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학적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

        공은미(Kong, Eun-Mi),김영욱(Kim, Young-Ook)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환경의 변화가 공공아파트단지 외부 공간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학적 변화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써 사회적 특성과 변화를 고려한 주거단지 외부공간 계획의 방향성 및 디자인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아파트단지 외부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사회ㆍ문화ㆍ경제적 측면에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변화 원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공간의 변화가 있었던 시점에는 사회 환경 변화의 영향 요소가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는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공간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계획 시 사회적인 변화와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한 외부 공간 요소의 배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함과 동시에 새로운 주거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문화를 위하여 아파트 단지 외부 공간 계획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공간과 사회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environment transformation on the outdoor space of Public housing apartment complex.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figuration in Korea’s apartment complex. Detailed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elicit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 and Space Syntax was adopted to analyze spatial properties in apartment complex. Then these two variables were analyzed to see the influence of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on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outdoor space. We could find the evidence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oc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flect social changes and consumer desires spatial layout of the complex has been changed. Dramatic change was happened in 2000s by the trends stressing the impotance of revival of community and outdoor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hange and spatial properties are related each other, thus we have to be keen to provide healthy outdoor space considering society.

      • KCI등재

        AIP를 지원할 수 있는 아파트단지 주민공동 외부공간 리디자인에 관한 연구

        모세범 ( Mo¸ Sebum ),김주연 ( Kim¸ Jooyun ),이현성 ( Lee¸ Hyunse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추어 친숙한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생활이 유지되어 AIP(지역사회에서의 지속적 거주 : Aging in place)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오래된 공동주택에서 외부공간의 변화는 재건축을 통한 신규조성이 유일한 해결책이나, 재건축은 거주자의 변화를 가져와 다양한 세대를 위한 외부환경을 조성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괴리를 불러온다. 살던 곳에서 지속 거주를 원하는 고령자의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외부공간은 제도적, 현실적 문제에 부딪혀 방치될 수밖에 없어, 본 연구는 재건축등을 통한 신규 외부공간 조성이 아닌, 기존 외부공간의 리디자인을 통해 고령화에 따른 아파트 외부공간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 및 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P의 개념과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고령자 필요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토대로 노인비율이 높고 준공후 20년이상 경과된 단지 5곳을 선정하여 현황자료 분석과 현장 실증조사를 통해 고령자 요구하는 시설의 도입하여 적용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재건축등을 통한 신규 외부 공간 조성을 배재하고, 거주중에 외부공간을 고령자를 위해 변경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과 현황자료 분석, 현장실증조사, 리디자인 계획 방향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령화로 인한 외부공간의 변경의 필요성과 걷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도출하였고, 이는 지역 내 공원 등 이용가능한 공간 보다는 단지 내에 위치하였을 때 더 활용도가 높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고령화와 유소년인구의 감소로 인해 저이용되고 방치된 외부공간의 일부를 모든 세대 또는 고령자의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용도로 변경을 제안한다. 셋째, 준공 후 20년 이상 지난 주거단지의 외부공간의 재 조성을 지원하는 법·제도의 개선을 제안한다. 주차장 확충과 위해의 방지만을 목적으로 한 주민공동시설의 용도변경과 용도폐지의 개정을 통해 입주자의 생애주기에 맞는 주민공동시설의 유연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결론) ‘사는 곳에서 늙어갈 수 있는 권리’를 존중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을 지속거주에 초점을 맞추어 변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과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준공 후 재건축 시행까지 변경 할수 없는 외부공간에 대한 변화의 기회를 준다면 점차 고령화되어가는 거주민이 주거 이동 없이 지역사회에서 지속적 거주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support Aging in Place (AIP) in response to the rapidly aging Korean society. AIP allows for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of living for the elderlies in their familiar environments. Currently, the only solution to changing the outdoor space in old apartment complexes is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 whole complex. However, reconstruction results in changes in residents and creates a real gap in the environment for various generations. Despite of the high proportion of elderlies who want to continue to live in the same space, it is inevitable that the outdoor space faces a realistic issue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problems.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providing direction for the outdoor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through redesigning of the original space rather than creating a new one to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population. (Research Scope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IP 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e outdoor space of the apartment complex. Based on the analysis, five complexes with a high ratio of elderly residents and built more than 20 year ago were selecte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data and on-site empirical surveys were performed, and improvement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 and actualize the solutions were provided. (Result) The plan was to exclude the creation of new outdoor spaces through reconstruction and to change the outdoor spaces for the elderly during their residence. Conclusions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current status, field survey, and redesign planning. The need for changes in outdoor space due to aging and the preference for walking were derived, and this indicates that the outdoor space may be utilized more when located in the complex than in other available spaces such as a park. Additionally,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youth population, some of the lowly utilized and neglected outdoor space is proposed to be changed to meet the purposes of improving the activities of all generations including the elderly. Lastly, the study proposes improvement in laws and systems to support the reconstruction of outdoor spaces in residential complexes of more than 20 years old. (Conclusion) To respect the ‘right to grow old where one liv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hange of perception are needed to differentiate the external spaces of the apartment complex. It is expected that if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space that cannot necessarily be reconstructed is given, this will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lderly residents can still live in their same spaces without having to move somewhere else.

      • KCI등재

        스마트 도시 외부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구리시 한강변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전진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의 발전은 언제나 각종 제도와 실천 영역을 앞질러 진행되며, 인간의 삶을 담는 외부공간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분야 역시 기술의 변화에 신속히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공공 인프라로써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도시 외부공간은 이제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만 설계되기보다 새로운 기술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스마트 오픈스페이스로 계획될 때 보다 경쟁력 있고 이용자 친화적인 도시가 완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원을 비롯한 전통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가치와 기능을 높이기 위해 4차 산업시대의 새로운 기술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하여 고민하고, 스마트 외부 공간 설계 전략의 모델을 구리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의 구체적인 설계 사례를 통해 제시한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 외부공간의 본질적인 기능과 가치를 탐색한 후 이를 위한 조건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외부 공간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설계의 큰 방향성을 마련한다. 현재 외부 공간 설계와 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 기술들을 프로젝트 사례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총체적으로 정리한 후, 앞선 내용을 종합하여 외부공간의 본질적 기능과 가치를 보다 스마트한 방식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설계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설계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대상지와 사업의 여건을 고려하여 설계를 도출한다. (결과) 도시 외부공간의 본질적인 기능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접근성, 친환경성, 다양성이 담보되어야 하며 이는 기술을 통해 보다 지속가능하고 이용자친화적인 형태로 달성 될 수 있다. 먼저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본 설계에서는 연결녹지, 순환녹지, 중앙공원, 서브그린네트워크와 이밖에 정보접근성 확보를 위한 공간과 시설들을 제안하였다. 친환경성과 관련해서는 효율적 수자원과 에너지 순환 이라는 기능에 바탕을 두어 프로젝트의 주요 공간을 설계하였다. 즉, 본 프로젝트의 주요 설계 언어중 하나인 연속된 띠 패턴은 단순히 장식적이고 심미적인 목적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기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기술과 시설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형태·규모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순환녹지와 PM도로의 선형을 유기적인 형태로 구성하였고, 각기 다양한 기능을 가진 구조물인 22개의 폴리를 주요 교차점에 배치하였다. (결론) 본 설계연구가 추후 조성될 스마트 외부 공간 설계에 시사할 수 있는 바는, 첫째, 스마트 외부 설계의 초점은 화려한 치장술이나 랜드마크화가 아닌 도시 외부 공간 본연의 기능을 보다 지속 가능하고 이용자중심적인 방향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있다는 점, 둘째, 접근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설계방법 뿐 아니라 차세대 교통수단 시스템, 차세대 정보전달 장치 등의 신기술들이 물리적 설계와 연계되어 제안될 수 있다는 점, 셋째로 친환경성과 관련해, 수자원과 에너지의 순환과 같은 ‘기능’에 대한 설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스템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이는 기능을 따르는 물리적 설계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규모, 형태 등의 물리적 다양성 뿐 아니라 프로그램적인 다양성이 추구되어야하며 이는 스마트 기술의 다양한 소프트웨어들로 채워질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건물의 외부공간 개선을 위한 고찰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정윤(Jung, yoon) 대한부동산학회 2008 大韓不動産學會誌 Vol.26 No.1

        오늘날 아파트는 단순히 주거의 의미를 벗어나 생활과 여가가 함께하는 복합주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첫째, 광범위한 의미의 건강과 친환경 아파트의 건설이 일반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주거의 양적공급에서 질적 공급으로 전환됨으로써 주거의 관심범위도 사적공간에서 점차 공적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거주자들도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특히 과거의 내부 주거환경 위주에서 외부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아파트라는 주거양식의 문제점으로 주민 커뮤니티의 단절과 근린의식의 저하가 지적됨에 따라 외부공간의 계획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도심 아파트주거의 외부공간은 작게는 단지내 거주민들의 커뮤니티형성에서 영향을 미치고 넓게는 도시계획시 도심환경의 공익적 측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근의 공동주택 계획에 있어서 외부환경이 주거환경을 평가하는 데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주민 커뮤니티를 유도할 수 있는 외부공간의 계획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조로운 아파트 외부공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대별 사례를 통해서 아파트 외부공간 구성요소의 변화의 양상을 검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point problems in simple exterior space of apartments, check out the changing tendency of the factors constituting exterior space of apartments through cases, classifying them with age, and to grope for development ways. This author desires that the thesis might be a material pointing out a direction for influence that exterior space of apartment have on real property price and activities. Chapter1 studied aims and backgrounds of studies, and study substances. Chapter2 stated the conception of common houses, concept and changing process of exterior space in our country, centering on types, and history of apartment origin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discussed on the peculiarity of apartments, classifying them with age. Chapter3 presented problems in constructing exterior space and contemplated consumers preference, change history of laws on exterior space, and its forms, classifying them with age. Chapter4, basing on studies mentioned above, intended to present improvement ways and models of exterior space type of the future apartments

      • KCI등재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의 한국 현대 성당건축 외부공간의 유형과 의미 - 아시하라 요시노부(芦原義信)의 외부공간 개념의 재해석을 중심으로 -

        권태일 수원교회사연구소 2013 교회사학 Vol.0 No.10

        전통적으로 성당건축(聖堂建築, Catholic Church Architecture)은 외부세계(俗界)와 분리된 성소(聖所)로서의 의미를 가지 며, 크게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성된다. 내부공간은 전례(典쎒)수행을 위한 중심장소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외부공 간은 내부 전례공간과 외부세계를 매개하는 전이공간이자 완충장소로서 전례의 준비, 희생제사, 출입구 등 주로 보조적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현대사회로 오면서 성당건축의 의미는 단순히 독립된 성소에 머물지 않는 다. 과학기술의 발전, 정치적 민주화와 사회 경제적인 변화, 그리고 20세기 전례운동(典禮運動, Liturgical Movement)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Ⅱ)에 의한 종교적 쇄신 등이 맞물리면서 교회공동체(ekklesia)의 기능과 예배형식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고, 그에 따라 성당건축도 사 회적, 문화적 기능이 강조되는 새로운 차원의 공간 형식으로 변모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성당건축이 갖는 사회·문화적 기 능의 상당부분을 수용하게 되는 외부공간도 단순한 보조공간이 아니라, 주요 영역의 하나로 그의미가 차츰 변해가고 있다 .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성당건축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뚜렷하게 구분하는 경계, 즉 공간적 위계성이 점차 흐려진다 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성당건축, 특히 한국 현대 성당건축에 대한 대부분의 전문연구는 여전히 내부 전례공간을 중심으 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외부공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매우 드물다. 이런 취지에서 이 글은 먼저 건축의 외부공간 연구 에 거장(巨匠)인 아시하라 요시노부의 논리를 통해 그 구성방식과 의미를 파악한다. 그런 후, 이를 성당건축에 적합하게 재해석, 적용하여 교회사(敎會史)적 시각에서 다양한 유형의 성당건축 외부공간을 4가지 조합형식으로 정리·분류하고 그 의미를 밝힌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현대화가 시발된 한국의 사회적 변화 속에서 우리나 라 현대 성당건축의 외부공간은 어떠한 유형과 의미로 형성되어 왔는지, 즉 그 정체성을 1)종교시설의 관점, 2)사회참여 공간의 관점, 3)지역건축문화 표현장소의 관점으로 세분하여 추적한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은 한국 현대 성당건축 의 외 부공간계획은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그 좌표점을 새롭게 조명 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Traditionally,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omposed of the inside liturgical space and the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The former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core place for liturgical ceremony, and the latter transition space; the space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However, the meaning & function of exterior supplementary space in Modern Catholic Church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not only as the transition space but also the part of main liturgical space with the democr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atholic Church Liturgy; 20th century Liturgical Movement and VaticanⅡ(1962-65). In the context,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a new meaning and type of the exterior space in Modern Korean Church Architecture based on architect Asihara Yoshinobu’s idea of the exterior space in architecture with the perspective of Catholic Church History.

      • KCI우수등재

        공동주택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

        김현주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planning in multi-family hous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ood casebuilt after 2000 in Europe. First, th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block or block perimeter, linear and point type to examin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type of building in urban context and the loca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By block or block perimeter and linear type, privateexternal spaces are planned in the inner courtyards or open space between buildings used as common space for residents, inducingcommunications between neighbors. And the direction of private external space depends on the arrangement of the building mass in urbancontext. In the classification as point type, there are many cases, where private external spaces are arranged in all directions, connectedalmost all interior spaces. Secon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lanned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external space are derived by dividingit into three categories: intermediated spa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termediate spa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dividual andcollective space and the identity of the intermediate space. (1) In most cases, direction, size of enclosed area and location of private externspace is designed to fit the surrounding context, so residents can perceive as much of the asset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possible,and it can be used as an extended area of living space. In another cases, it is divided into various sub-areas to experience the spatialtransition from inside to outside or vice versa. 2) The private external space, which is placed in a courtyard or in a collective open space, ispartially enclosed and blocked, allowing interaction with the neighbors without pressure. Along the street, they are designed to allow residentsto experience the vitality of the city and to be formative element of the facade, which could confidently reveal the lifestyle and taste ofresidents. 3) By some of point types, which facade is three-demensional layer as a habitable external space, the private external space is veryflexible for use. This intermediate space is composed of diverse spaces for various needs, or it has generous size with positional conditionsconnected with all interior spaces to be used multi-functional. 환경의 변화, 사회적 변화, 인구구조의 변화는 공동주택 설계에서 외부와 내부의 관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관계를 새롭게 풀어내고 규정하여 양극간의 적절한 조율을 이끌어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개공간으로서의 사적 외부공간에 대한 논의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유럽에서 2000년 이후 지어진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통해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매개공간의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첫 번째, 공동주택의 도시계획적 유형과 단위세대의 사적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대상 사례들을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 점형으로 분류한 후, 개인영역-공동영역-도시영역의 위치와 성격, 동선구조, 사적 외부공간의 향과 주거 내부공간과의 연결성 등을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블록형 및 블록외연형, 선형의 공동주택에서는 사적 외부공간이 2개소로 계획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1개소는 도로가 있는 도시영역에 배치되었고, 다른 1개소는 블록 내부 중정이나 주동 사이 외부공간에 계획되었다. 여기에 배치된 사적 외부공간은 주로 단위세대 내부의 공동영역(거실, 주방, 식사, 다기능실 등)과 연결되게 배치되어 이웃 간의 교류를 유도하였다. 각 사적 외부공간에서 물리적 또는 시각적으로 연결되는 내부공간들의 개수는 대부분 5개소 이상으로 내부와의 높은 연계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은 남향위주라기 보다 건물매스의 도시맥락상의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점형의 공동주택들은 명확하게 구분되는 (거주자들만의) 공동 외부영역이 없기 때문에 사적 외부공간이 도시영역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양상을 보였다. 사적 외부공간이 단위세대의 거의 모든 내부공간에 면하여 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두 번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매개공간의 정체성이라는 세 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사적 외부공간의 계획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1) 내부와 외부의 매개공간 - 일상을 풍요롭게 하는 내부의 연장공간 대부분의 사례에서 수려한 원경, 주변 녹지로의 전망, 자연채광과 같은 주변 환경의 자산을 거주자가 최대한 많이 지각할 수 있도록 각각의 주변 맥락에 적합하게 공간의 방향, 위치, 위요감의 강도 등을 계획하여 휴식, 취미, 놀이 등 일상생활에 풍부한 경험을 가져다주는 생활의 연장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몇몇 사례에서는 외부에서 내부로, 내부에서 외부로의 공간적 전이의 단계가 세분화될 수 있도록 하나의 발코니 영역이 위요감의 차이가 있는 2개의 세부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2) 사적과 공적 / 개인과 공동의 매개공간 - 심리적 완충 공간 또는 개성의 표출 공간 거주자들의 공동 외부 공간에 면하여 계획된 발코니는 위요되고 부분적으로 시선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인해 심리적 완충공간으로 격상되어 강요가 아닌 자연스러운 이웃과의 교류를 가능하게 하였다. 반면에 도시 도로변으로는 거주자가 도시의 활기를 체험할 수 있으면서 건물 외관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도록 조형성을 부여하였다. 특히 점형 공동주택에서는 사성과 공성이 충돌하는 사적 외부공간이 거주자의 생활방식과 취향을 과감하게 드러낼 수 있는 장소로 해석되고 있었다. 즉, 물리적 조형성과 거주자들의 행위와 소품들이 하나가 되 ...

      • KCI등재

        이용자 중요도-만족도로 조사한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분석 연구

        백양선,고성룡,강석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2

        교육기본시설의 확보가 목표였던 이제까지의 대학교 캠퍼스 계획에서 외부공간은 교육시설을 배치하고 남은 소극적 공간으로서, 캠퍼스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에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과 이용자의 행태를 문헌고찰하고 이용자의 행태, 심리, 만족도, 중요도, 요구사항을 설문조사하여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이용자의 개선 요구가 가장 높아 적극 개선해야하는 대학교 캠퍼스 외부공간은 부출입구였으며, 개선 시에는 방범시설과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하며,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이용자의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았던 보행로, 휴게녹지공간, 주출입구는 높은 만족도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중요한 외부공간이었다. 보행로는 최단거리 이동 및 보행연속성과 2인 이상 교행가능한 보행로 폭, 다른 외부공간과 연결성을 확보해야하며, CCTV와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차량 및 범죄로부터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또한 보행자의 눈눞이를 넘지 않도록 조경 및 가로시설물을 정비해야한다. 그리고 길찾기가 쉽도록 안내시설의 위치와 내용의 적정성을 확보해야한다. 휴게녹지공간은 시설의 파손 여부 및 청결상태를 확인하는 등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조명시설과 장애인 편의시설을 개선해야한다. 주출입구는 방범시설을 확보해야한다. 그리고 차량으로부터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안전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조명시설을 확보해야한다. 중요도가 낮았던 주차공간과 차로, 운동공간, 공연장은 비교적 개선요구가 낮은 공간이었다. 그러나, 주차공간 내 안내표지판의 유지관리 부족과 차로 이용자 간 통행혼선, 운동공간 및 공연장 내 조명시설 부족과 같은 문제를 순차적으로 개선해야한다. 끝으로 이 연구는 대학교 캠퍼스 주 이용 대상자인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앞으로 대학의 다른 구성원인 교수, 직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확대되어야하며, 사례조사 캠퍼스의 수와 지역도 확대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university campus outdoor space based on the user's awareness and demand. The physical status of the outdoor space in university campus was surveyed by observation, and the users' behaviors, satisfaction, importance, and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outdoor spac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outdoor space with the highest users improvement demands was the sub-entrance. So, the sub-entrance need to be actively improved.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users safety from the crime and the traffic. Therefore, it should consider the installation of security facilities, traffic information facilities, lighting facilities. Secondly, the walkway for pedestrians, green for rest and main-entrance needed continuous maintenance. So, the pedestrian facilities and lighting facilities must be secured. Other parking lot and road,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an other spac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such as lack of maintenance of sign facilities in the parking lot, crossing of passengers and cars in the road, lack of lighting facilities in sports grounds and outdoor stage. Therefore, a sequential improvement procedure of these outdoor spaces need to be planned.

      • KCI등재

        왕슈(王澍)의 수안산거(水岸山居) 건축 외부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2

        본 연구는 건축가 왕슈의 수안산거(水岸山居) 작품에서 나타나는 그의 외부공간의 디자인 철학을 알아보고 설계과정에서 나타나는 시점, 동선, 재료 등의 요소와 연계된 외부공간을 분석하여 왕슈 건축에서 보여지는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왕슈의 건축배경 및 원리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여 그의 건축 이론과 작품에 나타난 건축공간의 특징, 동선, 외부공간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한다. 분석은 왕슈의 수안산거 건축 작품을 대상으로, 그의 작품집, 수필집, 인터뷰 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할 것이다.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목적, 범위, 방법을 제시하고 그의 작품, 건축설계과정, 주요 디자인 어휘를 근거로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이 틀을 기준으로 수안산거 건축에 구현된 외부공간의 시점, 동선, 재료 등의 3가지 측면으로 분석·정리한다. 왕슈의 건축에는 3가지 특성이 나타나는데, 첫째, 시점에 의한 외부 공간의 표현으로 이용객의 이동 방향에 따라 다양한 풍경이 펼쳐지는데, 단일시점이 아닌 3개의 다양한 관점(앙시, 심원, 평원)으로 외부공간을 구성하였다. 둘째, 외부공간의 다양한 동선은 이용자의 다양한 시각변화와 공간적 경험을 유도한다. 셋째, 외부공간의 재료구성은 전통을 근거로 아이디어를 추출하여 현대건축 재료와의 조화를 통한 대응 방법을 찾아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중국 건축계의 대표적인 왕슈는 수안산거에 구현된 외부공간을 통하여 본인의 건축디자인과 조경 및 도시를 결합하여 시대적인 가치와 지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philosophy in the works of architect Wang Shu's ‘Suan Shanger’ and analyze the external spatial meaning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viewpoints, circulation, and materials that appear in the design proces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shown in Wang Shu's architecture. As a research method, first, Wang Shu's theory of architectural background and principle is considered, and the characteristics, circulation, and outer space of architectural space shown in his architectural theory and works are mainly studied. The analysis will be conducted on Wang Shu's ‘Suan Shanger’ architectural works, and will be studied by analyzing his works, essays and interviews.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and presents the framework of analysis based on his work,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and major design vocabulary, and analyzes and organizes the exterior space implemented in ‘Suan Shanger’ architecture in three aspects based on this framework. Wang shu's architecture ha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expression of the outer space by the point of view unfold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user's circulation, and this point is not only considered at one point, but it i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Look up, Deep, and Plain). Second, the diverse circulations of the outer space induce the users' various visual changes and spatial experiences. Third, the material composition of the outer space solved the problem by extracting ideas based on tradition and finding a way to respond by harmonizing them with modern architectural materials. Wang Shu, the representative of Chinese architecture, shows his values and guidelines by combining his architectural design with landscape and city through the external space embodied in ‘Suan Shanger’.

      • KCI등재

        국내 월드컵경기장 부지 내 외부공간 현황조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다솔 ( Yu Dasol ),유영수 ( You Young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인 월드컵은 개최국 및 개최도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월드컵 이후 시설 유지 및 관리는 주최 측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월드컵경기장에 대한 활용방안이 중요하다. 국내 월드컵경기장은 월드컵 이후 시설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월드컵경기장 외부공간에 주목하여 전략적인 활용방안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IFA의 월드컵경기장 시설기준 검토와 선행연구를 통해 월드컵경기장 외부 공간 활용을 위해 분석에 필요한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법/제도 검토를 통해 경기장 활용에 대한 제한사항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월드컵경기장의 공간적 특성, 활용현황, 도시적 맥락을 통한 활용방안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공간적 특성에서 경기장의 시설현황 및 단지의 형태를 파악하고 외부 공간면적과 경기장 관련 시설 외 연면적의 비교를 통해 비슷한 유형의 경기장을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 경기장스탠드 하부공간과 경기장 관련 시설 외 별도시설의 경기장 외 용도 현황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접근성, 경기장 주변 토지이용 현황 및 유동인구 등 도시적 여건을 기준으로 각 경기장을 분류하였다. 이후 3가지 기준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각 경기장의 최종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국내 10개 월드컵경기장을 4가지 유형과 다소 예외적인 2개 도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에 따라 생활형 SOC 또는 공원 등 옥외시설 설치, 집객을 위한 이벤트 및 상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 도입 및 옥외활동의 지원시설, 주변 환경을 이용한 프로그램 도입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옥외시설, 경기장 시설 자체의 가변성을 높여 경기장 및 외부공간에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활용 및 각 경기장의 주변 환경 및 경기장조사를 통한 활용이 가능하다. (결론) 본 연구는 월드컵경기장 외부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유형에 맞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자료를 통해 기존의 연구 및 자료를 비교, 검토 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월드컵경기장의 외부공간 활성화를 위한 접근으로써 앞으로 개별 월드컵경기장의 개선이 필요할 때 외부공간 활용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World Cup, one of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host count ry and the city.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World Cup stadium is important becaus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fter the World Cup is a heavy burden to the host. Domestic World Cup stadiums have not been properly utilized si nce the 2002 World Cup.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 a strategic utilization dire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outsi 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Method) This study reviewed FIFA's facilities standards and the restrictions on the us e of the stadium through related regulations. Based on this, the types of utilization methods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 s, programs other than sports facilities, and urban context of the World Cup Stadium were examined. First, feature of the sp atial on 10 stadiums were classified by identifying the types of complexes and comparing the exterior space area with the fl oor area other than the stadium-related facilities. The status of non-related use of the facilities other than the lower space of the stadium stand and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stadium was classified. Finally, each stadium was classified based on urb an conditions such as accessibility land use around the stadium and day-time population. The final types of each stadium we re deriv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se three criteria. (Results) Ten World Cup stadiums in South Korea cl 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wo exceptional stadiums. Depending on each type, there are various types of outdoor facilities s uch as living SOCs or parks, events for visitors and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on a regular basis, support facilities for o utdoor activities, programs u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door facilities that can support them, and use them thr ough various events in stadiums and outdoor spaces by increasing the variability of the stadium facilities themselves and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tadiu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utilization measures for the type of revitalization of the outsi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It is meaningful that existing research and data can be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e latest data.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of how to utilize the external space when individual World Cup stadiums need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as an approach to vitalizing the out si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 KCI등재

        현대 문화시설 내부공간의 내·외부 관계성에서 나타나는 표현특성 및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박희경,공순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changed look of architecture that appears in today’s rapidly changing world has a sufficient variety of shapes and spaces to lead the cultural flow of society. In this light, I analyze the interior-exterior relationality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indoor space, continuing from the interior-exterior boundary defined by the appearance of architecture. I also examine their connection as it is expressed in space. (Research Method) I perform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by understanding changes in architectural spaces throughout history, grasping the most fundamental concepts and attributes as well as identify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required for case analyses. The criteria for selecting cases for the study are established by society and culture, which are semantic attributes that form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for analyzing earlier studies pertaining to architectural space. The related vocabulary and analytical theories extracted from earlier studies are constructed into a common elemental vocabulary, and the appropriateness of elements select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is indicated. Accordingly, I distinguis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belong to the basic principles of composition . The case study is used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elements extracted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and determination of scope. The case studies show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space (Summary Table 1); characteristics of spaces based on the case studies are identified in Summary Table 2 . (Results) The case study analysis in Summary Table 1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space and areas are closely related to the locations in whic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architectural spaces are formed; as a result, I have analyzed spatial areas and characteristics in Summary Table 2. Additionally, I could comprehend the connectivity in which the expression elements of space form relationships. (Conclusion) My analysis shows tha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which start in the interior-exterior boundary, determine the type and transparency of materials by the degree of their relationships, serving as crucial clues when deci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ed indoor space and the arrangement for its various uses.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irectionality of the expression elements. My analysis shows that they these elements have an impact on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their physical construction.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시대에서 나타나는 건축의 변화된 모습은 사회의 문화적 흐름을 주도할 만큼 그 형태와 공간적 모습이 다양하다. 이에 건축의 외형적 형태에 의한 내·외부 경계로부터 이어져 내부공간에 표현되어 나타나는 모습에서 내·외부 경계의 관계성과 그로인해 나타나는 내부공간의 표현특성과 표현요소를 분석하고 그것들이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공간에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건축공간의 역사적, 시대적 변화 속에서 건축공간의 이해와 그것의 가장 근원적 개념과 속성을 통해 내·외부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하고 사례분석에 필요한 표현특성과 표현요소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 사례선정 기준은 내·외부공간을 생성하는 의미론적 속성이라 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그 기준을 정하고, 건축 공간 및 내·외부공간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연계어휘와 분석이론은 공통된 하나의 요소적 어휘로 구성하여 앞서 고찰한 이론 고찰을 통해 선정된 요소의 당위성을 명기하고, 이것을 토대로 건축공간의 기본적 구성 원리에 해당하는 표현특성과 내부공간의 표현요소로 구분한다. 그리고, 그것의 이론적 고찰로 추출된 표현요소들의 유형 및 특성들을 도출하고 그 범위를 정하여 사례분석을 진행한다. 사례분석으로 나온 내용은 먼저 용도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종합표-1에서 결과로 도출하고, 종합표-2에서는 그것을 토대로 나타나는 공간의 특성을 영역별 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한다. (결과) 사례분석을 거쳐 종합표-1에서는 인간과 시설물과의 관계가 건축공간의 내·외부의 형성위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졌으며, 그 결과 종합표-2에서 공간의 영역과 성격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공간의 표현요소들이 서로 어떤 연결성을 가지면서 그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파악 할 수 있었다. (결론) 내·외부의 경계에서부터 시작되는 건축공간의 표현특성은 그 관계의 정도에 따라 형태와 재료의 투명성이 결정되어지며, 이어지는 내부공간의 성격과 용도 배치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어졌고, 그것과 이어지는 내부공간은 공간의 용도와 부합하여 표현요소의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재료 선정과 그 재료의 물리적 구축까지 함께 결정지을 수 있는 부분으로 분석되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