence and later life after the war leads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forgiveness as process' revealed in his silence and separation, justice seeking, and self-healing and self-forgiveness. Wiesenthal's silence after being asked to forgive a Nazi could be considered to be forgiveness as separation instead of practicing rapid forgiveness, and his visitation to a Nazi's mother afer the war could be understood as forgiveness in process by recalling his wound and trying to understand and empathize a Nazi's situations. Wiesenthal's later life could also be considered as forgiveness in process not only based on his effort for justice seeking to make the perpetrators to take their reponsibilities for what they had done as well 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perpetrators to recover their dignity, but also based on his journey to self-healing and self-forgiveness for himself whom had been in silence confronting a Nazi and a Nazi's mother.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용서 빌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종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evels and characteristics of forgiveness-seeking and its related variables among college students in Korea. Forgiveness-seeking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an offender(s) who regrets his/her wrongdoing and seeks forgiveness from his/her victim(s). It encourages victims to forgive the offender, which helps recover the broken relationship and trust. A total of 240 college students in the current study were administered with three psychological instruments that each measure forgiveness-seeking, empathy, and moral judgment.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a medium level of forgiveness-seeking, and the mean score of this behavior in male students is greater than that in female stud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seek forgiveness if they are male, have a high level of empathy, believe in the victim’s forgiveness, or have done moral (prosocial) deeds for the victim (i.e. apologizing, providing explanations, or making reparations) after the offens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forgiveness-seek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용서빌기 수준과 특징, 용서빌기와 관련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서빌기는 가해자가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하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이다. 용서빌기는 피해자의 용서를 도울 뿐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깨어진 신뢰와 인간관계를 회복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를 위해 240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고 용서빌기 척도를 통해 용서빌기의 수준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공감, 도덕 판단력, 피해자와의 관계, 가해자의 용서빌기 행동과 용서빌기 수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회귀분석 결과, 남학생일수록, 공감능력이 발달할수록, 피해자를 위한 용서빌기 행동(사과, 화해, 보상 등)을 한 경우와 피해자가 용서했다고 가해자가 믿는 경우, 가해자의 용서빌기 수준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용서빌기의 교육적 활용 및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용서의 윤리-호모 울토르(Homo Ultor)에서 호모 이그노센스(Homo Ignocense)로-

        이종원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4 신학과 사회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oth survey the desire for revenge and forgiveness, as well as explain how we can change the desire for revenge into forgiveness. At first, I will analyze the causes of revenge and their limitations. I will look at the spirits and characteristics of forgiveness and ideal models of forgiveness. Through this I will seek the solutions for our troubled world with various conflicts. Michael McCullough said that there are three truths about revenge and forgiveness. The first truth is that the desire for revenge is a built-in feature of human nature, the second truth is that the capacity for forgiveness is a built-in feature of human nature, and the third truth is that to make the world a more forgiving, and less vengeful place. We shouldn't try to change human nature, but change the world. McCullough suggested that we change the world that surrounds our life, because human nature is flexible, multifarious, and exquisitely sensitive to context. We can do this by making the factors that evoke the desire for revenge less abundant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humans reside, and by making those environments more abundant in the factors that evoke forgiveness. The capacity for forgiveness, like the desire for revenge, is also an intrinsic feature of human nature that exists today.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forgiveness is the divine model that shows sinners given generous grace unforgivable human. But we must take notice of the dangers of cheap grace with forgiveness. Forgiveness is surrendering the right to get even and changing one's feeling toward the offender. The final goal of forgiveness is reconciliation with the offender. Forgiveness is the main solution that opens the new possibility for our community and society's future. Therefore those who experienced God's generous forgiveness would try to practice forgiveness with others. 본 소고에서는 갈등을 넘어 진정한 화해로 이끄는 용서의 미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인간 본성에 내재한 복수심을 충동질하는 원천과 그로 파생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기독교적인 의미에서 용서가 지니는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볼 때, 용서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보여준 진정한 사랑의 모형이요, 용서받을 수 없는 자에게 베푸는 과분한 은혜라고 말할 수 있다. 하나님의 과분한 용서를 체험한 자들은 용서하는 것이 진정한 도덕적 선이라는 확신을 갖게 된다. 그런 점에서 용서는 상호 화해를 위해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열쇠이다. 온전한 의미의 용서는 가해자에게 회개와 도덕적인 변화를 요구하기 보다는 선물로 주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용서만이 지구촌을 대립과 갈등을 넘어 화해와 상생의 길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힘이 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진실과 화해위원회는 아파르트헤이트로 인한 대립과 갈등을 용서와 화해로 변화시켜 진정한 용서의 정신을 보여주었다.‘진실말하기’를 통한 사면은 값싼 은혜가 아니었으며, 망각 또한 아니었다. 그동안 자행되었던 부정의로 인한 분열과 갈등을 진실말하기와 사면을 통해 용서와 화해로 변화시켰다. 이는 가해자들의 참회와 도덕적인 변화를 전제로 한 용서가 아니라, 단지 진실만을 말하도록 함으로써 용서라는 선물이 만든 결과였다. 진정한 용서는 선물로 주어지는 은혜이며, 망각이 아니라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기억하는 것이다. 따라서 용서를 선택하는 것은 온전한 삶을 위한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며, 화해와 상생의 열린 미래를 향한 희망찬 걸음이다.

      • KCI등재

        용서(Forgiveness) 논쟁 다시 보기

        신응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7

        Nowadays the discourse of forgiveness is still important between the dimension of religion and regular life-world since human's evil actions are going on. In this context, there is a controversial topic concerning the forgiveness. Namely, should sufferer forgive offenders or not? Do victim and victims's organization must forgive offenders? In this article, we deal with at issue in the discourse of forgiveness. And we elucidate core points about pros and cons in the debate upon forgiveness. In this regard we are concerned with views of Butler, Arendt, Nietzsche and Eve Garrard & David McNaughton. And we suggest preconditions for pure forgiveness between sufferer and offenders. Lastly we discuss the meaning of forgiveness applying to our present society. ‘용서’ 담론은 인간의 악행이 지속되는 한 종교적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세속적 세계관의 차원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문제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용서와 관련된 여러 쟁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피해자는 가해자를 용서할 것인가? 말 것인가? 가해자는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을 수 있는가? 나아가 가해자는 그 주변 조직이나 생활세계로부터 용서받을 수 있는가?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용서 담론에서 논쟁이 되는 핵심 부분들을 들추어내고, ‘용서 옹호론’과 ‘용서 반대론’의 중심적 입론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진정한 용서가’ 이루어지기 위한 전제조건과 과정을 제시하고, 우리 사회의 최근의 상황들을 용서 담론에 적용시켜서 용서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 KCI등재

        보호기관 수용 위기청소년과 용서의 의미

        김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3

        본고는 상담 사례(실천)로부터 출발해서 철학과 심리학과 목회신학의 용서 개념(이 론)을 다루고 목회현장에 적용하는(실천) 목회신학 방법론에 따라 용서의 주제를 고 찰한다. 용서는 기독교 신학과 윤리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지만, 목회돌봄과 상담 영 역에서는 임상 심리학의 영향으로 소극적으로 다뤄졌다. 하지만 용서 심리학과 용서 치료는 용서의 치유적인 효과를 경험적으로 증명했다. 최근에는 철학 분야에서도 용 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본고는 잘못을 저질러 법원의 심리를 받아 보호기관에 수용된 위기청소년을 중심 으로 용서를 다룬다. 보호기관 원생들에게 용서는 매우 민감하고 복잡한 주제일 수 있다. 하지만 법원의 보호처분과 관련해서 용서는 이 원생들에게 가깝게 와닿는 주제 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양면을 지닐 수 있고, 용서는 피해 자와 가해자의 양면적인 정체성을 모두 다룰 수 있는 중요한 주제이다. 트라우마 치 유의 틀 안에서 용서가 지닌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제시한다면 보 호기관 원생들의 회복과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본고는 먼저 연구자의 목회 상황에서 용서의 의미를 논의하고(II), 용서에 대한 철 학과 심리학과 목회신학 이론을 탐구하며(III), 보호기관 원생에게서 용서의 의미를 규 명한다(IV).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보호시설 원생에게 용서는 가해자에게서 받은 트라우마의 치유 과정을 통해 피해자가 자유로운 선택으로 가해자에게 베푸는 기적적이 고 순간적인 무조건적인 선물이며, 자신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가해자로서 책임을 느끼 고 피해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과 연결할 때 발견되고 경험된다고 밝힌다. This study proceeds from my practical works, through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astoral the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forgiveness, to its application into the pastoral context, thereby following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 to investigate the issue of forgiveness. Forgiveness, though it locates at the center of Christian theology and ethics, has attracted only minor attention in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linical psychology. It is remarkable, however, that psychology of forgiveness and forgiveness therapy have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healing effects of forgiveness. Recently in the field of philosophy there surfaced active discussions on forgiveness as well. This study deals with various issues related to forgiveness for young offenders sent to Juvenile Classification and Detention Centers by juvenile courts. For young offenders at these centers the topic of forgiveness turns out to be sensitive and complex. Forgiveness, however, may be very familiar to them with regard to juvenile adjudication. Moreover, they may have the dual identity, as victims and victimizers, and forgiveness is one of significant topics which deals with in an integral way this dual identity as victims and victimizers. Successful communication of the complex and multilateral features of forgiveness within the framework of healing of trauma will exert positive effects on recovery and growth of young offenders at juvenile centers.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issues about forgiveness in my pastoral context(II), and investigates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astoral theological theories on forgiveness(III), and reveals the meanings of forgiveness for young offenders at juvenile centers. In conclusion, this study defines forgiveness as a miraculous, instantaneous, and unconditional gift given to the injurers by the victims on the basis of their own free choice, and as being discovered and experienced when they themselves as the injurers feel sorry for their victims and identify their own pains with those of their victims.

      • KCI등재

        대학생의 용서신념이 자기용서에 미치는 영향: 추론편향 및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김찬권 ( Kim Chan Gwon ),김정민 ( Kim Jung Mi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용서신념과 자기용서의 간의 관계에서 추론편향과 분노반추가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소재 2, 3, 4년제 대학교 학생 459명을 대상으로 용서신념 척도, 추론편향 척도, 분노반추 척도, 자기용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310부(남자 71명, 여자 239명)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용서신념은 추론편향, 분노반추, 자기용서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용서신념과 자기용서 간의 관계에서 추론편향과 분노반추는 각각 부분 개별 매개효과 및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론편향과 분노반추는 대학생의 용서신념과 자기용서에 부적 영향 관계를 맺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서 용서 개념을 적용하고자 할 때 이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whether hostility reasoning biases and anger rumination show mediating effects and du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orgiveness beliefs and self forgivenes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entailing the scales of forgiveness beliefs, hostility reasoning biases, anger rumination, and self forgiveness were administered to 459 students attending 2-, 3-, and 4-year colleges in Korea. For the final analysis, a total of 310 copies from 71 male and 239 female studen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 hostility reasoning biases, anger rumination, and self forgiveness. Second, hostility reasoning biases and anger rumina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orgiveness belief and self forgiveness. It was confirmed that hostility reasoning biases and anger rumination may bring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forgiveness beliefs and self forgiveness, and caution should be taken when applying forgiveness concepts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Based on its findings, the study further discusse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성인애착은 용서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

        윤성민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용서의 두 측면인 특질용서 및 상황-특정적 용서와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성인애착유형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용서특질 척도, 한국인 용서척도, 친밀관계 경험-개정판, 삶의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질용서와 상황-특정적 용서는 모두 성인애착유형의 두 하위차원인 회피애착 및 불안애착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안녕감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은 모두 안녕감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또한 용서의 두 측면 모두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불안애착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안애착이 낮은 사람들은 특질용서가 높아짐에 따라 안녕감은 더욱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상황-특정적 용서의 경우에는 불안애착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상황-특정적 용서를 많이 할수록 안녕감은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침해사건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에게 안녕감 증진을 위해 도움을 주고자 할 때, 그들에게 무조건적으로 용서촉진을 위한 개입을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불안애착 수준을 고려하여 불안애착의 정도에 따라 용서개입을 달리 하여야 함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wo sides of forgiveness including trait forgiveness and situation-specific forgiveness, adult-attachment consisting of two sub dimensions, and well-being measur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s of adult-attachment on these relations. For this study, the data of 400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packet included Trait Forgiveness Scale, Korean-Forgiveness Scal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the two sides of forgivenes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wo sub dimensions of adult-attachment, namely,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2) the two sides of forgivenes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ell-being, 3) the two sub dimensions of adult-attachmen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well-being, 4) attachment anxiety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sides of forgiveness and well-being.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독교적 용서와 목회상담: 용서의 목회신학

        이창규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목회 돌봄 및 상담 현장에서 내담자들이 고민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인 용서 의 이슈를 다루고 있다. 용서는 전통적인 기독교적 덕목이자 행위로 강조되어왔지만, 용서를 실천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내담자들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용서에 대한 바른 상담적 이해와 신학적 성찰이 목회상담자들에게 요구된 다. 먼저 용서가 어려운 이유와 용서에 이르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 용서하지 못하 는 인간의 내면의 문제를 한 영화를 소개하면서 현상학적으로 다루었다. 그다음으로 용서의 과정에 대한 주요 심리학 이론들을 소개하면서 실제로 용서를 경험한 사람들 을 대상으로 시행한 한 질적 연구를 분석하며 사람들이 어떻게 용서에 이르는지, 그 리고 용서의 과정에 따르는 역동과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긍정심리학 의 용서 연구 결과도 반영하였다. 나아가 성경과 기독교 신학의 관점에서 용서의 문 제를 다루었다. 인간 용서의 바탕이 되는 하나님의 용서, 용서와 정의의 문제, 그리고 용서의 실천 가능성에 대해 상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용서의 목회신학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용서는 인간의 현실과 실존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며, 둘째, 인간의 용서가 하나님의 용서에 근거할 때, 용서는 가능하다는 것이며, 셋째, 용 서의 과정을 돕기 위해 치유적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끝으로 용서의 이슈를 다룰 때 목회상담자들이 피해야 할 두 가지 상담 방식에 관해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constructs a pastoral theology of forgiving in the context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lthough forgiveness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Christian virtue and action throughout church history, its praxis has not been very effective. In order to help counselees to exercise forgiveness more effectively, pastoral theologians and caregivers need to have sound knowledge of forgiveness and its related theological reflections. Using illustrations from a film, this article first examines why forgiving is difficult in real-life situations by analyzing the main obstacles to forgiveness, along with the kinds of deep inner problems which make forgiveness difficult. Next, the article considers the psychology of forgiveness, focusing on theories of the process of forgiving, which is closely examin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on forgiveness. Recent research on forgiveness in the field of positive psychology is also utilized. Then the article explores the theology of forgiveness, including God’s forgiveness and its relationship with human forgiveness; the problem of forgiveness and justice; and the possibility of exercising forgiveness in real lif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s on forgiveness, this article attempts to propose a pastoral theology of forgiving. First, forgiveness needs to consider human existence and reality as its crucial starting point. Second, human forgiveness is possible when it is rooted in God’s forgiveness. Third, creating a therapeutic environmen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forgiveness.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practices that pastoral caregivers should avoid in the ministry of care of forgi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