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 패션의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

        서봉하 ( Bong Ha Se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1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은 동양과 서양을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동양에 대한 서양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하여 상대적으로 서양의 우월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에 의한 지리적인 폭력이자 집요하고 교활한 힘으로 서구 이외의 세계를 일정한 지배의 틀 속에 가두는 문화적 장치와 담론의 체계이다.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는 오리엔탈리즘은 근대의 학문과 지식들을 통해 동양인에게도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현실이다. 서양의 복식 문화에서 아시안 스타일의 역사는 오래된 것이며, 지금도 서구 패션에 아시안 룩이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패션은 서구적인 속성을 띠고 있으나 서구중심적인 용어인 오리엔탈리즘을 여과 없이 그대로 수용하여 패션 분야에서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리엔탈리즘 패션에 대한 개념을 다각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한다.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용어는, 첫째, 동양을 저급하고 열등한 타자로 인식한다. 둘째, 서구에 의해 왜곡된 집요하고 교활한 것이다. 셋째, 오리엔트 지역은 주로 서남아시아 지역을 가리켜왔다. 넷째, 동양은 서구를 수용함으로서 발전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오리엔탈리즘 패션과 아시안 룩을 혼용하여 무분별 하게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대부분의 아시안 에스닉 룩은 인체의 착용을 전제로 하고 미를 추구하는 속성 때문에 오리엔탈리즘 룩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러나 아시아의 복식을 기괴하고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간주한데서 비롯하여 오리엔탈리즘 룩으로 간주 할 수 있는 작품들이 간혹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오리엔탈리즘과 오리엔탈리즘 패션에 대한 개념을 바르게 정립하고 우리 패션 문화에 서구중심적인 오리엔탈리즘의 이분법적인 편견과 무분별한 수용이 사라지기를 기대한다. Orientalism divides the West and the East dichotomously, and represents th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West by justifying the domination of the West over the East. In Western costume culture, the history of Asian style is long, and the Asian look has been constantly appearing in Western fashion. Although fashion fundamentally has Western attributes, it is not appropriate to accept the West-centered word, Orientalism, unconditionally, and use it thoughtles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on the concept of Orientalism in fashion, and methodology include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The word Orientalism, first, considers the East vulgar and inferior. Second, it is distorted by the West in a stubborn and cunning way. Third, the Oriental region the term indicates is generally the Southwest Asian region. Fourth, it represents the logic that the East can develop only by accepting the West. Therefore, it is improper to use Orientalism together with Asian look indiscriminatel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Orientalism in fashion will be correctly established and the West-centered dichotomous bias toward Orientalism will disappear in our fashion culture.

      • 오리엔탈리즘의 정의 및 역사적 전개 -한국상황과 관련하여-

        윤명철 ( Myung Chul Youn ) 한국민족학회 2010 민족학연구 Vol.9 No.-

        오리엔탈리즘은 자연스러운 개념이나 지리적인 용어가 아니다. 대부분의 언어가 그러한 면이 있지만 특히 오늘 주제와 연관된 ‘오리엔탈리즘’은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개념으로 출발했다. Edward W. Said(사이드)라는 인물이 세계사를 해석하는 도구로서 사용한 자기논리와 깊은 연관이 있다. 그런데 그가 언설화한 ‘오리엔탈리즘’의 내용을 성격과 형식을 가진상황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을지언정 역사이래 어디에서나 존재해왔다. 우리가 근대화되는 과정에서 일본에 의해 식민지화가 된 상황, 그 밖에도 오리엔탈리즘과 직접 간접으로 연관 있었을 근대역사의 중요한 상황들을 이해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데 유효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오리엔탈리즘의 기본 성격은 지금 우리가 당면한 몇 가지 문제들과 연관있기 때문에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도구가 될 수있다.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용어와 개념을 차용하여 帝國主義와 民族主義및 植民主義, 西歐와 反西歐또는 ‘제 3세계’라는 기존의 틀을 넘어 ‘세계화와 신민족주의’, 그리고 우리에게는 ‘反美와 反中’이라는 틀 속에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오랫동안 中華思想, 小中華意識등으로 표현되는 ‘중국형 오리엔탈리즘’에 매몰되었고, 근대화 과정에는 ‘일본형 오리엔탈리즘’에 구속되었으며, 미국을 대표로 하는 ‘서구형 오리엔탈리즘’ ‘소비에트형 오리엔탈리즘’에 경도되었었고, 현재는 ‘중국형 오리엔탈리즘’이 새로운 형태로 부활하는 중이다. 우리는 오리엔탈리즘으로 소외되었던 지역 주민 문명 등의 존재를 재확인하고, 인류의 일원으로서 오리엔탈리즘을 극복하는 방식을 모색하고, 실천할 의무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상을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설정하고, 문명의 터와 문명들이 만나는 방식 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그 대안의 하나로서 서구식의 변증법이 아니고, 상호부조를 원칙으로 삼은 ‘相生思想’과 부분적인 ‘自己否定’과 ‘豫備狀況’을 통해서 全一的인 상태를 희구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는 단군신화와 주몽신화를 비롯한 한민족 신화들과 기타 문화현상에서 표현하고 있는 ‘3의 논리’이다. Orientalism is profoundly related to one`s own logic which Edward W. Said used as a means of interpreting the world history. Orientalism has always been present in human history even though we may find differences in situations possessing its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embedded to Chinese Orientalism also known as Sino-centrism, and bounded to Japanese Orientalism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t was devoted to Western Orientalism also referred to Soviet orientalism with US at its center. At the present time, Chinese orientalism is resurrecting in the restructured for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Orientalism in the frame of globalization, neo-nationalism and, particularly for us, anti-American and anti-Sino beyond imperialism, nationalism, colonialism, the western, anti-western and the third world. I believe that we are obliged to reconfirm the existence of civilization in the neglected areas, to grope the way of overcoming orientalism, and to take into practice. In order to do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ubjects in an objective and well-defined way and to understand civilized societies and interaction of those civilizations. As one of alternatives, I suggest our cultural dialectic that has its principle on mutual aid and unificative situations. It is the ``third logic`` that presents the myth and cultural phenomenon like Dangun mythology and Jumong mythology.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인가, 오리엔탈인가 : 발레 『셰헤라자데』의 오리엔탈리즘에 관하여

        차지원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1

        What was that created by Diaghlev and Bakst in the ballet Shecherazade? Was it oriental or orientalism? It might be called both oriental and orientalism because it was the thing of Russia which is apparently non-western Europe, the other of the western Europ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thing incessantly imagined and conceptualized by Russia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its otherness. In this sense, the dual orientalism of Shecherazade could be understood as one phenomenon of oriental orientalism. It was the product of the paradoxical movement of Russia’s thoughts on its identity which, not being Asia nor Europe, or standing between Asia and Europe. has ceaseleesly projected itself to Europe and, at the same time, has imagined and internalized Asia. Bakst’s orientalism in Shecherazade gives the other meaning to orientalism. It could overcome Said’s orientalism which intends to exclude and make non-western Europe as the ‘other’. Bakst’s orientalism which has been composed by the cultural model of the Greek antiquity and the Hellenism was eager to actively embrace the other/Asia into the Russianness and to blur the boundary between the Russian and the oriental,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t throws the doubt to the perspective of the differentiation of Asia and Europe and deconstructs the discourse of said’s orientalism. Moreover, the orientalism constructed by Shecherazade distrust the discourse of ‘otherness’ which seems to desire to support the superiority of Russia to Europe through the idea of orientalism internalized in Russinness. This Russian discourse of ‘otherness’ which hopes to compose difference and superiority of Russia by putting up its spirituality and ethicality was the dangerous cultural project that was latent in orientalism of ‘the Russian idea’ of the 19th century in Russia. It is because its orientalism was none other than one thought of fundamentalism which intends to, on the contrary, absolutize Asia as the ‘other’ which has been exclueded and differentiated by Europe and to empower it, strengthening the fundament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ut Shecherazade’s orientalism implies orientalism that is the movement of inclusion of ‘otherness’ and extention of the boundary of the subject, the movement of search for ‘otherness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the subject, not the logic of exclusion from the subject and identification with it. It can be understood as orientalism for the new perspective of ’the Russian idea’ as the discourse of communication and intersection of East and West. Therefore, here orientalism, being the way of positive orientalism which sympathizes with the cultural pluralism’s desire of sharing the ‘other’ culture, could go further than one fundamental danger hiden in ‘the Russian idea’. 댜길레프와 박스트가 「셰헤라자데」에서 구현한 것은 오리엔탈인가, 오리엔탈리즘인가. 그것은 오리엔탈이며 동시에 오리엔탈리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서유럽에 대해 명백히 비(非)서유럽인 러시아, 서유럽의 타자인 러시아의 것이었기 때문에 오리엔탈(동양)이며, 동시에 그것은 러시아가 자신의 타자성을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오리엔탈(동양)을 상상하고 개념화한 것이기 때문에 오리엔탈리즘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셰헤라자데』의 두 겹의 오리엔탈리즘을 오리엔탈 오리엔탈리즘의 한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유럽도 아니고 아시아도 아니면서, 혹은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서서, 자신을 유럽을 향해 위치지우며 동시에 끊임없이 아시아를 상상하고 내면화하려는 러시아의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정체성 운동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박스트의 오리엔탈리즘은 오리엔탈리즘에 비(非)서유럽을 배제하고 타자화하려는 사이드적 함의를 극복하는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그리스 고전과 헬레니즘 문화 모델에 의해 구성된 그의 오리엔탈리즘은 동양/타자를 러시아성 안으로 적극적으로 포섭하며 이미 러시아적인 것과 동양의 것, 자(自)와 타(他)의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오히려 동서양을 본질적으로 구분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의 담론조직을 해체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박스트의 『셰헤라자데』가 환기하는 오리엔탈리즘은 9세기 후반 구성된 러시아 이념의 오리엔탈리즘에 내재된 위험한 기획, 즉 러시아성 안으로 포섭된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서구에 대해 러시아의 우월성을 주장하려는 ‘타자주의’ 담론 구성의 기획에 의혹을 제기한다. 서구의 물질문명에 대해 정신성과 윤리성을 내세움으로써 서구에 대한 러시아의 차이와 우월성을 구성하려는 러시아 이념의 오리엔탈리즘은 유럽에 의해 배제되고 차별화된 타자로서의 동양을 절대화하여 그간 배제되었던 타자에게 권력을 부여하려 함으로써 동서양의 본질주의적 구분을 다시 강화하는 근본주의적 지향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셰헤라자데』에서 실현된 오리엔탈리즘은 주체로부터 배제하거나 동일화하려는 타자성의 논리가 아니라 오히려 자신을 구성하기 위한 타자성에 대한 모색 및 끊임없이 타자(성)을 포섭하면서 주체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운동으로서의 함의를 보여준다. 그것은 동양의 절대화가 아니라 동서양의 교통과 교차로서 러시아 이념을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전망의 획득을 위한 오리엔탈리즘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오리엔탈리즘은 차라리 “문화적 다원주의가 고취하는 바 ‘다른 문화를 공유하려는 열망’에 흠뻑 공감하는 오리엔탈리즘의 길”이고자 함으로써 러시아 이념에 은폐된 또 하나의 보편주의적 위험이 되기를 넘어선다.

      • KCI등재

        서구출신 원어민 강사의 경험과 오리엔탈리즘

        김지혜(Kim, Ji Hye)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전주지역 서구출신 원어민 강사를 대상으로 오늘날 ‘오리엔탈리즘’이 이들의 사고 속에서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며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다룬다. 이를 통해 동서양 교류를 설명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으로 자리매김한 사이드(Said)의 ‘오리엔탈리즘’ 논의를 비판적․경험적 차원에서 확인하는 기회를 갖고자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연구문제를 다룬다. 첫째, 이주 전 원어민 강사의 동양에 대한 인식, 둘째, 이주 후 한국에서의 경험이 가져온 인식의 변화, 셋째, 원어민 강사의 오리엔탈리즘 활용방식이다. 연구 결과는 오늘날 원어민 강사 역시 오리엔탈리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어민 강사는 오리엔탈리즘을 명확히 인식하고 매 순간 실천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다. 이들은 낯선 환경 속에서 오리엔탈리즘의 변화를 경험하고, 정체성 유지와 갈등해결을 위해 전략적으로 오리엔탈리즘을 활용하기도 한다. 즉, 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주체의 사고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확고부동한 실체가 아니라 상황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되는 유연한 체계로 존재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perception and mechanism of ‘Orientalism’ created by Westerners living in Jeonju. Through critical and experiential analysis, it also verifies Said’s “Orientalism”, the most influential theory explaining the ties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This stud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t investigates the native English instructors’ previous image of ‘the East’ constructed before their transnational movement. Second, it explores any change in their idea about ‘the East’ after their stay. Finally, it examines the ways the native English speakers utilize their Orientalism. In the end, it concludes that the native instructors are inevitably bound by the notion of Orientalism. After examining their motiv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of coming to Korea as well as their life afterwards, I found an evident dichotomy of the West and the East in their thoughts. Despite the presence of the dichotomy, however, they are unable to precisely understand and regularly practice Orientalism. What they experience is changing Orientalism in their new and unfamiliar environment. In addition, they strategically utilize the notion to maintain their identity and deal with conflicts. Thus Orientalism is not an absolute concept consistently affecting Westerners’ perception, but is a variable, either reinforced or diminished depending on situations.

      • KCI등재

        서양인이 “위생”의 관점에서 본 조선의 모습

        강성우(Kang, Sung-Woo)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0 No.-

        본고는 서양인들이 개항기 조선의 위생에 대해 남겼던 기록을 검토하면서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에 대해 논하고 또한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선 논의의 단초를 마련하려고 한다. 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중심의 시각에 대해 반대하여 편향된 시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기여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오리엔탈리즘적이라는 비판은 이제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진부한(clichè) 것이 되어 버렸다. 서세동점의 시대였던 19세기에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에게 위생은 중요한 문제였고, 위생 자체가 근대와 함께 성장한 개념이었다. 위생의 논의를 통해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넘어서기 위해 동시대에 유럽의 대도시로 여겨졌던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의 위생 상태에 대한 기록도 함께 살펴보고, 오리엔탈리즘으로 해석할 수 없는 기록들을 발굴하여 오리엔탈리즘이라는 단선적인 해석을 넘어서는 논의를 하려고 한다. 그리고 후속 연구에서 탈-오리엔탈리즘적인 다양한 해석들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려고 한다. This study aims to deconstruct the orientalist interpretations of western view o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Open port period) in relation to hygienic modernity. Edward Said in his groundbreaking book Orientalism has tackled eurocentric view on the Orient. However, Said’s monolithic Orientalism fails to account fully for the complex motives and meanings behind the documents about the Orient that were recorded. Moreover, Orientalism has become clichè, a tired repetition. For this reason, I attempt to challenge orientalist interpretation by examining the western impression of Korea in the late nineteen century. In particular, I focus on “hygienic modernity,” which is often considered as a representation of modernity. With the opening of Korea in 1876, many foreign visitors and sojourners from the Western countries, including Britain, France, Germany, Russia, and U.S., came to Korea. And they kept records of their impressions on Korea and Korean. The dominant interpretation of Westerners’ impressions on Korea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ave been monolithically Orientalism. In this paper, I analyze how westerners’ impressions of Korea and Korean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ere shape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as were essentially necessary by the influences of the situations. In so doing, I suggest multiple-layered interpretation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 인식 연구

        조동범 국제한인문학회 202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6

        본 연구는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시공간과 동양 인식을 파악하고자했다. 허수경의 시에서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향 진주로부터 서울, 독일 등으로 이어지는 삶의 여정은 허수경 시의 공간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시 세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것은 디아스포라를 근간으로 한 시적 사유로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는 고고학 발굴 현장인 시리아, 이라크, 터키, 이집트 등에서의 체험을 통해 세계사 속 동양의 역사와 위치를현재의 시선으로 바라본다. 또한 오리엔탈리즘의 시선 속에 타자로 남은, 동양에 대한 현실 인식을 떠올리게 한다. 허수경 시의 공간은 장소만을 표상하지 않는다. 허수경의 시는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을 통해 타자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며 세계 인식을 확장한다. 시인의 삶으로부터 비롯된 디아스포라는 개인적 체험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확장된다. 허수경 시의 비극성으로 언급되는 전쟁과 난민의 문제는 디아스포라의 비극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이다. 또한 현대인의 삶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정처 없음과 타자성 역시 허수경 시의 주요한 소재이다. 이때 타자성은 오리엔탈리즘과 연관된 개념이기도 하다. 발굴 현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동양의 역사와 시간, 삶과 세계는 서양 중심으로 재편된 역사 속에과거의 영광을 상실하고 말았다. 동양의 역사는 오리엔탈리즘의 가운데 열등한세계로 폄훼되었다. 허수경 시인이 응시하고 있는 발굴 현장 역시 오늘날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서 퇴락한 역사일 뿐이다. 허수경 시에 재현된 오리엔탈리즘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서 시작된다. 또한 난민을 통해 제시된 디아스포라의 문제 역시 오리엔탈리즘과 무관하지 않다. 그런 점에서 허수경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긴밀한 관계에 놓인다. 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은 타자로 남은 이들에 대한관심과 애정을 근간으로 한다. 그러나 시인은 동· 서양을 대립된 세계로 인식하지 않는다. 허수경은 과거와 현대의 비극을 동시에 아우르고 있는데, 비극적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식으로 디아스포라와 오리엔탈리즘의 문제를 작품화한다. 그리하여 그는 타자성의 비애를 정치하게 포착해내며 타자와 같은 세계에 남으려 한다.

      • KCI등재

        고대 러시아 문학 속의 동양

        오원교(Oh Won Kyo)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동-서양의 통합적 전망 속에서 ‘러시아의 길’의 모색은 ‘상상의 지리학’에서 타자로서 차별받아온 동양에 대한 재인식을 요구하며, 그것의 내적 논리로서 러시아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반성적 지양을 전제한다. 고대 러시아 문학 속에서 오리엔탈리즘의 근원 혹은 맹아의 형성과 변주에 대한 공시적ㆍ통시적 고찰인 본 연구는 전제 작업의 첫 단계이다. 고대 러시아 문학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인식론적ㆍ존재론적 규정소는 ‘기독교의 수용’과 ‘따따르의 멍에’이며, 이러한 종교적ㆍ민족적 패러다임의 진화가 고대 러시아 문학의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이다. 끼예프 루시 시대(10-13세기)의 문학은 이교적 동양에 대한 차별적 타자화와 기독교적 동양에 대한 이상적 자기화를 통해 러시아 오리엔탈리즘의 고대적 원형을 창출한다. ‘따따르의 멍에’ 시대(13-15세기)의 문학에서는 ‘따따르 신화’라는 부정적 오리엔탈리즘의 역사적 토대가 강화되고, 또 다른 이국적ㆍ신비적 동양에 대한 이상화가 감지되며, 점차 동양의 역사적 실체에 대한 접근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모스끄바 러시아 시대(16-17세기), 특히 16세기 문학에서는 정치적ㆍ종교적 성향의 증대로 말미암아 순문학적 성과의 상대적 침체와 세속화에 따른 종래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재고와 완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근대로의 이행기인 17세기에 이르면 시대적 흐름으로 자리 잡는다. 러시아 오리엔탈리즘의 ‘전사(前史)’로서 고대 러시아 문학의 오리엔탈리즘은 기독교적ㆍ애국주의적 인식틀에 기반한 동양 세계에 대한 이원적 타자화로 변별되고, 역사적으로 차별화(부정화)와 이상화(긍정화) 사이에서 끝없는 길항을 보여주며, 그 와중에 객관화의 가능성도 점쳐진다. ‘동양과 서양의 차별적 경계 짓기’라는 러시아 오리엔탈리즘의 근대적 토대는 뾰뜨르의 개혁에 의해 실질적으로 마련된다. 이로부터 오리엔탈리즘은 ‘동양에 대한 사고방식일 뿐만 아니라 지배방식’으로서 엄연히 작동하기 시작한다. 근대 러시아의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탐구는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생태공간의 지리적 상상과 녹색 오리엔탈리즘 -환동해(環東海) 원주민 문화표상을 중심으로-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4 No.-

        본 논문은 현대 동(북)아시아(환동해지역) 문화 속에서 생태적 삶의 전형으로 자리한 변방의 원주민 형상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다. 동아시아인의 생태공간에 대한 지리적 상상과 그것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Green Orientalism)의 응시 구조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발전 오리엔탈리즘(Development Orientalism)을 환경적으로 전유한 시각이다. 정치적인 발전 오리엔탈리즘은 빈곤하고, 미개하고, 전통중심적인 남(Global South)에 대해 근대화되고 과학적이고 민주화된 북(Global North)으로 공간분할을 위계화하고 이를 정당화한다. 녹색 오리엔탈리즘은 이러한 이분법을 뒤집어 저개발 지역이 생태적 보전지역이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 자원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녹색 오리엔탈리즘 역시 정치적 오리엔탈리즘과 마찬가지로 중심부로부터 밀려난 주변부 지역에 대한 공간 분할을 문제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더욱이 남과 북의 거시적 공간 분할은 각 사회의 미시적인 공간 분할로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원주민은 생태학적으로 가치 부여되며 동시에 근대 문명의 바깥으로 주변화 되는 포함과 배제의 이중 과정에 포섭되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2000년대 대중 미디어가 생산하고 있는 ``원주민`` 문화 표상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의 의미와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대상 지역은 동아시아에서 생태공간으로 부상한 환동해지역, 특히 한반도의 북방, 즉 옛 만주와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다. 이 지역은 원시림과 초원이 발달해 있으며, 대체로 경제적으로 저발전 지역이 많다. 하지만 최근 동아시아 환경파괴 심화로 인해 이들 지역은 새로운 생태적 보존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 변화는 동아시아 생태담론이라는 사상적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 본고는 한국, 중국, 러시아 다큐멘터리 작품을 중심으로 원주민 문화 표상을 추출하고, 이러한 문화 표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녹색 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생태담론의 논쟁적 차원을 면밀히 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ereotype of the indigenous people`s images and to explain its sociocultural meaning in East Asia (East Sea Rim). In connection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indigenous people, most of mass media has mainly focused on the point that the natives have maintained their own ecological culture from the primitive to the present in the border areas. There have been the coherent geographical imagination where the indigenous people live in. In other words, this thought means that they are mostly uncivilized until now. That`s why the nature in the undeveloped borderlands is considered as better-preserved than in the developed core city. Especially the realistic spectacles of the nature produced by the mass media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visible resources to verify it. Needless to say, the mass media contributes to reconstruct the conventional d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he hierarchy between the urban modernity and the primitivity (civilization and savage). To put it another way, re-discovering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indigenous culture means finding alternatives to recover the ecosystem destroyed by the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ltimately, what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emphasize is rethinking ab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the nature. However, ``the subject`` who can estimate and preserve the value of the nature is not the indigenous people but the civilized outsiders.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representation is similar to the mechanism of environmental orientalism, called ``green orientalism``. Therefore, even though green orientalism fosters awareness of green issues, it is still based on the ``development orientalism`` producing the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hierarchical division of the Global North and Global South. In this view, I would like to show sociocultural meanings of representing the indigenous people in the East-Asian ecology discourses.

      • KCI등재

        동양주체의 중국 재현: 타자, 전치, 셀프-오리엔탈리즘

        WUJUAN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This article attempts to re-examine China's identity in the East and analyze the self-orientalism of the Orient through the discourse surrounding its ident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film <Joy Luck Club (1993)> by Chinese–American director Wayne Wang who is active in Hollywood, <Failan(2001)> by South Korean director Song Hae-sung, and <Raise the red lantern (1991)> by Chinese director Zhang Yi-Mou. In these three movies, China exists as three different types of the Other, which are the dual antagonistic one, the untargeted one, and the subordinate one. The three types of Other are recontextualized through displacement, but fail to be integral. The films use women to construct China’s otherness, the identity of women represents the identity of China, also the identity of the orient. The identity confusion, loss and morbidity experienced by women in the process of displacement constitute Eastern self-oriented discourse, and the conflicts surrounding this discourse are concealed by various means. The image of China in the film is actually a self-orientalising within the East by using Chinese ‘nationality-function’. The Eastern self-orientalism failed to counter Western orientalism. Therefore, the image of China is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st, or viewed as a foreign country within the East for free imagination. After all, Eastern self-orientalism is an mimicry of Western orientalism. The purpose of this kind of imitation is a way to gain recognition from the West so that to seek a world of mutual recognition. However, mimicry will no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dentity. Finally, criticisms of orientalism should begin with criticisms of Eastern self-orientalism. For post-orientalism, we must first get rid of self-orientalism. 이 논문은 동양 속 중국의 정체성을 재조명하고, 그 정체성을 둘러싼 담론들을 통해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할리우드에서 활동하고 있는 중국계 영화감독 웨인 왕의 영화 <조이 럭 클럽(1993)>, 한국 감독 송해성의 영화 <파이란(2001)>, 그리고 중국 감독 장이머우의 영화 <홍등(1991)>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세 영화에서 중국은 타자로 존재하며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타자의 유형을 도출했다. 즉 이항대립적인 타자, 응시 받지 못한 타자, 서발턴화된 타자다. 세 유형의 타자는 전치를 통해 재맥락화되지만 정체성 형성에는 실패한다. 영화에서는 중국의 타자성을 구축함에 있어서 여성에 관심을 두며 여성의 정체성은 바로 중국의 정체성, 동양의 정체성을 대표한다. 전치되는 과정에서 여성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 상실, 병태(病態)는 동양 속 셀프-오리엔탈리즘의 담론을 구성하며, 이러한 담론을 둘러싼 갈등들은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은폐된다. 영화에서의 중국 재현은 사실 중국의 ‘국적 기능(nationality-function)’을 사용한 동양 내부의 ‘셀프‐오리엔탈라이징(self-orientalising)’이다.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과 대항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을 도구 삼아 그 속에 깊이 편입하게 되었다. 서양의 관점을 인정해서 서술하거나 동양 속 다른 나라를 타자화하고, 스스로 상상하는 것이다. 결국 동양의 셀프-오리엔탈리즘은 서구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흉내 내기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흉내 내기의 이면에 있는 의도는 서양의 인정을 바라는 것으로, ‘상호 인정의 세계’에 대한 모색이다. 하지만 흉내 내기는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지 못한다. 결국, 서양인들에 잠재된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은 동양인 안에 자리하고 있는 셀프-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부터 시작해야 하며, 탈오리엔탈리즘을 위해서는 먼저 셀프-오리엔탈리즘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 KCI등재

        근대 일본회화의 아시아 표상

        니시하라 다이스케(西原大輔),김정민(번역자) 한국미술연구소 2005 美術史論壇 Vol.- No.20

        1867년 다카하시 유이치(高橋由一)의 상하이 도항 이래, 근대 일본 화가들은 아시아를 계속해서 그려왔다. 본고는 에드워드 W.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론을 이용하여, 근대 일본회화에서 보이는 아시아 표상을 분석한 연구이다. 『오리엔탈리즘』에서 사이드는 19세기 프랑스에서 벌어진 오리엔탈리즘 회화의 유행에 관하여 거의 논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사이드가 보여 준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연구를 달성한 린다 노클린은 오리엔탈리즘 회화에서 서구 중심주의가 관찰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아시아의 식민지를 그린 근대 일본회화에도 사이드적 의미에서의 오라엔탈리즘은 존재하는 것 일까? 화가 후지시마 다케지(藤下武二)는 1913년에 조선 반도를 여행하였는데, 그가 남긴 기행문 가운데에서 그는 프랑스의 오리엔탈리즘 회화를 언급하고 있다. 후지시마는 프랑스 회화에 있어 식민지였던 알제리를 테마로 삼은 작품이 많음을 언급하면서, 일본인 화가도 신식민지 조선을 미술의 제재로서 적극적으로 개척해야 한다고 피력하였다. 또한 아시아 여성을 그런 근대 일본의 초상화에는 프랑스회화의 ‘오탈리스크’ 주제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지는 작품도 있다. 이와 같은 작품군은 일본회화가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의 영향을 받은 것을 반증한다. 그러나 아시아를 그린 근대 일본회화가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론만으로 충분히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와다 산조(和田三造) 등에 의한 다수의 작품이 일본과 아시아의 공통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총독부 벽화〈우의〉는 그 구체적인 예로 들 수 있는 작품이다. 고지마 도라지로(兒島虎次郞)의〈일본 전통복장을 입은 벨기에 소녀),<가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서양인 일본은 ‘자기 오리엔탈리즘’ 에 의한 ‘동양인’ 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해 왔다. 따라서 종주국 일본도, 아시아의 식민지도 모두 ‘동양’으로 간주하였던 것이다. 대일본제국은 식민지도 일본도 모두 다 같이 ‘동양’ 이라고 하는 언설에 의해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하였던 것이다. 아시아를 그린 근대 일본미술에도 동질성의 강조라고 하는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 Takahashi Yuichi, the pioneer of Western-style painting in Japan, visited Shanghai in 1867, Since then, thousands of modem Japanese painters represented non-Japanese Asia in their work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se the representation of Asia in modem Japanese paintings by adopting Edward Said s theory of Orientalism In his Orientalism, Said scarcely referred to the Orientalism of nineteenthcenrury French paintings. It was Linda Nochlin who explored the politics of exoticism displayed by great masters like Delacroix or Gereme. She found Euro-centrism in Orientalist paintings and pointed out discriminatory representations of the Orient. But, did similar Orientalist phenomena exist in modem Japanese paintings? Fujishima Takeji travel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1913. In his essayon Korea, he introduced French Orientalist paintings to his readers and suggested that Japanese artists should exploit the new colony tor their own artistic purposes. Referring to the French colony of Algeria, he also compared Japan's newly acquired territory to North Africa. Another example of the influence of French Orientalism on Japanese art can be found in the odalisque theme displayed in some portrait, of Asian women. These instances illustrate the influence Japan received from Western Orientalism. The representation of Asia in modern Japanese paintings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Orientalist model. Unlike Western Orientalist paintings. a number of artistic works. including one by Wada Sanzo, emphasized the similarity between Japan and its Asian colonies. Japan, as a non-Western country, identified itself as the "East" through the process of "self-Orientalization," which was well displayed in some works of Kojima Torajiro Thus. the suzerain state of Japan was viewed as sharing the same Eastern identity with its colonialcounterparts. The Japanese Empire tried to justify the act of colonial rule by emphasizing the cultural similarity between Japan and non-Japanese Asia. This representational tactic was abundantly present in modern japanese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