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리의 탄생 ― 『史記』 「刺客·豫讓」다시 읽기

        김광일 ( Kim Kwang Il ) 한국중국학회 2021 중국학보 Vol.96 No.-

        이 글에서는 『史記』 「刺客·豫讓」을 꼼꼼히 분석하여, 춘추시기 義라는 개념에 특별한 심상이 채워지는 과정을 추적한다. 원래 보편적 의미의 ‘올바름’을 의미하였던 義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죽음이라는 강렬한 이미지를 내포하게 되는데, 그 과정은 사회적 群體로서 士 집단의 부상하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춘추 중기 이래로 士는 宗族 질서에서 해방되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존재였다. “자신을 알아주는 이에게 목숨을 바친다”는 豫讓의 선언은 士 집단의 윤리적 자기 각성을 표현한 말이다. 趙襄子는 자신을 암살하려던 豫讓을 ‘義人’으로 규정하고 그러한 행위를 “크게 의롭다”고 여긴다. 또한 예양은 부끄러움[恥]을 통해 士 집단의 윤리적 각성을 촉구한다. 司馬遷은 이러한 춘추시기 사회적 의식과 감각을 「刺客·豫讓」을 통해 포착하고 있다. 豫讓이 판단하기에 이러한 士 집단이 갖추어야 할 핵심적인 덕목은 ‘不貳’, 즉 배반하지 않는 것이었다. 원래『左傳』에 자주 등장하는 ‘貳’라는 개념은 경쟁하는 정치집단 사이에 맺은 맹약을 배반하는 것으로서, 춘추시대 覇主는 ‘貳’를 저지른 집단을 처벌하는 권한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런데 士 집단이 부상하면서, 주군과 가신 사이의 사적인 계약에도 ‘不貳’ 덕목을 강조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士의 인격 전체를 구속하는 원칙으로 끌어 올린다. 이제 士에게 ‘不貳’는 목숨과 바꿀 만큼 절대적인 가치가 되었다. 策名과 委質이라는 행위는 그러한 가치를 강제하기 위한 상징적 장치라 할 수 있다. 策名委質은 무릎을 꿇고 맹세하면서 자신의 이름과 맹서의 내용을 載書에 적는 의식이다. In this article, we carefully analyze the biography of Yu Rang(豫讓) and trace the process of filling a special meaning with the concept of righteousness(義)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riginally meant to be “righteous” in the universal sense, it embodies a strong image of death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rising of a group of Shi(士) as a social entity. Since the middle of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hi had been liberated from the order of the lineage system, and they should prove themselves worthy in social relations. The declaration of “devoting my life to those who know myself” is an expression of the ethical self-awakening of the group. Zhao Xiangzi defined the Yu Rang to assassinate him as a “righteous person” and considered such behavior “extremely righteous”. Sima Qian, the author of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described the social awareness of the group of Shi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rough the story of Yu Rang. According to Sima Qian’s description, the core virtue of this group was “not to betray(不貳)”. The concept of betrayal(貳), which often appears in the Commentary of Zuo, originally designated a betrayal of the pledge made between competing political groups, and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concept expanded its range of application to individual person with rise of the group of Shi. Now “not to betray” became the axiom of the group, and Shi should die for his master. In this period, we can easily find the ritual in which one kneels down and writes down his name and the contents of one's oath. The sign[策名] and pledge[委質] was the symbolic mechanism which enforce such values to Shi.

      • KCI등재후보

        코리족(弓族) 유목태반 기원사 연구-한국몽골학회의 창립과 몽ㆍ한수교

        주채혁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4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8 No.1

        We set out to investigate a very compelling hypothesis about the birth of the two nations when diplomatic relations were established between Mongolia and Korea in 1990. At the time, our hypothesis was that Mongolia and Korea had originated from the nomadic Kingdom of Goolikhan (or Goguryeo) founded by nomads who also embraced farming, and that it later became divided with one group heading southwest and the other northeast. This hypothesis was conceiv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joint exploration of the Hulunbuir Mongol steppe and the Nun River Plain effectuated by a group of North Korean and Chinese archeologists in the 1960s as well as on the enlightened views of B. Sumiyabaatar, who was studying in North Korea at the time. Extensive research led the researchers to conclude that the Goolikhan Kingdom was established across Hulunbuir and the Nun River Plain as the nomads shifted from reindeer herding to sheep herding on horseback. It was then divided into an empire of sheep herders on horseback on the one hand, and an empire based on nomadic agriculture on the other. We also explored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hosǒn (Joseon), Buyeǒ, and Goguryeǒ in connection to this hypothesis. In carrying out this research we have come to comparatively explore the two kinds of nomadism in the greater Xiao Xing’anling Mountains area and the area outside of it between the one focused on reindeer herding and the other consisting mainly of sheep herding on horseback. We have further compared the latter form of nomadism with the non-nomadic life in the T-shaped BaekduDaegan area, which drew our attention to the agricultural adaptation of nomadism and the nomadic adaptation of agriculture. In conducting this study, we discovered tha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 the Korean academia about the major livestock—such as reindeer and sheep—and their primary source of nutrition, lichen—called ‘niokq’ in the local language and written ‘蘚’, which is pronounced ‘xian’ in Chinese and ‘sǒn(seon)’ in Korean—the grazing pasture called ‘sopka’ in Russian—written ‘鮮’ which is also pronounced ‘sǒn(seon)’ in Korean—the grass preferred by sheep and the steppe on which they feasted. We have worked to fill this vacuum an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ho-Chao[Jo] Tribe (朝族) and the Sǒn-Xian(Seon) Tribe (鮮族) united to form Chosǒn[Joseon] (朝鮮 pronounced ‘Chao Xian’ in Chinese) in the expanses of Hulunbuir and the Nun River Plain, an area reachable by the Pacific ocean winds and inhabitable for both tigers and turtles. This took place as nomads evolved from reindeer to sheep herding. This group of nomads, we argue, had spread into the Mongolian steppes around the time they came in contact with the Scythian iron civilization, and founded the Gooli Empire, an empire of horse-riding sheep herders. Furthermore, we argue that the core elites in adapting to their natural environment and building on their historical legacy evolved over time and divided themselves into nomads and herding farmers. Scythia, Saxa, and the Sǒn-Xian[Seon] (鮮: Soyon) all originate from the word for female reindeer—‘Сагаион’ in Turkish and ‘Sugan’ in Dagur. We argue that these groups embraced iron-making, which helped them venture into sheep herding on horseback. Based on over 20 years of field research and critical reviews of literature such as QindingManzhouyuanliukao(欽定滿洲原流考, Studies in the Detailed History of the Manchus)as well as Qian Ding’s Di li kaozhengshu(地理攷證書, Book of Geography and History), our team of researchers dedicated to the history of Mongolian nomadism has as such refined the theory that nomadism was the Qori(弓: Bow) Tribe’s womb from which the Mongolian and Korean empires were born [Chu Chae Hyok(Excecutive Committee member on the Korean sid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ongol Study)]. 1990년 몽골과 한국 수교 시에 우리는 1960년경의 북한과 중국 고고학자들의 훌룬부이르 몽골스텝과 눈강(嫩江)평원 공동발굴 결과와 당시의 북한유학생 베. 수미아바아타르의 한국몽골학회 동참으로, 몽골과 한국이 동북아시아 유목제국의 자궁인 이 지대에서 함께 유목세력 주도의 농경민 통합으로 유목제국 고올리칸국(고구려)을 세운 다음에 여기서 각각 서~남과 동~북 쪽으로 갈려나갔다는 견해에 기반을 두고, 이를 특히 현지답사를 통해 고증하고 논증해보려는 시도를 하게 됐다. 그 동안 오랜 현지 탐사를 통해 몽·한양국이 순록유목에서 기마 양유목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훌룬부이르~눈강(呼嫩)평원에 창업되었고 고올리칸국은 다시 기마 양유목제국과 목농제국으로 각각 분화했다는 결론을 나름대로 도출해보았다. 그 구체적인 과정으로 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발전을 상정해보기도 했다. 이런 연구과정에서 특히 외·대·소흥안령지대의 순록유목과 기마 양유목을 비교·연구하고 이를 다시 동~서와 남~북의 비유목 “T”자형 백두대간권지대의 생태권과 비교·검토하면서 각각 유목의 농경화 및 농경의 유목화과정의 역사적 진척에 주목케 됐다. 유목가축 순록과 양, 순록의 주식 이끼-선(蘚: Niokq=Lichen)과 유목목초지 선(鮮: Sopka) 및 양의 주식 양초(羊草)와 목초지 스텝 연구가 전무한 우리 학회의 현실을 절감케 되어 이를 극복하는데 특히 주목하게 됐다. 그 결과 朝族과 鮮族이 통합돼 朝鮮(Chao xian)을 이루고 조선은 순록유목에서 양유목으로 발전하는 초입에 호랑이와 거북이의 생존이 가능한 태평양 海風圈 훌룬부이르~눈강평원권에서 창업되었으며, 그것이 스키타이의 철기문명을 수용하는 기원 전후의 시기에 濊貊 연합체인 조선·부여가 貊族 주도 하에 몽골스텝 쪽으로 발전해가면서 기마 양유목제국인 貊고올리(Maek Gooli: 貊高麗=맥‘활’)제국을 창업케 됐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에서 그 핵심적인 지도부를 중심으로 각각의 역사적 배경에 따라 현실적 생태에 적응적 진화를 거듭하면서 각각 유목민과 목농민으로 다시 분화해가게 됐다고 보았다. 스키타이(Scythia)와 사하(Saxa)나 조선의 선(鮮: Soyon)이 모두가 순록유목민의 주식인 젖을 주는 암순록(투르크어: Сагаион~다구르어: Sugan)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철기의 수용과 함께 이것이 기마 양유목으로 발전해가서 貊高麗를 창업해냈다는 결론을 나름대로 내리게 되었다. 이와 함께 유목몽골사 연구를 초지일관해 지향해온 연구팀을 중심으로 몽·한 유목제국창업 핵심주류 ‘코리족’(弓族)의 유목태반 기원론을, 『欽定滿洲原流考나 丁謙의 地理攷證書 등을 참조해가며 다시 20여 년간의 유목유적 현장연구를 통해 가다듬어본 셈이다.

      • KCI등재

        순자의 제자비판 -묵자 비판을 중심으로-

        이해영 ( Hae-young Lee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6 No.-

        이 논문은 순자의 제자 비판을 통하여 순자 사상의 기본 성격과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순자는 제자들을 비판하면서도 그들의 사상을 수용하고 종합하여 자신의 학설을 풍부하게 하였다. 제자들 가운데 순자가 가장 강력하게 비판한 사상가는 묵자이다. 그는 묵자의 평등지향을 비판하고 예에 의한 차등적 질서를 강조하였다. 순자가생각하는 안정된 사회는 예의에 의하여 정당하게 직분이 나누어지고, 그 정당한 직분에 따라 삶의 욕망이 충족되어 조화롭게 하나가 된 사회이다. 순자는 욕망의 흐름을 조절하여 충족하는 양욕(養欲)을 주장하였다. 양욕은 욕망의 단순한 충족이나 절제를 뛰어넘어, 사회의 안정이라는 방향성과 목표를 지니고 예의를 통하여 욕망을 충족하도록 이끌어가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Xun Zi``s thought. Xun Zi had criticized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On the other hand, he had accepted and synthesized their ideas and had enriched his own thought. Xun Zi criticized MotZu most strongly among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He had criticized MotZu’s pursuit of equality and had emphasized the differential order by Li. Xun Zi``s stable society is a society that all constituents have their own duties and jobs distributed by Li. Xun Zi``s stable society is a harmonious society that meets the desire of all constituents according to their own duties and jobs. Xun Zi had insisted(proposed) ‘the fruition of desire養欲’ which might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impulses of desire. ‘The fruition of desire養欲’ goes beyond the simple achievement or control of desire. It is a control of desire through Li to accomplish the stable society.

      • KCI등재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이 국제계약에 미치는 영향 - 영국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김민경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9

        Party autonomy is not absolute. Although parties are empowered to choose the applicable law to a contract, a party’s freedom to choose is limited by rules of an overriding mandatory nature. Typical examples of the overriding mandatory rules that affect international contracts are competition law, foreign exchange regulations, and import and export regulations. Not only that, various types of U.S. sanctions and consumer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that claim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also could be of an overriding mandatory character. These rules limit party autonomy’ to the contract in that they apply irrespective of the governing law of the contracts. Contexts in which overriding mandatory rules impose limits to party autonom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situations: when the said rules are part of the (a) governing law of the contract (lex contractus); (b) law of the forum (lex fori); or (c) rules of a third country. Regarding (a) and (b) above,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rough legislation and legal literature that those rules do apply. However, in relation to the third category (c), rules of a third country, there is an ongoing debate as to whether the national courts should apply or consider those overriding mandatory rules and under what conditions. This undermines the parties’ intention and desire for predictability regarding what law should apply to their contracts. In this regard, it is worth examining the English law principles which consider third country mandatory rules, namely the public policy-comity rule and the illegality rule. This paper evaluates these rules and sets out practical implications under Korean law. In Korean law, as de lege lata and de lege ferenda, applying or considering third-country mandatory rules under private international law rules is preferable to applying or considering them under substantive law rules.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로 인하여 국제계약이 빈번하게 체결되고 있다. 국제계약의 당사자는 준거법을 선택할 자유를 가진다. 그러나 당사자의 준거법 선택의 자유는 국제적 강행규정에 의하여 제한된다. 국제적 강행규정은 그 입법국의 경제적, 사회정치적 목적으로 인하여 당사자의 합의로 그 적용을 배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해당 법률관계의 준거법이 그 입법국법이 아닌 경우에도 당사자의 합의로 적용을 배제할 수 없는 강행규정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경쟁법, 외환규제법, 수출입규제법, 문화재보호법이 국제적 강행규정으로 여겨졌다. 그 뿐만 아니라 미국의 경제재재, 세계 각국이 개인정보 보호와 소비자 보호를 위하여 도입하는 역외적용법, 2020년부터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각국의 국경봉쇄조치, 해상・항공운송 제한, 영업시간 제한 등 공법적 규제가 국제계약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국제적 강행규정에 해당될 여지가 높다. 국제적 강행규정은 그 소속국이 어디인지에 따라 ① 법정지의 국제적 강행규정, ② 준거법소속국의 국제적 강행규정, ③ 법정지도 아니고 준거법소속국도 아닌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법정지나 준거법소속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이 적용된다는 것은 국제적으로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고 우리 국제사법에 근거규정도 있으나, 제3국의 국제적 강행규정을 어떻게 취급할지에 관하여는 국제적으로 정설이 없고 우리 국제사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는 국제계약의 당사자가 제3국 중 어떤 국가의 국제적 강행규정이 어떤 요건 하에 적용되는지 알 수 없다. 이것은 당사자의 계약의 준거규범에 대한 예측가능성과 법적 확실성을 저해한다. 그런데 영국은 계약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공동체협약(로마협약)이 성안되기 이전부터 일정한 요건에 따라 제3국법이 계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공서-예양 원칙(public policy-comity rule)과 이행지법 원칙(illegality rule 또는 lex loci solutionis rule)을 발전시켜 왔고, 특히 이행지법 원칙은 계약채무의 준거법에 관한 유럽의회 및 이사회규정(로마Ⅰ규정)에 반영되어 유럽연합의 규범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 논문에서는 영국의 공서-예양 원칙과 이행지법 원칙을 비판적으로 검토·평가함으로써 우리 국제사법의 해석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 KCI우수등재

        ‘外交’의 균열과 모색: 1860~70년대 淸·朝관계

        손성욱 역사학회 2018 역사학보 Vol.0 No.240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modern 'diplomacy' was introduced into the Qing-Joseon relation when, in the 1860s and 1870s, the principle of inshinmuwoegyo (the subject cannot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broke down due to limitations in traditional methods of negotiation. At the height of the Western ascendancy in the East, an active request by the Joseon envoy led to the contact between him and the minister of rites of the Qing who had traditionally been in charge of governing Joseon. At this time, the minister of rites of the Qing Man Cheong Ryeo had violated the principle of inshinmuwoegyo . But this was not to introduce modern diplomacy into the Qing-Joseon relation but was a conservative stance that tried to address the Joseon problem from within the traditional order. But when Britain, France and Japan exerted pressure on Qing in relation to Joseon, the problem left the hands of the ministry of rites of the Qing and involved the Zongli Yamen. Disagreement occurred between the Zongli Yamen and the ministry of rites of the Qing in this process.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the superintendent of trade for the northern ports Yi Hong-jang, a subject of the Zongli Yamen, formed personal relations with Joseon's Yi Yuwon and sought to transform negotiation methods for a more modern way of conducting duties even while maintaining traditional ties with Joseon. 본고는 1860∽70년대 淸·朝관계에서 전통적 교섭 방식의 한계로 ‘인신무외교(신하된 자는 외교를 하지 못한다)’의 원칙이 균열되면서, 근대적 ‘외교’가 어떤 배경 속에서 양국 관계에 유입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서세동점의 파고 속에서 조선 사신의 적극적인 요청에 의해 전통적으로 조선 사무를 관할해 온 예부상서와 조선 사신의 접촉이 이루어졌다. 당시 예부상서 만청려는 ‘인신무외교’ 원칙을 위배했지만, 청과 조선 관계에 근대적 방식을 도입하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전통적 질서 안에서 조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보수성을 보였다. 하지만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조선 문제로 청을 압박하면 조선 문제가 예부를 넘어 총리아문과 관계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속에서 총리아문과 예부 간 의견 차이가 발생했으며, <강화도조약> 이후 총리아문과 상명하복 관계에 있는 북양대신 이홍장은 조선의 이유원과 사적 네트워클 맺어, 조선과의 전통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근대적 사무 처리를 위한 교섭 방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 KCI등재

        속죄양 찾기에서 "한 조각 밝은 예지"까지 - 중국 액귀와 익귀는 어떻게 새로운 삶을 얻는가?

        진페이이 ( Pei Yi Ch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이 글은 중국 고대의 필기 지괴소설, 주로 .이견지(夷堅志)., .자불어(子不語)., .열미초당필기(閱微草堂筆記).에 실린 액귀(縊鬼, 목매달아 죽은 귀신)와 익귀(溺 鬼, 물에 빠져 죽은 귀신) 이야기를 원혼(.魂)의 각도에서 살펴 사람/귀신이 겪는고난의 의미를 헤아리고자 하였다. 특히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이른바 액귀, 익귀 라고 불리는 원통하거나 억울한 죽음을 당한 귀신들이 속죄양을 찾는 이야기를 모아 그 복수와 보복 행위, 그와 연관된 사람/귀신이 지니는 행위문화의 사상적 의미를 분석하고, 복수를 위해 우리는 어떠한 대가를 치르게 되는가, 운명의 무 상함이나 삶의 무거운 고난에 대해 우리는 또 어떠한 태도로 대응해야 하는가, 이어서 원귀에 대한 중국 고대의 이야기들에서 사람들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하 려 했던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액귀나 익귀를 결국 아무것도 갖지 않은 상태로 만드는가, 그리고 우리가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고 생각할 때에도 무엇이 여전 히 남아 있는가......등의 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액귀와 익귀 등 원혼이 어 떻게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또한 이는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생활과 생명을 보장받는 권리의 문제를 설명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anguish that humans/ghosts experience by observing Diaosi gui (hanged ghosts) - ghosts of people who died from being hanged due to execution, suicide or accidents - and Nigui (drowned ghosts) - the spirits of people who drowned and continue to live in the water - from ancient Chinese horror stories from the view of Yuanhun (vengeful spirits), primarily from Yi Jian Zhi (The Record of Yi Jian), Zibuyu (What the Master Would Not Discuss), and Yuewei Caotang Biji (Random Jottings at the Cottage of Close Scrutiny). This study exclusively analyzes revenge and acts of retaliation by collecting age-old stories of hanged and drowned ghosts in China - stories of victims finding their scapegoat after dying a bitter or unfair death - and searches for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meanings that happenings between humans and ghosts reflect. The aim is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y does vengeance come with a price?” and “How do we cope with a hopeless fate and the heavy pain of life?”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finition of “yi wu suo you” (having nothing at all) to human beings, through the ancient Chinese stories that were written to guide the vengeful spirits onto the right path. And, what is left of us at the moment when we feel that there’s nothing left in the world? The explanation for such questions is not limited to the affairs of vengeful spirits only. The so called “race to be consoled” by the hanged, drowned, and all types of different ghosts is connected to rights involving life’s guarantees and the sanctity of life.

      • KCI등재

        중국 명 충신 징칭(景清)에 대한 재고 -일본 헤이케(平家) 무사 가게키요(景清)와의 관련성-

        김미옥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3 No.-

        There is for “Another one Kage-Kiyo (も う 一 人 の 景 清)” of Nishida Gozo(西田耕三). Nishida Gozo dismissed the Ming Dynasty Kagekiyo and the Kamakura period Kagekiyo, two figures of the names that match those coincidences that matches the anecdote about “revenge of the lord.” But his research that explores only a limited portion of particular historical material(史料) to listen to that technology only in Japan and the conclusion was overlooked. The authors would like to prove that this is not a coincidence that the Ming Dynasty Kagekiyo and the Kamakura period Kagekiyo the anecdotes of the same name is just a coincidence matches.

      • KCI등재

        『좌전』에 나타난 ‘예론 禮論’ 연구

        張永伯(Chang, Young-bak) 중국어문학연구회 201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3

        The current study offers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review of the discourse on ‘courtesy’ in the historical narrative Zuo Zhuan, which is part of the Chinese Shi San Jing collection. The study first explicates the origin of ‘courtes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tesy’ and ‘music’ and then addresses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n the philosophy of ‘courtesy’ that existed from the beginning of Zhou to the Spring Autumn period. The effective values of ‘courtesy’ narrated in Zuo Zhuan were classified and studied into 3 categories: national-social effective value, individual effective value and predictive effective value. Finally, the relationship of ‘courtesy’ in relation to various notions of morality was studied. This includ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tesy and justice, respect, faithfulness and humility. The study highlights that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as one in which the humanism of ‘courtesy’ flourished.

      • KCI등재

        1927년 평양전기 부영화와 조선인 주도 부 예산정치로의 전환

        주동빈 역사문제연구소 2023 역사문제연구 Vol.27 No.3

        본고는 1927년 평양전기 부영화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첫째, 1921~1922년이 운동은 동양척식 계 전기회사의 재조일본인 군소 독점사업(평양전기)과의 병존으로 인해 일본인 간 분규로 시작되었다. 반면 1925~1926년의 운동은 조선인 전력수요자 증가에 따라 동우회가 주도하게 되었다. 둘째, 평양부윤은 재원 확보와 산업개발, 조선인 불만 해결을 위해 부영을 추진했다. 부영 첫해 요금은 일괄 약 20% 인하되었다. 셋째, 평양부윤은 고밀도의 인구밀도 해결을 위해 전기 적립금을 일부 전용하여 조선인 시가인 북부 평양 개발(서평양시가계획)을 결정했다. 전기부영은 조선인 상공업자에 대한 도시 ‘안정화’정책(“공안” 해결)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었다. 또한 부협의회 내 조선인 상공업자-전문직 중심 부 예산정치의 출발점이기도 했다. 반면 식민지의 조선인 주도 부 예산정치는 여러 난관들을함축하고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ity municipalization of Pyongyang in 1927. First, the movement began as an inter-Japanese dispute in 1921-1922 due to the new coexistence of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affiliate with a small Japanese monopoly electricity company(Pyongyang Electric Company). However, the 1925-1926 movement was driven by Donguhoe , along with a growing number of Korean electricity consumers. Second, Pyongyang `s mayor promoted the municipal management of electricity to secure city finances, develop industry, and resolve Korean grievances. In the year of the municipalization, all electricity rates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20%. Third, the mayor decided to divert some of the financial reserves designated for electricity to develop a Korean town, North Pyongyang (referred to “West Pyongyang Town Plan”), to address the prevailing high population density. The municipalization of electricity was meant to be part of a policy of urban “stabilization” (public security) for Korean industrialists. It was also the beginning of Korean industrialist- and professional-oriented budgetary politics in the city assembly. However, Korean-led city budget politics in the colonial period became fraught with various dilemmas.

      • KCI등재

        외국 판결을 승인ㆍ집행하는 논거

        김석호(Kim Seok-Ho) 한국법학회 2006 법학연구 Vol.23 No.-

        외국사법판결의 승인과 집행 문제에 대한 각국의 관행은 상당히 다양하다. 국가들 간에도 관행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동일 국가의 관행도 시대에 따라 상이하기도 하다. 국가간의 차이는 法系의 차이가 주요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영미법계와 대륙법계가 나름대로 상당히 대립적인 입장을 띤다. 이는 主權 개념의 변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대륙법계에서는 民ㆍ商事상 판결도 공적 행위로 보며, 대외관계에서는 主權 개념에 충실하고자 외국판결의 자국 내에서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반면, 영미법계의 경우에는 그들의 독특한 사법관할권과 재판제도로 인해 외국판결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에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국제적 상황이나 司法正義의 요청으로 이제 외국판결이 타국에서도 승인ㆍ집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적 요청은 두 방향으로 문제의 해결이 시도될 수 있다. 첫째는 국내 판결이 타국에서 효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정밀한 法理論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전통적으로 외국판결을 인정해왔으나 외국판결을 부인하는 대륙법계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어야 했던 영미법계 학자들에 의해 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은 외국국가기관이 타국의 판결을 승인ㆍ집행할 수 있도록 하는 權限을 마련하긴 했지만, 외국판결을 승인ㆍ집행하지 않을 수 없는 의무의 존재를 확립하진 못하였다. 둘째는 실무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 역시 두 방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먼저, 외국판결의 승인을 위해 禮讓(comity)의 정책을 조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은 비록 실용적이란 이점이 있는 반면, 正義가 지배해야 하는 분야에 정치적 이익이나 경제적 이익 등이 제한 없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를 열어주는 단점 또한 갖고 있다. 또한 예양은 상호주의의 대두로 인해 그 한계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인 규정을 갖는 條約을 체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條約의 경우, 이러한 목적에 확실하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의 체결이 그리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다변조약의 경우엔 이러한 목적에 확실하게 기여할 수 있음에도 국가 간의 이해관계의 상충 때문에 지극히 소수의 지역 조약만이 체결되었고, 앞으로 새로운 다변조약이 체결될 가능성은 그리 쉽지 않은 실정이다. (1) So far as Judgment is an act of public institution, it is in principle not to be obliged to recognized and not enforced in foreign territories. But due to its character that judgment purposes to realize the justice, the feasibility of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 is much more required than that of other State acts. As the level of the globalization or intel-nationalization increase, such feasibility is also much more necessary. (2) 'Foreign Judgment' in this article indicates only Executory money judgment in civil and commercial matters, to allow for a sufficiently focused research. And so far as Sovereign Immunity is concerned, the case is excluded which the judgment debtor is a public institution. (3) The criterion or standard for the execution of foreign judgments is not the same in all Countries, It is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its legal tradition. That is, Civil Law tradition, relatively faithful to the sovereignty, was not disposed to recognize foreign judgments, while Common Law tradition was ready to do so, so far as it is not concerned to its exclusive jurisdiction. But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ization or intel-nationalization, all countries tend to try to recognize and enforce foreign judgments as far as possible. And then, both traditions have been each other approached. (4) The ultimate ground for execution of foreign judgment consists in Comity and Reciprocity. Comity is an important doctrine arising out of a desire to promote global trade and achieve legal uniformity. But it is definitely unilateral. Reciprocity is a byproduct of sovereignty, It's necessary to conclude agreement in an effort to overcome it's abuse. However, any universal agreement for recognition of foreign judgment doesn't exist up to the present, except a few regional agre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