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종주의와 문화; 고비노 읽기, 칸트와 니체 사이에서

        신응철 한국니체학회 2005 니체연구 Vol.8 No.-

        This article deals with Cassirer's interpretation about Gobineaus' theory of racism which focussed on Essay on the Inequality of Human Races. Gobineaus' theory has influenced on the Western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Especially, His thought has influenced on the thought of Friedrich Nietzsche(1844-1900) as well as the theory of Fascism in Germany. In this article, I will elucidate about the relation between Gobineaus' theory of racism and Fascism, and analyze Gobineaus' theory of racism in itself. In this process, I will rely on Cassirer's viewpoint, that is, Gobineau's theory does not related with the theory of Fascism. Because firstly Gobineaus' theory was an attempt to destroy all other values, and secondly there was still another obstruction in Gobineaus' way, the humanitarian and equalitarian ideas of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irdly Gobineau was no nationalist nor was he a French patriot. Finally, I will deal with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racism in Gobineau in society of Korea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hilosophy of Culture. 이 글은 20세기의 여러 정치적 신화들 가운데 고비노의 인종불평등론에 대한 카시러의 독해 방식을 논의한다. 한 세기가 이미 훌쩍 지나버린 고비노의 이론을 다시금 카시러의 목소리에 힘입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고비노의 이론이 서구 정치 사상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니체 사상을 비롯해 파시즘 이론에 적극적으로 개입되었다는 혐의를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 필자의 기본 관심은 고비노 이론의 파시즘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고비노의 인종주의 자체에 대한 해명, 고비노 이론의 니체와의 영향관계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한국 사회의 당면한 문제와 연관 시키면서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반성해 보는 데 있다. 그렇기에 여기에서 적어도 필자는 한국 사회의 정치, 문화, 교육 현장에서는 여전히 고비노의 인종주의가 사멸한 것이 아니라, 잔존 내지 어떤 측면에서는 부활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점이 바로 이 논의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1. 시작하는 말: 인종주의는 이제 사라졌는가?우리에게 신칸트학파의 대표적인 문화철학자로 알려져 있는 에른스트 카시러(Ernst Cassirer 1874-1945)는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서구 사회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친 정치적 신화를 분석한 적이 있다. 이러한 그의 분석은 특히 서구 사회에서의 파시즘, 특히 나치 독일의 국가 사회주의 이념의 허구를 파헤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1946년 카시러 사후에 출간된 국가의 신화攀 Ernst Cassirer, The Myth of the State,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1946(이후 MS로 표기함). 번역서로는 최명관, 국가의 신화, 서광사, 1988.攀攀는 정치적 신화의 대표적인 예로서, 칼라일(Thomas Carlyle 1795-1881)의 영웅숭배론, 고비노(Joseph-Arthur Gobineau 1816-1882)의 인종불평등론,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의 국가 이념, 슈펭글러(Oswald Spengler 1880-1936)의 운명론적 역사관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고 있다.攀 이 문제를 포함하여 카시러의 사회철학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신응철, 카시러 사회철학과 역사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4. 제4장 참조바람.攀攀여기에서는 위의 여러 정치적 신화들 가운데 고비노의 인종불평등론에 대한 카시러의 독해 방식을 좇아 보고자 한다. 한 세기가 이미 훌쩍 지나버린 고비노의 이론을 다시금 카시러의 목소리에 힘입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고비노의 이론이 서구 정치 사상사에 많은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특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의 사상을 비롯해 파시즘 이론에 적극적으로 개입되었다는 혐의를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지금도 고비노의 이론을 은근히 기대하거나, 유지하거나, 더욱 계발하려는 숨은 의도를 지닌 정치 집단과 사회조직, 국가가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카시러의 고비노 독해는 일면적으로는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인종주의에 대한 논의의 궁극적 목적은 신화적 사유와 정치의 결탁에서 비롯된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의 삶의 위기, 특히 문화의 위기를 진단하는 데 있기에 문화철학적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이 글에서 필자의 기본 관심은 고비노 이론의 파시즘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을 해명하고, 나아가 고비노의 인종주의 자체에 대한 해명, 고비노 이론의 니체와의 영향관계,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한국 사회의 당면한 문제와 연관시키면서 문화철 ...

      • KCI등재

        기독교적 예술비평의 제문제 ― F.A. 쉐퍼와 W.D. 로마노프스키의 견해를 중심으로

        신응철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4 No.-

        이 글은 문화를 논의하는 다양한 영역들 중에서도 예술의 분야, 특히 예술비평의 문제와 관련하여 기독교적 예술비평은 가능한가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독교적 예술비평이 가능하다면, 우리는 그 근거로서 어떤 원칙과 방법을 제시해야만 한다. 그리고 그것이 철학이나 예술 일반에서 통용되는 비평의 방식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나아가 어떤 설득력을 지닐 수 있는지가 설명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나는 이 문제를 기독교 세계관과 성경적 관점에 근거하고 있는 프란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1912-1984)와 윌리엄 로마노프스키(William D. Romanowski)의 견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 소개된 기독교적 예술비평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 연구는 나름의 의의를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이다. On the Christian Criticism of Art ― Focused on the F.A. Schaeffer and W.D. Romanowski ― Shin, Eung-Chol ―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the problem what is the Christian Criticism of Art in terms of the Criticism of Art. If it is possible, we have to supply a principle and method of Christian Criticism of Art as a basis of Criticism. And we have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relation to Criticism of Art in general. I will discuss this problem on basis of christian world view point and the biblical view point. In order to this discussion, I will suggest the Christian Criticism of Art centered on the theory of Francis A. Schaeffer and William D. Romanowski. In this context, first of all we will deal the relation of christianity and culture. And we will discuss the basis of Christian Criticism of Art, especially the biblical basis of Art centered on Francis A. Schaeffer. Next we will discus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Christian Criticism of Art, especially Criticism of Popular Art centered on William D. Romanowski. Finally we will suggest the practical view point of Christian Criticism of Ar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해석학적 문화비평 ― 매체시대의 인문학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한 시도

        신응철 대동철학회 2003 大同哲學 Vol.23 No.-

        이 글에서 필자는 우리가 외부적으로는 정보매체의 시대 혹은 문화의 시대 속에서 살아가고 있고, 내부적으로는 인문학(철학)의 위기 상황에 봉착해 있다는 점을 전체의 논의에서 전제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국내에서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는 인문학의 위기 상황을 탈출하고 나아가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을 시론적으로 제시하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이러한 구상을 위해서 우선 현대 디지털매체 시대의 특징에 대해서 검토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인문학의 위기 상황과 철학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다음으로 필자는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한 방법론으로서 ‘해석학적 문화비평’( )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이 부분에서는 인문학에서 문화의 문제와 문화연구의 관련성을 문화비평가, 매체비평가, 해석학자들의 견해를 빌어 논의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여, 이 글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한 문화비평을 논의한다. 이후, 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궁극적 관심사인 문화이해를 통한 인간이해로의 길에 대해서 다루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제시한 해석학적 방법론을 통한 문화비평이 인문학 분야의 연구에 있어서 왜 긴급하게 요청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논의가 어떤 의의를 지닐 수 있는지를 언급하면서 글을 마무리하도록 한다. We live in the era of media and culture on one hand, but live in the era of crisis of humanities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in terms of research and education of humanities in Korea. So, In this paper, I will suggest a new study of humanities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humanities. I call it, that is, the hermeneutical criticism of culture. In order to discuss hermeneutical criticism of culture, we will deal some contents as follows in this paper. First, We will observe upon the situation of crisis of humanities in Korea. Second, We will discuss the concept of culture in humanities, and recognize the need of research of culture. Third, What is the hermeneutical criticism of culture? Fourth, What is the aim in the hermeneutical criticism of culture? Finally, We will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hermeneutical criticism of culture in terms of the crisis of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Humanities in Korea.

      • KCI등재

        현대 문화의 본질과 위기 그리고 인간 ―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의 문화철학을 중심으로

        신응철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9 인간연구 Vol.0 No.17

        culture and Human being, especially focused on Georg Simmel’s philosophy of culture. Georg Simmel(1858~1918) did not systematically research about culture in his works. But his discussion about culture had influence on Ernst Cassirer(1874~1945) and Simmel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search about philosophy of culture. Thus this article aims to reveal outline about Georg Simmel’s philosophy of culture. In this research, we will discuss Simmel as a philosopher of culture as well as a sociologist. Georg Simmel has divided culture into Subjective Culture and Objective Culture. And we will deal with Simmel’s such view-points, that is essence and structure of contemporary culture, conflict and crisis of culture. Also through Simmel’s discussion, we will suggest a guide to understand our contemporary culture. 짐멜은 문화에 관한 논의를 체계화시켜 놓지는 않았지만, 문화에 관한 그의 언급은 카시러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철학의 핵심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문화철학과 문화학 분야의 초창기 인물인 짐멜의 문화철학의 윤곽을 드러내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래서 사회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문화철학자로서의 짐멜의 면모를 확인하고, 그가 파악하는 현대 문화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논의, 그리고 문화갈등과 문화위기 상황을 돌파하려는 그의 전략을 확인해 봄으로써 오늘 우리가 처한 문화적 현실을 조망하는 데 하나의 지침으로 삼아 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에 진행하게 될 필자의 연구, 즉 문화철학 형성사에서 짐멜과 카시러와의 문화철학적 계보, 문화관의 차이 등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기초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심에서 이 글에서는 짐멜의 문화담론이 들어 있는 몇몇 문헌들을 알아보고, 주관문화와 객관문화로 대변되는 문화의 본질과 구조, 문화위기의 원인과 대응책 등 을 짐멜의 시선을 따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누스바움의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교육

        신응철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논집 Vol.34 No.-

        마사 누스바움(Martha C. Nussbaum 1947-현재)은 오늘 세계 각국이 당면한 민주주의의 위기를 정치사상의 측면에서 분석하기보다는 교육의 관점, 특히 인문학적 교양교육과 예술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이 점은 매우 독특하며, 또한 강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어서 우리는 그녀의 시선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누스바움은 Not for Profit(2010)에서 동?서양 양쪽의 철학과 교육이론의 핵심적 가치를 제시하고 있다. 누스바움은 인도의 라빈드라나트 타고르(Tagore, Rabindranath 1861-1941)와 미국의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 그리고 프랑스의 장-자크 루소(Jean-Jacques Rousseau 1712-1778)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인간 계발’의 교육모델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이 모델이 민주주의에, 그리고 국제적 감각을 갖춘 세계시민의 배양에 필수라고 주장한다. 누스바움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교육이 경제성장이라는 한 가지 가치에만 매몰되다 보면, 결국 보다 더 질 높은 삶을 이끌어내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예술과 인문학에 대한 무시와 경멸은 결과적으로 우리 모두의 삶을, 나아가 민주주의 체제의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제 필자는 이 글에서 민주주의를 견고하게 지켜나가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누스바움이 제시하는 시민교육 모델을 세밀하게 검토하고자한다. 이 과정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교육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누스바움의 교육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시민교육과 세계 시민의 자질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누스바움의 인간 계발 중심의 시민교육 모델의 의미를 우리 사회에 적용하여 되살펴보고, 누스바움의 입장을 비판적 관점에서 보완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