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과 회계정보 가치관련성의 관계

        이재은 ( Jae Eun Lee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3

        선행연구(Blouin et al. 2007; Vermeer et al. 2008 등)에서는 감사담당 파트너의 소속 회계법인(감사인) 이동을 따른 고객회사의 감사인변경을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이라고 표현하였다. 국제적 대형회계법인의 급격한 변동이 있었던 2000년대 초, 국내에서도 안진회계법인과 Deloitte가 새로 회원계약을 체결한 후에 Deloitte의 종전 회원법인이었던 안건회계법인("안건")은 2005년 3월에 한영회계법인("한영")과 통합하였다. 이 통합은 안건 파트너와 회계사들의 소속이동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이에 맞추어 다수 안건 고객회사들이 한영으로 감사인을 변경한 것은 외관상으로 위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 사례로 볼 수 있다. 위 상황을 기초로 한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05년 안건 고객회사 105개이며, 연구대상기간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표본이다. 최종 표본은 결측치 등 제외 후 576 기업;연도이다(이 중에서 안건에서 한영으로 감사인을 변경한 실험표본[ Follower]은 409 기업·연도, 타 감사인으로 변경한 통제표본[ Non-Follower] 은 167 기업;연도이다).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은 공격적 이익조정 등 감사인 교체비용이 높을 수 있으며(Blouinet al. 2007), 이에 따라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이 감사인의 외관상 독립성을 훼손한다는 부정적 인식을 줄 수 있다. 동시에 안건과 한영의 통합은 감사인 합병과 유사하게 효율성 향상 등을 통한 감사품질 개선효과(Choi et al. 2013 등)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감사인변경 전·후 및 비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과 비교할 때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의 회계정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한다. 본 연구의 초점은 파트너연고에 따른 감사인 독립성 훼손가능성(부정적 측면)과 감사인통합의 감사품질 개선효과(긍정적 측면)의 상반된 측면이 투자자들의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에 있다. 연구 결과,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의 감사인변경 이후 순이익 가치관련성은 비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의 감사인변경이후 상대적 가치관련성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지만, 비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기업의 감사인변경 이후 상대적 가치관련성이 증가된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이 결과는 몇 가지 강건성 분석결과에서도 질적으로 유사하였다. 이 조사결과는 상대적으로 투자자들이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함을 나타내며, 동시에 비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에 대해서는 기업의 자율적 자기선택 과정에서 불리한 비대칭정보(예, 높은 감사인 교체비용 가능성)의 상황이 완화된 것으로 받아들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흥미를 끄는 이유는 감사인변경에 대한 연구들에서 파트너연고 관점을 고려한 것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감사인의 연고위협(familiarity threat)은 감사인 윤리기준에서 설명하는 대표적인 감사인 독립성위협 항목의 하나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주제는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파트너연고 감사인변경이 갖는 감사인의 외관상 독립성 위협에 대한 투자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실증확인한 점이다. Blouin et al. (2007) and Vermeer et al. (2008) find the audit firm changes of audit clients which coincide with their audit partner`s transfer of audit firms at the clients of Arthur Andersen(AA), and explained that they are "the 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For this purpose, we refer to the incident that Ahnkwon LLC. (Ahnkwon) - the former Deloitte firm in Korea - substantially finished its business in early 2005(right after completion of 2004 audits), and most of its audit partners transferred to other audit firms in March 2005. In the process, we find that substantial portion of 2004 Ahnkwon partners transferred to Ernst & Young Hanyoung (Hanyoung) - the E&Y firm in Korea - in March 2005, and majority of Ahnkwon`s 2004 audit clients also changed the auditors to Hanyoung for 2005 audits. Surviving audit firm in the merger legally succeeds audit partners of the merged audit firms and auditor positions of their clients; however, partner`s transfer of the audit firms does not legally mandate to succeed audit partners and auditor positions. If the clients want to change the audit firm to follow the partner`s transfer, they have to take auditor selection procedures where they voluntarily appoint the ex-partner`s new audit firms as their external auditors. I empirically find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audited by an audit firm in the close of its audit business and its clients change auditor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the " FOLLOWER").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see how the investors perceive such auditor changes since such audit firm integration has two aspects: (i) clients having higher auditor switching costs (e.g. higher earnings management) are more likely to be the FOLLOWER(Blouin et al. 2007), and (ii) audit firm merger would gain economy of size, thereby increasing quasi rents (e.g. when the duplicate offices are integrated by the merger). The former would indicate impairment of auditor independences in appearance. i.e., the client firms with the higher auditor switching costs are more likely to be the FOLLOWER, and if the investors recognize asymmetric information unfavorable (e.g. higher auditor switching costs) they would negatively perceive such auditor changes. The latter would indicat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as reported by Choi et al. (2013). However such effects may be restrictive. Based on these, we see the Ahnkwon`s 2004 clients who changed their external auditors to Hanyoung and other audit firms in 2005 to be the FOLLOWERclient firms who change auditor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Ahnkwon`s 2004 clients are 105 firms, and final samples are 576 firm-years consisting of experimental FOLLOWERsamples of 409 firm-years and control samples (" NON-FOLLOWER") of 167 firm-years. NON-FOLLOWER samples are Ahnkwon`s 2004 clients who changed their external auditors to the other audit firms than Hanyoung in 2005. Partner`s transfer of audit firms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he audit firm merger in a sense of auditor changes of the clients. More specifically, I assume that the integration of Ahnkwon and Hanyoung has both characteristics of "partner-familiarity following" and "audit firm merger", but expect that the former`s negative effects on the investor`s perception would be more significant than the latter`s positive effects since Ahnkwon was integrated into Hanyoung in the form of partners and professional staffs` transfers, instead of in the form of merger. Merger would be more unfavorable when the integrated firm succeed the potential legal liability. Before the Ahnkwon-Hanyoung integration, Ahnkwon assumed legal liability for audit failure, which reportedly triggered its farewell to the Deloitte network. If the incremental value relevance of earnings information of the FOLLOWERis significantly negative after the auditor chang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investors perceive such auditor changes negatively. I found that, comparing to the NON-FOLLOWER`s, the relative value relevance of the FOLLOWER`s audited earnings information (i.e. the firms who changed auditor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decreases after such auditor changes. Specifically, the consequences are the combined results that the value relevance of the NONFOLLOWER`s earnings increases after the auditor change while the FOLLOWER`s remains with no significant change. Results of the robustness tests by (i) examining the differential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ERC), (ii) expanding to transfers of multiple 2004 Ahnkwon audit partners (i.e. three or more partners transferred to the same audit firms other than Hanyoung), (iii) variable values deflated number of shares outstanding (instead of deflated by the lagged total assets in the main tests), (iv) control samples of non-Ahnkwon client samples selected using propensityscore- matching samples are also generally consistent with this finding. Based on this result, I conclude that the investors negatively perceive the 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possible impairment of the "auditor independence in appearance" caused by such 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are negatively perceived by the investors.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cidents of 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in the Korean audit firms` integrations, and such auditor changes following partner familiarity are resulting in the investors` negative perceptions. Moreover, it has additional contributions by expanding the audit researches one step forward in a sense that most existing audit literature has been focusing on audit quality at the audit-firm levels; but this paper extends audit quality studies to the audit partner levels. This result also has regulatory implications by empirically finding that possible impairment of auditor independence in appearance is negatively perceived by the investors no matter whether the audit quality would be actually worsened or not after the auditor changes. This indicates that the investors recognize this asymmetric information (e.g. higher auditor switching costs) captured by the auditor transfer, and negatively perceive such auditor changes. This has regulatory implications that the investors are negatively reacting to the incidents based on the asymmetric information which happened to be revealed.

      • KCI등재

        緣故網 活用과 緣故主義 問題

        윤용남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5 No.-

        연고주의는 오늘날 한국인의 사고와 행동을 지배하는 틀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을 때는 발전의 원인이라고도 하고, 경제가 침체하였을 때는 침체의 원인이라고도 한다. 또 윤리적으로도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양면성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양면적 특징과 역할을 가진 연고주의는 어느 정도까지는 동서고금에 공통적인 정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교에서부터 발원한 연고주의는 좀 더 특별한 점이 있다. 왜냐하면 단순히 친분관계가 있는 사람끼리 서로 이익을 나누고 서로 친목을 도모하는 정도의 비조직적 비철학적인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孔子는 血緣, 地緣, 學緣 등의 緣故網에 근거를 두고 仁思想을 펼쳤다. 연고망내에서 서로 사랑하는 것을 보고, 여기에 근거하여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복지 체제를 만들었다. 즉 노인복지, 의료, 哀慶事 문제 등을 孝나 연고망내의 상호부조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 연고망이 연고주의로 흐르지 않고, 仁과 義의 범위 안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철저한 교육과 상호견제체제를 만들었다. 이런 유교사회가 민주자본주의 사회로 바뀌면서 연고망의 용도는 반감하였고, 오히려 이를 이익추구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하였다. 연고망이 연줄망으로 변질되어 연고주의가 만연하게 된 것은 민주자본주의가 가져다 준 하나의 부산물인 셈이다. 이제 연고주의는 버리고 연고망은 되살려, 물질적 풍요를 누리면서도 구성원간 인간적 유대감을 유지하게 하고, 민주사회 구성원이 갖는 고립감을 완화시키고, 자본주의의 지나친 경쟁심을 줄여야 한다. 이처럼 연고망을 활용하여 자본주의의 결함을 수정하고 유교자본주의로 나아간다면, 인류의 미래에 더 바람직한 새로운 세계가 열릴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연고주의 담론과 유교와의 무관련성 연구

        장현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8 아태연구 Vol.15 No.1

        Confucianism has been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Korean Society. Recently some scholars in fields such as Asian Studies, Political Economy and Sociology have emphasized that Confucianism can be attributed to core factors including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Some Sociologists wish to call your particular attention to Korean network society as an affectional relationship. They think the 'network-oriented' nature of Korean society came from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can understand it as a form of reducing 'transaction cost' for the entire Korean society, and steer industrialized Korea to prosperity. Some people say that conceptualized 'Confucian Democracy' or 'Confucian Capitalism'. It proved to be true? We know that Korean traditional society is very different from the West where society is ordered around individual values, but have a rich contents of community. Confucian values will be more esteemed and treasured by people as they became harder maintain, as it becomes impossible economically to practice those virtues. Confucianism not be connected with Capitalism. Network is extremely important for Human beings(not only Korean) because it is through building and maintaining ties that they order their world and pursue their goals. It is also an important means to build trust. As we all know, filial piety, discipline, work ethic, and meritocracy are not only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but also can be found in other cultures, they were shared and practiced in the U.S. during the forties and fifties, for example. To be sure, their opinion had the effect of booting public`s awareness of Confucianism. However, their overemphasize came to the detriment of serious and balanced inquiry into the history, logic, and ideals of this traditional Confucianism. There is not an indissolubl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Korean discourse of nepotism or the network society.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task of modernizing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need not lead to conservative conclusions, and need to develop normative arguments which would explain why certain values should continue to remain influential and why others should not. 유교는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유용한 틀이다. 최근 일부 학자들은 한국의 정치·경제·사회 현상을 설명하면서 유교의 역할을 언급하고 있다. 특히 몇몇 사회학자들은 현대 한국의 경제성장 요인을 분석하면서 핵심 동력으로서 유교적 인간관계를 언급하고, 그것을 연고주의로 풀어내어 이른바 거래비용을 줄이는 긍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필자는 근래 한국사회의 연고주의가 원래 유교의 취지와 아무 관련이 없으며, 소위 유교민주주의니 유교자본주의니 하는 최근의 한국사회 담론들 또한 유가사상의 본질과는 관련이 없음을 밝히려 한다. 연고주의 담론이 왜 등장했으며 그것이 유교의 본질에 반하고 있다는 논지에서 출발하여, 한국 근대사회 연고주의 담론의 여러 문제와 병폐들을 지적하고, 유교는 원래 반연고주의를 본질로 함을 강조한 뒤 다음 두 가지로 결론을 이끌고자 한다. 첫째 한국사회 연고주의가 유교 전통에서 유래한 유용한 사회자본으로서 경제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불철저한 유교인식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시민사회의 발전이 바른 길임을 천명하고자 한다. 둘째 [연고주의 ← 가족주의 ←유교]라는 도식으로 유교가 연고주의의 원산지라고 설명하는 방식이 근거가 없음을 밝히고, 거기서 나아가 연고주의가 전통 유가사상에 배치되며, 유가사상의 현대화는 연고주의 탈피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호그와트 혹은 삶의 이야기들: 연고적 자아의 관점에서 읽는『해리 포터 시리즈』

        이경화 ( Lee Kyeong-hwa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연고적 자아를 중심으로 한 샌델의 이론을 사용하여『해리 포터 시리즈』에 묘사된 마법세계를 현실의 대안적 공간으로서 연구한다. 샌델은 공동체와 사회관계 같은 다수성의 토대가 개인의 자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에서 자아를 연고적 자아라고 부른다. 연고적 자아의 관점에서 볼 때, 자아는 공동체와 도구적 관계를 맺지 않고 공동체를 한 부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개인들은 함께 공동체의 문제를 고민하고 좋은 삶을 모색할 수 있다. 연고적 자아는 개인의 사회적·역사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연고적 자아는 개인의 자아가 공동체의 사회적·역사적 정황을 소유하기보다 사회적·역사적 기반 위에서 형성되고 그 안에서 자신을 이해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연고적 자아는 살면서 중대한 고비를 만날 때마다 공동체의 이야기 속에서 내 이야기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지를 고민한다. 공동체 역사의 서사적 흐름 속에서 제 삶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존재가 연고적 자아인 것이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호그와트는 기숙사 생활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협동의 중요성을 교육시킨다. 호그와트의 교육과 이곳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학생들의 자아를 구성한다. 허마이오니는 좋은 예를 보여준다. 호그와트에 입학한 후 허마이오니는 다른 학생들에게 잘난 척하며 남을 배려하지 않는 모습으로 비춰져 그녀는 이렇다 할 친구 하나 없는 삭막한 학교생활을 보낸다. 그러던 중 핼러윈 데이에 트롤 소동이 벌어진다. 허마이오니는 해리와 론이 자신을 구하기 위해 화장실로 달려오고 이들과 함께 무서운 트롤을 상대로 싸우는 것을 경험한다. 허마이오니가 한 경험은 그녀의 자아에 변화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해리 포터 시리즈』의 주요 등장인물들은 연고적 자아로서 다수성의 토대가 이들의 자아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연고적 자아로서 이들은 개인적 삶을 사는 차원에 머물지 않고 호그와트를 위해 공동체적 행동에 나선다. 볼드모트의 무리가 호그와트로 진격하자 해리, 론, 허마이오니 그리고 네빌을 비롯한 호그와트의 구성원들은 혼연일체가 되어 싸운다. 이들은 모두 연고적 자아로서 호그와트의 서사 속에서 제 삶의 이야기를 써내려가는 역사의 주체들이다. This essay aims to study Sandel’s theory on encumbered self and analyze the Harry Potter series from Sandel’s theoretical viewpoint with its focus on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and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Sandel argues that Rawls’s theory of justice assumes that self is complete before he has any experience in society, and from this perspective individuals cooperate only when they share common interests. Sandel claims that self is formed on the basis of plurality. Sandel’s concept of encumbered self, therefore, emphasizes that individuals are the social and historical subjects who think what is good life for their community and make efforts to achieve it. In the Harry Potter series, Hermione is endangered as a troll escapes from the dungeons in Hogwarts. Then, Harry and Ron go to the rescue of her, and three of them cooperate to beat the troll down. Harry, after realizing that he is Horcrux, agonizes in the large context of what is good for Hogwarts. Hermione, Harry and the other main characters of the series can b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encumbered self.

      • KCI등재

        청년취업에 있어서 ‘연고주의 사회자본’ 인식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청년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엄영호 ( Eom Young Ho ),안민우 ( Ahn Minwoo ),김정숙 ( Kim Jungsoo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본 연구에서는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의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사회자본(경제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이 갖는 사회경제적 지위 중 취업과 임금은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쳤다. 취업이 되면 개인은 더욱 강한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을 갖게 되는 반면, 임금이 높아질수록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은 낮아지는 것이다. 둘째, 부모가 갖는 사회자본 중 부동산 소득이라는 경제적 자본은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임금 소득과 달리 부동산 소득만이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을 높인다는 것은 한국 사회가 오랫동안 부동산 신화를 가져온 사회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은 분석 결과는 부모가 교육을 많이 받는 정도보다는 어떤 지위를 가지고 있는가가 문화적 자본을 설명하는데 더욱 유의하며, 더불어 이러한 지위가 자녀의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셋째, 부모가 가진 문화적 자본 중 교육 정도보다는 종사상 지위가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모가 가진 문화자본은 자녀가 가진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머니의 종사상지위 중 무급가족봉사자인 경우 임금 근로자에 비해 개인이 취업한 상태에서 연고주의적 사회자본 인식이 높아지는 정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social capital on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 and wages among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had different influences on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When a person gets a job, he or she has a stronger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while the higher the wage, the lower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Second, the economic capital of real estate income among the social capital of parents raises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Contrary to the wage income of parents, only real estate income raises the perception of an Nepotic Social Capital, which confirms that Korean society has long been a real estate myth.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 that the status of parents rather than the high degree of education is more important in explaining cultural capital, and that this statu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ldren's the perception of an Nepotic Social Capital. Third, it can be confirmed that working status, rather than education, among cultural capitals owned by parents affects the perception of Nepotic Social Capital. Finally, the cultural capital of parents was found to control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f children. In the case of unpaid family volunteers in the mother's employment status, it can be seen that lowering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f an Nepotic Social Capita in the state of individual employment compared to wage workers.

      • KCI등재

        무연고사망자 장례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박진옥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The unclaimed dead have fallen so low as to be regarded as an object of ‘disposal’ and ‘management’ that no funeral process to keep the dignity of the dead exists. Therefore in this study recognized the death of the unclaimed dead and absence of appropriate funeral ritual as a social risks, and focused on the necessity of ‘death right’ which is the right to end oneself’s life with dignity. Stemming on such recognition, this study figures out the status of the funeral system of the unclaimed dead, and contemplates the need for a proper public funeral service system, primari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eath right’ which is necessary for the unclaimed death’s dignified completion of life, the perspective of ‘healing and mourning’ of relatives and acquaintance, and the perspective of ‘social mourning’ of the community as a whole. With such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public funeral service system which can let the dead’s family, acquaintances, and society to bid farewell to the dead, and ensure a minimal qualification of funeral for the people who cannot afford their own funeral or for the people who do not have any acquaintance. Moreover, this study not only suggested an amelioration of legal system so that it can allow ‘instead of family funeral’ system but also suggested a statistic management plan that can prevent the number of unclaimed dead from increasing. Henceforward, further discussion of the unclaimed-death-related policy in the viewpoint of social security is required. 오늘날 무연고사망자는 위생적・경제적 측면만을 고려한 ‘처리’와 ‘관리’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있다. 망자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장례절차도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무연고사망자가 존엄하게 삶을 마무리하고 세상과 이별할 권리인 ‘죽음권’을 근거로 무연고자의 죽음과 장례의례의 문제를 사회적 위험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무연고사망자 당사자의 존엄한 삶의 마무리를 위한 ‘죽음권’ 측면에서, 가족과 지인의 ‘애도와 치유’의 관점에서 그리고 공동체의 ‘사회적 애도’라는 세 가지 주안점에서 무연고사망자 장례 실태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연고자가 없는 사람도, 재정적으로 어려운 사람도 공공이 최소한의 장례절차를 보장하고, 가족과 지인 그리고 사회와 이별할 수 있는 ‘공영장례의 제도화’와 가족이 아닌 지인 등도 장례를 할 수 있는 ‘가족 대신 장례’ 제도를 위한 법제도 개선 그리고 해마다 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의 예방과 대책을 위한 무연고사망자의 체계적인 통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사회보장적 측면에서 무연고사망자 관련 정책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가 조직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규철(Kyu-Cheol Lee) 한국공기업학회 2023 공기업논총 Vol.23 No.2

        한국사회에 있어서 연고주의는 타 집단(outgroup)의 구성원을 차별하는 내적 귀속성과 외적 배타성이 강한 집합주의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논문은 K공사의 지역 부서장 연고지 배치가 조직 경영평가와 관련하여 실증적 통계자료를 통해 살펴 봄으로써 연고지 배치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는 ‘청렴도 총점’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는 직원 정보의 높은 이해도를 활용하여 적재적소 직원 인사 배치와 업무분장을 시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와 ‘반부패개선’ 성과 간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반부패 개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동기부여와 조직몰입을 할 수 하도록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는 ‘지역개발 평가’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부서장의 연고지 배치가 지역 현안 사항 등 지역 정보에 대해 잘 알고 있어 지역개발 향상에 중요한 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Korean society, nepotism is a tendency of collectivism with strong internal attribution and external exclusivity that discriminates against members of outgroup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nepotis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empirical and statistical data in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evaluation of regional department heads of K Corporation.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relat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total integrity score'. It was analyzed that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nepotism is analyzed as a way to utilize the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employee information to implement appropriate staffing and work division. In addition, there is a positive effect between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nepotism and 'anti-corruption improvement' performance. It was analyzed that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hometown influenced th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rganization memb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anti-corruption improvement activities. The location of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hometow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Regional Development Assess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placement of the regional department head's nepotism wa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he/she was familiar with regional information such as regional issues.

      • KCI등재

        고소설 주인공의 지역 연고성 분쟁 사례를 통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연구 -홍길동전과 콩쥐팥쥐전을 중심으로-

        김용범 ( Yong Bum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2 No.-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고소설 주인공의 지역 연고성을 확보한다면 지역문화의 정체성을 확립은 물론, 성공적인 문화관광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고소설의 주인공을 축제의 중심 테마로 설정, 지역문화 콘텐츠사업으로 확산시키고자 총력을 기우리고 있다. 그 과정에서 하나의 고소설을 두고 자기 지역의 연고성을 주장하며 분쟁이 야기되고 있는데, 본고는 홍길동전과 콩쥐팥쥐전을 주목하여 그 분쟁 사례를 검토하였다. 강원도 강릉시와 전남 장성군의 홍길동전 연고권 분쟁은 홍길동 실존의 학술적 근거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길동 테마파크, 홍길동 축제 등 다양화하고 차별화된 지역문화콘텐츠를 개발한 장성군이 고소설 홍길동을 차지할 수 있었다. 전북 완주군과 김제시의 콩쥐팥쥐전 연고권 분쟁은 상표권 등록과 용역결과를 토대로 한 캐릭터 개발 및 테마파크 조성 등 문화콘텐츠적 전략을 선행한 완주군이 비교 우외에 있다. 고소설의 지역연고성을 확보한 위 지역자치단체의 전략에는 몇 가지 공통점을 찾아 볼 수 있다. 두 지역 모두 고소설 배경지에 대한 역사적 고증이 선행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와 문화관광을 결합한 전략이 추진되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새로운 수익모델 창출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전제한 것이다.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며 지자체는 자기 지역에서 새롭고 신선한 문화자원을 갈망하게 되고 그 수요에 부응하여 고소설의 주인공들이 새삼스럽게 조명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자기 지역과 유관한 고소설의 주인공 또는 소설 배경지란 소재를 놓고 지자체간의 연고권 분쟁이 야기되고 있다. 확실하게 고소설 지역연고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소재 개발 후, 연고성 증명을 위한 학계의 고증 용역, 용역을 바탕으로 문화브랜드 창출, 테마파크 건립과 문화축제 신설, 문화콘텐츠 산업으로의 확산이라는 전략적 수순을 밟아야 한다. 즉 지역연고성을 바탕으로 문화관광 사업과 문화콘텐츠 산업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자 한다면 기획 단계부터 머천다이징을 전제로 한 정밀한 사업추진이 필요함을 유념해야 한다. In case of ensu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and the famous main character of Korean old novel, the identity of local culture as well as successful cultural tourism can be guaranteed. Therefore the local self-governments have chosen the main character of Korean old novel as the main theme of festival, utilizing the main character as the basement of each own local cultural identity. And they have devoted all their might to expanding local cultural contents business. In that process they bring about disputes, insisting that they have the preemptive rights of one Korean old novel. This article is about reviewing the dispute cases, concentrating ``Honggildong Jeon`` and ``Kongjuee Patjuee Jeon``. In the dispute between Kangrungsi in Kangwon province and Jangseonggun in South Jeolla province Jangseonggun won the victory of Korean old novel ``Honggildong``. As it had secured the academic basis of Honggildong`s existence and developed local cultural contents, such as Honggildong theme park, and Honggildong festival with diversity and specification. In the dispute between Wanjugun and Kimjesi in North Jeolla province Wanjugun is superior to Kimjesi, as it had fulfilled earlier the cultural contents strategy in such as character development and making up theme park. It amounts to that those areas, Jangseonggun and Wanjugun, had fulfilled the strategy combined with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tourism. Since the system of local self-governments settled down, local self-governments have been looking forward to new cultural source in their area. As the demand increased,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old novel are concentrated. The local selfgovernments fulfill the strategies by stages. They develop the material to secure the definite relations with their area. And then confirm the academic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to prove the relations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area. Next they create the cultural brand, and establish theme park and cultural festival. Finally they expand it to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 KCI등재

        조직내 연고주의 행태와 경쟁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이상임(李尙林)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1

        한국인의 행태, 즉 한국인의 사회적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연고(Yeango) 또는 연고주의는 간과할 수 없는 중요변수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자체단체와 회원농협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내 연고주의 행태와 개인 간 상호작용의 상관성 및 주된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의미와 이해를 돕는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경험적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내 개인 간 상호작용, 즉 조직내 개인 간 경쟁에 대한 연고주의 행태의 영향은 주로 학교(혹은 모교), 출생지 등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조직의 차원에서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고주의 행태의 조직내 갈등에 대한 영향은 개별조직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연고주의 행태의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그 정도 또한 미약하였다. 이것은 한국인의 사회적 관계나 개인 간 상호작용 형태가 정서적 요인에서 정치, 경제, 사회?문화 부문으로 확산되고 있음이며, 또한 집단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전환된 전통사회의 연고주의 행태의 집단성과 그 속성의 왜곡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사회의 다양성, 복잡성을 감안할 때, 연고주의 행태의 유형은 개별조직의 특성에 따른 차이의 가능성은 유의해야 할 것이다. ‘Yeango’ or Yeango-ism is very important basic variable to describe Korean people’s behavioral pattern. This study focuses on the yeango-ism related behavior, relationship among people’s interaction and their main influential factors by researching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branch offices of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NACF). It will be useful data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yeango-ism in Korea.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Education and birthplace are main factors to describe yeango-ism’s influence on the people’s interacion and competition in an organization, however, the degree of the influence is not the same, highly different by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he influence of yeango-ism on the organizational conflic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aningless. This is a Korean form of social rel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in the economic or political factors, emotional factors. It is due to the collectivism and its distortion of yeango-ism i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from group centered mind to the individual centered mind. Today, however, given the korea’s diversity, complexity, the type of ointment care behaviors,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type of yeango-ism related behavior differ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무연고사망자의 ‘상주 되기’를 통해 본 사후(死後)의 가족정치

        이소윤 한국여성학회 2023 한국여성학 Vol.39 No.1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unclaimed dead in Korean society is not a natural result of isolated deaths but the ramification of family politics. This is because the meaning of the unclaimed body in funeral regulation is defined by whether the deceased had a‘relative’ before dying. However, only the spouse and blood ties of the deceased can be recognized as a ‘relative’,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For this reason, this article conducted field work and analyzed public funerals for unclaimed dead in Seoul.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term ‘relative’ in the Korean funeral regulation is supported not only by patriarchal family laws but also by medical and social welfare systems. While public funerals for the unclaimed dead provide a physical and socio-cultural basis for ‘Becoming Sang-ju,’ there were still struggles to take over ashes of the deceased. In conclusion, what underlie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unclaimed dead is the normal family ideology that calls out only the blood ties and spouse as the caregivers throughout one’s course of life. In this regard, guaranteeing the rights of ‘Sang-ju’ should transcend merely adding non-blood/ non-marriage relationships to the funeral regulation, ultimately leading to a society of ‘promiscuous’ care that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caring relations established by the state. 본고는 무연고라는 죽음이 혈연과 혼인에 기초한 연고자의 존재여부에 의해 규정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증가하는 무연고사망자’라는 현상을 한국의 가족정치가 초래한 사건으로 위치 짓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가 선택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이며, 서울시 무연고공영장례식의 현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사법상 연고자 개념은 한국의 가부장적 법담론에 근거하여 제사를 주재하는 장손이라는 의미를 부여받고 있었으며, 의료와 복지시스템을 넘나들며 체계적으로 뒷받침되고 있었다. 지자체별로 도입 중인 공영장례조례는 무연고사망자의 장례지원을 위한 유일한 법적근거로서 무연고 ‘상주 되기’를 위한 물리적, 사회적 조건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공영장례를 통해 ‘상주 되기’를 수행하였더라도 고인의 유골을 인수받는 과정에는 제약이 존재했으며, ‘사실상 시신을 관리하는 자’라는 범주는 계속적으로 주변화ㆍ잔여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무연고사망자의 증가라는 현상 이면에는 가족돌봄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조차 부양의무의 주체로서 원가족만을 호명하는 정상가족주의가 자리한다. 이 점에서 무연고 상주들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것은 단순히 장사법 상으로 비혈연ㆍ비혼인 관계를 ‘추가’하는 것 이상이 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가 허락하는 돌봄의 단위를 넘어선 ‘난잡한 돌봄’의 사회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