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方雜誌》“近代文學批評”槪念的建構

        李保高(Lee, Bo-go)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1

        오사 이후, 〈동방잡지(?方?誌)〉의 “근대문학비평”과 “모방과 창조의 조화” 개념의 전개는 〈동방잡지〉 자체의 개혁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개혁은 〈동방잡지〉 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무인서관(商?印??) 내부에 있는 기타 잡지들의 개혁과 연동되어 있었다. 그 중, 션옌삥(沈雁?)에 의한 〈소설월보(小?月?)〉의 개혁은 〈동방잡지〉의 적극적인 변화를 촉발하였다. 구체적으로1921년을 전후해서, 션옌삥과 문학연구회(文??究?)의 조우는 오히려 〈동방잡지〉에게 자신 내부에 대한 반성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이들로 하여금 상무인서관 내부에서 성장한 근대적 지식인들을 개혁의 전면에 배치하도록 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근대 문학의 제도화 과정 속에서 〈소설월보〉의 개혁과 〈동방잡지〉의 근대문학 이론 전개 사이에 존재했던 연동성을 먼저 확인하고, 이로 인해 확립된 문학관이 〈동방잡지〉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 과정 속에서 〈소설월보〉와 〈동방잡지〉의 개혁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본 논문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은 구문학의 와해와 신문학의 건립 과정 속에서 션옌삥과 후위즈(胡愈之)라는 구시대 영역 내부에서 성장한 인물들이 어떻게 전통의 속박을 돌파하여, 근대 문학의 개념을 설정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연히, 이들이 설정하는 근대문학의 개념적 상상은 바로 인습적인 문학 표준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써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이들의 문학 주장은 비록 이 당시 반(反)-전통을 주장했던 신문학 진영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지만, 그러나 분명한 점은 이들이 상대주의적 시간관을 기초로, 호조론과 조화론적 관점을 문예 진화론적 시각과 결합하면서, 절대적 문학 판단 기준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절대적 문학 기준이 의미하는 것은 바로 고전의 문학 법칙과 그 체계의 질서뿐만 아니라, 이미 그 시대의 주류가 된 급진적 문학 주장, 특히 서구 가치에 대한 맹목적 추종들까지도 포함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에 대해 철저한 회의적 시각을 드러낸다. 말하자면, 이들이 바로 절대성과 상대성의 경계에 서 있었던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이러한 회의의 근원에는 1차 세계 대전과 민국혁명의 실패라는 역사적 사실이 자리잡고 있었고, 이는 문명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서구에 비해 동양의 상대적 가치를 옹호해온 〈동방잡지〉의 기존 입장에 새로운 주류 이데올로기인 진화론적 세계관을 결합한 문예 이론이 형성되는 배경이 되고 있었다. 이를 대표하는 논리로서 귀납적 비평을 강조한 후위즈는 문학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과 판단을 중시하고, 기존의 권위적 문학 기준들을 부정하면서 근대 독자의 비평적 독서에 의해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것이 근대 문학 비평의 시작이라 보고 있다. 후위즈의 소위 “근대 문학 비평” 개념이나 미우펑린(??林)의 “창작과 모방의 조화” 개념은 바로 이러한 속박을 파괴하는 방식에 있어서, 중국 지식계의 보수적 경향성 내부에서 성장한 개혁 주체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었고, 이러한 개념들은 개혁의 기원 및 그 원동력과 관련해서도 오사의 급진적 문화주의자들과 차별되는, 또 다른 복선(??)적 역사 인식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논문이 오사 시기 경쟁 진화론과 대비되는 호조 진화론의 맥락을 추적하여, 그 안에서 형성되는 근대 문학 개념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한 이유는 궁극적으로 오사 신문화의 극단적 반(反)전통 담론이 빠지기 쉬운 역사 서사에 대한 독점적 경향에 대해 새로운 대안적 인식 공간을 발굴해 내기 위함이기도 하다.

      • KCI등재

        중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중국어 의문사의 순서배열 연구(1)

        朴庸鎭(Park Yong-jin) 중국어문학연구회 2008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49

        The paper studies Chinese Pedagogical Grammar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of L1 & L2 for Chinese language learn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The studies focus onboth syntactic structure and sequencing of Chinese Interrogative Pronouns - shenme, ji, zenme, shei, zenyang.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1) Introduction, (2) Study of Chinese Interrogative Syntactic Structure, (3) Comparing Interrogative Pronouns of Korean and Chinese, (4) Selecting the Korean grammar point relevant to Chinese Interrogative Pronouns, (5) Formal vs. Semantic Complexity of Chinese Interrogative Pronouns, (6) Study of Chinese System-internal Sequencing and Cumulative Stages.

      • KCI등재

        韓國學生漢語寫作偏誤分析

        韓在均(Han Jae-kyun) 중국어문학연구회 200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47

        본 논문은 60명의 초. 중급 수준의 한국학생들이 쓴 120편의 중국어작문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비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학생들이 한국어를 중국어로 작문하는 과정에서 비문(非文)을 만들어낸 가장 큰 원인은 모국어의 간섭(방해)현상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어 문법규칙자체를 숙지하지 못해 만들어낸 비문들도 많았다. 그 밖에 한국과 중국의 사상, 문화의 차이로 인해 만들어낸 비문들도 다소 있었다. 그 구체적인 유형을 대략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어순(S+O+V)으로 중국어를 작문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중국어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식 한자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중국어어휘자체의 용법을 숙지하지 못한 부적절한 어휘의사용이 많았다. 넷째: 중국어“了”를 과거시제를 표시하는 조사로 알고 작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書面語와 口語를 구별하지 않고 작문하는 경우도 있었다. 여섯째, 한중사상문화의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해 만들어낸 비문도 다소 있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록 한중양국은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해있어 한자 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같은 점도 많이 있었으나 또 한편으로는 한국어와 중국어는 그 언어체계자체가 다른 언어로 각각 독특한 언어체계와 어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 어휘의 사용과 언어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교수는 우선 학생들에게 한자 어휘의 의미에 있어서 같은 점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다른 점은 같은 점 속에서 구별 해 낼 수 있는 분별력을 길러 주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작문을 할 때 항상 중국어의 어순과 중국어자체의 독특한 문법체계에 주의하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를 교수가 직접 고쳐주고 보충설명 해 줌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자신들의 오류를 발견하게 함은 물론 앞으로는 똑같은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중국어작문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작문자체에 나타난 오류를 교정해 주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듣고, 말하고, 읽고, 쓰고, 번역하는 능력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지도함으로써 중국어를 종합적으로 응용하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만 오류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东方杂誌》“近代文學批评”概念的建構 ― 兼論沈雁冰跟“文學研究會”相遇與其影响

        이보고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1

        . 오사 이후, <동방잡지(东方杂誌)>의 “근대문학비평”과 “모방과 창조의 조화” 개념의 전개는 <동방잡지> 자체의 개혁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개혁은 <동방잡지> 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 내부에 있는 기타 잡지들의 개혁과 연동되어 있었다. 그 중, 션옌삥(沈雁冰)에 의한 <소설월보(小说月报)>의 개혁은 <동방잡지>의 적극적인 변화를 촉발하였다. 구체적으로1921년을 전후해서, 션옌삥과 문학연구회(文學研究會)의 조우는 오히려 <동방잡지>에게 자신 내부에 대한 반성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이들로 하여금 상무인서관 내부에서 성장한 근대적 지식인들을 개혁의 전면에 배치하도록 하게 하였다. 본 논문은 근대 문학의 제도화 과정 속에서 <소설월보>의 개혁과 <동방잡지>의 근대 문학 이론 전개 사이에 존재했던 연동성을 먼저 확인하고, 이로 인해 확립된 문학관이 <동방잡지>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물론, 이 과정 속에서 <소설월보>와 <동방잡지>의 개혁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본 논문에서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은 구문학의 와해와 신문학의 건립 과정 속에서 션옌삥과 후위즈(胡愈之)라는 구시대 영역 내부에서 성장한 인물들이 어떻게 전통의 속박을 돌파하여, 근대 문학의 개념을 설정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연히, 이들이 설정하는 근대문학의 개념적 상상은 바로 인습적인 문학 표준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써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이들의 문학 주장은 비록 이 당시 반(反)-전통을 주장했던 신문학 진영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지만, 그러나 분명한 점은 이들이 상대주의적 시간관을 기초로, 호조론과 조화론적 관점을 문예 진화론적 시각과 결합하면서, 절대적 문학 판단 기준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절대적 문학 기준이 의미하는 것은 바로 고전의 문학 법칙과 그 체계의 질서뿐만 아니라, 이미 그 시대의 주류가 된 급진적 문학 주장, 특히 서구 가치에 대한 맹목적 추종들까지도 포함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이에 대해 철저한 회의적 시각을 드러낸다. 말하자면, 이들이 바로 절대성과 상대성의 경계에 서 있었던 인물들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이러한 회의의 근원에는 1차 세계 대전과 민국 혁명의 실패라는 역사적 사실이 자리잡고 있었고, 이는 문명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서구에 비해 동양의 상대적 가치를 옹호해온 <동방잡지>의 기존 입장에 새로운 주류 이데올로기인 진화론적 세계관을 결합한 문예 이론이 형성되는 배경이 되고 있었다. 이를 대표하는 논리로서 귀납적 비평을 강조한 후위즈는 문학 현상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과 판단을 중시하고, 기존의 권위적 문학 기준들을 부정하면서 근대 독자의 비평적 독서에 의해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것이 근대 문학 비평의 시작이라 보고 있다. 후위즈의 소위 “근대 문학 비평” 개념이나 미우펑린(缪凤林)의 “창작과 모방의 조화” 개념은 바로 이러한 속박을 파괴하는 방식에 있어서, 중국 지식계의 보수적 경향성 내부에서 성장한 개혁 주체의 인식을 반영하고 있었고, 이러한 개념들은 개혁의 기원 및 그 원동력과 관련해서도 오사의 급진적 문화주의자들과 차별되는, 또 다른 복선(複线)적 역사 인식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논문이 오사 시기 경쟁 진화론과 대비되는 호조 진화론의 맥 ...

      • KCI등재
      • KCI등재

        對漢語形態的再認識

        정창배 중국어문학연구회 200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35

        현대 중국어 문법 연구 중 통사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형태론에 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면에서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인도유럽어의 영향으로 영어를 비롯한 인도유럽어는 굴절어로서 굴절 형태가 아주 발달된 언어이며 굴절 형태 연구는 인도유럽어 형태론 연구에 있어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 중국어는 고립어로서 굴절 형태가 상대적으로 적은 언어로 취급되어 중국어 굴절의 형태론적 과정에 대한 언급이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어 굴절 형태가 인도유럽어만큼 발달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어 특유의 굴절 형태가 있고 그 특성 또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본고에서 주장하는 중국어 형태에 관한 분석이다. 1. 본고에서 말하는 '形態'는 '굴절 형태'를 지칭하며, 이것은 한 단어 내에서의 형태 변화를 의미하고, 단어의 범위를 벗어난 소위 말하는 '광의의 형태'는 인정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는 이미 형태론의 연구 범위를 넘어선 통사론의 연구 대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 변화를 통해 문법적인 의미는 더해지지만 어휘적인 의미는 변화하지 않는다. 2. 중국어 '形態'가 '굴절 형태'를 지칭하므로 중국어에서는 '構詞形態'란 술어가 적절하지 않고, '構詞詞綴' 혹은 '派生詞綴'로 대신한다. '構形后綴' 이라는 술어 또한 '后綴'가 어근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는 파생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굴절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構形詞尾'의 용어를 사용한다. 3. 본고에서 주장하는 중국어의 굴절 형태는 다음 몇 가지에 국한된다. -단어의 중첩은 중국어의 전형적인 굴절형태 과정이다. -종래에 '兒'과 '子'를 모두 '派生詞綴'로 분류하였던 것에 비해 본고는 이들을 그 성질과 특성에 따라 중국어 굴절 형태를 나타내는 '構形詞尾'와 그렇지 않은 '派生詞綴'로 구분하였다. -構形詞尾 '了','着','過'는 相의 문법범주를 표시한다. -構形詞尾 '們' 은 복수의 문법범주를 표시한다. 4. 중국어 문법 연구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형태론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굴절 형태에 관한 연구는 더욱 절실한 상태이다. 굴절 형태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함으로 이후의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중국어 특유의 더 많은 굴절 형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KCI등재

        淺論中國的女性和女性文學

        마중가 중국어문학연구회 200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35

        “여성”과 “여성문학”의 중국에서의 출현과 그의 발전, 번영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에 착안하여 대표적인 여성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중국여성문학이 여타국가의 여성문학과 다른 발전과정과 인문주의특징을 고찰하여보았다. 중국에서는 20세기초의 신문화운동과 5.4운동을 겪으면서 비로서 “여성”이란 어휘및 “여성의식”이 나타났으며 동시에 현대 여성문학이 탄생하였다. 중국에서 “여성” 과 “她”라는 대명사의 탄생은 특기하여야할 중대한 역사사건이다. 현대 여성문학은 중국 페미니즘의 산파일뿐아니라 파란만장한 중국 현대사에서 언제나 새로운 시기의 도래를 예고하는 선구자의 역할을 하였다. 80년대부터 중국에는 서방의 페미니즘 문학이론이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수 많은 여류작가들이 창작활동에 참가하기 시작하여 여성문학은 미증유의 번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서방의 문학비평이론에 입각한 여성 문학비평이 활발하게 이루어 짐에 따라 처음으로 여성문학속의 형상, 언어, 서사등 방면의 비평이 이루어 지기 시작하였으며 개혁개방이후의 신시기에는 여성문학의 인문주의 특성이 담론의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80년 후반부터는 우수한 여류작가와 작품의 대량 출현으로 남성이 문단을 독점하던 과거는 역사의 뒤편으로 사라지고 여성문학이 양적, 질적으로 획기적인 비약을 이루고 있는 새로운 시기에 진입하고 있다.

      • KCI등재

        Global Pitch Cues in L1 and L2 Productions of Mandarin Chinese

        李玉珠(Lee Ok-joo)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5

        본 연구는 표준중국어에서 발화체 전반에 걸쳐 실현되는 음역(pitch register), 점진하강(F0 declination), 음높이 재조정(pitch reset), 음높이 하강도(declination tilt)의 유형을 살펴보고, L1과 L2 발화에 나타나는 음향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영어나 중국어에 비하여 한국어는 상대적으로 좁은 음역과 낮은 음높이가 실현되는 것으로 연구된 반면, 한국어가 모어인 L2 중국어 화자의 발화에서는 L1 중국어보다 전반적으로 확대된 음역이실현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L2 중국어에서음높이점진하강의 정도가축소되고, 상한선(topline)의하강도(slope)가 충분히 실현되지않은것에서원인을찾을수있다. 또한이러한결과는L2 음운과운율의습득에있어서 L1 간섭 이외에도 L2의 운율 특징에 대한 상위지식(metalinguistics knowledge)이나 발화계획 전략(planning strategy), 나이, 실험 방법론 등의 요인과도 관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母語爲韓語之漢語學習者的意義群斷句模型硏究和閱讀指導模型設計

        박용진,김현철,박병선 중국어문학연구회 200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37

        〈 한 글 제 요 〉 본 논문은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독해지도 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첫째는 언어방면으로, 의미군(sense group)의 개념을 사용하여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와 모국어가 중국어인 중국인들의 문장을 끊어 읽는 형태를 찾아 비교하였다. 끊어 읽기 형태는 품사와 품사 사이, 문장성분과 문장성분 사이, 층차와 층차 사이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둘째는 읽기지도 방면으로, 필자들이 목표로 하는 읽기 교수법은 상향적 모델(Bottom-up Model)이다. 그 이유는 읽기는 본질적으로 해독(decoding)과 이해(comprehension)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해독단계에서는 글에 대한 언어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이해단계에서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읽기 행동을 포함하여 문자적·해석적·평가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됨으로, 고등학교 혹은 대학교에서의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읽기 교육에서는 글에 대한 이해보다는 글에 대한 올바른 해독을 위한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여 필자는 24개의 중국어 문형을 한국어 문형과 비교하여 문형의 난이도에 따라 모국어가 한국어인 중국어 학습자에게 적합한 독해지도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