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 방식

        한길연(Han Gil Yeo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2

        본 논문에서는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미메시스적 차원의 분석을 넘어서 이에 관한 비판적 시선의 형상화 방식을 고찰함으로써, <완월회맹연>의 여성주의의 본질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하였다. <완월회맹연>에서는 폭력적 가부장을 비판하기 위한 서사전략을 치밀하게 구사하고 있는데, 이를 크게 1) 폭력적 가부장간의 상호 비판, 2) 가족간 공론화장을 통한 비판과 놀리기, 3) 소인형 가부장과의 비교 논리의 세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폭력적 가부장간에 서로를 비판하는 독특한 방식을 통해 자신에게 매몰되어 있을 때는 성찰하지 못했던 폭력성을 타인을 거울삼아 성찰하게 함으로써 남성의 자기비판을 보여주고, 2) 희담꾼들을 대거 등장시키는 가운데 현실에서는 쉽지 않았을 가족간의 공론화장을 극대화함으로써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과 조롱을 전경화하며, 3) 소인형 가부장과의 비교 구도 속에서 폭력적 가부장이 등가적 위치 혹은 열등한 위치에 놓일 수도 있다는 논리를 마련함으로써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근원적 혐오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서사전략을 통해 <완월회맹연>은 그 어느 작품보다도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강도 높게 노정하고 있었다. <완월회맹연>에서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이와 같은 강도 높은 비판을 다채롭게 형상화한 것은 결국 ‘여성적 글쓰기’의 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남성이 남성을 되비추는 거울을 통해 ‘결핍된 여성’이 아니라 ‘결핍된 남성’의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며, 여성들의 의식과 경험이 가득 담긴 ‘수다의 장’을 통해 여성의 입장을 한껏 반영하면서 남성들과의 공유의 장까지 마련하는 한편, 당대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폭력성을 ‘주변화된 남성성’과의 비교를 통해 가시화하고 있다. 요컨대, <완월회맹연>은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비판적 시선의 섬세한 형상화를 통해 폭력적 가부장에 대한 당대 체제 안에서의 비판의 최대치를 선보이는 가운데, 대하소설 특유의 여성적 글쓰기를 심화시키고 있는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In this paper, I tried to get a little closer to the essence of the feminism of the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by considering the formative method of critical gaze beyond the Mimesis-level analysis of violent patriarchs.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carefully shows an epic strategy to criticize violent patriarchs,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1) mutual criticism among violent patriarchs, 2) criticism and teasing through family public public sphere, and 3) comparative logic with stupid patriarchs. 1) Through a unique way of criticizing each other among violent patriarchs, it shows the self-criticism of men by making others reflect on the violence that they could not reflect on when they were buried in themselves. 2) Amid the emergence of a large number of pleasantry-tellers, it maximizes public sphere among family members, which would not have been easy in reality, to foreground criticism and ridicule of violent patriarchs. 3) By comparing stupid patriarch and violent patriarchs, it reveals a fundamental dislike of violent patriarchs. Through this narrative strategy,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was more critical of the violent patriarch than any other work. It is a strategy of feminine writing that variously embodies such intense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in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Men clearly reveal the appearance of a deficient man rather than a deficient woman through a mirror reflecting men, and sharing with men, reflecting women s position to the fullest through a chatter field full of women s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the violence of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e time is visualiz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marginalized masculinity. As such,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is significant as a work that deepens the unique feminine writing of the roman-fleuve, showing the maximum level of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in the contemporary system through a delicate form of criticism of violent patriarchs.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도술에 대하여

        김동욱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6 No.-

        본고는 <완월회맹연>의 도술에 관해 고찰한 결과이다. <완월회맹연>의 주인공 정인성과 정인광 등 정씨 가문의 주요 인물들은 스승이나 조력자의 도움 없이도 태어날 때부터 도술을 부릴 수 있다. 또 <완월회맹연>의 도술은 요사스러운 자가 덕을 지닌 자를 이길 수 없다는 ‘요불승덕’의 원리가 절대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점은 <최고운전>, <전우치전>, <유충렬전>, <조웅전>과 뚜렷하게 구별되며, <소 현성록>, <명행정의록>과 같은 한글장편소설에서는 유사하면서도 세부적으로는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완월회맹연>의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완월회맹연>의 도술은 인물의 훌륭한 성품에서 비롯되는 능력이다. 그리고 주 인공의 도술은 요얼과 병마를 제압해 백성의 삶을 평안하게 만든다. <완월회맹연> 은 도술을 통해 훌륭한 성품을 지닌 인물이 백성도 잘 다스릴 수 있다는 논리를 만들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성과 정치능력을 겸비한 이상적인 위정자의 형상 을 새롭게 창조했다. 또한 <완월회맹연>의 도술은 사실상 어떠한 후천적인 노력으 로도 극복할 수 없는, 도덕성과 혈연관계라는 이중의 논리에 바탕을 둔 견고한 차 등의 위계질서를 가시화해 놓았다. 이는 <완월회맹연>의 주된 향유층인 최상층 독 자들이 지닌 세계관의 반영이자, 앞서 창작된 작품의 도술에 대한 문학적 반론이 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완월회맹연>의 도술이 지닌 특징과 서사적 의미가 일부 밝 혀졌다. 추후 한글장편소설 전반의 도술을 살피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고전소설 의 도술에 대한 이해의 폭이 한층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aoist magic in Wanwolhoemaengyeon. The main characters such as Jung In-sung and Jung In-gwang can do taoist magic from the time of birth without the help of a teacher or an assistant. In addition, taoist magic of this work absolutely follows the principle that the wicked can not defeat those who have virtue. This point can be pointed out as a characteristic of this work, which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Choigounjeon, Jeonwoochijeon, Yuchungryeoljeon, and Joungjeon. And this characteristic of this work is similar in the novels such as Sohyunsungrok and Myeonghaengjeonguirok, but it shows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s. Contrary to short stories, the taoist magic of this work is based on the morality of the person. And the main character’s taoist magic makes the people’s life peaceful by overcoming the monsters and the illness. This work uses magic to create the logic that a person with morality can govern a people well. And based on that, this work created an idealistic image of a morality and political power. In addition, the taoist magic of this work has visualized a strict hierarchy of differentials based on the dual logic of morality and blood relations, which can not be overcome with any endeavor. This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world view of the uppermost class, who are the main readers of this work, and also as a literary reaction to the works created earlier. Through this discussion, some of the features and narrative meaning of the taoist magic in this work could be revealed. If the work of examining the taoist magic of the Korean novel is done, the understanding of the taoist magic of the classical novel can be further expanded.

      • KCI등재

        18세기 사족(士族) 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유(儒)·도(道) 쟁론

        김수연(Kim, Soo-You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글의 목적은 18세기 사족(士族) 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유·도 쟁론을 통해 국문장편소설 속 사상 담론의 일면을 고찰하는 데 있다. 여성이 창작한 작품으로 알려진 <완월회맹연>은 작가, 향유층, 작품의 주동인물이 역사적 명문 사족이고, 주제의식에서 유교적 도덕관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유교적 도덕관을 주제로 한 다수의 소설은 도교적 인물의 가계와 내력을 생략하고 단순한 악인으로 그리며, 도교적 특징 또한 도술 등 소재 차원에서 다룬다. 이와 달리 <완월회맹연>은 도교의 핵심 인물을 사족의 후손으로 설정하고, 도교로 전향한 내력을 서술하며 주동인물과 진지하게 ‘큰 도 논쟁’을 펼치도록 설정한 점에서 특징적이다. 신분적, 혈통적 수준에서 대등한 지위에 있는 주동인물과 반동인물 사이의 유·도 간의 ‘큰 도’ 논쟁은 일방적 훈계가 아닌 쟁론의 성격을 지닌다. <완월회맹연>의 ‘유·도 쟁론’은 국문장편소설이 허구와 오락을 넘어, 부분적으로나마 ‘사상 소설’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17~18세기 유학자들 사이에 있었던 도교에 대한 논쟁적 담론의 상황을 반영한다. 또한 이 작품의 작가가 여성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완월회맹연>의 ‘유·도 쟁론’은 18세기 사족 여성이 유교를 중심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사상에 대해 자신의 입장과 견해를 서사적으로 개진할 수 있었던 환경과 지적 수준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완월회맹연>의 유·도 쟁론은 여성 창작·향유 소설의 진지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확보하게 한다. 또한 소설이 ‘허구’라는 틀을 빌리지만 궁극적으로 ‘진실’을 말한다는 점에서, 소설이 수용한 진실은 역사가 기록한 사실보다 더 정확히 그 시대의 진면목을 증언할 수 있음을 다시금 환기시킨다. <Wanwŏl hoemaengyŏn> can be called a Sajok(scholar family) novel with its Sajok author, readers, and Sajok main characters, and a Confucian novel with its clearly revealed Confucian theme. The Taoist character, who is a descendant of the Sajok royal line and protagonist of the novel, was set up for a serious Confucianism vs Taoism debate. The “Great Tao” debate on Confucianism and Taoism between the protagonist and reactionary figures of similar status and pedigree created a tense controversy. The “Confucianism and Taoism Debate” in <Wanwŏl hoemaengyŏn> shows how novels on feminine sexuality partially approached the “Ideological novel.” In addition, it highlights the circumstances in which Sajok women in the 18<SUP>th</SUP> century held their own positions and views on various ideologies, centering on Confucianism, and expressed them narratively. <Wanwŏl hoemaengyŏn>’s controversial narrative over Confucianism and Taoism made it possible to secure a new perspective on the sincerity of novels on feminine sexuality. In addition, the fact that popular novels borrow the framework of fiction but ultimately speaks “truth,” it reminds us that the truth accepted by the novel can testify to the truth of the era more accurately than the facts recorded by history.

      • KCI우수등재

        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비-중국’ 국가의 서사적 이미지 -〈완월회맹연〉의 금국과 안남을 중심으로

        김수연(Kim, Soo-youn)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3

        이 글은 18세기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비-중국’ 국가의 서사적 이미지를 살펴보고, 당시 소설 독자가 공유했던 북방 국가 및 남방 국가에 대한 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금국과 안남을 대상으로 화이론(華夷論)의 관점이 아닌 지역적 시각에서 동아시아를 구성하는 조공질서 내 국가 이미지를 살폈다. 〈완월회맹연〉 속 금국과 안남은 야만의 오랑캐가 아니라 조선과 같은 조공 질서 내의 합법적 국가이다. 두 나라는 조공 질서의 두 측면을 드러내면서 중국 중심주의가 흔들리고 있는 징후를 보인다. 금국은 조공 질서에 순응하는 국가로 그려지고, 안남은 조공을 거부하고 명나라 속국의 지위에서 벗어나려는 국가로 묘사되기 때문이다. 〈완월회맹연〉은 ‘비-중국’ 국가가 조공질서에 기꺼이 종속될 때 합법적 국가로 인정받는 상황을 보여준다. 조공질서를 흔드는 일탈자가 되는 순간 그들은 야만의 오랑캐로 규정된다. 부국강병을 이룬 안남왕이 명나라 군대를 물리치기 위해 사용한 군사적 전략을 반인륜적 행동과 연결시킴으로써, 명에 대한 저항에 패륜의 이미지를 덧씌우는 것이 대표적이다. 〈완월회맹연〉 속 ‘비-중국’ 국가의 서사에는 청나라가 중원에 들어선 후 어긋나기 시작하는 화이론과 흔들리기 시작하는 중국 중심적 조공질서에 대한 다층적ㆍ복합적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rrative image of a “non-Chinese” country that appeared in the 18<SUP>th</SUP> century Korean novel, Alliance Formed at the 〈Wanwŏl hoemaengyŏn〉, and examines the perception of northern and southern countries shared by readers of the novel at that time. The national image within the tributary order that composes East-Asia was examined from a regional perspective, not from the point of view of Hwa-I Theory (華夷論). Specifically, it dealt with Geumguk in the north and Annam in the south. Geumguk and Annam in Wanwŏl hoemaengyŏn are not the barbaric, but legal states within the same tribute order as Joseon. The two countries show signs of swaying Chinese centralism, revealing two aspects of the tribute order. Geumguk is depicted as a country conforming to the tribute order, and Annam tries to abolish tribute and escape the status of the Ming dynasty. When a “non-Chinese” state is willing to subordinate to the tribute order, it is recognized as a legal state. The moment they become deviants who shake the tribute order, they are again defined as the barbaric. In 〈Wanwŏl hoemaengyŏn〉, the image of immorality is overlaid on the resistance to the Ming by linking the military strategy used by King Annam, who was a rich nation to defeat the Ming army, with immoral actions. The narrative of the “non-Chinese” state in the 〈Wanwolhoe Alliance〉 reflects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perception of the Hwa-I theory that began to deviate after the Qing Dynasty entered the mid-centre and the China-centered tribute order that began to shake.

      • KCI등재

        대하소설 <완월회맹연>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

        정창권 ( Chang Guen Jeong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이 논문은 조선시대 대하소설 <완월회맹연>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개발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해본 것이다. 특히 본고는 새로운 형태의 역사 가족드라마를 만들고자 하였다. <완월회맹연>은 180권 180책에 달하는 국문 대하소설로, 단일 작품으로는 중세시대 세계에서 가장 긴 소설이었다. 또한 그 같은 분량에 걸맞게 탁월한 상상력이 발휘되어 있는데, 특히 조선후기 대가문을 둘러싼 수많은 사람들의 인생사를 다채롭게 포착해내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완월회맹연>의 드라마화 작업을 위해 각색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시놉시스를 통해 작품의 얼개까지 그려 보이고 있다. 그와 더불어 <완월회맹연>은 드라마 뿐 아니라, 출판과 다큐멘터리, 영화, 전시 등의 콘텐츠로도 충분히 개발될 수 있음을 개략적인 내용과 함께 보여주고 있다. 그 동안 고전문학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주로 당위적·추상적 차원에서 논의되었는데, 이 논문을 계기로 보다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surveyed positively a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which utilized a river novel, <Wanwolhwemaengyeon>. Especially, this paper is that it would make a new type of a family and historical drama. <Wanwolhwemaengyeon> is reached 180 books and 180 volumes a Korean river novel, this is the longest novel the Middle ages in the world, with a singular work. And it shows its remarkable imagination with a well-matched quantity, that is to say, it is grasping a lot of human history of life surrounded a noted family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fore, this paper is embodying a direction for the dramatization of <Wanwolhwemaengyeon>, and showing the structure of work by synopsis. At the same time, <Wanwolhwemaengyeon> is showing that can develop enough contents for publishing, documentary, film, exhibition, etc., as well as drama, along with a sketchy description.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which utilized the classical literature has discussed mainly a necessary and abstract level. With this paper as a momentum, I wish that it will realize toward practical and concrete direction.

      • KCI등재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길연 ( Gil Yeon Ha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5

        여타의 대하소설에서 남성 희담꾼 혹은 여성 희담꾼 한 명만이 나오는 것과는 달리, <완월회맹연>에서는 남녀 희담꾼인 정염과 상부인이 콤비처럼 등장함으로써 대립각을 세우기도 하고 공조하기도 하면서 서로를 견인하는 가운데 다양한 희담의 장을 선보인다. 특히 여성 관련 희담에서 이들은 더욱 더 풍성한 담론의 장을 형성해낸다. 먼저 남녀 희담꾼 간에 일종의 맞대결의 국면을 통해 남녀 간의 생각의 차이가 얼마나 큰지를, 그리고 그 인식의 틀을 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확연히 보여준다. 생득적인 성별의 차이는 젠더적 측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가져옴으로써 남녀 간에 가질 수 있는 인식의 차이를 드러내는데, 특히 희담이라는 장치를 통해 이러한 의식의 차이가 가감 없이 표출됨으로써 당대 여성들의 불평등한 처지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럼에도 이러한 희담의 장에서는 여성이 말을 많이 해서는 안 된다는 금기를 깨고, 남녀 간에 대등하게 말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다음으로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시댁식구 대 비시댁식구의 관점에서 여성들 안에서도 대립적 국면을 보이는 대목을 통해 여성들의 의식이 균질적이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성 희담꾼인 상부인은 같은 여성의 입장에서 친정의 조카며느리들의 처지를 십분 이해한다고 하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조카며느리보다는 조카의 편에 서는 대목이 종종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남성 희담꾼인 정염과의 공조하에 더욱 더 심화되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당대 여성들이 단일한 의미망에 포섭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입장에 따라 다층적인 의미망으로 포진해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들 희담은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에 대한 인식은 고정된 채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입장에 따라 그 인식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의미를 갖는다. 정염은 막내딸이 외간남자와 정을 통한다는 헛소문에 결국 자신의 딸을 죽이려고 할 만큼 촉박한 상황에 처하자, 여성으로 태어난다는 것이 얼마나 부당한 현실과 대면해야 하는 것인가를 절감하게 된다. 상부인도 막내딸이 남의 첩으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 처하자, 한 사람의 첩이 된다는 것이 얼마나 굴욕적인 수모를 견뎌야 하는 위치인지를 체감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이들의 희담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써, 정염은 여성에 대한 좀 더 객관적인 시선을, 상부인은 친정의 조카며느리들에 대해 좀 더 애정 어린 시선을 갖게 된다. 여성에 대한 인식은 하나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의 폭에 따라 수정이 가능할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가 이들 희담 속에 함의되어 있는 것이다. 요컨대,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은 여성의식의 형상화에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의 장은 단순한 희담의 장이 아니라 잠재되어 있던 갈등을 수면 위로 끌어올려 표면화시킴으로써 서로 간에 격렬한 반응을 이끌어내며 이를 통해 화합의 가능성까지 타진해보는 주요한 소통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Wanwolhoemaengyeon shows diverse discourses by the duo storyteller Jeongyeom and Mrs Sang taking issue or cooperating one another, while the other river novels present only one man storyteller or woman storyteller. Especially, It forms more abundant discourses in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First, It shows definitely how vast the gap between men and women is and how difficult overcoming the gap is, by magnifying the difference of sense between men and women through a kind of contest between man storyteller and woman storyteller. This novel reveals sharply the unfair position of women in those days. Nevertheless, we can find considerable meanings in the space of pleasantry on the point that men and women can speak equally breaking a taboo that women should not be talkative. Second, we can identify that the senses of women are not homogeneous through the parts of pleasantry showing oppositive phase of viewpoint in women versus women as well as in men versus women. Mrs Sang, the woman storyteller seems to understand fully the situation of nephew`s wife in the same women`s position but in a decisive moment, she often takes the side of nephew against nephew`s wife. And these aspects deepen under cooperation with Jeongyeom, the man storyteller. It shows that women in those days were forming multi-layered semantic networks according to each positions. Lastly, the pleasantry in Wanwolhoemaengyeon has significant meaning because it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wome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Jeongyeom and Mrs Sang get to feel keenly the poverty and trouble of women after undergoing terrifying ordeals in their positions. These changes of perception of the storytellers have effects on their own pleasantries. Jeongyeom gets to have more objective viewpoint on women, while Mrs Sang becomes to have more affectionate viewpoint on nephew`s wife. To sum up,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in Wanwolhoemaengyeon contains a important meaning on the embody of women sense. The pleasantry related with women in Wanwolhoemaengyeon can be a main space of communication through disclosing the latent conflicts, leading intense reactions, and tapping the possibility of harmony.

      • KCI등재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여성 인물들의 고난 극복 양상과 의미

        한정미 이화어문학회 2022 이화어문논집 Vol.58 No.-

        이 글은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 내 여성 인물들이 처한 위기적 상황에 주목하고 그 과정을 극복해내는 여성 인물의 행위 양상을 통해 그러한 고난 극복이 갖는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우선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순응적 자아의 이념 추수형, 의지적 자아의 이념 융합형, 충동적 자아와 이념의 대립형, 본능적 자아의 욕구 충족형 등으로 유형화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해당 유형에 속한 여성 인물들이 겪는 고난의 국면을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그 극복 양상을 살폈다. 그 결과 <완월회맹연> 여성 인물들의 고난 극복이 갖는 의미는 ‘강인한 이념적 여성의 발견’, ‘위기 극복을 위한 여성 연대’, ‘이데올로기의 폐해’, ‘본성에의 긍정’ 등으로 추출되었다. 이상의 의미적 요소들은 곧 <완월회맹연>의 작가가 지향하는 이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의 표출, 인간적 본성의 구현이라는 가치와 어우러져 작품의 의도를 더욱 충실히 구현 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완월회맹연>의 기존논의에서 언급한 가부장과 초월계의 개입에 의한 여성 고난의 해결은 여성에게 고통을 가하는 물리적 고난이 표면적으로 제거된것일 뿐, 정작 고통당하는 대상인 여성이 그간 겪어온 상처는 어떻게 치유, 회복의 국면을 맞는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치유와 회복 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고난의 연속선상에서 여성의 고통은 가중될 것이며, 지워지지 않는 상흔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작품 안에서 고난을 겪은 여성의 심리적 상처에 주목하거나 이를 치유하는 장면은 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앞서 펼쳐진 고난의 과정을 보면 적어도 수난의 정점(頂點)에 처해 있던 여성의 상태가 어떠하리라는 점은 서사적 맥락을 통해 충분히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점들이 함께 논의될 때, 비로소 <완월회맹연>에서 드러나는 여성 인물들의 고난의 실상과 그 극복의 의미가 더욱 선명해질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의 몽골 인식 -포스트 팍스 몽골리카 시기 조선의 몽골에 대한 서사적 기억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고소설학회 2018 古小說 硏究 Vol.46 No.-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한반도의 세계인식은 크게 달라졌다. 고려왕조는 중원의 원나라 즉 몽골제국과 혈연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였다. 그러다 중원이 원에서 명으로 바뀌고, 한반도가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뀌면서 북쪽 초원으로 옮겨간 원나라에 대한 기억은 희미해지기 시작했다. 조선조에도 몽골은 여전히 강력한 국가로 존재하면서 명나라를 위협했지만, 조선에게 몽골은 망각된 역사였고 축소된 세계였다. 또한 명나라의 시선에서 이미지화 된 몽골은 야만과 미개의 나라였고, 공포의 대상이었다. <완월회맹연>이 창작 향유된 18세기도 몽골을 구체적으로, 정당하게 기억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다수의 역사서와 연행 기록에서 가끔 만나는 몽골은 거친 북방 부족의 이미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은 15세기의 몽골을 서사적으로 재구하였다. 중원을 벗어나 몽골의 발원지인 초원지역에 자리한 몽골을 뜻하는 ‘해천 몽골’을 덕치와 법치가 이루어지는 정상 국가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해천 몽골의 국왕은 오랑캐의 우두머리가 아니라, 인의와 정의를 실천하며 신하와 백성에게 부끄럽지 않은 정치를 펴려는 군주이다. 그는 스스로 천하의 주인이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망국의 군주인 명나라 황제를 엄중히 비판한다. <완월회맹연>의 작가는 사라진 몽골제국의 서사를 해천 몽골국을 통해 재구성하며, 몽골을 외이(外夷)로 바라보던 시선을 거두고 당당하게 존재하는 외국(外國)으로 그렸다. 그리고 해천 몽골국의 정치 체제와 통치 철학을 통해 이상적 국가상과 통치자상을 제안하며, 자신이 지향하는 세계의 모습을 전하고 있다. 작가는 단순히 짜깁기 형식이나 허구로 몽골국의 서사를 끌어가지 않는다. 그는 세계사의 흐름과 대외 정세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인식을 작품에 새겨 넣음으로써, 일반 소설 작가의 수준을 뛰어넘는 작가적 역량과 자부심을 보이고 있다. As the dynasties were changed from Koryo to Choson, the Korean people 's perception of the world changed greatly. The Koryo dynasty was closely related to Yuan Dynasty, the Mongol Empire, both culturally and culturally. As the Chinese dynasty changed from Yuan to Ming, and the Choson Dynasty was established, the memories of Yuan began to fade. Even during the Choson Dynasty, Mongolia still existed as a powerful nation, threatening the Ming Dynasty. However, Mongolia, imag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Ming, was a country of barbarism and undevelopment, and was the object of fear. The Choson also accepted the view of the M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when the Alliance Formed at the Wanwol Pavilion[玩月會盟宴] was created, Mongolia was rarely remembered specifically in Choson. Many historical books describing Mongolia as a rough tribe of the north. The novel, however, reconstructs Mongolia in a narrative style and describes it as a concrete state. Mongolia in the meadow region, that is, 'Haechon Mongolia', is a virtuous country. The King of Mongolia is not the head of the barbarians, but is depicted as a monarch who practices humanity and justice. The novel restructured the forgotten Mongolian narrative in novels, and looked at Mongolia as a country that was not a barbarian but a dignified country. Through the Mongolian political system and ruling philosophy, she proposed the ideal state of the nation and the role of the ruler. Based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world history, the author creates novels and shows her pride and ability to work beyond the level of ordinary novelists.

      • KCI등재

        조선 후기 장편소설에 나타난 강(江)의 형상과 소설사적 의미 -<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을 중심으로-

        서정현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4 No.-

        This study, centered on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shap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ver', a literary material that appears in Korean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hape of the river in <Wanwolhyemaengye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parting and meeting space, the fantasy space, and the play space. As the parting and meeting space, the river has two sides: a negative space based on the image of death and severance, and a positive space for reunion and union in the end. As the fantasy space, the river is a medium, an entrance, or a main stage through which transcending death, thereby achieving the growth and success of the protagonists. The river as the play space is closely related to Seonyu(船遊; enjoy boating), a play culture enjoyed by the Sajok(士族) class in the Joseon Dynasty, and reflects the knowledge an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the Sajok class of the time. From the novel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shape of a river as the space of unity, fantasy, and play, and related narratives were first presented in the full-length novels of the 17th century, and were formalized while forming a certain structural framework in the novels such as <Wanwolhyemaengyeon> in the 18th century. It was also inherited from the novels of the 19th century. However, compared to <Wanwolhyemaengyeon>, the shape of the river and the way it is used in other works are fragmented or abbreviated. In other words, <Wanwolhyemaengyeon> established an important model for the use and shape of steel material in the Korean classic full-length novel history.

      • KCI등재

        고소설의 ‘문창성’ 수용과 유(儒)ㆍ도(道) 경계의 사상 융합형 군자 —<완월회맹연>의 ‘정잠’을 중심으로—

        김수연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9

        이 글은 국문 장편소설의 캐릭터를 구성하는 사상적ㆍ서사적 기원을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문소설 계열의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문창성’ 화소의 수용 양상과 서사적 기원을 살핌으로써 중심 인물이 유교와 도교의 사상 융합형 군자로 형상화되는 과정을 논의했다. <완월회맹연>은 송나라 성리학의 비조 정명도의 후손을 주인공 가문으로 삼고 있다. 핵심 인물인 남성 주인공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군자의 모습을 보인다. 그 중 작품의 처음부터 끝까지 서사를 견인하는 정잠의 경우 등장 부분에서 ‘신선’이라는 도교적 이미지를 부각할 뿐 아니라 후반부에서는 천상의 성관(星官) 문창성이었던 전생을 상당한 비중으로 소개한다. 군자형 인물의 내력을 역사적으로 정명도의 후손이고 우주론적으로 문창성의 후신이라고 설정한 것이다. 문창성은 천상의 천체 이미지로부터 문창제군 혹은 문창성군이라는 신격으로 변모하는 서사를 지닌다. 문창성은 도교의 대표적 신격으로, 명ㆍ청은 물론 조선 사회 상층에서 널리 받아들였던 대상이다. 수용의 배경으로 숭문(崇文)의 이미지 외에 조선 사대부가 중시했던 ‘효’ 기반의 ‘충효’ 사상을 확인했다. 문창성이 인격화ㆍ신격화 되는 과정에서 재동제군의 서사와 결합하며 ‘충효’를 강조하게 되는데, 문창제군의 서사를 담은 도교 경전에서 이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창성 화소의 수용은 고소설의 유교적 서사세계가 도교적 서사세계를 비중 있게 포섭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교적 가치관과 도교적 상상력을 서사적으로 결합해 만든 사상 융합형 군자가 형상화되었다. 이러한 캐릭터의 창출은 도덕적 우월성 위에 초월적 위상을 소망했던 사족들의 욕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and narrative origins that make up the characters of Korean long novels. Specifically, with the focus on the family novel series, <Wanwolhoemaengyeon(玩月會盟宴)>, we discuss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central figure as a fusion of Confucianism and Taoism by focusing on the aspect of acceptance and the narrative origin. <Wanwolhoemaengyeon> uses the descendants of Cheong Myung-do, who was the initiator of New Confucianism, as the main family. The main character, the male protagonist, is basically a Confucian military figure. Among them, in the case of Cheongjam, which leads the narrativ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work, it not only highlights the Taoist image of “Shin Seon(神仙)” in the first appearance, but in the second half, it introduces the past life history, which was the official in the heavens. It is a historical figure, descended from Cheong Myeong-do, and cosmologically set as the successor of Mun Chang-sung. Munchangseong has a narrative that begins with the image of the heavenly celestial body and transforms into a deity called Munchang empire. Munchangseong is the representative deity of Taoism, and is widely accepted by the upper classes of Joseon society, as well as by Ming and Qing. In addition to the image of Sungmun(崇文, Admiring academics), he confirmed the idea of ​​“Chunghyo(loyalty and filial piety)” based on “Hyo(filial piety)”, which was emphasized by the Joseon Dynasty. 'Chunghyo' in the narrative of the Jaedong empire, which is embraced in the process of personalization and deification of Munchangseong, is emphasized. This can be confirmed in the Taoist scriptures containing the narrative of the Changchang empire. The acceptance of Mun Chang-sung's story elements can be said to be a task in which the high-novel Confucian narrative world embraces the Taoist narrative world with great importance. In addition, the Gunja(good man)-type figure is an ideological fusion-type man who made a narration of Confucian values ​​and Taoist imagination, which seems to reflect the desires of the peoples who wished for a transcendental position on moral superi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