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상 기반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에서 풍경을 통한 공간 재현에 관한 연구

        양연희,전지윤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4

        예술에서 기술의 발달은 이미지의 재현을 쉽고 빠르게 그리고 편리하게 표현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사진과 영상처럼 예술 장르의 범위를 넓히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가령, 공간 속 풍경의 재현에서 인류는 뉴미디어를 활용해 이전보다 진화된 형태의 표현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영상 기반 미디어 아트에서는 현실과 다름없는 실제적인 표현이 보다 수월해졌다. 뉴미디어의 멀티미디어적 요소는 감상자의 예술 작품 관람 시 단방향에서 양방향 인터랙션으로의 구현을 가능하게 했다. 이처럼 영상 기반 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발전으로 보다 효율적인 표현 도구로 대두된 미디어를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예술에서 활용되는 기술 미디어와 감상자간의 소통의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영상의 서사 구조와 공간의 구성을 통한 유기적인 인터랙션의 구현을 모색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영상기반 미디어 아트에서 구성되는 공간과 서사적 구조, 그리고 인터랙션의 작용 과정을 분석하고 사례로서 물리적 공간 내의 정서적 풍경을 재현한 작품, “우발적 풍경”을 제시했다. 연구를 위해 풍경 중심의 사상적 공간 개념 그리고 공간 재현에서 미디어의 변화에 따른 표현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사례 중심으로 조사했으며 작품과 감상자간의 인터랙션의 분류를 통해 공간 속 풍경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상기반 미디어 아트를 구성하는 공간과 서사구조, 인터랙션를 작품이 의도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하고자 했으며 작품 “우발적 풍경”을 제작해 공간 속 풍경을 표현했다. 작품 “우발적 풍경”은 복잡화된 현대 사회에서 자신의 정서마저 억압하는 상황을 고찰하여 만든 작품이다. 표현하고자 한 정서의 풍경을 비물질적 영상 미디어로 표현했고, 이를 물리적 공간에 설치하여 각각 진행되는 정서적 풍경을 인터랙션으로 통합하여 감상자와의 감성적 공유를 이끌어 내고자 했다. Technology enabled art to quickly and conveniently express the recreation of images, and expanded the scope of arts to videos and other spheres. for example, in recreating the scenery within space, humanity is attempting more evolved form of expression using new media, and in video-based media art, it is now possible to make realistic expression that is ever close to reality itself. In addition, the multimedia-oriented elements of new media allowed the artist to create two-way interaction, as opposed to one-way interaction in which the audience merely viewed the art. As suc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necessitates the artists to utilize media as a more effective expressive tool in the field of video-based media art. The current paper seeks this end; in order to write about the attempt to recreate scenery in space in video-based media art, this paper uses an example of the work “Accidental Scenery” which takes an organic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video contents, audiovisual expression, and interaction in narrative structure of video works. “Accidental Scenery” is a video-based interactive media artwork: its goal is to generate a two-way emotional commun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through interaction, in which the scenery in space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is realized in an exhibition space populated by the audience. This paper utilizes my work as a case study of narrative spatial expression.

      • 위상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과 진폭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의 위상차 평가

        이소향,박수연,김종식,최병기,박희철,정상훈,Lee, So Hyang,Park, Soo Yeon,Kim, Jong Sik,Choi, Byung Ki,Park, Hee Chul,Jung, Sang Hoo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1

        목 적 : 본 연구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 된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4DCT,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재구성 하였을 때의 위상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02월부터 03월 까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 10명의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RPM respiratory gating (RPM 1.7.5, Varian, USA)장치를 이용하여 위상 기반 배열 방식의 호흡주기별 영상을 획득 하였으며, 획득된 호흡 주기별 영상은 치료계획시스템(Pinnacle 9.2, Philips, USA)을 이용하여 호흡주기별 복부의 움직임 값을 측정하였다. 최대 호기(50%)와 최대 흡기(0%)에서의 복부 움직임을 진폭으로 하여 10개 위상의 진폭 기반 호흡위상을 재구성하고, 이를 위상 기반 사차원영상촬영영상의 호흡 위상과 비교하였다. 결 과 : 위상 기반 및 진폭 기반 사차원단층촬영영상으로 재구성한 영상에서의 위상 차이는 최대 30% 호흡위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30% 호흡 위상에서 평균 0.13 cm (최대 0.24 cm)의 위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 측정 점 위치가 가지는 위상차는 30% 위상에서 평균 8.7%(최대 16.5%)의 위상차를 확인하였다. 전체 호흡 구간에서 평균 위치 차이는 0.4 cm, 평균 위상 차이는 13.0% 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된 4DCT 영상을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변환하였을 때 계산 값과 실측값을 분석한 결과 최대 16.5% 의 위상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 Under the assumption of change to the amplitude based sorting, the study will use four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ing (4DCT) arrayed using the phase based sorting to analyze the respiratory phase differen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analyzed the 4DCT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of 10 liver cancer patients that were treated with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from 2015 February to March. Using RPM respiratory gating (RPM 1.7.5, Varian, USA) equipment, imaging according to respiratory cycle of phase based sorting was acquired and using a treatment planning system (Pinnacle 9.2, Philips, USA) the acquired imaging according to respiratory cycle was used to measure the abdominal movement value by respiratory cycle. The measuring point was the point where the center point of the Marker Block and the body surface met in the 50% phase image and here the coordinate values Lateral, Vertical, Longitudinal (X, Y, Z) were set as reference points, and on the X, Z plane identical to the reference point, using the identical method the Y axis coordinate value of each 0%, 30%, 40%, 50%, 60%, 80% phase images were acquire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variation of distance to the Y axis. The abdominal movement value according to respiration was applied to the theoretical model that the value decreases linearly from maximum inhalation to maximum exhalation to divide the variation of my value to predict as amplitude value by respiratory cycle and conversely the variation in amplitude was recalculated with the phase variation deviation value to analyze. Results : The deviation value between expected value and actual location was the largest in the 30% phase with 0.24 cm, and standard deviation was also the largest in 30% phase with 0.13 cm. The effective value of the deviation value derived from the average of the deviation squared value of each patient appeared as minimum 0.7 cm, maximum 0.18 cm, average 0.12 cm, and standard deviation 0.4 cm. Also by dividing the actual movement distance value with the peak expiration value then converting it into %Phase, the deviation value with actual phase 16.5% in 30% phase, 10.0% and 40% phase, 10.0% and 60% phase, 15.4% and 80% phase, and overall average about 13%, and arraying based on amplitude, phase shift occurred and further it was from peak expiration the chance of deviation occurrence was increasingly measured.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value acquired based on theoretical model and actual value. Therefore i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using external surrogates, there needs to be establishment of respiration gated radiation system that avoids the combination of two Sorting methods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occurrence of treatment and corresponding clinical differences due to the phase difference that occur due to the Amplitude based Phase Sorting.

      • KCI등재

        다양한 화소기반 변화탐지 결과와 등록오차를 이용한 객체기반 변화탐지

        정세정,김태헌,이원희,한유경 한국측량학회 2019 한국측량학회지 Vol.37 No.6

        Change detection, one of the main applications of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is an indicator that directly reflects changes in human activity. Change detection can be divided into pixel-based change detection and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Although pixel-based change detection is traditional method which is mostly used because of its simple algorithms and relatively easy quantitative analysis, applying this method in VHR (Very High Resolution) images cause misdetection or noise. Because of this, pixel-based change detection is less utilized in VHR images. In addition, the sensor of acquisition 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bring registration noise even if co-registration is conducted. Registration noise is a barrier that reduces accuracy when extracting spatial information for utilizing VHR images. In this study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of VHR images was performed considering registration noise. In this case,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results were derived considering various pixel-based change detection methods, and the major voting technique was applied in the process with segmentation image. The final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result applied by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its performance with other results through reference data. 다시기 위성 영상을 이용한 변화탐지 분석은 인간 활동의 변화를 직접 반영하는 지표이다. 변화탐지는 크게 화소 기반 변화탐지(PBCD: Pixel-Based Change Detection)와 객체 기반 변화탐지(OBCD: Object-Based Change Detection)로 구분한다. 화소 기반 변화탐지는 알고리즘이 간단하고 비교적 쉽게 정량적 분석이 가능해 전통적으로 많이 쓰여온 기법이나 고해상도 영상에서의 화소 기반 변화탐지는 오탐지나 노이즈(noise)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해상도 영상에서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또한, 고해상도 다시기 영상은 취득 당시 센서의 자세나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영상 등록(image registration)을 수행한 이후에도 지형적 불일치가 발생한다. 등록오차(registration noise)라고 불리는 이 지형 불일치는 고해상도 다시기 영상 활용을 위한 공간정보 추출 시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등록오차를 고려한 고해상도 영상의 객체 기반 변화탐지를 수행하였다. 이 때, 다양한 화소 기반 변화탐지 결과를 모두 고려한 객체 기반 변화탐지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분할 영상(segmentation image)과의 major voting을 적용하였다. 제안 기법과 화소 기반 변화탐지 결과, 그리고 화소 기반 변화탐지 결과를 객체 기반 변화탐지로 확장한 결과의 비교를 통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이 구매행동 및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국소비자를 중심으로

        껑티엔,손상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7 No.4

        최근의 새로운 온라인 소비의 형식으로 한국에서는 SNS마켓과 라이브 커머스가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에서는 다양한 플랫폼의 발전에 따라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가 일찍부터 큰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는 이러한 새로운 이커머스 채널이 적극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의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에서의 소비자 구매행동과 구매만족, 그리고 그 영향요인에 주목하였고, 구체적으로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영상콘텐츠기반 이커머스의 대표적 플랫폼인 ‘콰이쇼우’와 ‘더우인’에서 구매 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 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은 구매행 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오락적 동기는 구매빈도에, 정보적 동기는 구매금액에, 경제적 동기는 충동구매경 험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지각도 구매행동의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 졌다. 구체적으로 충동구매 위험지각은 구매금액과 충동구매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은 구매금액과 충동구매경험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구매동기, 위험지각, 구매행동은 소비자의 구매 만족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구매금액은 소비자의 구매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구 매빈도와 충동구매경험은 부(-)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구매동기와 위험지각의 경우 구매만족에 직접적으로, 혹 은 구매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정보적 동기(+), 미디어적 동기(+), 오락적 동기 (+), 경제적 동기(+), 편의적 동기(+), 충동구매 위험지각(-), 플랫폼신뢰 위험지각(-)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합리적인 행동 촉진과 소비자지향적 플랫폼 구축 등의 관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 였고, 한국 소비자들을 위한 SNS마켓과 라이브 커머스의 발전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Recently, SNS market and live commerce are emerging in Korea as a new form of online consumption, and content-based e-commerce is showing great growth in China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platforms. At the time of development of the content-based e-commerce, we focused on purchasing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in content-based e-commerce of consumers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 on Chinese video content platform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factors that affected by purchase motive and risk percep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consumers who have made purchases from ‘Kuaishou’ and ‘Douyin’, and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Window 26.0 program.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creational mo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frequency, informational mo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amount, and economic motive had a positive effect on impulse purchase experience. Second,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amount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urchase amount and impulse purchase experience. Third, factors that affected purchase satisfaction were informational motive (+), media motive (+), recreational motive (+), economic motive (+), convenience motive (+), impulse purchase risk perception (-), and platform trust risk perception (-) in the ord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urchase behavior was confirmed. These results provided educa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promoting rational consumer behavior and building a consumer-oriented platform,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NS market and live commerce for Korean consumers.

      • 영상 기반 경운 경계 검출 정보를 활용한 트랙터 조향 제어

        서다솜 ( Dasom Seo ),양창주 ( Changju Yang ),김경철 ( Kyoung-chul Kim ),이명훈 ( Meunghun Lee ),권경도 ( Kyung-do Kwon ),홍영기 ( Youngki Hong ),이시영 ( Siyoung Lee ),김현종 ( Hyunjong Kim ),류희석 ( Hee-seok Ryu ),김국환 ( Gookh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본 논문은 기존 GPS 기반의 자율주행 방식과는 달리 2D 기계시각을 이용하여 트랙터 경운 작업시 주행 기준선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트랙터 조향 제어 기술을 개발하였다. 심층학습 기반 영상분석을 통해 정면 영상의 구역별로 경작부, 미경작부, 배경으로 분류한 후, 부류의 경계를 활용으로 추종경로를 검출하였다.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된 트랙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얻어진 영상을 이용하여 추종경로를 검출하고 이를 활용한 조향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 값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NN 기반 차선검출(Lane detection) 모델 중 하나인 LaneNet의 일부를 수정, 활용하여 트랙터 조향 제어를 위한 추종경로를 검출하였다. 학습을 위한 데이터셋(Dataset)은 논, 밭과 같은 농작업 환경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의 CNN 모델 활용을 위해 KITTI, tuSimple 등의 기존 자율주행 오픈 데이터셋을 사용하지 않고, 노지에서 직접 수집하였고 검출된 추종경로로부터 트랙터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였고, 영상 시야 안에 트랙터 엔진룸 중심에 표식(이하 마커) 부착하고 이를 기준으로 트랙터와 추종경로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조향 제어를하였다. 실제 밭 현장에서 경운한 영상으로 실시간 추종경로 검출 및 조향 제어시스템 검증을 진행하였다. 현장실험에는 Intel Core i5-8400T CPU와 GeForce RTX 2070 GPU가 탑재된 컴퓨터와 데이터셋을 얻을 때 사용했던 LS엠트론사의 XU6168 트랙터를 사용하였다. 실시간으로 영상 프레임에서 추종경로를 검출하고 이를 따라 주변속 2단, 부변속 2단에서 2500RPM으로 주행시켰다. 트랙터의 위치 기준점는 입력영상과 엔진룸 위의 마커와 템플릿을 매칭시켜 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미리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참값(Ground truth, GT) 영상과 알고리즘을 통해 얻은 추종경로 검출 영상과의 차(Differece) 영상을 통해 인식 정확도를 확인하였는데, 두 영상 간의 포함 관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평균 Recall 성능은 0.58을 기록하였다. 이는 검출된 추종경로를 활용한 제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활용한 PID 제어기로 직진 제어한 결과, ±10pixel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IMToon: 영상처리를 활용한 영상기반 카툰 저작 시스템

        서반석(Banseok Seo),김진모(Jinmo Kim)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17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3 No.2

        본 연구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영상 기반의 카툰을 제작하는 저작 시스템인 IMToon(IMage-based carToon)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IMToon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일반사용자들도 쉽고 효율적으로 카툰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저작 시스템을 크게 카툰 이펙터와 대화형 이야기 편집기의 두 기능으로 나누어 설계한다. 카툰 이펙터는 입력 영상을 카툰 형식의 영상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으로 영상기반 카툰 쉐이딩과 윤곽 드로잉의 단계로 진행된다. 영상기반 카툰 쉐이딩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장면의 사진을 입력으로 받아 입력 사진의 컬러 모델에서 명암 정보를 분리하고, 원하는 단계의 음영대로 단순화하여 카툰 형식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테두리 검출을 통해 쉐이딩된 영상에 윤곽 선을 적용시키는 윤곽 드로잉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카툰 형식의 영상을 생성한다. 대화형 이야기 편집기는 웹툰이나 만화책과 같이 이야기를 전달하는 완성된 카툰의 한 장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말풍선과 자막 등을 대화형 구조로 입력하는 기능이다. 여기에 단일 영상을 카툰 방식으로 변환하는 카툰 이펙터를 비디오로 확장시켜 정지 영상 뿐 아니라 동영상에도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IMToon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카툰을 영상을 기반으로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다양한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This study proposes IMToon(IMage-based carToon) which is an image-based cartoon authoring system using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The proposed IMToon allows general users to easily and efficiently produce frames comprising cartoons based on image. The authoring system is designed largely with two functions: cartoon effector and interactive story editor. Cartoon effector automatically converts input images into a cartoon-style image, which consists of image-based cartoon shading and outline drawing steps. Image-based cartoon shading is to receive images of the desired scenes from users, separate brightness information from the color model of the input images, simplify them to a shading range of desired steps, and recreate them as cartoon-style images. Then, the final cartoon style images are created through the outline drawing step in which the outlines of the shaded images are applied through edge detection. Interactive story editor is used to enter text balloons and subtitles in a dialog structure to create one scene of the completed cartoon that delivers a story such as web-toon or comic book. In addition, the cartoon effector, which converts images into cartoon style, is expanded to video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videos as well as still images. Finally, various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asy and efficient production of cartoons that users want based on images with the proposed IMToon system.

      • 시계열 RapidEye영상과 객체기반 변화탐지 기법을 이용한 논벼 재배지역 추출

        이성학 ( Sunghack Lee ),최진용 ( Jinyong Choi ),오윤경 ( Yunkyung Oh ),이상현 ( Sanghyun Lee ),박나영 ( Nayoung Park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최근 발사된 대부분의 인공위성은 고해상도위성(High Resolution Satellite)이며, 이전의 중/저해상도 위성영상과는 다른 영상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중/저해상도 위성영상 분석을 위해서는 픽셀기반의 분류 방법이 주로 사용된 반면,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픽셀기반(Pixel-based) 분류방법을 적용할 경우 정확도를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위성영상의 해상도 증가로 분석 대상물보다 픽셀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발생한다. 즉, 분석대상물 내에 다른 분광특성을 가지는 픽셀이 혼재하여 분석이 힘들어진다. 하지만 고해상도 위성은 중/저해상도 위성에 비해 더욱 많은 공간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객체기반(Object-based) 분석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객체기반 분석 방법은 고해상도 영상에서 균일한(Homogeneous) 분광정보를 가지는 작은 객체(Object)로 분할(Segmentation)한 뒤 다시 보다 큰 객체로 분류(Classification)하며, 분할된 객체는 픽셀이 아닌 폴리곤( Polygon)형태로 표현된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균일한 객체로 분할할 때 분할 크기에 다른 형태의 정보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논벼 재배지역에서 하나의 필지 단위로 객체를 분할할 수도 있으나 용수구역단위에 가깝도록 분할 할 수 도 있다. 따라서 객체 분할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위상정보를 가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들의 관계를 이용하면 분류의 정확도 뿐 만 아니라 시계열 위성영상의 분할 시에 동일 영역에서 발생하는 객체분할의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하다. 객체기반 변화 탐지는 시계열 위성영상에 대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지표의 변화를 탐지하는 방법으로 픽셀단위 변화탐지와 함께 분할된 객체의 형상과 위상정보를 함께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 목적은 북한 황해도 재령군 지역을 대상으로 시계열(4월, 6월, 8월) RapidEye(5m 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논벼 재배 지역을 추출하는데 있어 객체기반의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다양한 객체 크기별 객체분할에는 Trimble사의 eCognition<sup>®</sup>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며, 객체분석과 논벼 재배지역 추출을 위해서 계층적 분류방법을 사용한다. 객체기반의 변화탐지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픽셀기반의 분류방법을 같은 지역에 대해 적용한 후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KCI등재

        SIFT를 이용한 유사 위성 영상 검색

        김정범(Jung-Bum Kim),정진완(Chin-Wan Chung),김덕환(Deok-Hwan Kim),김상희(Sang-Hee Kim),이석룡(Seok-Ly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5 No.5

        Due to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image data, the demand for searching similar imag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many researches about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are conducted to search similar images effectively. In CBIR, it uses image contents such as color, shape, and texture for more effective retrieval. However, when we apply CBIR to satellite images which are complex and pose the difficulty in using color information, we can have trouble to get a good retrieval result.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color information of satellite images, we need image segmentation to use shape information by separating the shape of an object in a satellite image. However, because satellite images are complex, image segmentation is hard and poor image segmentation results in poor retrieval res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search similar images without image segmentation for satellite images. To do a similarity search without image segmentation, we define a similarity of an image by considering SIFT keypoint descriptors which doesn’t require image segment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more effectively searches similar satellite images which are complex and pose the difficulty in using color information. 영상 데이타의 증가로 인해 여러 분야에 걸쳐 유사 영상 검색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좀 더 정확한 유사 영상 검색을 위해 내용기반영상검색 기술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용기반영상검색에서는 유사한 영상을 검색하기 위해 색상, 모양, 질감 등의 영상 자체의 내용을 사용한다. 하지만 위성 사진과 같이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렵고 영상 자체가 매우 복잡한 영상의 경우는 내용기반영상검색 기술을 이용해도 유사성 검색이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려워 모양 정보를 이용하려면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통해 물체의 모양을 분리해내야 하는데 영상이 매우 복잡한 경우 영상 세그멘테이션의 결과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지 않고 유사성 검색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유사 위성 영상을 검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상 세그멘테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모양 기술자인 SIFT keypoint descriptor를 기반으로 영상의 유사도를 정의하여 유사성 검색을 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색상 정보의 사용이 어렵고 영상 자체가 매우 복잡한 위성 영상의 유사성 검색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색상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 하드웨어 설계

        박용진(Yong-Jin Park),박진홍(Jinhong Park),어영정(Young-Jung Uh),변혜란(Hyeran Byun),한탁돈(Tack-Do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8 No.2

        카메라가 탑재된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저장하는 영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영상 검색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색상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은 영상을 분할하여 각 분할 공간의 색상에 따라 영상의 특징을 부여하고, 다른 영상의 각 공간의 색상 특징과의 차이를 구하여 영상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모바일 기기에서 지원하는 영상의 크기와 양이 증가함에 따라 영상 검색 시스템은 기존의 모바일 CPU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처리 방식으로는 실시간 처리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실시간으로 색상 기반 영상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 및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드웨어 구조는 기존의 모바일 CPU를 이용한 방식에 비해 영상 변환은 99%, 영상 검색은 99%의 수행 시간을 단축하였다. As the camera enabled mobile device distribution and the amount of images that users store are increased,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ecessity of the image retrieval system which allows an efficient retrieval and management of images. The color-based retrieval system brings out a specific feature, we call as color-feature, by splitting each partition of the space depending on its color. Also, the system determines the similarity of images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s from the color-feature from different image's spaces. As the size and quantity of images which are supported by mobile devices increase, the image retrieval system processed using existing software that uses the CPU becomes a limitation in real-time processing. Therefore, we have proposed and implemented a hardware architecture by accomplishing real-time color-based image retrieval system in our study.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using mobile CPU,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hardware architecture reduces 99% processing time of image conversion and 99% processing time of image retrieval.

      • KCI등재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 - 기준 영상을 활용한 자동 처리 중심으로

        김휘영(Kim, Hwi Young),최경아(Choi, Kyoung Ah),이임평(Lee, Im Pye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6 No.2

        교량, 댐, 도로와 같은 시설물의 노후화와 점검 대상 시설물의 증가로 인해 시설물 점검을 위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현재의 시설물 점검은 육안 검사와 같이 사람이 접근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점검자에 따라 결과에 대한 신뢰도 차이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육안 검사 기반시설물 점검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기준 영상을 활용한 자동 처리 중심의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을 제안한다. 시설물 점검 체계의 구성과 방식을 확인하고, 드론 영상 기반 시설물 점검의 활용 방안을 파악한다.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 먼저 시설물의 드론 영상을 정밀하게 처리하여 기준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구축된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새롭게 취득한 드론 영상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시설물의 대상면에 기하보정된 영상을 생성한다. 제시한 드론 영상 자동 처리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영상을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처리하였다. 영상의 외부표정요소의 정확도는 0.6cm, 0.01º이었고, 영상에서 추정한 시설물의 위치 정확도는 7.8cm이었다. 본 연구의 방법을 통해 시설물 점검의 비용 절감과 객관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many facilities such as bridges, dams and roads become deteriorated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to be inspected is increased, we require more efficient and economic methods for facility inspection. The current facility inspection relies on human intervention such as visual inspection, which is usually time consuming and requires a high cost. As it depends on the inspector, the inspection results may not be reliable and objective. This study thus proposes a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focusing automatic processing using reference image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objectivity of a visual inspection-based facility inspection. We checked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 facility inspection system, identified applications of the drone image-based facility inspection. In order to process the images, first, the reference image database is constructed by precisely processing drone images of the facility. Based on the constructed reference images, the newly acquired drone image is automatically processed to generate ortho-images on the target plane of the facility.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image of the facility was processed based on reference images. The accuracy of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of images was 0.6cm and 0.01º, and the positional accuracy of target points of the facility estimated from the image was 7.8cm. It is expected that this method will reduce the cost and improve the objectivity of facility insp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