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전시와 역사교육 : 국립중앙박물관과 국사교과서

        오영찬(Oh, Young-ch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9 역사문화연구 Vol.33 No.-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常設展示와 현행 7차 교과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기본 체계와 내용을 서로 비교해 봄으로써, 역사전시를 통한 역사교육의 특성과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박물관의 전시는 전시 성격에 따라 상시 적인 상설전시와 단기간의 기획전시로 크게 나뉘는데, 이번 작업에서는 先史 및 古代 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舊石器時代부터 南北國時代를 포괄하는 時代史 展示인 考古館을 검토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展示室의 구분 문제, 展示와 記述이라는 매체의 특성, 전시가 유발하는 歷史像의 왜곡 등 세 가지 사항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서술하였다.국립중앙박물관은 국가의 대표 박물관인 만큼 歷史展示는 역사교육에 밀접한 영향력을 미치는데, 특히 실물 기반의 학습이라는 점에서 학교 교과과정의 교육에 대한 보완적 기능도 아울러 지닌다. 박물관 역사전시를 통해 역사교육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는, 박물관 전시가 지니는 매체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중 考古館과 국사교과서의 해당 단원을 상호 비교하여, 歷史展示와 歷史敍述의 매체적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展示는 전시물을 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특별한 방식이자 수단이다. 전시품을 통하여 의미를 전달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나 분야가 상존한다는 점, 考古學과 歷史學의 학문적 개념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견해가 표출되는 점, 博物館 所藏品의 성격에 따라 전시를 할 수 없는 경우, 展示物과 歷史像이 서로 배치되는 경우 등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박물관을 통한 역사교육에서는 展示媒體의 특성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하며, 역사전시의 한계를 늘 염두에 두어야만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In this articl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historical exhibitions by National Museum of Korea have been analyzed by a means of comparing contents and structures of current history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National Museum of Korea is undoubtedly the most representative museum in Korea, and its historical exhibitions have greatly influenced the history education in school. Museum exhibitions are generally divided into a permanent exhibition and special exhibitions, stag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In this article I deal with the permanent exhibition of Archaeological gallery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includes objects from the Paleolithic to the Unified Silla and Balhae periods in Korean history. Museum offers an object-based learning, and it plays a complementary role in the cours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istory education by means of museum exhibitions, we have to accurately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as a medium. First of all, I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contents of the archaeological gallery of the permanent exhibition in the museum and the corresponding materials of the pre- and ancient history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Exhibitions are special mediums for conveying information and meaning through displayed objects. In this article, I present various issues related to exhibitions. Such are: inability of exhibition objects of dealing with certain historical facts and subjects, varying opinions on a single issue caused by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concepts of archaeology and history, difficulty in holding an exhibition on a particular subject due to a scarcity of artifacts in the museum collection, and a discord between images projected by history and what are exhibited. I emphasize that utilizing museum exhibition for history education require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as a medium and an awareness of its limitations.

      • KCI등재

        역사와 진리 : - 역사 쓰기와 역사 만들기

        김기봉(KIM, Gi-Bong) 한국사학사학회 2018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8

        역사가는 과거를 역사로 만드는 사람이다. 과거는 사실인 반면, 역사는 이야기다. 실증사학은 과거의 사실과 일치된 역사를 쓰는 것을 진리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실증사학의 공리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일 뿐이다. 실제로 역사서술의 역사는 과거와 역사의 일치가 아닌 불일치를 조건으로 해서 전개됐다. 데카르트는 역사가는 과거에 대한 명증한 지식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역사는 과학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비코는 인간은 자신이 만든 것만을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전제에 입각해서, “진리 그 자체는 만들어 진 것이다(Verum esse ipsum factum)”이란 명제를 세웠다. 역사가가 연구한 결과물인 ‘역사적 사실’은 ‘과거의 사실’을 데이터로 이용해서 역사가가 만든 사실이다. ‘사이비 역사’란 데이터인 ‘과거의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해서 쓴 가짜 역사를 지칭한다. ‘사이비 역사’는 데이터 과학으로서 역사학의 정체성을 위협하기 때문에 몰아내야 한다. 하지만 역사가에게 데이터의 정확성은 의무일지언정 미덕은 아니다. 현실세계의 많은 것들이 가상세계로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 역사학이 추구해야 하는 진리란 무엇인가? 가상세계에서 인간은 사실을 만들기 때문에, 진리란 그야말로 “만들어진 것”이 되고 있다. 이렇게 진리를 만드는 시대를 맞이하여 앨빈 토플러는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라 말했다. 4차 산업혁명은 이전의 인류가 가보지 못한 문명사의 새로운 길을 만들 것을 요청한다. 인공지능의 도전에 직면해 있는 역사학은 과거에 관한 객관적 지식을 탐구하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진리를 창조하는 상상력을 키우는 학문으로 변모해야 한다. Historians are people who make the past history. History is a story, while the past is a fact. Positivism in history claimed that historians were able to approach the truth by restoring what had happened in the past. However, this axiom of the positivist approach is merely an unrealizable postulate. Indeed, the history of historiography has been developed on the condition of inconsistencies, not in accordance with past and history. Descartes argued that history could not be science because historians were unable to produce clear and distinct knowledge of the past. On the contrary, Vico established the proposition “Verum esse ipsum factum” based on the premise that humans can know only what they have made. Historians make ‘historical facts,’ as a result of their study by utilizing ‘facts of the past’ as data. ‘Pseudo-history’ refers to a false history written by an attempt to distort or fabricate the historical data. ’Pseudo-history’ must be driven out since it threatens the identity of history as data science. But for historians, the accuracy of data is an obligation, but not a virtue. What is the truth that history must pursue in the digital age when many things in the real world are turning into the virtual world? In the virtual world, humans make facts, so truth is actually ”made-up”. In this era of truth making, Alvin Toffler said, “The future is not to predict but to imagin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lls for a new path to civilization that has not been visited by previous humans. In response to this request, history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discipline that fosters imagination that creates truth for the future rather than exploring objective knowledge about the past.

      • KCI등재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 ①』 서양고대사 서술의 분석과 검토

        윤진(Yoon, Ji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이 논문의 목적은 2020년 3월부터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역사』 교과서들에 제시된 서양고대사 부분의 서술에서 ‘서구중심주의적’ 서술이 조금이라도 탈색 혹은 제거되었는지, 매우 적게 할당된 지면에 긴 역사적 기간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었는지, 잘못 사용된 용어나 개념은 없는지, 역사적 사실(事實)이 올바르게 표현되었는지를 검증해 보는 데 있다. 분석과 검토의 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역사에 관한 부분이 더욱 그렇다. 이런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데는 첫째,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관련 분야 전공자의 수가 적고 비교적 최근에야 연구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전공자들이 거의 신학 관련 연구나 강의에 종사하고 있어서 역사학계와의 접점이 적다는 것도 한 가지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분야 전공자들의 보다 많은 대중적 역사서 출간이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 서술에 관련된 문제들에서 항상 지적되어 왔지만, 필자의 수가 적어서 모든 분야 전공자를 동원할 수 없다는 점이 크다. 그러나 이 부분은 출판사의 경제적 사정 문제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대안을 제시하기 어렵다. 다만 관련 학회와의 협조는 어느 정도 그 문제를 해결하는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근본적으로 텍스트를 위한 지면이 부족하다. 이런 점은 선행연구들 대부분에서 지적된 바 있듯이, 역사부도를 적극 활용하고 불필요한 사진이나 만화 등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역사 관련 부분만이 아니라 서양고대사에 관한 서술 전체에서 예전 교과서 서술을 답습하는 데 그치고, 최근의 연구 성과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scription about Ancient Western History in the textbooks of History for Middle School by 2015 Educational Course. For that aim, we divide all the main content into three chapters, that is, ancient Mesopotamian and Egyptian History, Ancient Greek and Hellenistic History, Ancient Roman History. And we analyze all the sentences by the criterion of error, ambiguity of expression, misunderstanding. In the process, we can find some problems in the descriptions. Those problems are some mistakes and misunderstandings, misinterpretations. What makes those? We think that there are four factors. Firstly, few scholars of the history about ancient Mesopotamia and Egypt are working in the historical field. Secondly, authors of textbook for Middle School are too small. Thirdly, just a few pages are allotted for descriptions about Ancient Western History. Therefore, these a few pages make those descriptions to be abbreviate and omit. Lastly, authors are just imitating former textbooks’ descriptions.

      • KCI등재

        역사 대중화와 역사 왜곡의 문제

        권태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역사 대중화와 역사 왜곡의 문제권 태 경*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 드라마, 역사 예능 등 역사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보여준 역사 대중화와 이로 인한 역사 왜곡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역사 대중화에 대한 실제와 역사 왜곡의 문제를 논할 것이다. 역사 대중화가 가진 문제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로 인한 역사 왜곡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역사 대중화로 인하여 나타난 역사 왜곡의 사례를 역사 스타강사(설민석)와 역사 드라마( 조선 구마사 사태)를 통해 구체적인 역사왜곡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역사 대중화를 위한 역사가의 책임이 무엇인지 다루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를 통해 제안하고자 하는 것은 역사 대중화로 인해 야기되는 역사 왜곡의 문제에 역사가들이 비판적인 입장에만 머물지 말고 더 책임성을 갖고 역사 대중화에 역사가의 참여와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핵심어: 역사대중화, 역사왜곡, 영상역사학, 역사 예능, 역사 드라마 □ 접수일: 2022년 8월 31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총신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Professor, Chongshin Univ., Email:7361234@gmail.com) On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Distortion of HistoryTaekyoung Kw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shown through TV programs and historical dramas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The research methods will discuss the issues of historical distortions and the realities of popularization of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it. I will look at examples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through TV program (star lecturer of Mr Seol) and a historical drama(Joseon Exorcist) and finally, I would like to deal the historian's responsibility for popularizing history.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through this study is that historians should not stand in a critical position on the problem of historical distortion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but rather take responsibility for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and the role of historians is needed. Key Words: Popularization of History, Distortion of History, Media History, History Entertainment, History Drama

      • KCI등재

        역사학과 인문 · 사회과학의 현재, 그리고 기대의 지평으로

        야마무로신이치 ( Yamamuro Shinichi ),이한결(번역)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78 No.-

        본 논문은 동아시아 역사연구포럼이 교토대학 인문과학연구소·동북아역사재단과 공동개최한 국제연구 심포지엄에서 `동아시아에서의 역사인식과 역사교육 - 인문·사회과학의 과제와 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왜 설정할 필요가 있는가를 일본의 시점에서 논한 것이다.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인문사회과학의 연구지원체제의 재편성 방식에 관한 시행착오가 지속되고 있다. 그 가운데 경제적인 글로벌화에 따라 학술연구에서의 `세계랭킹`에 대한 대응방향, 학술연구의 평가방식, 학술·교육예산의 효율적인 배분방법, 그리고 인문·사회과학 연구의 사회적인 유용성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 인문·사회과학 연구자들은 해답을 낼 것을 요구받고 있다.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자연과학연구는 필요하지만 인문·사회과학은 불필요하다는 식의 논의가 있는 가운데, 인문·사회과학의 연구자가 당연히 응답해내야 할 책임이기도 하다. 다른 한편, 제2차 세계대전으로부터 70년을 거쳐,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일국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온 역사교과 과목 재검토, 역사교과서 개정과 같은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사·세계사와 같은 분야를 횡단하는 `역사통합`과목이 고등학교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이러한 움직임과 병행하여 종군 위안부문제·남경대학살문제 등에 관하여, 일본에서는 한국이나 중국에서의 세계기억유산등록을 반대하는 논의가 수년간 이어지고 있다. 그곳에서는 `역사전쟁`에 승리한다는 명목으로, 역사인식과 역사교육에서의 반한·반중의 논조가 고조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다시금 왜, 어떻게 역사를 인식하고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다시 질문받고 있다. 이렇듯 오늘날 동아시아세계에서는 인문·사회과학의 존재방식과 역사인식·역사교육의 존재방식을 둘러싼 논의가 밀접하게 서로 얽히면서, 학문연구와 교육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 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으로 분출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우리들에게 요청되는 것은 각각의 연구자가 국적·세대·성별 등의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라는 리저널한 시각으로부터 글로벌과 내셔널의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제에 접근하여, 자유롭게 토의한다는 기점(基点)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그러한 때에 확인해두고자 하는 것은 사회나 세대를 넘어서 다양성을 지니는 문화의 지속적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분과·세분화되어 버린 인문·사회과학을 `인문학`으로 재구성하고, 연구·교육의 다양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요불가결하다는 인식이다. Since the 1990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undergoing higher education reforms, particularly surrounding issues of research support system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process, researchers in such fields have been required to prove their social usefulness. Meanwhil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reforms of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 among 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stressed on the nation-centered history over the last 70 years. The recent movement of history education in Japan has two distinct aspects: Teaching “comprehensive history” that crosses national boundaries in high school on the one hand, and the growing discussion on “struggles of history” that ignites anti-Korean and anti-Chinese sentiments. These two aspects urge us to reconsider the ways in which we perceive and educate histor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terwoven discussions of the rol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ose of historical perception and history education in East Asian nations. This led to a fundamental question of the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In order to find an answer, researchers need to cross the national, generation, and gender boundaries and have an open discussion about global and national issues from a regional―i.e. East Asian-perspective. It is also essential to reconstruct the Humanities by integrating different disciplines and facilitate international academic collaboration to maintain cultural multiplicity and sustainability across the social and generation boundaries.

      • KCI등재

        일제의 ‘대동아사’ 구상과 역사교육 -<동아 및 세계> 과목과 교과서 『중등역사 1』을 중심으로-

        손석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9

        <East Asia and The World> is a foreign history subject that was based on ‘The Training instruction manual’ announced in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ial Joseon in 1943 , when the Asian-Pacific War was at its peak. It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of secondary schools in Japanese Empire and Colonial Joseon, and integrated the contents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divided into Oriental history and Western history. The textbook of this course was Secondary School History 1, which was produced as a national text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4.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were born on the flow of the “Greater East Asia Education System” designed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o establish an emergency education system for the war of aggression.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tried to producea war ideology through the history and to project ideology into history education. Thus,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Great East Asia,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government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conducted. This book provided a logic for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The purpose of <East Asia and the World> and Secondary School History 1 is to make students who learned <East Asia and The World> fight in a war by teaching students the histor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which is the process of enlargement of the glory of the Emperor of Japan. <동아 및 세계>는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이던 1943년에 일본과 조선에서 발표된 중학교교수 및 수련지도요목(中學校敎授及修練指導要目)에 의거해 동양사와 서양사로 이원화되어 있던 기존의 외국사 교육이 하나로 통합되며 탄생한 역사과목이다. 이 과목의 교과서가 바로 1944년 문부성 국정 단일 교과서로 제작된 『중등역사 1(中等歷史 一)』이었다.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은 1940년대로 접어들며 일제가 비상전시교육체제 확립을 위해 고안한 ‘대동아교육체제’ 하에서 등장하였다. 일제는 사학계를 통해 전쟁 이데올로기를 생산해내고, 이를 역사교육에 투영하고자 했다. 이에 문부성 주관의 국정 개설서인 『대동아사개설(大東亞史槪說)』의 편찬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개설서는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담은 것이었고,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내용 구성 논리를 제공하였다. 즉, <동아 및 세계>와 『중등역사 1』의 등장은 천황의 영광이 확대되는 과정인 ‘대동아공영권의 역사’를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을 대동아공영권의 확립을 위해 전쟁에 나가는 황국신민으로 만들기 위함이었다. 『중등역사 1』은 아시아·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역사교육을 통해 국민들에게 형성시키려던 대외인식의 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유사 역사학의 특성과 역사 왜곡의 방식

        기경량 ( Ki Kyoung-ryang ) 강원사학회 2018 江原史學 Vol.0 No.30

        역사학계는 1970~1980년대 유사 역사학자들이 주도한 몇 차례의 역사 파동을 거치며 그들이 논리와 대화로는 설득이 불가능한 집단임을 깨달았다. 이에 그들의 도발을 무시하는 전략을 취하게 되었다. 역사학계가 방치하는 동안 유사역사학자들은 끊임없이 대중화 작업에 집중하였고, 결국 이들의 주장은 일반에 더욱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말았다. 한국의 유사 역사학이 확산되는 데는 안호상, 문정창, 박창암, 임승국과 같은 극우 파시스트들이 핵심적 역할을 하였다. 이는 유사 역사학의 사상적 뿌리를 보여 준다. 유사 역사학은 한국 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존재한다. 미국의 역사학자 Ronald H. Fritze의 분석을 참고하면, 미국의 유사 역사학은 ①증거의 선별적 채택, ②유통기한 지난 연구 이용, ③가능성과 개연성의 혼선, ④실재성에 대한 집착, ⑤예외적 증거에 대한 선호와 같은 특성을 보인다. 이는 한국의 유사역사학이 보이는 양태와도 정확히 일치한다. 최근 유사 역사학자 이덕일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장은 상기한 특성을 고스란히 품고 있는 왜곡물이다. 이는 학술 행위라기보다는 대중 선동의 영역에 속한다. 유사 역사학은 확증 편향적 사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영토 문제에 이상 집착한다. 이들은 식민주의 사학에 대항한다고 자임하며, 한국사가 반도가 아닌 대륙에서 전개된 역사임을 증명하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이는 반도의 역사가 대륙의 역사보다 열등하다는 식민주의 사학의 대전제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다. 정작 일제 강점기 식민주의 사학은 침략 대상이 확장됨에 따라 만주와 한반도의 역사를 묶은 滿鮮史나 몽골까지 포함한 滿蒙史 같은 관점을 창출한 바 있다. 또한 이란 동부 평원에서 발원한 ‘상상의’ 민족 집단을 상정한 투란주의(Turanism), 이에 입각한 대아시아주의를 주창하는 한편 일본·조선·만주·몽골이 같은 조상을 가졌다는 주장도 만들어냈다. 한국 유사 역사학의 뿌리는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이 같은 대아시아주의에 닿아 있다. 유사 역사학은 파시즘의 유전자가 각인되어 있는 역사상이며, 반지성주의의 산물이다. 우리 사회에 역사적 반동이 도래하는 것을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cademia of history realized that pseudo historians were a group that could not be persuaded by logic and dialogue, going through a few historical crises in the 1970s-1980s. Thus, it coped with that in the way of ignoring them. In the meantime, the pseudo-historians constantly focused on popularization, and finally, their claims became widespread as a result. In the expansion of Korean pseudo history, fascists as extreme rightists, including Ho-sang Ahn, Jeong-chang Moon, Chang-am Park and Seung-guk Lim played a major role. This shows the ideological root of the pseudo-history. The pseudo history exists in other countries as well as in South Korea. To sum up what was analyzed by American historian, Ronald H. Fritze, the pseudo-history has characteristics as follows: ① selective adoption of evidence; ② the use of research past expiration date; ③ the mixture of possibility and plausibility; ④ obsession about substantiality; and ⑤ preference for exceptional evidence. This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aspects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Most claims recently suggested by pseudo-historian, Lee, Deok-il are products of distortion, which contain all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pseudo-history. They belong to the area of demagoguery, and it is difficult to acknowledge them as a sincere academic category. The pseudo-history has a thinking structure with a confirmation bias and is obsessed with territorial problems. They pose themselves against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make an effort to prove that the Korean history is a history developed from the continent, instead of the peninsula. However, this has a fundamental problem in that it uncritically accepts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the peninsular history is inferior to continental history.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ad produced the Manchu-Korean history that combined the history of Manchuria with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Manchu-Mongolian history that included Mongolia as the invasion targets expanded. In addition, Turanism appeared, which assumed an ‘imaginary’ ethnic group, which rose in the Eastern plain in Iran, and Pan-Asianism was claimed based on that. Even, a claim that Japan, Korea, Manchuria, and Mongolia had the same ancestors emerged. The root of the Korean pseudo history reaches Pan-Asianism made by Japanese imperialists. The pseudo-history is the concept of history in which the genes of the fascist forces as extreme rightists are carved and a product of anti-intellectualism.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ociety as a whole in order to protect from the advent of fascism.

      • KCI등재

        3.1운동의 장소적 특징과 ‘유산화’ - 경남지역 3.1운동을 중심으로 -

        전성현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3 No.-

        The 3.1 movement was a national and all-people independence movement that rose up to the colonial rule of Imperial Japan and shouted independence. If you specify the place of the 3.1 movement as a place of historical events, the 5-day interval market is the most common in a single place, followed by the school. In the case of government offices, it was a symbol of colonial power and a target of declaration of independence, so it was the place where the demonstrations occurred most when all Myeon offices and police stations were added. The 3.1 movement in Gyeongnam was more prominent than other regions, and a massive demonstration was held based on the place called the 5-day interval market. In particular, in the representative market of the region, almost all of the 3.1 movements occurred and the scale was large. The March 1 movement in these markets did not end at once; it had a lasting characteristic, such as the protests being held or planned again when the next market opened. It also spread in a chain to the nearby market along a five-day cycle. As such, the 3.1 movement in Gyeongnam is characterized as a market demonstration, so the market can be called a 'place of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the past history is accepted with the historical place and how it is institutionalized and affects the memory of history i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This is more important because it is the present problem beyond the past problem. There are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to remember the history based on the historical place of the 3.1 movement. The same is true for Gyeongnam. Typically, there are various monuments as a 'memorial' device related to the 3.1 movement, and there are reenactment events that are repeated every year. However, these memorial devices are managed as national memorial facilities even if they are created by the state, local governments, loc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that respect, there are two problems. First, it is being created with a distance from the historical place of the 3.1 movement. Second, these memorial devices are generally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or memorial facilities by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are converged to the nation and the country, thereby blocking the expansion of the meaning. In order to connect the past history and historical place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new 'Becoming heritage' of historical place. At this time, the subject of heritage should be a citizen and a local citizen who should live together with heritage as well as the nation and nation. 3.1운동은 제국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분연히 떨쳐 일어나 스스로 독립을 외친 전 민족적, 전 민중적, 전 지역적 독립운동이었다. 역사적 사건의 장소로서 3.1운동의 장소를 특정하면, 단일 장소일 경우 장시 또는 시장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학교였다. 하지만, 관공서의 경우 식민권력의 상징이었고 독립 선언의 대상지였기 때문에 도청, 군청, 면사무소, 헌병대, 경찰서 등을 모두 합치면 시위 장소로서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장시가 시위의 장소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경남의 3.1운동은 다른 지역보다 특출하게 장시라는 장소를 기반으로 대대적으로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특히나 해당 부·군의 대표적인 거점 장시 또는 큰 장시에서는 거의 모두 3.1운동이 일어났고 그 규모도 대단위였다. 이들 장시에서의 시위는 한번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다음 장 또는 그 다음 장이 설 때 다시 시위가 전개되거나 계획되는 등 지속적인 특성을 지녔다. 또한 장시 시위는 장날을 기해 한 번 또는 두 번 이상 연속적으로 일어나는데 그친 것만은 아니었다. 5일장이라는 순환 사이클을 따라 인근 거점 장시 또는 중소 장시로 연쇄적으로 전파되었다. 이처럼 경남지역의 3.1운동이 다른 지역과 달리 장날 시위라는 특징을 지녔기에 장시는 경남의 경우 ‘역사의 장소’라고 할 수 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현재, 과거의 역사가 그 역사적 장소와 함께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고 어떤 방식으로 제도화되어 역사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과거의 문제를 넘어 현재의 문제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현재 3.1운동의 역사적 장소를 토대로 그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들이 전국에 마련되어 있다. 경남도 마찬가지인데, 대표적으로 3.1운동과 관련된 사건, 인물, 장소의 기억을 위한 ‘기념화’ 장치로서의 각종 기념비 등은 물론, 매년 반복되는 3.1운동 재현 행사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들 기념 장치들은 국가에 의해 문화재 또는 기념물로 지정·조성되든, 지자체나 지역 단체, 그리고 개인에 의해 조성되든, 모두 국가의 현충시설로 관리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두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3.1운동의 역사적 장소가 삶의 한 가운데 들어와 있는 것이 아니라 다소 거리를 두는 등 사람과 유리된 채 조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들 기념 장치들은 대체로 국가보훈처, 문화재청, 지자체 등에 의한 문화재 또는 현충시설로 지정되어 그 역사적 의미가 모두 민족과 국가로 수렴되어 버려 그 의미의 확장을 가로막는 한계도 있다. 과거의 역사와 역사적 장소를 현재와 미래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기념이 아니라 역사적 장소의 새로운 ‘유산화’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이때 ‘유산화’는 역사와 인간이 함께 어울려 생활하며 또 이를 다음 세대에게 넘겨준다는 의미이다. 그렇기에 유산화의 주체는 국가와 민족만이 아니라 유산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할 시민이며 지역민이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 데이터 내러티브

        최원재(Choi, Won-ja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0 동국사학 Vol.68 No.-

        This study examined a new role of history (or history research) which was little focused in terms of data science before. We are living in the data era where data is a core in industry, business, and study, and no doubt, anyone should be data literate to live in this data-centred society. However, it does not mean everyone ought to become a computer scientist or computer programmer. History will be where data literacy is taught and experienced with its historical thinking that derives from interpreting big data and small data we can encounter in history or history research. A history researcher comes across the moment when ‘Aha!’ occurs to him or her in researching historical events or episodes from analyzing contexts and weaving them, and it is insight and intuition that is required to whoever deals with data. Historical research results in insight and intuition. History research is not where the past remained only in the past but where data is analyzed and interpreted with insight and intuition of a data researcher who dives into finding a new fact and pursuing after its novel interpretation. By doing so, anyone who is involved in historical research can be literate in data. Data literacy is not limited in the computer field as simply thought. From a broad scope, its bounds are getting expanded to where interpretational insight in data can be harvested, and digital data curation is recommended for a specific way to realize data literacy. Digital data curation calls for both computer skills and interpretational insight or intuition. It is the very best thing in getting the narrative shaped which a researcher explores in the way the data-oriented society welcomes. Digital data curation is hopefully expected to be placed in a curriculum of historical research. 이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시대에 역사학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데이터가 본격적으로 산업의 주재료가 된 지금은 누구나 데이터를 재료로 첨단기술을 활용해 일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역량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리터러시가 필요에서 ‘필수’인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러한 역량을 이끌 수 있는 학문으로 역사학을 꼽을 수 있다. 역사학은 그 시작점이 데이터가 바탕이 되는 데이터 과학이다. 그리고 역사학에서 요구하는 역사적 사고는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과 다르지 않다. 역사 연구에서 펼쳐지는 역사적 사고는 데이터를 수집·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직관과 통찰을 기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 역사적 사고는 역사적사건과 사실을 분석하고 사건·사실의 상황 맥락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사고(思考)를 포함하는데 이런 해석의 과정에서 직관력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역사는 데이터베이스의 학문이며 역사 연구는 데이터 해석의 과정이다. 다시 말해 역사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내러티브 능력이 발현될 수 있는 영역이다. 역사적 사고력을 데이터 리터러시로 완성시킬 수 있는 구체적으로 방법으로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이 있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은 구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기획하여 이에 맞는 데이터를 디지털 기술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여기서 다시 데이터를 추출·연결하여 디지털적으로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기법이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을 원활히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엮어가는 사고력과 디지털 기술 응용력이 모두 요구된다. 역사학에서 배울 수 있는 역사적 사고가 디지털 기술과 융합되면 앞으로 데이터 활용에 요구되는 직관력과 컴퓨터 기술을 모두 습득하게 될 것이다. 역사학은 데이터 중심 시대에 더이상 지난 세월의 사료를 읽고 교훈을 얻는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학문이 아니다.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 속에서 구현되는 역사적 사고는 역사적 데이터를 확인하고 그 데이터 사이의 맥락(관계성)을 짚어가는 데 필수적인 직관력을 길러 내러티브할 수 있는 데이터 과학의 주요 분야로 역사학을 본격적인 데이터 과학의 하나로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역사학 커리큘럼에 디지털 데이터 큐레이션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독립운동가 김동수 선생 가문 디지털 큐레이션에서 발견한 스토리를 연구 사례로 들어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인 역사 디지털 큐레이션의 구체적인 연구 과정을 설명한다.

      • KCI등재

        역사박물관 학예사의 박물관 교육 운영과 실천

        안주홍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본고에서는 역사박물관 학예사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천하는 전 과정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들의 인식과 실천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공과 경력, 개인적 신념 및 경험・흥미, 상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해서 박물관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을 ‘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공과 경력에 따른 차이로 박물관 교육목표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의 큰 틀을 ‘역사교육’안에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수적인 지식을 역사내용지식과 소장 자료에 대한 이해였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역사내용지식은 단순한 역사지식이 아닌 역사학의 기본개념과 원리, 그리고 역사의 학문적 구조와 역사가의 태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었고, 전시물외에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 자료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려고 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기초로, ‘주제중심 학습’과 ‘인물학습’으로 구성했고,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 ‘제작학습’, ‘체험학습’을 적절하게 혼합해서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경력과 전공・박물관 상황적 요인, 개인적 경험과 신념에 따라 이들의 실천 양상은 차이가 있었고, 실제 기획의도와 다르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력과 전공, 박물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몇 가지 박물관 교육학예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다.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박물관의 특성과 경력, 전공을 고려해야 한다. 초임자와 경력자를 구분하고, 교육학 전공자와 아닌 자, 역사계 전공자와 아닌 자,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 박물관의 규모에 따라 교육담당학예사의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 첫째, 초임 학예사들에게는 각 박물관 차원에서 소장 자료 교육이 따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임자들은 자신의 이론적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 왔던 박물관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므로 박물관 차원에서 이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경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 박물관 내부에서 박물관의 정체성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교육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전공자라 하더라도 초임자라면 한 박물관에서 5년 이상 프로그램을 꾸준히 발전시켜온 경력자의 사례를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간접 경험으로 간접 경력을 더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는 학예사는 자주 박물관을 바꾸기 보다는 한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교육프로그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역사학전공자들의 경력은 역사교육전공자의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보완해주기도 한다. 실제 경력자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니지만, 실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교육방법을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이론적 바탕이 없기 때문에 자신감을 표출하지 못했다. 이를 근거로, 굳이 교육학 전공자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닌 사람들도 전문성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자문단을 구성해서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urators of history museums perceived museums and museum education and how curators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urators' perception and practice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urators.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ndividual faith, experience, interest, and museum situation, are revealed in the museum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m. The study participants thought of museum education as a par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purposes they perceived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majors and careers. As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e framework of museum education within ‘history education,’ they regarded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seum collection as necessary knowledge.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they thought of as important included the basic concept and principle of history, academic structure of history, and attitude of historians, not just historic knowledge.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wa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materials the museum possessed as well as exhibits. To realize educational purpose of museums, they wanted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constructed the eduction into ‘themecentered learning’ and ‘figure learning’ based on ‘learners’ development stage’ and used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here ‘lecture method,’ ‘manufacturing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are appropriately mixed. However. their practice aspe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areer, major, museum situa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faith and there were cases that were practiced differently from actual planning intention. Despite the practical efforts of them, they felt difficulties according to career, major, and museum situation. These give some implication about education for museum education curators. In the process of museum re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and career and major of cur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education for curators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f they are beginners or experienced curators, if their major is education or historyrelated or others, if the museum is national or private museum, and if the museum is large or small. First, the beginners should receive separate education for museum collection from the museum. The beginners want to realize the museum education that they have been thinking based on theoretical experience. Therefore, if museums need to suggest new theoretical experience to them, the museums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that enables curators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within the museums. Second, Even if beginner majored in pedagogy, there is a need to share the cases of experienced curators who have steadily developed the programs in one museum for more than 5 years. Through such indirect experiences, they can accumulate indirect career. And education curators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 program for a long time in one museum rather than changing their museum. Also, the museums should make an environment where curators always can receive educational and contentwise advices by constructing an education program advisory panel to steadily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ators who did not major in education rather than persisting with only education majors.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open an education theory reeducation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