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방의 진물(珍物), 북방의 전기(傳奇): 한당대(漢唐代) 여지에 얽힌 사연과 여지시의 형상 분석

        邵玉明 연민학회 2012 연민학지 Vol.18 No.-

        여지(여枝)가 명물로 기록된 연원은 아주 깊다. 가장 먼저 한(漢)나라의 기록을 들 수 있다. 여지의 산지는 영남(嶺南)인데, 남해(南海)의 여지가 최고 품질로 알려졌다. 북방의 환경은 여지를 재배하기에 적합하지 않았고, 북방 사람들에게 여지는 공물(貢物)이라는 인식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즉 여지는 ‘남방의 진물(珍物)’이며 북방에서는 여지를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여지는 남방에서 생장하기에 북방과는 거리가 멀고 운송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여지만의 특수성과 오래 보관할 수 없다는 점 때문에 운송과정에서 시간의 제한을 받는다. 그러므로 남방의 여지를 북방으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물력을 동원해야 했다. 본고에서는 한나라와 당나라 때의 작품과 사료 가운데서 여지 자체와 관련된 내용 및 당나라 때 창작된 ‘여지시(여支詩)’를 통하여 여지의 ‘물성(物性)’과 여지‘자체’ 및 시인에 의해 형성된 ‘여지 형상(形像)’의 관련성을 명확히 짚어보고자 한다. 여지 ‘자체’와 ‘형상’의 상호간 분석을 통해 당나라 때 여지시가 시가(詩歌) 형식에서의 완전성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감정을 경물에 기탁하고 표현’하는 영물시의 특징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여지가 단지 ‘물체’라는 종속적인 지위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상의 문학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아울러 「남방의 진물-여지」에 대한 문화 발전의 의의를 보여주었다 「여枝」以爲名物入記, 淵源甚早, 始於漢初, 物之産地列在嶺南, 以南海爲最。 其性特殊, 不宜北植, 故以貢物爲北方所認識, 倂視之爲「南方珍物」, 可識者稀少。 然本「物遠難致」又加上「物性特殊」、「不耐保存」, 故運輸上局於時間, 使南여枝在北送過程更加耗勞。 本論將以漢、唐間文、史中對於여枝的記錄「本事」之要, 倂在詩歌發達的唐代, 藉由唐詩人創作、時地及對於여枝歌詠, 釐淸여枝物性與여枝「本事」及唐代詩人書寫意象的關聯性。 透過對於여枝「本事」與詩「意象」間互用之分析中, 觀察出唐代여枝詩不只建構詩歌形式上的完好, 倂擺脫詠物詩詠物寄懷、言志抒情中物的附屬地位、使여枝展現出多意象的文學意涵, 呈現唐代詩歌對於此「南土異果」文化發展的意義。

      • KCI등재

        ‘1760년 상송 읍지’의 성립과 전래, 그리고 현존본-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 신발굴 ‘여지승람’ 2종에 대하여-

        손성필,김준섭 한국고전번역학회 2021 고전번역연구 Vol.12 No.-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of Yeoji-doseo and reviewed three existing manuscripts of the 'Eupji submitted nationwide in 1760', including two newly discovered ones. The main contents of the discussion, focusing on the three existing manuscripts, are as follows. First,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Contrary to what is generally known, Yeoji-doseo cannot be said to be a national name because it is named by Seo Myeong-eung in a manuscript kept in his house. Secon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various places such as Keimyung University, is the original version of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seven regions that are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Third, the newly discovered Yeoji-seungram, which is kept in the the museum of silhak, is a manuscript that reproduces the 'Eupji in 1760'. In this manuscript, a new eupji in four regions, which is not in the Yeoji-doseo, which is kept in 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was discovered. 이 논문은 ‘여지도서’의 성립과 전래에 대한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 발굴된 2종을 포함한 ‘1760년 상송 읍지’ 현존본 3종을 비교, 검토하여 논의한 것이다. 현존본 3종을 중심으로 주요 논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55책)’는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는 달리 영조 41년(1765) 12월 8일에 서명응은 ‘여지도서’를 영조에게 진상하기 위해 입시한 것이 아니었다. 서명응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을 입수하여 소장하였고, ‘여지도서’라는 명칭은 서명응이 이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1건을 소장하고 장정하면서 임의로 명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지도서’는 서명응의 개인 소장본을 지칭하는 것일 뿐, 국가적이거나 공식적인 명칭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는 이 서명응 가문에 소장되어 전래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이며, 이른바 ‘여지도서’라는 문헌의 실체는 ‘1760년 상송 읍지’ 원본 중의 1건인 것이다. 둘째, 새로 발굴된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8책)’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이다. 1759년부터 홍문관이 하달한 범례에 따라 각 군읍에서 읍지를 찬집하여 홍문관, 감영 등으로 3건 또는 5건 상송했다. 홍문관에 상송된 읍지는 2건인데, 그중 어람용 1건은 홍문관에 보관된 것으로 보이나 1765년 이래 그 존재나 전승이 불분명해졌으며, 1건은 이은에게 분아되었는데 이를 서명응이 입수하여 ‘여지도서’로 명명한 것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 ‘여지도서’와의 비교를 통해 볼 때, 계명대 등에 분산 소장된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의 원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1760년 상송 읍지’의 계명대 등 분산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0여 군읍의 읍지 중에 7개 읍지의 존재가 확인된다. 셋째, 새로 발굴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6책)’은 ‘1760년 상송 읍지’를 복제한 정사본이다.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에서 찬집, 필사한 것이기 때문에 필체, 지도의 화풍 등이 군읍별로 각각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의 경우 전체 군읍 읍지의 필체가 유사하며, 채색 지도의 화풍도 유사하다. 또한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은 각 군읍별로 광곽과 계선의 형식, 색상이 다른 반면, 실학박물관 소장본은 동일 목판으로 광곽과 계선을 인출한 다음 필사한 괘인사본이다. 그러므로 실학박물관 소장 ‘여지승람’은 ‘1760년 상송 읍지’ 원본의 복제를 위해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필사, 채색하여 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실학박물관 소장본에서는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본에 누락된 4개 군읍의 읍지가 확인된다.

      • KCI등재

        『輿地圖書』의 성격과 道別 특성

        변주승(Byun Ju-seu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조선 후기 들어 사회경제적 변동이 진행됨에 따라 지방 사회는 큰 폭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지역 실정의 변화를 반영한 읍지들이 각 고을 별로 작성되고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전국적인 지리지를 편찬하여 지방의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지방 통치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이 낳은 산물이 바로 『輿地圖書』이다. 『여지도서』의 편찬은 조선전기에 간행되어 조선 후기까지 지방 통치에 널리 활용되고 있던 『東國輿地勝覽』을, 변화된 조선 후기의 실상에 맞게 개정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했던 것이다. 『여지도서』는 대체로 『동국여지승람』보다는 『世宗實錄地理志』의 체제에 가깝다. 즉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수록되어 있었지만 『동국여지승람』에서는 빠졌던 戶口 · 田結 · 賦稅 · 軍兵 등 국가의 통치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경제와 군사 관련 조항이 『여지도서』에는 단일 항목으로 편성되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편찬된 지 거의 2세기가 지난 『동국여지승람』을 조선 후기 실상에 맞게 개정하면서, 국가의 지방 통치에 유용한 행정적 · 실용적인 측면이 강화된 전국적인 읍지를 새로 편찬하려는 흐름이 『여지도서』의 편찬으로 이어졌는데, 『여지도서』의 수록 항목에 나타난 이러한 특징은 그러한 의도가 반영된 당연한 결과라고 하겠다. 또한 『여지도서』의 지역별 특성을 살피기 위해 인물 관계 기사와 문학 작품을 道別로 비교한 결과를 보면 도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읍지를 작성하는 의도나 목적이 각각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요컨대 전국적인 官撰 지리지의 편찬과 간행이라는 목적을 표방했던 『여지도서』는, 공식적인 간행으로 이어지지 못해 빠진 고을이 많고 도별과 지역별로 수록 기준과 내용에 큰 차이를 보임으로써 ‘미완의 전국 지리지’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지도서』는 18세기 중엽이라는 특정 시기에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전국 313개 官府의 읍지를 수합함으로써, 조선 후기 지방 사회 실상의 연구에 아주 중요한 자료의 보고가 되었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was being progressed, local societies were changing wildly. Therefore. Eupjis, which reflected the changes of local reality, were being prepared by district. It was suggested that there was the necessity of researching the realities of all the district and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by compile a national Jiriju based on Eupjis. The Yeojidoseo was produced by the necessity of its age. The Compilation the Yeojidoseo was started from an intention to rectify Dongguk yeoji seungnam, which was issued in the early Joseon and used until the late Joseon for governing the loca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reality of the late Joseon. The system of Yeojidoseo is generally closer to Seojong sillok jiriji rather than Dongguk yeoji seungnam In other words, the items-Hogu(population), Jeongyeol(taxes on land), Buse(taxation), Gunbyeong(the militaries)-related to economics and the militaries which are necessary to govern the nation practically were included as a sole clause like Seojong sillok jiriji, but they were excluded from Dongguk yeoji seungnam. Rectifying Dongguk yeoji seungnam, which had been 2 centuries to be issue, according to the realities, the compilation of Yeojidoseo was from the current to compile a national Eupji of which administrational and practical contents were strengthen for useful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s speciality in clauses was sure to reflect this intention. Also,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record and literature by district for studying the character of Yeojidoseo, and it seems each Do(district) had different position or purpose to compile Eupjis. The point is that Yeojidoseo is remained 'the uncompleted national Jiriji' that had a goal to compile and issue a national Jiriji by the government. It is a reason why it was not able to issued officially then, left out many towns and the level of recording and contents by each district or localities was excessively different. However in spite of limitation, Yeojidoseo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investigating of the realities of local societies in the late Joseon by gathering and combining 313 of Eupjis from towns and provinces with its own standard in the middle of 18C.

      • KCI등재

        조선후기 경상도 읍지 편찬 사업 재검토

        이재두 ( Lee Jae-doo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38 No.-

        이 글에서는 그동안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성균관대학교 존경각의 『영남여지』(1841)와 국립고궁박물관의 『읍지』 경상도편(1878, 이하 『고궁읍지』)의 편찬 시기와 읍지 유형 및 저본을 살펴보았다. 『영남여지』는 92%가 『경상도읍지』 유형이며, 『고궁읍지』 경상도편은 72%이다. 『고궁읍지』와 『영남여지』를 통해 1786년과 1832년 편찬한 『경상도읍지』 가운데 분실한 읍지의 원형을 추적하여 보유편을 확보할 수 있다. 경상도의 1786년지는 9개 고을 읍지를 분실하였다. 『고궁읍지』 경상도편에는 이들 읍지가 두 책에 연속하여 실려 있는데, 1786년지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9개 고을의 1786년지는 『경상도읍지』 유형 4개, 『여지승람』+알파(α) 유형 3개, 『여지도서』(경상도) 유형 1개, 『여지도서』+α 유형 1개가 된다. 1832년지는 4개의 읍지를 분실하였다. 『영남여지』를 통해 김산군, 영덕현, 고성현의 『경상도읍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으며, 『교남지』(1938)를 통해 의성현의 『경상도읍지』 유형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1832년지의 각 고을 읍지는 『경상도읍지』 유형이 100%이다. 조선후기 읍지들을 숙종, 영조, 정조 때 개발한 몇몇 유형으로 분류하여 파악하면, 저본으로 사용한 읍지의 편찬 시기와 수록 항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지역사 연구에서 조선후기에 편찬한 읍지를 활용하려면 읍지의 편찬 시기와 유형 및 저본 등을 제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time of compilation, the eupji type, and the origin of Yeongnam Yeoji(1841) and Gogung Eupji(Gyeongsang-do sections, 1878). The original form of the lost eupjis was revealed out of the Gyeongsang-do Eupji, compiled in 1786 and 1832 through Gogung Eupji and Yeongnam Yeoji. Yeongnam Yeoji is 92 percent of the Gyeongsang-do Eupji type, and Gogung Eupji is 72 percent. Gogung Eupji is believed to be based on Gyeongsang-do Eupji(1786), as lost eupjis from nine counties are bound by two books. If so, it appears that there were four Gyeongsang-do Eupji types, three Yeojiseungram+α types, one Yeojidoseo types, and one Yeojidoseo+α types. Gyeongsang-do Eupji(1832) lost eupjis in four counties. Yeongnam Yeoji confirmed the the Gyeongsang-do Eupji type in Gimsan-gun, Yeongdeok-hyeon and Go Seong-hyeon, and Uiseong-hyun can check the traces of the Gyeongsang-do Eupji type through Gyonam-ji(1938). In this way, each county in Gyeongsang-do Eupji(1832) has a Gyeongsang-do Eupji type of 100%.

      • KCI등재

        『여지도서』의 누락읍지 보완과 수록순서 보정

        이재두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4

        『여지도서』에 대한 연구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라 할 서적 자체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일정한 수록규정에 따라 각 고을에서 편찬한 읍지를 감영에서 모아 올려 보낸 것을 홍문관에서 한꺼번에 성책한 것이다. 현재 한국교회사연구소에는 영인본에 수록된 것 이외의 『여지도서』 잔여분은 없다. 경상도의 누락읍지 두 책과 전라도의 누락읍지 세 책은 분실된 것이며, 이 다섯 책을 포함하면 원래 60책이었다. 수합되지 못한 경도ㆍ한성부ㆍ개성부의 해당부분 세 책을 보태면 63책이 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사료총서에서는 『여지도서』의 원문 데이터가 제공되고 있다. 조선후기, 특히 18세기 중엽의 지방사회, 혹은 중앙정부의 지방지배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지도서』 보유편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수합되지 못했거나 분실된 누락읍지를 순서에 따라 보완한다는 전제하에서 사업이 추진되었으면 한다. 누락된 해당 고을 읍지들 중에서 이 책과 동일한 시기이거나, 가장 가까우면서 『여지도서』 계통의 읍지를 우선적으로 확보하여야 한다. 당연히 『여지도서』의 책 순서도 도별ㆍ고을별로 바로 잡아야 한다. 『여지도서』의 보유편은 권말에 수록할 것이 아니라 보정한 수록순서대로 하여, `『신찬 여지도서』'가 되게 하였으면 한다. 남원처럼 여러 개의 읍지가 있는 경우는 신찬읍지로 재구성할 수도 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도 이전에 제공하고 있던 데이터를 바로잡은 수록순서를 따르고, 보유편도 새로이 보완하며, 보완자료는 추가 번역이 필요하다. 아울러 『여지도서』 수록 지도는 원색 이미지로 하고, 본문도 흑백으로나마 원본 이미지를 제공하였으면 한다. 원문 이미지와 함께 『국역 여지도서』도 제공하게 된다면, 조선후기 지방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research on Yeojidoseo did not properly analyze the contents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book, which is the most basic stage. It is a collection of towns from Gamyeong that was compiled from each town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for a fixed number of books. In addition to the current copy, there is no spare Eupjis(local gazetteers).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local rule of the late Joseon, especially the local society of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or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reconstruct the missing Eupjis of Yeojidoseo.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Eupjis should be collected in the order that it is complemented with Eupjis that were not collected or lost. The book should be secured at the same time as Yeojidoseo or at the closest periodically, and Yeojidoseo. Of course, we have to correct the book order. It is recorded in the place according to the one way of holding, and it is recommended that it is put into `New Yeojidoseo'.

      • KCI등재

        관찬읍지의 계보와 분포 : 제주지역 세 고을을 중심으로

        이재두(Lee, Jaedoo)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1 한국고지도연구 Vol.13 No.2

        고을[邑]의 기록[誌]이라는 점에서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이하 『여지승람』)의 각 고을편은 조선전기의 해당 고을 읍지라 할 수 있다. 16⋅17세기 각 고을의 사찬읍지는 『여지승람』을 바탕으로 지방행정과 부세정보를 추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탐라지』에서 보듯이 고을 별호에 기록이라는 의미의 지(志)를 붙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17세기 말 18세기 초 숙종 전반기에는 『여지승람』의 증보개간을 시도하였고, 18세기 후반 영조 후반기에는 각 고을에 여러 차례 읍지 편찬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숙종대와 영조대에 편찬한 제주지역의 관찬읍지는 남아 있지 않다. 정조는 영조 후반기부터 여러 차례 편찬한 ‘해동읍지’와 『여지승람』 수록항목을 재구성한 『해동여지통재』를 출판하여 『여지승람』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1786년에 편찬한 제주지역 세 고을의 읍지는 『여지도서』 증보유형인데, 『여지도서』 개설항목을 그대로 실었으며, 책판을 추가하고, 누정에 제영을 부기하였지만, 선생안은 생략하였다. 1786년지는 제주지역에서도 1760년에 『여지도서』를 편찬한 것을 알려준다. 제주지역의 1793년지는 『호남읍지』 유형으로 편찬한 ‘제주 3읍지’이다. 1832년(순조 32) 규장각에서는 각 도에 공문을 내려 『각도읍지』에 빠진 고을의 읍지를 채워 넣어 전질을 갖추었다. 일본으로부터 100년 만에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의 『각도읍지』에 포함된 제주 3읍지는 1793년지를 바탕으로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하면서 각 항목별로 시문을 다수 추가한 1832년지이다. 1832년 이후 전라도에서는 1847년, 1859년, 1863년, 1871년, 1874년, 1879년에 편찬한 도지가 남아 있지만, 대부분 제주지역 세 고을을 제외한 53개 고을을 대상을 하였다. 이는 19세기 육지의 전라도 53개 고을과 제주지역 3개 고을을 분리하여 파악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6종의 도지 가운데 1874년지에만 대정군과 정의군의 읍지가 실려 있는데, 두 읍지는 이원진의 『탐라지』를 바탕으로 일부 자료를 수정⋅보완한 것이다. 대한제국 수립 이후 1899년 전국 읍지수상령이 내려졌다. 제주지역 세 군의 1899년지에는 선생안(환적)을 싣지 않았다. 제주군의 1899년지는 『탐라지』를 발췌한 뒤, 당시의 고을 현황[時邑誌]을 항목별로 추가하였다. 정의군의 1899년지는 『여지도서』 증보유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대정군은 『탐라지』를 바탕으로 『여지도서』 증보유형 수록 항목을 추가하였다. In terms of county s records, the Jeju regional sections of Sejongsillok and Yeojiseungram can be said to be the Jeju 3-eupjis(county gazette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sachan-eupjis(private county gazetteers) in each county tended to add local administrations and tax informations based on Yeojiseungram. As seen in Tamnaji, it was common to make a title with a letter meaning record in the county nickname. If you look at the Jeju 3-eupjis compiled around 1786, you can see that Yeojidoseo was compiled in this area in 1760. The 1786 s eupjis in Jeju wer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which contains the items of Yeojidoseo as it is, and a book board was added, and poetry was included in the pavilion item, and omits the list of county government officials. In Jeolla-do, there was Honam-eupji compiled in 1793. The Jeju 3-eupjis, compiled in 1832, revised and supplemented some contents based on the eupjis in 1793, adding a number of poems for each item. After 1832, Jeolla-do has compiled at least six provincial eupjis, but it has tended to exclude three counties in Jeju region while targeting 53 counties. However, the 1874 s eupjis contained Daejeong-gun and Jeongui-gun, and the two eupji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some data based on Lee Won-jin s Tamnaji.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Empire, a national order was issued to compile eupjis in 1899. After extracting Tamnaji from the 1899 s Jeju-gun eupji,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nty at that time was added by item. The 1899 s Jeongui-gun eupji was based on th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and Daejeong-gun added items for the additional types of Yeojidoseo based on Tamnaji. In the 1899 eupjis of the three counties, good government officials were included in Jeju-gun, but the list of county government officials was not included.

      • KCI등재

        2011년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 『읍지』 74책의 유래와 특징

        이재두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4

        This article reviewed by analyzing the 74 volumes, 355 eupjis, which were returned 100 years after it taken by Ito Hirobumi(伊藤博文), the first Resident-General of Korea. Eupji(『邑誌』, County Gazetteer)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國立古宮博物館) of Korea, which returned from Japan, is the National Eupjis(全國邑誌) that contains all the counties prior to 1900, except Hanseongbu. The Japanese chose 14 volumes of Gyeongsangdo Eupji(『慶尙道邑誌』), which were compiled in 1878, instead of Gakdo Eupji(『各道邑誌』). As a result, the Gyeongsang-do section of Gakdo Eupji is divided into the K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seen in the replacement of the Gyeongsang-do section of Gakdo Eupji, 74 volumes of Eupji were selected by the Japanese to find out the details of each county in the Korean Empire. From the selection process, Eupji was intended to be us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colonial rule after the Korean Empire seized sovereignty. The compilation period includes 164 eupjis(46.2%)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Jeongjo, 161(45.3%) during the reign of King Sunjo, and 30(8.5%)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Gakdo Eupji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ompilation of National Eupjis in 1773, 1780, 1793, and 1832. It also tells us the types of eupjis developed and distribut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the completion of Gakdo Eupji in 1832 and the fact that eupjis was supplemented in 1899. In the late Joseon Dynasty, eupjis can be categorized into Yeojiseungram(『輿地勝覽』), Yeojiseungram + α(alpha), Yeojidoseo(『輿地圖書』), Yeojidoseo + α, Gyeongsangdo Eupji, Honam Eupji(『湖南邑誌』), and the exception types. In 1773, most of them were Yeojidoseo types, and in 1780, they were generally Yeojidoseo lines, but in 1793, all of them were Honam Eupji types, In 1832, Gyeongsangdo Eupji types were 86(54%), Yeojidoseo lines 43(27%). In 1899, most of them were exception types. 이 글은 2011년 100여년 만에 환수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읍지』 74책과 규장각의 『경상도읍지』 20책을 분석한 것이다. 『읍지』 74책은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대출하여 일본으로 반출했던 규장각도서 중에 있던 것으로, 한성부를 제외하고는 1899년까지 부⋅군으로 편성한 모든 고을을 포함한 전국읍지이다. 원래는 『각도읍지』 80책이었는데, 일제가 『각도읍지』경상도편인 『경상도읍지』 20책 대신, 1878년에 편찬한 경상도의 『읍지』 14책을 선택한 결과 『읍지』 74책이 되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는 『각도읍지』 중에서 유일하게 경상도편만 『경상도읍지』라는 서명으로 남아 있다.『각도읍지』 경상도편의 교체에서 보듯이 『읍지』 74책은 일제가 대한제국 각 고을의 사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정선하여 가져갔던 전국읍지이며, 선정 과정에서부터 대한제국의 국권 강탈과 식민 지배 전략 수립 등에 활용하려는 의도가 강하였다. 『각도읍지』는 1773년⋅1780년⋅1793년⋅1832년의 전국읍지 편찬 사업, 1832년 『각도읍지』 완질의 완성과 1899년의 보유편 제작, 영⋅정조대에 개발 보급한 읍지의 유형 등을 알려준다. 『각도읍지』 각 고을별 읍지의 편찬 시기를 보면, 영⋅정조대가 164개(46.2%), 순조대가 161개(45.3%), 고종대가 30개(8.5%)이다. 조선후기 읍지들은 『여지승람』, 『여지승람』+α(알파), 『여지도서』, 『여지도서』+α, 『경상도읍지』, 『호남읍지』, 그리고 예외로 유형화할 수 있다. 『각도읍지』의 1773년지는 대부분 『여지도서』 유형이고, 1780년지는 대체로 『여지도서』 계통이지만, 1793년지는 모두 『호남읍지』 유형이다. 1832년지는 『경상도읍지』 유형이 86개(54%), 『여지도서』 계통이 43개(27%)이다. 1899년의 보유편은 대부분 예외 유형이다.

      • KCI등재

        『輿地圖書』의 物産 조항 연구

        徐鍾泰(Seo Jong-tae)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 수록되어 있는 토산물의 종류는 고을별로는 물론이고 도별로도 차이가 있다. 또한 각 고을의 물산 조항에 당시 생산되지 않는 토산물이 수록되어 있는 실상이나 물산 조항의 토산물에 산지 등이 밝혀져 있는 실상, 그리고 토산물을 기록하는 방식도 도별로 차이가 있다.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을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조항과 비교해본 결과 상당히 큰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전국적으로 볼 때, 『여지도서』 물산 조항의 토산물 76%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물과 겹치지만, 그 가운데의 6%에는 당시 생산되지 않는다는 표기가 붙어 있고, 24%는 새로 추가된 토산물이기 때문에, 이 물을 합친 30%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없는 새로운 내용이다. 토산물의 산지 등의 표기에서도 『여지도서』 물산 조항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적지 않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없는 각종 해산물, 약재, 과일, 조류, 짐승, 야채 등의 새로운 토산물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은 대동법 실시 이후에 중앙정부에서 진상 물자를 책정하여 궁중에 상납하게 할 때, 그 책정 기준으로 삼았던 토산물의 자료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조항과 자료적 성격이 많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The kinds of local produce found in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Map and Geography of Korea) vary among districts as well as provinces. These provisions show where each of local products was produced and contain other local products that were not then produced, and they also take different ways of keeping records of such local products, according to producing provinces.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ppear to b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provisions concerning local produce in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Shinjeung tongguk y?ji s?ngnam). In terms of the whole country, 76% of the local products found in y?ji doseo are covered by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but in fact 30% of them are new things not contained in the latter book, since the former makes sure that 6% were not produced at that time and 24 % were newly added. Also in indicating where local products are produced,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the two books. Those provisions of y?ji doseo contain a wide variety of new local products including marine products, herbs, fruit, birds, beasts, and vegetables, most of which are not found in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re thought to have provided reference documentation for local produces, based on which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Uniform Land Tax Law(taedongp?p) the central government identified local specialties of each district or province and ordered it to offer them as tribute to the royal court. In this respect, the product-related provisions of y?ji doseo are significantly distinguished from those of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regarding local produce.

      • KCI등재

        『헌산지』에 실린 『여지도서』의 목차와 편찬 규정

        이재두 ( Lee Jae-do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언양현 읍지인 『헌산지(?山誌)』(1760)의 서문과 각종 범례는 『여지도서(輿地圖書)』의 표준 양식, 곧 목차와 편찬 규정을 밝혀준다. 『헌산지』를 편찬할 무렵 홍문관에서 내려 보낸 규정은 35개 항목이었다. 이후에도 두 차례에 걸쳐 5개의 항목을 추가하라는 공문이 내려왔다. 최종 완성된 『여지도서』의 경상도 지역 목차는, [지도], [강역(彊域)] 외에 ①방리(坊里), ②도로(道路), ③건치연혁(建置沿革), ④군명(郡名), ⑤형승(形勝), ⑥성지(城池), ⑦관직(官職), ⑧산천(山川), ⑨성씨(姓氏), ⑩풍속(風俗), ⑪능침(陵寢), ⑫궁실(宮室), ⑬학교(學校), ⑭단묘(壇廟), ⑮총묘(塚墓), ?공해(公?), ?제언(堤堰), ?창고(倉庫), ?물산(物産), ?교량(橋梁), ?역원(驛院), ?목장(牧場), ?관애(關?, 관액), ?봉수(烽燧), ?누정(樓亭), ?사찰(寺刹), ?고적(古蹟), ?진보(鎭堡), ?명환(名宦), ?인물(人物), ?제영(題詠), ?한전(旱田), ?수전(水田), ?진공(進貢), ?조적(??), ?전세(田稅), ?대동(大同), ?균세(均稅), ?봉름(俸?), ?군병(軍兵) 순이다. 군현에 따라 최대 40개 항목까지 수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국 지리지를 목표로 한 『여지도서』 편찬 당시 경상도 지역에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수록 23개 항목에 [지도], [강역], ①방리, ②도로, ⑦관직, ?공해, ?제언, ?창고, ?목장, ?진보, ?한전, ?수전, ?진공, ?조적, ?전세, ?대동, ?균세, ?봉름, ?군병의 17개 항목을 추가하였다. 경상감영에서 내려 보낸 홍문관 지침에 따라 각 군현에서는 중앙에 올려 보낼 3권(어람ㆍ홍문관ㆍ성균관), 감영에 비치할 2권을 만들어 감영에 바쳤다. 감영에서는 각 군현에서 읍지를 일률적으로 재단하고 장정하여 책으로 묶었다. 현존하는 『여지도서』 경상도편은 일부 군현이 누락되어 있지만, 여러 차례의 수정 지시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정된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모든 항목`을 반영하였다. 이에 비해 다른 도 지역에서는 ⑬학교(學校)ㆍ?명환(名宦)ㆍ?제영(題詠), ⑫궁실(宮室)ㆍ⑮총묘(塚墓) 항목이 대부분 들어 있지 않다. 이들 5개 항목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수록 항목이었으나, 여러 차례의 수정 지시에도 불구하고 목차를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이전까지는 경상도에서도 빠져 있던 항목이었다. 중앙 정부의 지방 통치 자료 수집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이들 항목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재지사족의 입장에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고례를 들어 이들 항목을 유지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아울러 인물의 수록 자격도 중앙 정부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제한하지 않고 더 많은 인물들을 수록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여지도서』에서 경상도와 다른 도 지역의 일부 항목이 차이가 나는 것은 이러한 데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The preface and various introductory notes printed on Heonsanji(『?山誌』)(1760), Eupji(『邑誌』, local gazetteer) of EonyangHyeon(彦陽縣) explain the table of contents and compilation regulations of Yeojidoseo(『輿地圖書』). The table of contents for Yeojidoseo is 40 items except for [Map] and [Boundary(彊域)]. According to Heonsanji, Yeojidoseo contains Eupji where [Map] and [Boundary], and 17 items are added to 23 items listed on existing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 compiler intended to expand Yeojidoseo into national geography section. According to guideline of Hongmunkwan(弘文館) sent down from Gyeongsang Gamyeong(慶尙監 營), each county sent 3 books[King`s reading(御覽)ㆍHongmunkwanㆍ Seonggyunkwan(成均館)] to be sent to central government and 2 books kept in Gyeongsang-Gamyeong, to Gamyeong. In Gamyeong, Eupji collected in each county were uniformly cut, bound to a book. Gyeongsang-do chapter of Yeojidoseo was missing some counties. But all of items of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 were finally reflected through instructions for revision. On the other hand, the other province chapters do not contain items of school(學校)ㆍimportant government official(名宦)ㆍpoetry(題詠), royal chamber(宮室)ㆍgrave (塚墓). The 5 items were listed ones on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 But they were missing before the table of contents was finally fixed, though instructions for revision several times. These items would not have been necessary in terms of data collection for governing local government by central government. But from the standpoint of local scholars(在地士族), they would want to keep the items, raising the old cases(古例) of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 And they would want to list more figures on figure item, not limiting number of figures - central government limited it. This would be the reason why Gyeongsang-do chapter and other province chapters are different each other in Yeojidoseo.

      • KCI등재

        조선 후기 대구와 인접 군현간 교통로 복원 - 「여지도서(輿地圖書)」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교통정보를 중심으로

        김현종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3 대구경북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군현을 연결하는 지역간 교통로 복원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시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8세기 중반~19세기 중반의 경상도 대구와 인접 군현을 예로 교통로를 복원하였다. 연구는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조선시대 대구의 행정 경계를 지형 특성과 교통 연결성 관점에서 분석했다. 둘째,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사방경계(四方境界) 및 도로조와 「대동여지도(大1東輿地圖)」에 그려진 도로를 비교 분석하고 대구와 인접 군현을 연결하는 교통로를 네 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셋째, 역사 GIS 방법론에 기반해 대구와 인접한 14개 군현의 17개 경로를 각각 복원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군현간 교통로 복원 방법론은 「여지도서」의 사방경계와 도로조의 교통정보 조합과 「대동여지도」를 통한 경로 검증이 핵심이다. 두 문헌상의 경로 불일치는 편찬 시기에 따른 차이라기보다는, 텍스트와 지도라는 매체의 특성과 선형 정보의 텍스트 표현의 한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여지도서」의 도로조는 인접한 군현간 교통정보가 불일치한다는 문제가 있으며 사방경계 기록의 연장선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대동여지도」는 여러 경로의 중첩으로 발생한 교차점 해석의 모호함이 있고, 직선형 도로 표현에 따른 경유지의 위치 해석의 문제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restoring regional transportation routes between counties. To this end, we reconstructed transportation routes between Daegu, Gyeongsangnam-do, and neighboring counties in the mid-18th and mid-19th centur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Daegu were analyzed based on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Secon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oad of the Yeojidoseo(輿地圖書) and the transportation network of the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and reconstructed the regional road network centered on Daegu into four types. Third, 17 routes in 14 counties adjacent to Daegu were reconstructed using historical GIS methodology. The transportation route between counties reconstruction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is a combination of the road of the Yeojidoseo and verification through the Daedongyeojido.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routes in the two texts are not due to differences in the time periods in which they were compiled, but rather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mediums of text and map and the limitations of textual representation of linea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oad of the Yeojidoseo had the limitations of inconsistency with the road information of neighboring counties and being an extension of the sabang-gyeonggye(四方境界), and the Daedongyeojido had the difficulty of interpreting the intersection points caused by the overlapping of multiple ro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