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 -생명과학 탐구 수업 시연 및 반성 과정을 중심으로-

        안지은 ( Jieun An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이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정체성을 드러내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사범대학의 ‘탐구학습과 생명과학실험 지도’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과학교사 2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 수업설계 및 시연 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업 시연 및 반성 장면을 녹화 및 전사하였다. 또한, 수업 후에 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 및 전사하였다. 연구결과, 강좌 초반에는 과학 교사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초기 구두 반성에서는 권위적 담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시연된 수업에 대한 평가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들이 대학교에 재학하는 학생으로서 과제를 수행하고 교수자에게 평가를 받는 입장으로 수업 시연 강좌에 참여함을 보여준다. 강좌 중반부 이후,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사 정체성을 보여주는 담화가 관찰되었다. 중반부 이후 구두 반성에서는 종종 대화적 담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예비교사들이 구두 반성 활동을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배움 활동’으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후반부에는 자신의 경험을 교사의 활동과 연결 짓고 해석하는 담화가 나타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이 순간 자기 자신을 교사로서 인식함을 보여준다. 또한 강좌를 통해 실험 수업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다. 강좌 내에서 참여자들의 권위를 평등화하고, 반성의 역할 모델을 제공하였으며, 수업을 둘러싼 다양한 입장을 경험해보는 연습이 이루어졌던 것이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과학 교사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사 양성 과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STs) in the context of a teaching practice course. Twenty-two PSTs who took the ‘Biological Science Lab. for Inquiry Learning’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tifacts created during the course were collected, and the teaching practices and reflec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STs, recorded, and transcribed. We found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was not well revealed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uthoritative discourse appeared in the early oral reflections of PSTs,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d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evaluation activities for teaching practice’. This perception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 in teaching practice courses as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performing tasks and receiving evaluations from instructors. After the middle of the course, discourses showing the science teacher identity of the PSTs were observed. In the oral reflection after the middle part, dialogic discourses often arose, show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 oral reflection activities as a ‘learning activ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n the second half, discourse appeared to connect and interpret one’s experience with the teacher’s activity, indicating that the PSTs perceive themselves as teachers at this stage.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experimental classes was expanded through the course. During the course, the practice of equalizing the authority of the participants, providing a role model for reflection, and experiencing various positions from multiple viewpoints in th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the teacher identit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o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for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PSTs.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연구

        황순영,정은영,이미아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산, 경남에 있는 교육대학과 특수교육과예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Thompson과 Shrigley()985)가 개발한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척도(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를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와 t-검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예비 특수초등교사와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전체 태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비 특수초등교사가 예비 초등교사들보다 과학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관련 과목 수강 여부에 따른 예비교사의 전체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영역 중. 과학교수에 대한 편안함 영역에서는 과학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필요성 영역에서는 오히려 수강한 경험이 없는 예비 교사가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초등교사의 과학교수 태도에 대한 문항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비 초등교사는 예비 특수초등교사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에 대한 두려움이 크며, 예비 특수초등교사는 다른 교과와 비교해 과학의 중요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toward science teaching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and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in 3 and 4 grade students of university. For this purpose, the Revised Science Attitude Scale developed by Thompson & Shrigley(1986) was used and the method, t-test, two way ANOVA were used to investig science teach ing attitude for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ed : First of all, the reliability if measurement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a pre-study.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used. And Discriminative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But speci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igher perceived necessity of science education than general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re weren't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teaching attitud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experiences of taking science related course. Howeve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science course feel so easy toward comfort to science teaching compared to the not taking science course.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김순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 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 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 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 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 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 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 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 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 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 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 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 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 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 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 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 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 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 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 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 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 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 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ed. Finally, the evaluation factors applied to the evaluation of science instruction according to male and female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examine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for 88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P University of Education in Pusan metropolitan city. Among these 88 students, 32 elementary pre-service students were male, 56 were fem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ccording to gender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science class ability compared to mal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cording to gender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ema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for elementary science pedagogy than that of mal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and elementar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result can be applied both side of male and female. Fourth, both male and female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mong which the linguistic factors of the instruction were used most frequently as criteria for instructional evaluation.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실행 분석 :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성 이론 접목을 중심으로

        손연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과 복잡성 이론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 요소들을 초점으로 하여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합 한 수업자료와 수업시연을 분석하고, 이러한 교육실행 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인식 변화를 다각도로 분석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다차원적인 교사전문성을 키우기 위한 시사점 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먼저 예 비과학교사들이 설계한 수업자료와 수업시연에 대한 동료평가 결과, 지속가능한 행복 접목에 대한 평균이 복잡성 이론 요소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성 이론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요소들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예비과학교 사들은 연구에 참여한 이후, 개인과 사회의 행동 양식 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미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 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할 필요성에 대해, 예 비과학교사들은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을 이해하기 위 한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을 과학교육에서도 다룰 필요 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한편, 지속가능한 행복과 복잡 성 이론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수업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접목하는데 있어서의 자신감은 연구에 참여하기 전보 다 참여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과학교사들이 기존에 가졌던 과학 교사에 대한 지향점으로 학생들과의 소통과 행복한 삶 을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을 좀 더 생각 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 예비과학교사 들은 지속가능한 행복 개념과 복잡성 이론의 요소를 접목한 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의 관점을 실제 수업시연에 적용 해봄으로써, 좀 더 다차원적인 과학교사 전문성을 갖 추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class demonstrations conducted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the main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In addi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such education implementation were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i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ultidimensional teacher professionalism in ES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er evaluation of class materials and class demonstrations design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average of the integration for ‘sustainable happiness’ was relatively high. Next,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sidered individual and social behavioral patterns as important in the sense of ESD. Regarding the need to integrate science education and ES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ought it was necessary to deal with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in science education to understand a sustainable way of life. It was analyzed that the elements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complexity theor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S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fidence in incorporating ESD in science classes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participation in the stud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more about the role of teachers who can communicate with students and think about happy lives together than before. Overall, it is thought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come to think of multidimensional science teacher professionalis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f the new ESD, which integrat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happiness’ and elements of ‘complexity theor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인간의 기원에 대한 인식 조사:종교배경을 중심으로

        강경리 ( Kyung Lee K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를 믿는 예비 생물교사와 종교가 없는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인간의 기원에 대한 관점의 비교를 통해 예비 생물교사의 교육시 중점을 두어야 될 부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사지는 과학의 본성(과학의 특징, 과학적 방법, 과학적 지식, 과학과 종교의 관련성)의 4개 영역에서 8개 문항, 인간의 기원(최초 생물의 기원, 인간의 기원, 인간의 도덕적 본성, 지구의 역사)의 4개 영역에서 6개 문항으로 총 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문항에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한 6개 문항의 예비교사의 이해도는 59.7%였다. 낮은 이해도 항목으로 보아 과학적 방법의 일련의 과정, 사실, 법칙, 가설, 이론의 이해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종교별로는 기독교를 믿는 예비교사와 종교가 없는 예비교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인간의 기원에 대한 6개 문항에 대해 과학적 진화 개념을 가진 예비교사의 비율은 49.6%였다. 기독교를 믿는 예비교사가 종교가 없는 예비교사에 비해 14% 정도 낮았다. 기독교를 믿는 예비 생물교사와 종교가 없는 예비 생물교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문항은 진화와 창조 영역 중 창조론에 기초한 인간의 기원과 유신 진화론에 기초한 인간의 기원에 대한 문항이었다. 종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진화와 창조 영역의 결과를 통해 예비 생물교사의 인간의 기원에 대한 이해에 종교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예비생물교사 교육프로그램 구성 시 법칙과 이론을 포함하는 과학적 지식의 이해 뿐만 아니라 전통주의 과학관과 상대주의 과학관에 대한 비교, 대조를 통하여 과학지식이 형성되고 변화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일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진화교육을 위하여 예비 생물교사를 대상으로 진화론과 창조과학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효과적인 진화교육을 위하여 창조론을 믿는 학생이 갖기 쉬운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오개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olution.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iew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ith no religion with those of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Subjects were 77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ho enrolled in a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4 items on 2 domains: the nature of science,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Most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ly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oweve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still possessed naive views on the distinction of law and theory. In terms of the methods of science, many of th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considered scientific theories to progres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s or through changes and modifications in existing theories. Compared with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no religion,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had conflicting view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factors of religion were found to be one of the important barriers which prevent them from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ntegrating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tific knowledges should b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nflicting views of the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who understand creationism as a science.

      • KCI등재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김남희 ( Nam Hui Kim ),심규철 ( Kew Cheol Sh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에서 추출한 교육내용을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위 융합형 과학으로 불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개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11종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과학의 교육 내용과 예비과학교사 교재의 교육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에너지와 환경’단원은 가장 많은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고등학교 과학 교과 내용의 86.6% 정도가 사범대학 4개분야의 교재에 소개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학습내용들은 그 내용 수준이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다가 또 다른 일부 학습내용들은 공학과 기술 영역에 포함되어,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별도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내용을 종합했을 때,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교육내용을 적정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개편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high school science and in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and to examin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by analysing their connection to each other. High school science is called as ‘convergence science.’ Seve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eleven science textbooks related to physics, chemistry, biological science, and earth science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to analyse learning cont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cience with those of college-level science textbook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found when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mpared. Science textbook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have the biggest number of learning contents on the chapter ‘Energy and Environment’ of high school science. About 86.6% of learning contents of high school science were introduced on textbooks on science, but pre-service teachers should learn the remainder. The part of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was higher than the college-level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eover, the part of learning contents was included in Engineering & Technology. And these required a special teacher education. According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learning contents for high school science should be optimized and reduced. Also,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educational curriculum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uld be revised.

      • KCI등재

        그림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인식 탐색

        최윤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pre-serviceteachers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Methods: A total of 134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urvey, including 92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rom A Education University, 42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B University. and C University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mong the participants, 12pre-service teachers, including thre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d nine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agreed to additional interviews, which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meetings. Results: The survey results revealed a tendency among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teachers to emphasize the aspect of knowledge acquisition when defining earth science learning. Theperception of "good" and "bad" classes c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fluenced by the presence orabsenc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past experiences with Earth Science,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 of experiences related to knowledgeacquisition in classroom settings, whil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the highest frequencyof experience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s. In terms of envisioning future Earth Scienceinstructio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implicit understandingof subject matter knowledge (including knowledge of the curriculum, content knowledge, andknowledge of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dicator of the perceptions heldby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Earth Science learning, serving asfundamental data with academic value that can be utilized in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on Earth Scien ce education .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학습에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A 교육대학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92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중인 42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총 134명 예비교사들이 본 연구 설문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결과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정의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지식 습득의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좋은' 및 '나쁜' 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의 유무가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해석할 수 있었다 지구과학에 대한 과거 경험에서 초등 예비교사는 교실 환경에서 지식 습득 경험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천문관측에 대한 빈도가 가장 높았다 미래 지구과학을 지도하는 모습에서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교과내용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비대면 학습 환경에 대한 지식 등)에 대해 암묵적인 이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지구과학학습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보여줄 수 있는 지표이자 향후 지구과학학습에 대한 국제비교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써학술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독서감상문에 담긴 과학 교과독서의 의미 비교

        임성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지구과학 예비교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독서를 통해 과학도서와 독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과학 교과독서 과정에서 과학교육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교 사 양성 대학에 다니는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3학년 학생 24명과 초등교육을 전공하는 2학년 학생 25명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구과 학 예비교사들은 교과독서를 과학 내용 지식을 습득하 는데 많이 활용하였으나, 초등 예비교사들은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과 과학적인 흥미, 궁금증 해결을 위한 것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둘째, 지구과학 예비교 사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관련 도서를 과학 교육 에 활용하는 데에서도 생각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 구과학 예비교사들이 과학도서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 에 대해 드물게 서술한 반면,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 수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서술하였다. 셋째, 과학 교과 독서 관점에서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에 비해 초등 예비 교사들이 더 적극적으로 교과독서의 의미를 부각시키 고 있었다. 과학에서의 독서활동이 많은 효과가 있다 는 연구결과들을 비춰보면 학교 현장 수업에서 교수전 략으로서 과학 교과독서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hat meaning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cience books and reading through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and how their thoughts on science education are reflected in the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ocess. For the study, 24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th science education and 25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primary educ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t a teacher training colleg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used disciplinary reading a lot to acquire knowledge of science content, but primary pre-service teachers used it for the purpose of using it in class, scientific interest, and curiosity solution. Second,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prim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in using science related books for science education. Whil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rarely described the use of science books in their classes,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described science classes.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primary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actively emphasizing the meaning of disciplinary reading compared to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light of the research results that the reading activity in science has a lot of effect, it is thought that a wide range of research on science disciplinary reading should be conducted as a teaching strategy in school field classes.

      • KCI등재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이봉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측면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양성과정의 일부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011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멘토링’을 통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교사로서의 교육학적내용지식(PCK)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들은 지도능력의 향상에 대하여 많이 언급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과 같이 탐구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등학생들을 이해하고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량을 이해하게 되었다. 넷째, 예비과학교사들은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고, 멘토링에 대한 책임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진로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and analy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is program.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ught high school students.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the participating 4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sed an ‘inquiry mentoring’ program in the teaching of 44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kept ‘mentor diaries’; and, at the end of program, wrote ‘mentoring reports’. They were also interview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ed that their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science teachers increased. In particular, many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scribed an increase in their teaching ability. Secon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their experiences of inquiry with students and their teaching. Third,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level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were better able to understand their own capabilities as teachers. Fourth,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evelop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their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elf-confidence toward mentoring increased.

      • KCI등재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자현,하경용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전문대학에서 유아과학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 자연관찰 활동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사전?사후에 검사도구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팀별?개인과학일지와 반성적 저널쓰기, 면담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관찰을 활용한 과학교육 수업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자연관찰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자연관찰 대상에 대한 긍정적 인식, 생명에 대한 소중함과 존엄성, 과학 지식에 대한 개방성, 과학을 통한 자발적인 실천, 탐구적 태도가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의 변화에서는 자연관찰의 즐거움과 만족감, 예비유아과학 교사로서의 자신감이 증가하였고 유아과학교육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