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업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스잔,김윤재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uld overcome the crisis and adversity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job adapt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and to contribute to the various problems of the nursing care provider in the long term. In order to confirm this as an empirical research task,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job adap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elected, an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caregivers' As a mediator. So Seoul.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as follows: 291 caregivers in the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Gyeonggi area. Firs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occupational caregivers and occupational adaptation were more severe, the higher the maladjustment of the workplace culture, the mor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dversely affected. The emo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information support, the more satisfied and satisfied the job.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of the caregiver and the protective factors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higher the conflict of caregivers, the more unstable the workplac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adapt to work culture, Respec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occupational adap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job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job adaptation, It is shown that they play mediating roles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nd do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if caregivers feel satisfaction about their job, they can be less stressed on their jobs,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upport.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caregiver 's immersion into the organization, the les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decreased, but the self - efficacy and social support perception were not influenced. Based on this,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should strive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and provide high-quality services by seeking ways to improve conflict resolution and adaptation to the workplace culture so that nursing care workers can adapt to their work.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ct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giv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직업적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요양보호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는 요양보호사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증적 연구과제로 확인하고자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직업적응 및 이직의도를 선정하였으며,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업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 경기지역의 노인의료복지시설에 재직 중인 요양보호사 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직업적응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심할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만족감을 느끼고 직무에 몰입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하다고 느길수록, 직장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수록 이직의도를 더 많이 갖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적응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직업적응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은 매개역할을 하 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조직몰입은 위험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만 매개역할을 하고,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매개변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요양보호사가 평소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면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도 덜 받게 되고,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긍정적 사고방식을 갖게 되어 이직률을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가 조직에 몰입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게 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자기효능감이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장은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직업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갈등해소를 위한 노력과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시설운영의 안정을 도모하고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요양보호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을 위한 적극적 경영전략 및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

        “내가 가정의 요양사잖아요.”-가족요양보호사의 돌봄 경험에서 나타난 가족실천

        윤태영(Tae-young Y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3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인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요양보호사의 경험을 Morgan(2011)이 제시한 ‘가족실천’의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가족 수발자에 대한 보상을 매우 제한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가족 수발자가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 수급자인 가족 구성원을 돌보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 과정에서 가족인 요양보호사는 서비스 제공자이자 이용자의 지위에 놓이게 된다. 이 때, 요양보호사는 스스로의 돌봄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건(2011)의 ‘가족실천’을 이론적 자원으로 활용하였으며,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 접근의 경험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족을 돌보는 요양보호사 18명과 문제중심인터뷰(problem-centred interview, PCI)를 진행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김인숙, 2016)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인 요양보호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서비스의 제공자이자 이용자라는 중첩된 지위로 인해 비공식 가족 수발자 혹은 타인을 돌보는 요양보호사 중 어느 한쪽으로 범주화하기 어려운 경험을 한다. 또한,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지위와 더불어 그들이 돌봄을 수행하는 공간인 집은 ‘이중 수행의 장소(a location of dual activities)’가 된다. 연구 참여자들의 돌봄 경험과 관련하여 ‘돌봄 장소로서의 집’, ‘사회적 관계로서의 가족’, ‘보상 조건으로서의 자격과정’, ‘가족인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보상의 의미’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가족인 요양보호사의 돌봄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여 가족에 대한 보상내용의 합리성과 보상 수준의 현실화를 통한 가족 수발자 지원이 필요함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amily care helpers in the context of ‘family practices’ (Morgan, 2011).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for senior citizens does not provide a separate compensation program for family recipients but instead for family care helpers (FCHs). These FCHs have obtained a care helper certificate and are paid for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who are graded as care recipients of the LTCI. In this process, an FCH is placed in between users and service providers under the LTCI.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caregivers interpret their own experiences of caregiving for their old family members. This study adopts concepts of "family practic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Morgan, 2011). Paired with the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applies qualitative, empirical methods, specifically, problem-centered interviews (PCIs) with 18 FCHs. These interviews are interpreted by using "inductive thematic analysis" (Kim, 2016). The FCHs interpreted their caregiving as a kind of family practice. The interviews revealed five significant themes for care experiences, including "home as a location of dual activities", "family as a social relationship", ‘qualification as a requirement for compensations’, and ‘meanings of a compensations for the family care help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preserve the caregiving characteristics of FCHs, the need to support them through the rationality of compensation, and the realization of compensation level on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근무현황과 정책적 제안에 관한 연구 -재가⋅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비교-

        김정엽(Kim Jung Youp),이재모(Lee Jae Mo)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처우개선을 위하여 근무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총 36 개 시설(입소시설 22개소, 재가시설 14개소), 563명의 요양보호사(시설 336명, 재가 227명)들이 응답하였다. 수집된 응답결과는 기본적으로 기술통계(빈도⋅백분율⋅평균⋅최소값⋅최대값 등)를 통해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임금수준은 입소시설의 요양보호사는 1,442,333원, 재가시설의 요양보호사는 시급으로 평균 5681원 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입소시설 요양보호사 2.81점(5점 만점), 재가시설 요양보 호사 3.21이었다. 직무만족도의 요인 중 입소⋅재가시설 요양보호사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난 부분은 ‘일의 내용과 보람’이었고,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은 요인은 ‘승진기회’였다. 요양보호사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부분은 ‘낮은 임금’이었다. 요양보호사들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계속하고 싶다’는 비율이 76.6%(입소시 설;79.4 재가시설;72.0)로 아주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최근 바뀌어진 임금인상, 적정한 인력배치의 중요성, 장기요양기관의 총량제 도입과 같은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ought to investigate the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the care workers working at elderly long–term care facilities. A total of 36 facilities(22 locations, 14 sites) and 563 care workers(336 facility and 227 houses) based in the DaeGu city responded. The collected response results are essentially presented in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wage level of the residential facilities care workers was 1,442,333won. The average hourly wage for home care workers was 5681 won. Both groups were at a low level. The care worker’s who working at residential facilities job satisfaction level was 2.81 (perfect score of 5 points) and the care worker’s working at home care facilities was 3.21. The low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at the time of the job description and reward“ from both group. On the other side, the hardest part of the care workers was the low wages. Unexpectly, the intention to relocate was so low. The 76.6% of care workers answered to keep working(Facility; 79.4%, houses;72.0%). And we made some policy suggestions that With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such as recent changes in wages, the importance of proper staffing, and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 s total capacity system.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김광병,심의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17 사회복지법제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법체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지위가 어떻게 규정 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요양보호사의 지위수준을 진단하고 지위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하나는 법체계상 요양보호사가 가지게 되는 권리가 무엇인지, 다른 하나는 법체계상 요양보호사의 처우향상은 어느 수준까지 가능한지 파악했다.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는 노인 등의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자로서, 장기요양요원 및 종사자로 불려 근로자성이 낮은 상태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처우 및 지위를 보장받을 수 있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까지 보수를 보장받을 수도 있다. 또한 해당기관의 비리 등에 대한 신고로 인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고 보호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향상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 현행 법과 조례에서는 그 책임 수준이 노력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강행규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 나아가 요양보호사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해서는 반드시 재정이 필요하므로 재정확보 및 이를 강제할 수 있도록 강행규정화 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처우에 대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직접 세부시행계획까지 수립하여 실효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동일한 처우 수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 처우 및 규모에 관한 사항을 조사하여 요양보호사의 근로조건과 처우 등의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책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현행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되어 있는 장기요양요원지원센터 설치ㆍ운영을 강행규정화 하거나 중앙정부의 책임으로 돌려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설치ㆍ운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보수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보수수준에 도달할 수는 있지만 노력규정으로 되어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수수준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강행규정으로 개정하여 그 실효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권리구제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권리구제절차는 당사자의 권리가 침해되었을 때 이를 되돌릴 수 있는 절차이므로 별도의 권리구제 조항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agnose the status level of caretakers by analyzing the definition of their statu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To do so, we focused on two areas, i.e., the rights caretakers have on the legal system and the extent to which the treatment of caretakers can improve based on the system.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caretakers perform specialized job functions, such as assisting the elderly with physical activities or housekeeping; they are also called long-term caregiving workers or care workers, and have low standing as workers. However, they can be protected by decent treatment, by being given improved status by the country and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and by being paid up to the level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workers. They can also be protected from retaliation if they report an institution for corruption. We propose the following improvements are made in order to secure decent treatment and improve the status of caretakers. Firs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country and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should include reinforcing improved treatment and status of caretakers. It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laws and bylaws state the level of responsibility in efforts clauses, and accordingly these should be enforced as mandatory. Furthermore, as a budge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and status of caretakers, it should be secured and mandatory budgeting should be enforced. Second, a detailed implementation plan regarding the treatment of caretakers should be established directly by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to ensure not only effectiveness but also nationwide uniformity. Additionally, a survey on the working conditions, treatment, and number of caretakers should be conducted that explicitly allocates the responsibility to improve the poor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caretakers. Third, the number of support centers for long-term caretakers should increase.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uch centers, currently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should be mandatory or should come under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so that there will be nationwide uniformity in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centers. Fourth, caretakers’ pay could potentially reach the pay level of social welfare government workers but a limitation exists because it involves an efforts clause. Accordingly, to actualize the pay level, it should be revised as an enforceable clause that guarantees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caretakers’ conditions. Fifth, to protect caretakers’ rights, a remedy for violation of those rights should be granted. It is a conventional procedure to reclaim one’s rights if violated, and thus it should be added as a new and independent article of the law.

      • KCI등재후보

        웨어러블 캠을 이용한 요양보호사 범죄피해 방지 방안

        이동임(Lee Dong Im),천정환(Chun Jung Hwan)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노인 인구의 증가로 각종 질병, 노화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스스로 일상생활을 할 수 없으므로 요양보호사의 돌봄을 받아야 한다. 요양보호사는 일정한 교육을 받고 시험에 합격해야만 요양보호사 자격이 주어진다. 요양보호사는 이렇게 전문성을 갖추고 간병의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요 보호자에 의한 요양보호사에 대한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성범죄 등이 행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요양보호사는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채 업무를 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선행 연구논문이나 연구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에 대한 범죄 발생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유형의 범죄가 발생하는지와 그 범죄 발생에 대한 다양한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인터넷 자료를 통해 요양보호사에 대한 다양한 범죄 발생 사례 등을 통하여 범죄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범죄의 심각성을 논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에 대한 요보호자의 범죄는 증거확보의 어려움과 소속기관의 묵인이 맞물려 계속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가 웨어러블 캠을 이용하여 범죄 장면을 촬영함으로써 증거를 확보할 수 있고 그 증거를 바탕으로 가해자를 처벌할 수 있으므로 범죄예방과 근절을 기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캠 시행에 따른 요보호자의 사생활 침해문제, 웨어러블 캠 탈취 및 파손, 예산문제, 고장, 촬영물에 대한 증거능력 인정문제, 법률상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한 곳을 정하여 시범운영을 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운영으로 인한 예상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고 그 문제에 대한 개선과 효과성 검증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국적 확대시행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첨단과학을 이용한 범죄예방 및 근절은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2020년 10월 20일 국회의원 정춘숙 의원이 요양보호사에 대한 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범죄근절을 관계기관에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그 기관은 뾰족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요양보호사에 대한 범죄 방지 대책을 수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관계기관에서 대책을 수립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means that people who have difficulty moving due to various diseases and aging cannot live their daily lives on their own, so they should be taken care of by a caregiver. Nursing caregivers are eligible for nursing care only when they receive a certain education and pass the nursing caregiver test. Therefore, caregivers are trying to be professional and provide quality services for care. Despite these efforts, the guardian practices physical violence, verbal violence, and sex crimes against nursing caregivers. As a result, caregivers are working under severe str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se crimes and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m. The research method is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crime against caregivers based on prior research papers or research reports. Based on this, it is to identify what types of crimes occur and various problems about them. The next step is to identify various cases of crimes against caregivers through Internet data. Based on the case, the government identifies structural problems that inevitably lead to crimes and discusses the seriousness of the crime. According to the study, the crime of the caregiver against the caregiver has structural limitations that inevitably occur due to the difficulty of securing evidence and the acquiescence of the affiliated institu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for caregivers to secure evidence by filming crime scenes using wearable cameras and punish perpetrators based on the evidence, so crime prevention and eradication can be expected. Various problems can arise from the implementation of wearable cameras, including privacy violations of key guardians, theft and damage of wearable cameras, budget problems, breakdowns, recognition of evidence ability for photographs, and legal problems. Therefore, one local government shall be determined and operated on a trial basis. This is because various unexpected problems can arise from the operation, and it should be expanded nationwide with improve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on the problem. In conclusion, crime prevention and eradication using high-tech science, which can overcome human limitations, is a way forward. On October 20, 2020, lawmaker Chung Chun-sook recognizes the seriousness of the crime against nursing care workers and asks related agencies to eradicate the crime. But so far, the agency has failed to come up with a sharp measure. The reason may be that it is not easy to establish crime prevention measures for caregivers. Therefor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related agencies to contribute a little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 KCI등재

        요양보호사 인권 침해 경험 연구

        하석철(Seok Cheol Ha),김제희(Jehee Kim),이선영(Sun-young Le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6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가 서비스 대상자와 그 가족으로부터 경험하는 인권 침해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것의 맥락적, 환경적 상황의 이해도를 제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양적 자료는 인천시 내 시설 및 재가 요양보호사 506명의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질적 자료는 인천시 소재 요양보호사 14명의 인터뷰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인권 침해 경험은 낮은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졌고, 다른 직종으로의 이직 의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요양보호사의 인권 침해는 요양보호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대상자의 기능 문제 및 돌봄 욕구 미충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요양보호사는 인권 보호와 문제 상황 대처 방안, 양질의 요양기술 등의 습득을 위한 직무 교육과 대상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권익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의 정비, 장기요양기관의 관리ㆍ감독 강화, 요양보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의 필요 등 요양보호사 인권 보호와 관련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human rights violation experience of care workers by the service target and their families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ontextual and environmental situations. For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used. For quantitative data, a sample of 506 care workers was extracted from long-term-care facilities in Incheon, and for qualitative data, interviews with 14 care workers were used. This study used quantitative data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aregiv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For this purpos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by using cross-analysis and t-test. In addition, We also used interview data to cover more in-depth stories that could not be explored in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re worker’s experience of human rights violations was associated with a low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lso, i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human rights violations of care workers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low social recognition, service target’s functional problems, and non-fulfillment of their care need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workers from violence and make a cop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oblem situation. Additionally, it is required to offer job training to acquire high-quality nursing skills, as well as education for target subjects and their families.

      • 요양보호사의 산업재해에 대한 소고 -돌봄 노동 및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

        최다솜 ( Choi Dasom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9 공익과 인권 Vol.19 No.-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요양보호사에 주목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요양급여를 직접 제공하는 자인 요양보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요양보호사 개인의 인권 및 복지뿐만 아니라 제도적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이에 착안하여 요양보호사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과 관련된 산업재해에 주목하였다.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사회복지학, 여성학, 산업안전보건학 등에서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질환이나 감정노동에 대해 다룬 연구들은 존재하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라는 법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이 점에서 특히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관련된 법령, 판례를 통해 문제점을 찾고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다른 직종들과 달리 요양보호사의 업무는 돌봄 노동 및 재가서비스로서의 특징을 지니므로 감정 노동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점, 이용자 및 그 가족과의 관계성이 중요하다는 점, 감정노동으로 인한 소진이 장기화되면 신체적 질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는 점, 현실에서는 돌봄 노동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요양보호사에게 큰 스트레스가 된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이 점에 주목하여 서비스 이용자 및 그 가족들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요양보호사의 돌봄 노동의 가치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 감정 노동의 기술을 익힐 수 있는 기회 제공, 적정 임금 보장 등이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신체적 노동과 관련하여서는 요양보호사의 업무는 강도 높은 신체노동을 요구하며 그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이 많이 발생함에도 근로복지공단과 법원은 이를 산업재해로 인정하지 않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정한 무거운 것을 드는 업무를 할 때 지켜져야 하는 중량 기준이나 횟수, 보조기구 설치 등이 지켜지지 않고 있으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정하고 있는 인력기준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를 고려하면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산업재해로 인정할 여지가 상당하며, 입법적으로도 법령상 의무들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거나 인력 기준을 새로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care workers and their role in the maintenance of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Care workers play an indispensable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s offered in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as they are the direct renderer of the services. Thus, it follows that in order to ensure the welfare not only of care workers but also of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tself, a thorough study on their work environment is called for.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ndustrial accidents relevant to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care workers. Precedent research on care workers’ emotional labor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can be found in social welfare studies, feminist studies, an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cienc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issue from a legal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law and judicial cases related to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nd proposes improvements to its drawbacks. Tasks of care workers are characteristic in that they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emotional labor and home care service. Accordingly, this study diagnoses their features as follows: the requirement of emotional labor,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lients and their families, physical illness resulting from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al stress due to economic and social undervaluation of care work.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for the education of clients and their families, accurate assessment of the value of care work, provision of opportunities to learn techniques for emotional labor, and securement of appropriate compensation as crucial improvements to the current state. With regard to the physical labor of care workers, this study identifies the tendency of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and the Korean court not to acknowledge musculoskeletal disorders suffered by care workers as industrial accidents, despite the intensive physical labor required in care works. Furthermore, it criticizes the failure to observe the standard weight limit established in the Occupation Safety and Health Act, and the allotment of workers specified in th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This study concludes that care workers’ musculoskeletal disorders should be included in industrial accidents,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oor work conditions, and that the reform of labor standards or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s are necessary in order to ensure abidance by legal obligation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영균(Young Gyun Lee),김종숙(Jong Sook Kim) 한국정책개발학회 2016 정책개발연구 Vol.16 No.3

        우리나라는 급속하게 초고령화 사회로 진행함에 따라 노인성 질환의 증가, 노인빈곤, 고독과 소외감, 사회적 역할 상실 등 노인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노인의 건강한 삶에 밀접한 복지서비스는 곧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할 것이다. 이점에서 요양보호사의 직무태도를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가 담당하고 직무에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에 경기도 양평군, 포천군, 용인시, 성남시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결과에 나타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요양보호사들은 자신의 담당하고 있는 직무에 대한 만족이 높았으며, 특히 개인차원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차원의 조직시민행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상태가 좋은 요양보호사가 보통이하의 건강상태를 가진 요양보호사보다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양보호사의 건강상태가 직무만족과 조직차원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점에 조직구성원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담당에서의 직무태도에도 밀접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높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은 협조적 건설적인 친사회적 조직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노인요양기관의 시설장들은 이들 요양보호사의 담당직무와 관련한 근무환경, 서비스 및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 등의 운영 실태에 대한 정기적으로 점검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Korea government has rapidly progressed to superaged society. Thus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increasing geriatric patient, old people’s poverty, loneliness, a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of social role. There ar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life in old people and service quality provided by long-term care workers(care worker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review care worker’s job attitude.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impact long-term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this, this study has extracted random samples among long-term care workers worked in attended at elderly care facilities in Yangpyong-gu, Pochun-gu, Yongin city and Seongnam city. The results drawn from the empirical analysis are followings: First of all, long-term care workers have hig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ly, healthy long-term care workers have mo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n normal healthy long-term care workers. Thus, healthy long-term care worke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ly, long-term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has strong positive affect to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us, superviso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need to effort the check long-term 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environment, superior and co-worker’s relationship regularly.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내 조직침묵 현상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위험발생가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현정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노인복지연구 Vol.7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acquiescent silence, defensive silence) and job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at elderly nursing homes in South Korea,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ossible job-related risks in this association.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of 434 caregivers at elderly nursing hom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caregivers experience acquiescent silenc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caregivers’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caregivers with higher defensive silence showed the lower level of possible turnover intention. Second, acquiescent silence of caregivers did not give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he possible job-related risks. However, the more defensive silence of caregivers, the higher caregivers’perception of the possible job-related risks. Third, high level of caregivers’perception of the possible job-related risks led to the high likelihood of turnover intention. Fourth, possible job-related risks did not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acquiescent si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Lastly, caregivers’perception of the possible job-related risks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efensive silence of caregivers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for redu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at elderly nursing homes.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내 조직침묵 현상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조직침묵 현상이 위험발생가능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경감시킬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434명의 설문자료가 수집되었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체념적 침묵 현상이 증가할수록 이직의도는 높아졌으나, 방어적 침묵 현상이 증가할수록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체념적 침묵 현상이 위험발생가능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어적 침묵 현상이 증가할수록 요양보호사가 인식한 시설 내 위험발생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가 노인요양시설 내 위험발생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체념적 침묵 현상이 위험발생가능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방어적 침묵 현상은 위험발생가능성을 매개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방어적 침묵 현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확인되었고, 위험발생가능성은 두 변수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영애(Young-Ae Kim),김문겸(Mun-Kyo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급증에 따라 노인의료시설과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많은 신체적 · 정신적 소진으로 인해 요양보호사를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을 보강하기 위한 자원탐색과 대안 모색을 위해 요양보호사 284명을 대상으로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이 미혼여성에 비해 환경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요양보호사가 종교가 없는 요양보호사에 비해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 수준이 높고, 연봉이 2000만원 이상 집단이 2000만 원 미만 집단 보다 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삶의 질 수준이 높았다. 둘째, 상사 지지는 요양보호사의 환경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료 지지는 사회적, 신체적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은 상사 지지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회복탄력성중 자기효능감과 낙관성, 원인분석력은 삶의 질에 각각 상이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상사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심리적, 사회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은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보호사 인력소요가 증가하는 최근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적 수준을 높여 고품질 서비스를 증진시켜, 청년 일자리 창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In Korea,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elderly medical facilities and nursing care workers are increasing in labor force, but nursing care workers are avoiding nursing care workers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s and many physical and mental exhaustion of nursing care workers. Therefore, in this study, 284 nursing care workers were surveyed to search resources and to find alternativ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The result of research, The first, effected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environmental and social on a married women. The more a religion, effected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environmental and social, psychological. The higher the salary, effected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environmental and social, physical. The second, the support of a Superior effected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environmental and physical and the support of a colleague effected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in social and physical. The third, the support of a Superior moderated by self-efficacy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This results suggest that can be influential variables the support of social and the self-efficacy as an alternative to burnout of the car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