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기자의 C·G 환경 수용에 대한 연구

        박지우,오세곤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9 No.-

        So far, when we explain the method to train acting, we have separated the training methods such as the training method for stage acting necessary to have large expressions, and the training method for camera acting necessary to have detailed expressions, and then we have perceived them just as they are training methods in different areas. However, now, it is the time to understand them as a single acting training by going back to the theoretical aspect. With the change of the time, the actors’ acting domain is endlessly expanding. On top of the collapsed boundary of methods to express acting for each medium, in case of the computer graphics shooting environment for film and drama, the size and range of the scenes desired to be shown by image directors, get bigger and diversified. When the techniques to visualize invisible or non-existent characters in reality are developed more, the number of cases for changes within acting environm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No one can be sure that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diversified acting space and the existing acting methodologies expressing just like the essence of theater acting is different from film acting by simply dividing them, could represent the shooting methods of the changing time and actors’ numerous expression methods.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a space for acting that is rapidly changing,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the actors’ space design is carried out, to find the reasons why it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amera acting methodology which is separated from stage acting, and also to suggest the training method for adapting to new shooting environments. 지금까지 우리는 연기훈련 방법을 설명할 때 큰 표현을 필요로 하는 무대연기 훈련법과 세밀한 표현을 필요로 하는 카메라연기 훈련법으로 구분하여 그 명칭을 정하고 마치 다른 영역의 훈련방법인 것처럼 인식해 왔다. 하지만 지금은 다시 원론으로 돌아가 하나의 연기훈련으로 이해해야 할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배우들의 연기 영역이 끝없이 확장되고 있다. 매체별 연기표현 방식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영화, 드라마의 컴퓨터그래픽스 촬영환경의 경우 영상 연출가들이 보여주고자 하는 장면의 크기와 범위가 더욱 크고 다양해지고 있다. 현실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 혹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인물을 시각화하는 작업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연기환경 속 경우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양해지는 연기 공간에 대한 이해 부족과 지금껏 연극연기와 영화연기로 단순 구분하여 마치 연기의 본질이 다른 것처럼 표현해 온 연기방법론들이 변화하는 시대의 촬영방법과 배우의 수많은 표현 방법을 대변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급속도로 변하고 있는 연기공간의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연기자의 공간설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무대연기와 경계를 두고 있는 기존의 카메라연기방법론과 달라야 하는 이유를 찾아내고, 새로운 촬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훈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매체연기 특성 연구

        박호영(Ho-Young Park),민경원(Kyung-Won Min)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8

        무대연기와 매체연기는 매체의 특성상 연기 표현 방법이 확연히 다르다. 그렇지만 연기 기초를 이루고 있는 연기자 내면의 진실이 변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연기자 내면의 연기는 무대연기와 매체연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체연기는 장르적 특성상 무대연기에 비해서 좀 더 섬세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요한다. 매체연기는 스크린을 통해서 무대연기보다 훨씬 더 디테일하고 확대 되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매체연기의 표현특성을 어떻게 하면 무대연기의 표현방법과 차별화시킬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매체연기를 학습하는 학생 또는 전문배우가 감정이나 행동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리얼한 생활연기를 보여줄 수 있는 매체연기 표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매체연기 훈련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표현방법은 매체연기를 도전하는 배우가 내면의 진실을 프레임 안으로 자연스럽게 끌어들이는 훈련을 통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매체연기에서 요하는 섬세하고 디테일한 연기 스타일을 구축 할 수 있는 기회와 더불어 무대연기와는 차별화된 연기 스타일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Due to media’s characteristics, the methods of acting expression in stage differ from that in media. However, actors playing in either genre use the same internalization as the basis of their performance. The acting arising from actors’ internalization is the same in stage acting and media acting. Nevertheless, media acting, by its genre characteristics, requires a more delicate and natural acting than that in stage acting. Such is because media acting shows a far more detailed and amplified performance that is shown on scre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o differentiat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media acting from the expression methods of stage acting. Through this research, I attempt to present the expression methods of media acting that can show real life acting reflecting media’s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 the aim of benefiting students who practice media acting or professional actors. Diverse expression methods presented by training of media acting are expected to enable actors engaged in this field to produce excellent outcomes through acting training to successfully bring out a realistic and convincing performance through internalization. And together with the opportunity to build delicate and detailed acting styles that are required in media acting, acting styl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stage acting will also be discussed.

      • KCI등재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방법론 연구 - ‘왼손이’와 ‘날아라 장수매’의 공연사례를 중심으로 -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연기란 배우가 등장인물이 되어 관객에게 이야기를 들려주고 보여주어 관객에게 감흥을 일으키는 예술 적 행위이다”라고 일반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겠다. 그러나 언어와 인물 내면이 연기의 중심인 스타니슬 랍스키의 사실주의 연기, 신체의 유연성을 강조하는 메이어홀드의 생체역학(biomechinics)3) 연기, 배우와 등장인물간의 거리두기를 통해 소외효과(alienation effect)를 강조하는 브레히트4) 연기론 등등, ‘연기란 무 엇인가’에 대한 기본 정의는 맥을 같이하여도 연기 방법론은 시대에 따라, 연극사조에 따라 혹은 연출가 의 사상에 따라 그 연기방법론을 달리하여 연구되고 발전되어왔다. 창작 탈놀이극과 탈놀이 연기방법은 우리나라 민속예술인, 탈춤, 풍물굿, 무속굿, 전통무용, 민요, 판소 리 등과 지난 70-80년대에 성행한 마당극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창작 탈놀이 연기는 현실을 재현하는 사실적 연기와는 달리 몸의 신체적 표현을 중시하는, 탈놀이 고유의 특징적 연기 방식이 자리 잡고 있으 며 그 제 요소들의 방법론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본 논고에서는 우리나라에서 70년대부터 자생적으로 나타난 창작 탈놀이극의 연기 방법과 창작 탈놀 이극 두 편의 공연에 적용된 사례를 통해 탈을 쓰고 놀 때, 탈을 가지고 놀 때에 나타나는 탈놀이 연기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cting is generally defined as “an artistic activity in which a story is told by means of its enactment by an actor or actress who adopts a character to inspire audience”. However, various acting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times, according to the theater theory, or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director even though the basic definition of ‘what acting is’ is the same. Examples are such as; Stanislavsky's realism focused on language and inner sides of characters, Mayerhold's Biomechanics emphasizing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nd Brecht’s theory which emphasizes the alienation effect through the distance between the actor and the characters, Creative Mask play and its acting method are rooted in Korean traditional fork arts such as mask dance, poongmulgut(percussion music), moosokgut(shamanism), korean dance, folk song, pansori(solo epic chant) and madangkuk(open air play) which was flourished in 70s and 80s. In contrast to the realistic performance that reproduces reality, the act of creative play h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acting, which emphasizes the physical expression of the body and its methodological importance is enormous.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the acting methodology of Creative Mask play originated from 1970s in Korea. In addition,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possibility of future developments of this Creative Mask play.

      • KCI우수등재

        연기(Pratītyasamutpāda)=공성(Śūny atā)=중도(Madhyamā pratipat) : ‘공’사상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나가르주나와 초기대승불교도의 노력

        이영진(Lee, Youngjin)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60 No.-

        나가르주나[龍樹]는 그의 저서인 ≷근본중송≸(Mūlamadhyamakakārikā)의 24장 18번째 게송에서 “연기(緣起 Pratītyasamutpāda)=공성(空性 Śūnyatā)=중도(中道 Madhyamā pratipat)” 를 주창한다. 그는 또한 귀경게에서 붓다가 ‘연기’를 설하셨다고 하며, 이 ‘연기’의 수식 어는 대승불교경전에서 ‘공성’을 지칭하거나 이와 연관된 여덟 가지 부정어[八不]이다. 따라서 나가르주나 사상의 핵심에는 ‘연기’를 붓다의 가르침(buddhavacana 佛說)으로 보고, 이를 ‘공성’으로 정의 혹은 치환하는 ‘연기=공성’의 등식이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사상사 혹은 문헌비평을 통한 문헌학적인 조사에 의하면, 대승불교문헌 가운데 가장 빠른 내용을 보존하고 있는 ≷팔천송반야경≸ 제 1장에는 ‘연기=공성’ 나아가, ‘연기=중도’, ‘공성=중도’가 언급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성’(śūnyatā)이라는 용어조차도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적어도 초기 대승불교 경전의 최고층(最古層)에는 ‘연기’와 ‘공성’은 상호 연결점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호 독립적인 개념임이 분명하다. 본 논문에서는 ≷반야경≸과 ≷십지경≸이라는 초기대승불교문헌에 보이는 상호 무관한 ‘12지 연기’와 ‘공성’사상을 결합하고자 했던 시도를 조사함을 통해서, 나가르주나의 “연기=공성”이라는 선언은 ≷반야경≸ 등의 초기대승불교경전의 편집자들과 마찬가지로 주류불교에서 ‘법성’(法性 dharmatā)으로 간주해온 ‘12지 연기’라는 매개체를 통해 대승불교의 ‘공’사상에 정당성 즉 ‘불설’의 지위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Nāgārjuna (c. 150~c. 250 CE) declares in the 24th chapter of the Mūlamadhyamakakārikā that dependent origination (zūnyatā) is identical with emptiness and the emptiness also denotes the middle path (madhyamā pratipat). Moreover, he maintains in the maṅgala verses of the text that the Buddha himself taught the doctrine of dependent origination, of which eight modifiers refer to or relate to the emptiness presented in Mahāyāna texts. In this regard, an equation of dependent origination=emptiness lies at the core of Nāgārjuna’s doctrine presented in his masterpiece. However, modern philological studies show that the first chapter of the Aṣṭā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the earliest stratum of Mahāyāna texts, mentions neither the equation nor the term ‘emptiness’ itself. Therefore, it is probable to deem that Nāgārjuna has replaced dependent origination, generally acknowledged as the Word of the Buddha (buddhavacana), with emptiness for giving authenticity to the newly invented tenet. This paper aims to unveil that not only Nāgārjuna but also editors of the early Mahāyāna sūtras like the Daśabhūmika sūtra and Prajñāpāramitās have endeavored to provide the title of ‘Word of the Buddha’ to the emptiness. It has been done by interpret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ccepted as the nature of things (dharmatā) by traditional Buddhists, with emptiness (=nonexistence) regarded as the nature of things by Mahāyānists who followed and adopted the Prajñāpāramitā system.

      • KCI등재

        오디오 촉각도서의 음성연기법 연구

        김혜주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에서 진행하는 「2020년 메이커 창작프로젝트 지원」 혁신선도의 부문에 선정된 동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사업으로써,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클 라우드 기반 IoT 오디오 촉각도서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창작동화를 녹음하며 주제에 맞는 음성연기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해 성우들의 음성연기와 유아교육가들의 동화구연법의 연구를 바탕 으로 IoT 기술을 활용한 오디오 콘텐츠 속의 연기법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 였다. 또한, 자동 오디오 재생이라는 환경과 시각장애인이라는 대상에게 적용되는 특수한 현실성에 음성 연기법의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자는 오디오 제작 책임연구원으로 참여하면서, 클라우 드 공유가 가능한 촉각도서 제작과정에서 최명진 작가의 어른동화 <애착인형> 1·2편의 오디오 콘텐츠 세부책임자로 역할을 하였다. 녹음과 음성연기지도 실행과정 안에서 어떠한 연기법이 구현되어야 효율 성이 극대화 되는지에 초점을 두고, 함께 참여한 동서울대학교 연기예술학과 재학생 3명의 인터뷰를 중 심으로 음성연기법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구연동화, 라디오드라마의 결합을 뛰어 넘는 시각장애인들의 특수성에 대한 촉각도서 음성연기법의 주안점을 다음과 같이 피력했 다. 세밀한 호흡의 변화, 마이크 안에서의 방향과 원근감을 고려한 발성, 보이는 듯한 입체적이고 세밀한 연기력과 인위적이지 않되 정확한 발음을 꼽았다. 다채로운 발성을 통하여 더욱 세밀해야 하는 시각장애 인을 위한 촉각도서의 음성연기법을 통해서 억양과 의성어, 의태어 등 다양한 육감의 소리로 구현되는 체현화의 증요성을 전체적인 흐름 하에 적용시키는 중요성에 대해서 인지하고 실현하는 장이 되었다. 이 는 배우들이 매체연기와 무대연기, 동화구연을 넘나드는 목적과 특수성을 감안한 환경에 적극 대처하고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a business of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of Dong Seoul University, 2020 Maker Creative Project Support, which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The main task of the project was to create contents of cloud-based audio tactile book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is research was planned to explore appropriate methods of voice acting in a setting of Internet of Things(IoT) by recording creative fairy tale. For this, various acting styles of voice actors and storytelling techniques of children educators were analyzed and discussion was held subsequently to find out how acting methods should be changed for audio contents combined with loT. In addition, acting methods in the unique setting of automatic audio play were investigated. I work as a senior researcher for audio production and was responsible for audio contents of a series of An Attachment Doll, written by Myeong-Jin Choi, and the audio tactile book is now available on Clould. Teaching students who major in acting in Dong Seoul University, I experimented various acting methods with them, observed, and discovered which of them are appropriate for the certain setting. In-depth interviews of three students were analyzed additionally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s. The students reported that four factors of voice acting for the tactile book were crucial; the subtle changes of breathing, the vocalizations according to direction and distance while using a microphone, acting skills, and the accurate pronunciation. This suggests that actors should be prepared for the special setting through training which is based on special methodology.

      • KCI등재

        역할창조과정에서의 매체 특성에 따른 화술훈련 연구

        이상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14 연기예술연구 Vol.6 No.1

        오늘날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보급이 확대되고 방송과 인터넷이 만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공연형태의 새로운 매체들이 계속 출현하고 방 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늘어나면서 연기자의 직업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연기자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연기자가 갖추어야 할 연기적인 요소 또한 중시되는데 그 중에 서도 화술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연기자의 화술은 자신의 말이 아닌 극중 인물의 언어를 가상의 공간 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자신의 상대역 뿐 아니라 제 3의 인물, 즉 관객 또는 TV를 포함한 모든 영상분야를 시청하는 이들에게 내용과 줄거리, 감정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상의 말하기와는 다른 영역임을 인식 하고, 연극연기와 카메라연기에서 화술에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매체의 특성에 맞는 화술을 보다 효과 적으로 구사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기에 있어 연극과 카메라라는 두 매체는 화술의 구사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들 뿐 만 아니라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방식, 작업환경과 방법에서 차이점을 인식하고, 거듭되는 훈련을 통 해 다양한 캐릭터의 창조적 개성과 자발적 충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운용하여 진실 된 화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cultural art industry of our society has changed rapidly. That means the condition of the actors also has done so.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media, technical elements and given situation affect performer how to do the intensity of expression and feeling continuous and cut off due to the interference. In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the performer should change or configure the different style of acting and narrativ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is to help the perform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utual media when the he/she creates the role and present narrative more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o they both have common in training in way of making sound,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nar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how to deliver the method or accept the media. The performer can make more truthful and accurate narrative by training constantly for recognizing the technical mechanism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s such, this study shows that at the present time, the performer who acts to a wide variety of the media, there are some differences when the performers express their narrative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lso this study is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education that teaches the differences. Furthermore,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for the actors and make efficient narrative needs more subdivided acting direc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 KCI등재

        영화연기의 ‘연극적 연기’ 에 관한 연구

        오윤홍(Youn-Hong 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3

        80년대 중후반에 보편화된 동시녹음방식은 한국영화연기스타일에 확연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는 90년대 내내 지속되어서 중반 이후에는 인물과 배우가 융합된 ‘영화적 연기’ 가 당시 대표적 리얼리즘 영화들에서 볼 수 있다. 연기 스타일의 역사에서 인물과 배우의 간극과 융합의 개념은 연기예술의 표현과 모방을 중시하는 ‘성격화’ 과정에서 인물의 존재를 ‘자기화’ 하는 연기예술의 전통을 관통한다. 대체적으로 무대 위의 연기 예술은 배우가 인물을 연기하는 ‘성격화’ 과정을 중시했다. 이는 관객석의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전달’ 하는 연기 방식과 함께 발전되었다. 반면에 카메라 앞에서는 매체의 특성상 인물과 배우의 융합을 추구하는 ‘자기화’ 의 연기 방식을 통해 영화의 리얼리티 구축에 기여해왔다. 이러한 연극적 영화연기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서 장선우 감독의 영화 <경마장 가는 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홍상수 감독의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과 영화적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유사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의 연기 스타일이 확연하게 다르다는 인식에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영화의 비교보다는 과거 한국영화의 ‘연극적 연기’ 스타일에 관한 연구에 매진하였다. Synchronous recording, which had become mainstream by the mid-to-late 1980s, drastically changed the acting styl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change lasted throughout the 1990s,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cinematic performances in which the actors are immersed in the characters can be seen in some of the major realistic films of this time. In the history of acting styles, the concept of either separation or immersion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and the actor has been at the core of the art of acting throughout the history of acting, where the actors try to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during the ‘characterization’ of these characters where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are key. Typically acting on the stage emphasized this characterization where the actor acted out the character. This has advanced with the acting style of ‘projection,’ which is done to overcome the distance with the audience. In front of the camera, in contrast, as 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e acting style of ‘personalization’ where immersion is sought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actor has instead contributed to the realism of movies. To examine such dramatic acting styles, the movie 〈The Road to Race Track〉 by Director Jang Sunwoo was used, because despite being similar to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by Director Hong Sangsoo in terms of the cinematic form and content, the acting styles of the actors are markedly different.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cinematic acting styles of Korean film in the past, rather than trying to compare these two movies specifically.

      • KCI등재

        만남과 마음의 연기와 연기사회론 시론

        유승무(Seung-mu Lew),최우영(Woo-young Cho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1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이른바 ‘구 유럽적 사유’의 지평을 넘어 궁극적으로 ‘연기적 의미론’ 내지 ‘연기사회론’의 지평을 개척하는 사유의 전복을 시도한다. 여기서 연기, 연기사회론은 이 글의 핵심에 해당하는 용어 혹은 개념으로서 상기한 대안 사유의 가능성과 전망을 압축적으로 표상하고 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과연 만남과 마음의 개념적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 그러한 개념 요소들은 이론적 층위에서 어떻게 연기사회론을 구성하는가? 그래서 만약 만남과 마음의 연기사회론이 성립한다면, 그 사회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맑스, 루만, 타르드, 붓다의 생각을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이 글의 이론작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는 구유럽적 사유를 중심으로 한 서구발 근대의 폐해를 폭로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 논의로서 불교를 학문적 논의의 지평으로 불러낸 점이다. 둘째는 연기사회론은 시론적 차원에서나마 운동의 연속체로서 ‘사회적인 것’을 이론화함으로써 모든 사회연구의 기초가 되는 최소 보편 이론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우리의 관점에서 보면, 통상적인 사회이론은 연속체나 변동체인 ‘사회적인 것’을 설명과 이해의 필요라는 명분 아래 부당하게, 혹은 과도하게 고정시켜왔다. 살아움직이는 동사의 세상을 죽은 명사의 세상으로 왜곡하여 이해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연기사회론은 모든 것이 이어져 있는 연기의 세계와 모든 것이 유동하고 있는 운동의 세계를 생생하게 포착하게 한다. 그 강점은 맑스의 변증법, 루만의 체계이론, 타르드의 모나드론과의 비교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In this paper, we try to overturn our thinking by penetrating the positions of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beyond the so-called “old European reasons.” Here,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is a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the potential and prospects for the above alternative reasons as the term or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core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asks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conceptual meanings of meeting and mind? How do those concept elements form an act society on a theoretical level? So, if meeting and mind acting social theory are established, what is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discuss them by comparing the ideas of Marx, Luhmann, Tarde and Buddha.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article implies several implications: The first is to expose the evils of modern Western Europe centered on old European causes and to bring Buddhism to the ground of academic discussion as an alternative discussion. Second,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has been founded on the basis of the least universal theory underlying all social studies by theorizing ‘social’ as a continuum of movement, although on an essay level. From our point of view, conventional social theory has been unfairly or excessively fixed on the pretext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the continuum or the variable ‘social.’ It can be said that he has distorted the world of a living and moving verb into a world of a dead noun.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give us a vivid picture of the world of all-in-one Buddhism and the world of movement in which everything is flowing. The strength is evident in the comparison of Marx’s dialectic, Luhmann’s system theory, and Tarde’s theory of Monad.

      • KCI등재

        緣起法이 불타 自內證이라는 經證 검토 -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인가?(Ⅰ)

        권오민(權五民)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7 No.-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불타의 깨달음(自內證)이 ‘緣起法’이라는 것은 기정사실이 된 듯하다. 그리고 이 때 연기법은 대개 相依性 내지 空性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그런 점에서 불타 깨달음이 연기법이라고 하는 것은 대승의 스크린을 거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불타 깨달음이 연기법이라는 우리의 이해는 멀게는 대승불교, 가깝게는 근대이후의 일본불교학계의 해석이라는 전제 하에, 초기불교의 諸 經律과 阿毘達磨에 의거하여 그러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 經證에 대해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BR>  우리가 일반적으로 불타의 깨달음이 緣起法이라고 주장할 때 인용하는 경설은, “연기법은 내가 지은 것도 아니고 다른 이가 지은 것도 아니다. 여래가 세간에 출현하든 출현하지 않든 法界 常住한다”는 『잡아함경』권12의 제296경(T.2.86b; 혹은 제299경 T.2.85b)과 “연기를 보는 자 法을 보며, 만약 법을 보는 자 연기를 본다.”는『중아함경』권7의「象跡喩經」(T.1.467a)--, 그리고 正覺 후 12연기를 順逆으로 觀하였다는 율장『대품』(I.1.1-8)이나『우다나(Ud?na)』(I.1.1)의 기사이다.<BR>  첫 번째 경설에서 ‘法界 常住’라는 말은 緣起法과 緣已生法의 인과관계가 ‘결정적인 것(dh?tu dhamma??itat? dhammaniy?mat?)’임을 나타내는 것일 뿐으로(S.N.Ⅱ.25;『대비바사론』T.27.116a), “여래가 세간에 출현하든--”이라는 형식의 표현은 3法印이나 老病死 등의 5不可得法에도 사용되고 있다.<BR>  두 번째 「象跡喩經」의 취지는 4성제 그 중에서도 苦聖諦를 중심으로 하여 5蘊의 因緣生起를 밝히려는 것으로, 여기서의 ‘법’은 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5取蘊이다. 따라서 이 경은 ‘불타 깨달음은 연기법이다’는 경증이 될 수 없을뿐더러 도리어 4성제가 불타 깨달음임을 입증하는 경문이라 할 수 있다.<BR>  세 번째 율장『대품』과『우다나』는 諸經說에 근거하여 후대 부가된 것이므로 이 역시 ‘불타 자내증이 연기’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별도의 독립된 논거로서 사용할 수 없다.<BR>  그렇다면 불타는 무엇을 깨달은 것인가? 광의로 말하면 4聖諦이며, 협의로 말하면 煩惱斷盡의 열반 즉 漏盡智證明으로, 이에 대해서는 본고의 속편인「4聖諦와 12緣起」라는 논문에서 밝히게 될 것이다.

      • KCI등재

        龍樹의 中論에 나타난 緣起와 관련된 諸用語에 대한 검토

        윤종갑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4 No.-

        相依란 개념은 오늘날 연기 해석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龍樹는 기존의 연기 해석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상의란 용어를 처음으로 도입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시도에는 분명 그러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용수의 연기설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용수가 왜 상의란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ꡔ中論ꡕ에서 이 상의란 개념이 어떻게 해석되고 있는지를 ꡔ中論ꡕ에 나타난 연기와 관련된 제용어를 비교ㆍ분석함으로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1) 연기에 대한 가장 중요한 내용을 설명할 때에는 pratītyasamutpāda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불교의 중심교리인 空, 中道, 四聖諦 등과 함께 긍정적인 의미(적극적인 의미)로 사용할 때는 연기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다. (2) 인과관계와 상의관계를 비롯한 모든 관계는 自性을 전제할 때는 성립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인과와 자성, 그리고 상의와 자성의 관계를 모순관계로 파악하여 자성을 부정함으로써 인과와 상의를 긍정하고 있다. 이때 인과와 상의는 연기를 의미한다. (3) 자성을 부정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상호의존의 관계를 들고 있다. 이와 같은 의도에 따라 연기가 갖고 있는 특징 중에서도 상의성의 의미를 단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upādāya, apekṣā (paraspara)와 같은 용어를 새로 도입하여 연기를 설명한다. 대신 기존에 사용되던 용어 가운데 因果의 의미가 강한 nidāna(緣由), jātika(生因), pabhava(現出因) 등과 같은 용어는 나타나지 않는다. 결국 용수는 그의 ꡔ中論ꡕ에서 說一切有部의 ‘유의 형이상학’을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상의’를 내세웠다. 즉, 연기가 갖고 있는 성질 가운데 유부의 실체론적인 사고와 인과론적인 연기해석을 시정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의미를 띠고 있는 용어 중의 하나가 apekṣā paraspara였다. 그 결과, 용수는 ‘상의’의 의미를 강조함으로서 연기의 본래적 의미인 ‘무자성 공’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Examination to many terms concerning the Pratītyasamutpāda which appeared in Mādhyamika-śāstra of Nāgārjuna ― Yun, Jong-Gab ― The concept said as apekṣā is the most important term in an adjournment interpretation today. Using apekṣā for which Nāgārjuna was not used in the past. Here is a clear reason. Therefore, it often finds why Nāgārjuna come to take inapekṣā. Consequently, the next was found. (1) Pratītyasamutpāda is used when explaining the contents with important No. 1 over Cause and effect. When especially important Buddhism a doctrine explaining , it uses. (2) If the premise of the svabhāva is carried out, it will show that neither Cause-effect nor paraspara apekṣā is realized. That is, Cause-effect and paraspara apekṣā are grasped by the inconsistency relation. (3) upādāya and apekṣā are important also in it. Attached nidāna, jātika(, pabhava does not appear. After all, Nāgārjuna used apekṣā paraspara, in order to take and remove svabhāva of Metaphysics by his Mādhyamika-śāstra. That is, substantialism-thinking and an unfortunate theory-interpretation were denied. Consequently, Sunya was recove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