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어머니 상호작용에서의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 의사소통 행동 특성

        이윤경(Yoon Kyoung Lee),설아영(AhYoung Seol)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어머니의 의사소통 행동 유형은 영유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어머니 상호작용 중에 어머니와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언어발달지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어머니 15쌍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어머니 15쌍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영유아-어머니 15쌍, 총 45쌍의 영유아-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유아와 어머니가 자유놀이와 책읽기를 하는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녹화된 자료 중 10분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은 주의환기, 설명하기, 지시하기, 질문하기, 피드백의 다섯 가지로,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은 요구하기, 언급하기, 모방하기, 질문하기, 반응하기, 무반응의 여섯 가지로 측정하였다. 결과: (1) 언어발달지체 어머니들은 생활연령 일치집단의 어머니들에 비해 설명하기는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그리고 피드백은 유의하게 낮은 빈도로 산출하였다. 언어연령 일치집단의 어머니들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언어발달지체 영유아가 생활연령 일치 영유아들에 비해 언급하기와 반응하기는 유의하게 낮은 빈도를 보였으며, 무반응 빈도는 생활연령 및 언어연령 일치 영유아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3) 영유아와 양육자간 의사소통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세 집단 모두 양육자의 피드백과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언어연령일치 집단에서 유의한 상관이 많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또래 영유아 어머니와 차이가 있으며,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이 영유아의 의사소통행동과의 관련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의사소통 평가 및 중재 시 어머니의 의사소통행동 유형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It was reported that the communicative style of mothers affecte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their chil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style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eir mothers during play interaction. Methods: A total of forty-five toddlers ranging in age from 18 to 36 month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fifteen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nd their mothers, fifteen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chronological age with the DLD individuals (CA controls) and their mothers, and fifteen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matched for language age with the DLD individuals (LA controls) and their mothers. Language samples of the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collected during play interaction for 30 minutes. The mothers’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calling to attention, explaining, instructing, asking, and feedback, while the toddlers’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ategorized into demanding, commenting, imitating, questioning, responding, and no response. Results: The mothers of the DLD individuals used more of the explaining function and less feedback than the mothers of the CA controls. The DLD toddlers produced less commenting and responding and more no response behaviors than CA controls. The feedback of the mothers in all of the group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sponse of their toddl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mmunication style of mothers of DLD toddlers was slightly different than that of mothers of typical development toddlers.

      • SCOPUS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발성 차례주고받기 특성

        이강은(Gangeun Lee),이영미(Youngme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1

        배경 및 목적: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에서 어머니와 영유아가 발성을 주고받는 것은 초기 의사소통 단계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발성 차례주고받기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와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시간적, 양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를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방법: 만 2세 이전에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12-36개월 사이의 영유아와 어머니 10쌍,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영유아와 어머니 12쌍이 참여하였다. 어머니와 영유아는 20분 동안 자유놀이 과제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어머니의 발성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유아의 발성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영유아간 상호작용에서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발성 차례주고받기에 나타난 어머니의 발성 비율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의 발성 비율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언어 점수는 발성 차례주고받기 빈도, 영유아의 발성 빈도, 어머니의 차례주고받기에 나타난 발성 비율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가 건청 영유아에 비하여 어머니 발성에 적게 응답하며,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어머니가 건청 영유아 어머니에 비하여 응답 받지 못하는 발성이 많기에, 인공와우이식 집단의 발성 차례주고받기가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어머니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영유아뿐만 아니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vocal turn-taking between mother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CI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of vocal turn-taking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I and typical hearing (TH) group. Methods: Ten pairs of mothers and toddlers with CIs and 12 pairs of mothers and toddlers with TH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interactions during a 20-minute free-play task were recorded using a digital recorder. Their vocalizations were coded for vocalization, switching pause, turn-taking block, and overlap using the Praat program. Results: Toddlers with TH took more vocal turns with their mothers than did toddlers with CIs. Toddlers with TH produced significantly more vocalizations than toddlers with CIs;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mothers’ vocaliz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Mothers in the TH group produced a significantly highter proportion of vocalizations in turn-taking than mothers in the CI group;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toddlers’ vocaliz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Language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vocal turn-taking, toddlers’ vocalizations, and mothers’ vocalizations in the CI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oddlers with CIs are not active partners in vocal turn-taking at an earlier age and that mothers are likely to adjust vocal turn-taking formats to their toddlers with CIs. The variables of vocal turn-taking can be a sensitive index to predict language skills in the CI group.

      • KCI등재

        영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성격·양육태도에 따른 영유아 언어발달 차이

        백윤희,정경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ed to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Checklist of Autism in Toddlers-Revised(KM-CHAT-R) in Korean children. Research questions were 1)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M-CHAT-R, 2) to compare the rates of failed response for each item between KM-CHAT and KM-CHAT-R, 3) to compare rates of children who failed each item and failed in total items in autistic, developmental delayed and normal groups, and to examin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redictive value(positive and negative value) of the KM-CHAT-R, 4)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KM-CHAT-R and K-CARS for concurrent validity. Participants for each research question were 5 clinicalexperts for 1), 152 parents of 18-36month old children for 2), and 60 parents of 16-59 month old Korean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autistic, developmental delayed and normal groups for 3) & 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tems of KM-CHAT-R were judged as suitable for detecting autistic children in early period(average 4.3), 2)there were no differences of fail response per item between KM-CHAT and KM-CHAT-R bu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s on No. 11, 17, 18. The fail rates of revised items were more reasonable than previous one. 3)Most of item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hildren diagnosed as autistic compared to other groups. It yielded sensitivity of 1.00, specificity of .88,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0,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1.00, and 4) the correlation between KM-CHAT-R and K-CARS was revealed as .58. In this study, KM-CHAT-R was able to very accurately detect autistic children. These results supported the use of the KM-CHAT-R as an early screening test for autism in Korea. 본 연구는 영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성격, 양육태도에 따른 언어발달의 차이와 이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12개월에서 36개월의 영유아 111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연구참여에 동의한 어머니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작성하게 한 후 수거하는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영유아의 언어발달 및 기질변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와 영유아 기질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성격에 관한 자료는 한국형 양육태도 검사,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유아 기질에 따른 언어검사 총점을 살펴보면 중간 기질 영유아가 까다로운 기질의 영유아보다 전체적인 언어발달 수준이 높았다. 둘째, 어머니 성격 유형에 따른 영유아 언어발달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런데 어머니 성격에 따른 영유아의 월령별 분석결과는 24개월 이하 월령 대에서 감정형 성격 유형 어머니의 자녀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전체 영유아의 언어검사 총점은 어머니의 성격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감정형 성격 유형 어머니의 24개월 이하 영유아에서는 전체 어휘와 전체 언어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전체 영유아의 언어검사 총점은 양육태도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애정적 통제적 양육태도 어머니의 24개월 이하 영유아는 전체 언어발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전체 영유아에서 기질에 따라 언어발달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히 24개월 이전 시기 영유아의 언어발달 특성을 이해하는 데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천혜영 ( Hey-young Chun ),김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불안과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주시에 있는 어린이집과 유치원(10곳)에 다니고 있는 1~36개월 영유아들의 어머니 272명이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고,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경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불안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우울, 양육스트레스,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은 언어적 상호작용과 민감성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서 처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처벌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을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과 민감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의 타인양육 죄책감은 언어적 상호작용, 처벌, 그리고 민감성과 같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mother's anxiety,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1 to 36 months attending 10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path analysis was done by AMOS 7.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nxiet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mother -child interaction, but it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daily parenting stress, and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Second, mother's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linguistic interaction and sensitivity while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itive interaction and corporal punishment of mother-child interaction through daily parenting stress. Third, mother's daily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positive interaction and corporal punishment, and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linguistic interaction and sensitivity through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Fourth, mother's guilty feeling of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uch as linguistic interaction, corporal punishment, and sensitivity.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윤희 ( Yun-hee Choi ),김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9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양육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가 어머니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작용의 양 방향적 요소인 민감성, 반응성, 정서성으로 살펴보아 어머니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 시키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영유아 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상담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6개월 이하의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3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 민감성과 반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성격특성은 개방성, 성실성, 신경증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정서성에는 어머니의 개방성, 외향성, 성실성의 성격특성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성격특성의 하위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어머니의 성격특성은 성실성, 친화성, 신경증이었고, 어머니의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의 성격특성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머니의 성격특성이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넷째,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와 영유아간의 상호작용 민감성과 반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호작용 정서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five-factor personalities,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mother-child interac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0 mothers with children less than 36 months at the eleve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ies of Daejeon and Cheongju in Korea. The testing of the path model was conducted using the AMOS 7.0 software package. It was found that personalities of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neuroticism had direct effects on the levels of sensitivity and responsivity in mother’s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 level of emotionality in the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influenced directly by personalities of openness,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However, the personality of agreeableness had no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Second, personalities of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had direct effects on parenting stress, whereas marit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personalities of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neuroticism.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ough it had no effect on mother-child interaction. The parenting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sonalitie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Fourth, marital satisfaction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emotionality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se effects were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for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Future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dynamics of personalities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interaction with child among fathers.

      • KCI등재

        영유아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관점 비교

        임유경,채영란,임성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Stratified sampling was performed for the childcare center i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by the types of center, and then a total of 1,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parents using the selected childcare centers and 1,031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the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is 5.08 to 6.13. The parent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is very important, recognized parental duties and rated play value high.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iod of stay in whole viewpoint on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S시와 G시의 보육시설 54개소, 그리고 C도의 농어촌 지역의 보육시설 45개소의 1,03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어머니의 제변인에 따른 영유아 발달 관점은 7 평정 중 5.08에서 6.13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이 영유아 발달을 중요하게 여기며 영유아 발달에서 어머니의 역할을 인정하고 놀이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제반변인에 따라 영유아 발달에 대한 관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발달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아동영역 및 부모영역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박민지,하은혜 한국놀이치료학회 202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 problems of infants with mental disorders and maternal depressive symptom. The participants comprised 129 mothers who have infants at the age of 21 months to 59 months with mental disorders. The infant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respectively based on Chid Behavior Checklist(CBCL 1.5-5),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Parenting Stress Index(PSI).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the infa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stress. Second, the higher PSI score was shown in both Child and Parent domain, the higher Depression score was shown among mothers. Third, both scores of Parent and Child domains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verified that two domain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when the behavioral problems of mentally disabled infants influenced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우울증상 및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소아정신과 병원 2곳, 재활의학센터 1곳, 그리고 발달장애 클리닉 1곳에서 정신장애 진단을 받은 21개월에서 59개월 영유아 12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 어머니 우울평가척도 (BDI),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척도(K-PS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증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과 부모영역은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의 아동 및 부모영역 수준이 증가할수록 어머니의 우울 수준도 증가했다. 셋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즉, 두 문제행동은 양육스트레스의 아동영역을 통해서 부모영역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중매개를 통해 어머니의 우울증상을 유발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의 우울증상으로 이어질 때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일부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특히 양육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할 때 양육스트레스의 두 영역 사이에서 경로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 연구 -일반가정과 취약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명자,이서영 한국아동권리학회 2016 아동과 권리 Vol.20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awareness of early children's rights and early children abuse, and it examined the difference of awareness among parents. In fact, the study targeted vulnerable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that consisted of mothers who were single parents of early children(mother), including multi-cultural families, basic living benefiters and children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In order to resolve the correlation and the difference awareness of parenting behavior and the rights and abuse of early children, a sample was taken of various types of nurseries: public child-care centers, corporate and workplace child care centers, private day care institutions, and family day-care parents(mother) located in S city. The sampling was composed of a total of 201, -157 people of general families and 44 people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ic living benefiters and children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According to this study, mothers had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of the neglect of early children abuse. Mothers need to understand and be aware of the correct con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were related with a critical impact on early children's welfare level, including the parenting behaviors of mothers and their awareness of early children's rights and abus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early children. Mothers of vulnerable families were found to have an extremely low level of awareness of the rights and abuse of early children and recognized by the whole emotional abuse of child.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vulnerable families are being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수급자가정을 포함한 취약가정과 이러한 취약가정이 아닌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영유아 권리 및 학대에 대한 인식과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영유아 권리 및 영유아 학대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국공립어린이집, 법인 및 직장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어머니를 설립유형별로 표집하였고 이들 중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조손가정, 수급자가정을 포함한 취약가정이 44명이고 일반가정이 157명으로 총 201명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 어머니는 영유아 학대 중 방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으므로 방임의 정확한 개념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요구되며, 긍정적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유아의 권리인식과 학대인식을 포함한 아동복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취약가정 어머니는 일반가정 어머니에 비해 영유아 권리의 모든 영역과 전체 그리고 정서 학대에서 낮은 인식을 보였으므로 취약가정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이를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Q 방법론을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연구

        서은정 한국부모교육학회 2022 부모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어떠한지 유형화 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인식과 관련한 문헌고찰, 선행연구, 전국 맘 카페, 어린이집 면담일지 및 인터뷰 내용과 설문지 등을 통하여 Q표본으로 최종 34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P 표본 35명에게 Q 소팅을 실시하였으며, QUANL-PC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양육 어려움은 다음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1유형은 ‘심리적 갈등형’으로 심리적으로 어떻게 양육을 해야 할지 갈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2유형은 ‘모범적 훈육형’으로 올바르게 자녀를 양육하고 싶어 하는 바른 어머니로 자녀를 잘 훈육하고자 하는데서 양육의 어려움을 겪었다. 3유형은 ‘독립적 책임형’으로 양육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고 아이를 독립적으로 키우려고 하는 것에서 힘들어 했으며, 4유형은 ‘불안적 후회형’으로 자녀에게 미안한 마음으로 양육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관점에서 양육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주관성의 구조에 따라 4개의 유형을 발견하고 각 유형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유아기 어머니가 겪는 양육 어려움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유아기 부모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나 교육 등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8∼35개월 영유아와 어머니 기질 군집에 따른 조화적합성과 양육 스트레스와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

        조가연(Ka Yeon Cho),김호정(Ho Jung Kim) 한국발달지원학회 2021 발달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어머니와 영유아의 기질 특성에 따른 군집유형을 분류하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영유아의 정서 행동 문제와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18∼35개월 자녀의 어머니 223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기질, 영유아의 기질, 양육 스트레스(K-PSI-SF)와 정서 행동 문제(K-CBCL 1.5-5)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영유아의 기질 특성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경우, ‘회피-비활동형’, ‘안정-조절형’, ‘불안정-억제형’의 3개의 군집, 영유아의 경우, ‘자기통제-조절형’, ‘평범한-조절형’, ‘회피-비통제형’의 3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기질 군집조화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와 정서 행동 문제는 어머니의 ‘안정-조절형’과 영유아의 ‘자기통제-조절형’ 조합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회피-비활동형’과 영유아의 ‘회피-비통제형’ 조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어머니와 자녀의 기질적 특성의조화 적합성을 바탕으로 한 개별적 양육 상담이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lassified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infants,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parenting stress and infant emotional behavior problem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23 mothers of children aged 18 to 35 months nationwide asking about their mother s temperament, infant s temperament, parenting stress (K-PSI-SF),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s (K-CBCL 1.5-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infant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voidance-inactive, stable-regulated, and insecurity-suppressed, and avoidance-controlled for infants and toddlers. Second, parenting stres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s caused by temperament group harmonization were the lowest in the mother s stability-regulated and infant s self-control-regulated combinations, and the highest in the mother s avoidance-inactive and infant s avoidance-non-controlled combin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dividual parenting counseling or paren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harmoniousness of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children can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