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외래어 표기법 교육 방안

        이소영(Lee, So-yo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2

        한국어에서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많아지면서 외래어 교육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며 생활하면서 외래어 학습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은 편이다. 특히, 한국어 언어연수 과정을 거치면서 외래어를 수업 시간에 배우는 경우는 고급 과정에만 일부 있을 뿐이고 초ㆍ중급 과정에서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외래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외래어 표기이다. 한글을 적을 때는 규정에 맞게 적어야 하는 것을 알지만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 규정이 별도로 있다는 것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로 인해서 외국인 학습자들은 외래어를 표기하는 것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외래어 표기법>에 대해서 학습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특히, 외래어는 원어 발음과 표기상의 괴리가 있고, 외국인 학습자의 모국어 발음과도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혼란을 빚는 것은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혼란을 최소화하고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외래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만큼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외래어 표기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수업을 하기 전에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사전 지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학습 수준에 맞춰 <외래어 표기법> 교육에 관한 5개의 수업 활동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 수업 활동안은 앞으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외래어 표기법>을 교수ㆍ학습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좀 더 발전적인 수업안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As the proportion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the concern about loanword education is rising by gradation. Foreign lea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Korea, feel the necessity of loanword eduction, but they don't get many chances to learn them, in reality. Especially, they can learn some of loanwords only in the advanced course during the Korean language study, and there is almost no loanword education in the beginner's and intermediate course. Loandword orthography is the most difficult part for learners in loanword education. Many of them don't even know that there is a regulation regarding <loanword orthography>, although they know that they should write Hangeul(Korean alphabet), based on the regulation. For this reason, foreign learners have difficulties writing loanwords, and the number of them who want to learn <loanword orthography>, is gradually increasing. In particular, loanwords have a gap between native pronunciation and writing, and pronunciations of loanwords are even different from native pronunciations of foreign learners, in many cases, so it is natural that they feel confused about this. In order to minimize this confusion, and meet foreign learners' need for loanwor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loanword orthography education that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with interest, is required. In this study, foreign learners' prior knowledge about <loanword orthography> was examined, before the <loanword orthography>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five class models of <loanword orthography>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learning levels of learners, and they were applied to the actual class.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class models would provide the foundation for more developmental lesson plan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loanword orthography> for foreign learners.

      • KCI등재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과 대안

        박한상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6

        This study discusses problems in the current Thai Hangeulization System and proposes an alternative to it. Examination of the Thai Hangeulization System suggested that priority should have been given to the transcription of Thai sounds, not to the transliteration of Thai script, that Conversion and revision of the Thai romanization system in Thailand and the resulting different versions of it has brought confusion and convolution to the Thai Hangeulization System, and that a drifting anchor, an erroneous format, a clumsy selection of examples, and missing entries, has conspired to produce an ineffective Thai Hangeulization System. This study provides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Thai Hangeulization System, by placing the anchor on the proper side of transcription, correcting errors, and including a comprehensive list of Thai characters to be transcribed. 이 연구는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를 토론하고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을 수정⋅보완하여 대안을 제시한다.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구성과 내용을 보면 로마자가 중심이고 타이어 자모가 부수적이다.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바탕이 되는 태국의 로마자 표기법을 살펴본 결과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혼란과 혼동의 원인이 여러 차례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과 전사 및 전자 방식의 전환에서 비롯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에서 나타나는 기준의 혼란, 오류, 미비점 등의 문제를 지적하고 기타 고려사항들을 참고하여 수정안 마련의 토대로 삼았다. 전자 방식 로마자 표기 체계에 바탕을 두고 현행 타이어 외래어 표기법의 오류를 수정하고 미비한 점을 보완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日本語·中國語 外來語表記法의 廢棄 必要性

        김창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4

        A loanword is to be read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norms of the concerned nation in case of proper nouns. It must be treated in duality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s and non-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s. In case of the loanword of the latter, the fittest pronunciation method is to be sought in the future. On the contrary, because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 as a Korean styl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the proper noun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must be written according to it. It is wrong to conform the principle of original sound on a local basis only in Korea. It must be conform the native tongue-centrism. The words in Chinese character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nd then read in Korean in the past, and such a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best method of communication. The current method where letters are written in Korean and pronounced in loanword pronunciation, disrupts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or intention doubly. As Chinese characters are not loanwords, so it can not be a subject of loanword orthography. Choi Hyun Bae, ideologist of exclusive use of Hangeul, devised loanword orthography of Japanese in order to promote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but it is none other than a vestige of Japanese colonial imperialism. The same fallacy is true of loanword orthography of Chinese. Consequently, the current loanword orthography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must be discarded. 外來語는 주로 글로 적힌 固有名詞를 자기 民族의 發音 方式에 따라서 읽는다. 外來語는 漢字文化圈과 非漢字文化圈으로 二元化해서 다루어야 한다. 漢字文化圈의 고유명사는 韓國式 漢字音이 確立되어 있으므로 一貫性을 유지해야 한다. 반면에 非漢字文化圈 外來語는 앞으로 最適의 發音法을 摸索해야 한다. 전 世界에서 韓國만 唯一하게 채택하고 있는 現地 原音主義는 잘못이다. 自國語 中心主義로 外來語를 使用해야 한다. 과거에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로 읽었는데, 最上의 意味 傳達 방식이었다. 그런데 現行法은 文字는 한글로 적고 發音은 外國語 發音으로 하게 하여 意味 傳達을 二重으로 妨害하고 있다. 漢字語는 外來語가 아니므로 원래 外來語表記法의 對象이 아니다. 日本語 外來語表記法은 日帝 식민지 殘滓로서, 한글전용파 崔鉉培가 한글專用을 추진하려고 만들었다. 中國語 外來語表記法은 그것을 踏襲했다. 잘못된 現行 漢字文化圈 外來語表記法을 廢棄해야 한다.

      • 국어 로마자 표기법의 개선과 그 실용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6 한국어정보학 Vol.18 No.2

        국제적으로 로마자가 세계 기축문자 역할을 하고 있어, 어느 나라든지 자국어를 로마자로 적는 표 기 규칙을 정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것이 자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자국어 로마자 표기법이라 하더라도 자국어:로마자의 대응 규칙을 정함에 있어서는 국제적인 통용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IPA로 표기된 외래어 발음과 영문자 26자로 된 로마자 표기법을 대조해보면, 양자가 거의 일치함 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로써, 양자의 상호 통용성이 확보된 것이다. 즉, 외래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할 경우 와 한국어 자음을 로마자로 표기할 경우, 양자가 서로 통하기 때문에, 실제 적용과정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국어 로마자 표기법은 몇 차례 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자음 쪽은 안정이 되어, 더 이상 손대야 할 부분이 없어졌지만, 모음 쪽은 아직도 몇 군데 손댈 부분이 남아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자음 쪽은 그대 로 두고 모음 쪽에서 미진한 부분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대로 적게 되면, 앞뒤에 오는 로마자 문자열이 분리가 안 되어, 발음상의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현행 표기법에서는 이러한 혼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경우에 붙임표(-)를 쓰도 록 하고 있는데, 붙임표(-)를 쓰지 않고, 그 대신 모든 음절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쓰게 되면 로마자 표기에 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가 한꺼번에 해결된다.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좌에서 우로 알파벳을 나열해 적는데, 로마자 쓰기 방법에는 한글 음절처럼 모아서 쓰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다. 문자가 쓰이는 환경에 따라 로마자를 모아서 쓰게 되면, 가 로로 ‘풀어쓰기’할 때보다 더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양상과 과제

        이관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2 No.-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show how loanword orthography has evolved in North Korea(NK) and to deduce tasks needed for the unification of loanword orthography in SK and NK. Immediately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the same loanword orthography, that is, <Choseoneo Loanword Orthography>(1941) of Korean Language Society was adopted and used in both SK and NK. NK then promulgated <Choseoneo Loanword Orthography>(1956), <Loanword Orthography>(1958),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1969),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1982), and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2001). At first, NK used the term ‘loanword’, and later ‘foreign language’. The principles for the loanword orthography in NK are based on phonetic transcription. As for old Chinese proper nouns, according to the orthography in 1956 and in 1958,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transcription was applied, but the orthography in 1969, 1982, and 2001 followed the principles of original phonetic transcription. NK has been using 40 Hangeul alphabets while SK 24 alphabets, and NK enacted fortis mark, but had no long-drawn sound mark. On the other hand, SK has no enacted fortis mark, although it had a prolonged sound mark in the past (in 1948 and in 1958). How can North and South Korea have unified loanword orthography? It is important that both have their own independent stances as to loanword orthography. 이 논문은 북한의 외래어 표기법이 변천해 온 과정을 살피고 앞으로 해야 할 과제를 도출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복 직후 남북한은 조선어학회의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41)을 함께 사용하였다. 이후 북한에서는 <조선어 외래어 표기법>(1956), <외래어 표기법>(1958), <외국말적기법>(1969), <외국말적기법>(1982), <외국말적기법>(2001)을 공포하였다. 처음에는 외래어라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이후 ‘외국말’이라는 용어로 바꾸었다. 북한에서도 외래어 표기 기본 원칙으로 원지음주의를 따른다. 중국의 과거 고유 명사를 표기할 때, 북한의 1956년과 1958년 표기법은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하였으나 이후의 모든 표기법에서는 원지음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북한은 한글 40자모 사용을 내세우고 있으며 된소리 표기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장음 표기는 모든 표기법에서 허용하고 있지 않다. 남한은 24자모를 설정하고 있으며, 된소리 표기는 허용하고 있지 않다. 장음 표기는 지금은 인정 안 하지만, 예전(1948, 1958)에는 한 적이 있다. 남북한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러한 차이들을 어떻게 메울 것인지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특히 한자문화권의 고유 명사 표기를 원지음주의 그대로 유지해야 하는지 고민이 필요하다.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외래어 표기법 속 네덜란드어의 한글 표기법

        정진영(Jung Jin-young)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7

        이 글은 외래어 표기법 속 네덜란드어 표기법에 나타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네덜란드어 표기법의 수정 · 보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네덜란드어 표기법은 2005년에 제정되어 오랜 기간 언중들이 겪어야했던 표기 혼동을 줄이는 데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기존 외래어 표기법 중에서 가장 늦게 제정된 탓에 표기 혼란이 오랫동안 존재했었고 그동안 잘못된 표기로 고착화가 진행된 단어가 많다. 따라서 모호한 기준의 관용 존중이라는 명분하에 존재하는 예외들을 줄이려면 원음에 가깝게 표기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네덜란드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와 ‘네덜란드어 표기 세칙’에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네덜란드어의 자음과 관련해서는 v, w, kw 등의 한글 표기가 원음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보이고 수정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으며, 네덜란드어의 모음과 관련해서는 e, ee, eu 등의 한글 표기를 원음과 가까운 방향으로 개정할 수 있도록 수정 ·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iscussed how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notation after looking into the problems of the Hangeul notation on Dutch words in Korean. The notation was introduced in 2005,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long-term confusion when we write Dutch words in Hangeul. However, there are a lot of words that have been fixed by the wrong notation as it was enacted the latest among the notation of foreign words. In order to reduce the exceptions that exist under the pretext of tolerance of ambiguous standards, we should pursue the direction which is close to the original sound. Also I surveyed some problems that “the table of Dutch alphabet-Hangeul” and “the details for the Hangeul notation on Dutch words” have. As for the consonants, I showed that Hangeul notation such as v, w and kw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unds of Dutch and I gave corrections. In relation to the vowels, Hangeul notation like e, ee and eu, I suggested corrections or supplementation so that we can revise it similar to their original sounds.

      • KCI등재

        일본(日本) 관련(關聯) 외래어표기법(外來語表記法)의 개정(改正) 필요성(必要性) -한(韓),일(日) 신문(新聞)의 상호(相互)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 비교(比較) 고찰(考察)-

        김창진 ( Chang Jin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漢字文化圈의 올바른 外來語 表記 方法을 알기 위해 韓國 신문과 日本 신문의 상대국 관련 외래어 표기를 比較 考察했다. 日本 신문은 『朝日新聞』의 2009년 3월 記事 중 韓國 관련 기사를 調査 對象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日本 『朝日新聞』은 韓國 固有名詞를 漢字로 적는 것을 原則으로 삼고 독자는 自國語 發音으로 읽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日本이 漢字文化圈의 漢字語는 外來語가 아닌 自國語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漢字文化圈의 共通되고 오래된 傳統인데, 日本은 그 傳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日本人은 漢字文化圈 外來語를 `自國語 中心主義`로 便利하게 사용한다. 反面에 韓國 신문들은 日本 고유명사를 한글로 日本語 現地 原音을 적고 있다. 이는 이미 準固有語化되어 있는 漢字語를 현행 外來語表記法이 外國語로 잘못 취급하여 잘못된 `現地 原音主義`을 적용해버린 것이다. 그 결과, 韓國 독자들은 日本 고유명사 표기를 대하여 發音도 不便하고 意味도 알기 어려워 큰 不便을 겪고 있다. 따라서 韓國 政府는 韓國語의 오랜 傳統을 回復하여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 發音으로 읽게 해야 마땅하다. 그래야만 韓國 국민이 正常的인 言語生活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urveyed the mutual orthography of loan words written in the articles of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in order to understand an accurate transcription method of loan words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In case of Japanese newspaper, this paper made the articles about Korean issues in Asahi Shinbun during March 2009 objects of this study. Japanese Asahi Shinbun transcribes Korean proper nouns into Chinese characters, and Japanese readers read them on the basis of the pronunciation of their vernacular, because Japan regards Chinese characters as their vernacular instead of loan words. This orthography is a long tradition common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 characters, and Japan maintains such a orthographic tradition so far. Thus Japanese people use loan words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conveniently based on the `vernacular-centricity`. On the contrary, Korean newspapers transcribe Japanese locale pronunciation into Hangul in writing of Japanese proper nouns, which has made Chinese characters, quasi-Korean language worse into `the locale etymological reading` by considering them as loan words on the basis of loan words orthograph. In this respect, Korean readers undergo and suffer great confusion and inconvenience, for they don`t understand the meaning in the transcription of Japanese proper nouns according to `principle of the locale etymological reading`. Consequently, Korea has to restore `vernacular-centricity` by regarding Chinese characters as Korean words instead of dealing with them in terms of an orthography of loan words.

      • KCI등재후보

        외래어 및 그 표기법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박종덕 ( Jong Deok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3 No.-

        이 글에서는 외래어는 국어인가, 아닌가에 관련된 문제,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기준에 관련된 문제, 외래어의 표기 원칙에 관련된 문제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외래어가 국어인가, 아닌가에 대한 문제는 우리의 국어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누어온 기존의 분류를 인정할 것인가 폐기할 것인가에 귀결된다. 둘째, 외래어와 외국어를 가르는 기준에 관련된 문제 역시 국어의 어휘가 삼중 체계로 되어 있다는 설에 접맥되어 있다. 셋째, 외래어의 표기 원칙에 관련된 문제는 본질적으로 외래어를 국어로 볼 것인가, 외국어로 볼 것인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글쓴이의 주장은 외래어는 외국어이며, 따라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들온말 표기법`으로 재정비되어야 하고, 그 경우 들온말은 적절한 국어로 순화된 말로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불가피한 경우에만 원지음대로 과학적으로 표기하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In this thesis, discussion is focused on (1) whether loan words can be considered as Korean, (2) problems concerning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on between loan words and foreign words, and (3) the orthography of loan 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of whether loan words should be considered to be Korean is direct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accept the traditional standard of differentiating and categorizing the Korean language into the native tongue, Sino-Korean and loan words. Second, the questions concerning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on between loan words and foreign words are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triple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Third, the question concerningthe orthography of loan words should be answered in relation to whether loan words should fundamentally be regarded as part of the Korean language. The writer`s assertion concerning these questions are loan wordsare in essence a part of a foreign language, thus, the current standard of orthography should be revised to a new standard of "orthography for borrowed words," and then in principle, it should be refined into a conventional standardof Korean orthography, and only for exceptional cases, allowing it to be expressed in the original form according to systematic and scientific orthography standards

      • KCI등재후보

        한일 간 외래어 표기규정의 비교를 통한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외래어 학습 효율성 제고 방안 : 영어계 외래어를 중심으로

        문윤주(Yunju Mu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본고에서는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의 외래어를 학습할 때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 모두 외래어 표기규정을 통해 외래어 표기 및 발음의 효율성을 기하고 있다. 둘 다 표음주의의 원칙에 의하여 외래어를 표기하고 있지만 양국의 음운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외래어를 다른 음운과 연결시켜 표기하고 발음한다. 이것이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요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양국 외래어 표기규정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어계 외래어를 중심으로 원지음의 음소별로 한글과 카나의 문자가 서로 연결될 때의 규칙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규칙성을 인지하고 학습한다면 일본어 화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효율성이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speakers when learning loanwords in Korean. Both Korea and Japan are making the efficiency of loanword notation and pronunciation through loanword notation regulations. Both are written in loanwords by the principle of leopardism, but because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of both countries is different, the same loanword is linked with other phonological words and pronounced. This is the biggest factor that Japanese speakers have difficulty learning Korean loanwords. In this study, first,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loanword notation regulations of both countries. And the regularity of the connection between Hangeul and Kana was examined by phonemes of native pronunciation, focusing on English Borrowed Words. If the regularity is recognized and learned, the efficiency of Japanese speakers can be improved when learning Korean loanw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